Korean J Sport Sci > Volume 32(4); 2021 > Article
스포츠 분야의 사회적 자본에 관한 연구동향 분석

ABSTRACT

PURPOSE

This study aims to analyze research trends on the social capital in sports.

METHODS

A total of 69 papers published until December 2020 were selected as research subjects. Further, Excel, KrKwic software, and NetDraw function of the UCINET 6 program were used for analysis.

RESULTS

First, social capital research on sports has shown quantitative growth since 2010. Second, the studies were conducted on sports participants such as general, elderly, college students, adolescents, foreigners, and the disabled, showing the highest frequency of research subjects. Third, quantitative research conducted based on the research method were several. Fourth, single-author studies were the highest. Fifth, as the result of the analysis on the publication journal, the Journal of the Korean Physical Education Association was shown the highest. Sixth, due to frequency analysis of the thesis keywords, “social capital,” “sports participation,” “action intention,” “social capital type,” “living sports participation,” and “youth” were shown the highest. Seventh, as a result of centrality analysis between keywords through the network analysis, “sports participation” in connection centrality, “health-promoting lifestyle” in proximity centrality, and “sports participation” in mediation centrality were found as the highest.

CONCLUSIONS

The significance of social capital in sports is more important than others because it is a fundamental element for creating a culture where more people can enjoy sports moderately in Korea, where capitalism and liberal democracy were adopted as the governing system. Therefore, this study can be a vital resource significantly contributing to the understanding and active use of social capital, a significant factor in developing sports in Korea.

국문초록

[목적]

본 연구는 스포츠 분야의 사회적 자본에 관한 연구동향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자료분석을 위해 2020년 12월까지 발표된 총 69편의 논문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고, 자료처리는 Excel, KrKwic 소프트웨어, UCINET 6 프로그램의 NetDraw 기능을 활용하였다.

[결과]

첫째, 스포츠 분야에 관한 사회적 자본 연구는 2010년 이후 양적인 성장이 나타났다. 둘째, 연구대상은 스포츠 참여자를 대상(일반, 노인, 대학생, 청소년, 외국인, 장애인)으로 진행한 연구가 가장 높게 나탔다. 셋째, 연구방법은 양적연구를 진행한 연구가 가장 많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저자 수는 단독 저자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출판학회지 분석결과 한국체육학회지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여섯째, 논문 주제어에 대한 빈도분석 결과, ‘사회적 자본’, ‘스포츠 참여’, ‘행동의도’, ‘사회적 자본유형’, ‘생활체육참여’, ‘청소년’ 등의 높은 빈도를 차지하였다. 일곱째,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핵심 주제어간 중심성 분석을 진행한 결과, 연결중심성에서는 ‘스포츠참여’, 근접중심성에서는 ‘건강증진생활 양식’, 매개중심성에서는 ‘스포츠참여’가 높게 나타났다.

[결론]

스포츠 분야의 사회적 자본은 자본주의 및 자유민주주의를 통치체제로 채택하고 있는 우리나라에 있어서 보다 많은 사람들이 공정하고 공평하게 스포츠를 즐길 수 있는 문화를 조성하기 위한 기본 요소이기에 더욱 중요한 분야라는 의의가 있다. 따라서 이 연구가 우리나라의 스포츠 발전의 주요 요소 중 하나인 사회적 자본의 본질의 이해와 적극적인 활용에 크게 기여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서론

사회적 자본(social capital)은 개인이나 집단이 어느 정도 제도화된 상호 친목과 인정 관계에서 다양한 구성원들과 상호작용을 통해 공유된 제도, 규범, 네트워크, 신뢰 등 일체의 사회적 자산을 포괄한 것으로 Bourdieu(1986)에 의해 처음 제시된 이후 활발하게 논의되고 발전되어 왔다(Putnam, 1993).
Bourdieu(1986)는 자본의 형태를 경제적, 문화적, 사회적 자본으로 구분하였다. 먼저, 경제적 자본은 즉각적·직접적으로 돈으로 변환이 가능하고 재산권의 형태로 제도화되어 있는 자본으로, 부동산, 금, 유산, 수입 등과 같은 실물 자본을 의미한다(Baek & Kim, 2007). 다음으로, 문화적 자본은 교육적 자격으로 제도화가 가능한 자본을 의미한다. 이러한 문화자본의 종류에는 품위, 지식, 교양 활동 등 체화된 상태(embodied stste)와 문화 상품의 형태로 존재하는 그림, 책, 도구, 물건 등 법적 소유권이 인정되는 객체화된 상태(objectified state), 그리고 사회적 정당성을 지니는 학위, 자격증, 증명서 등과 같은 제도화된 상태(institutionalized state)의 문화자본이 있다(Kang, 2016; Kim & Chung, 2015; Lee & Lee, 2016). 마지막으로, 사회적 자본은 개인이 집단에 속하여 구성원들과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관계의 네트워크를 유지하면서 얻을 수 있는 실제적·잠재적 자원의 합으로 설명하였다. 또한, Coleman(1988)은 자본을 물리적, 인적, 사회적 자본으로 분류하였다. 물리적 자본은 도구, 기계, 생산 설비 등과 같은 실체화된 자본을 의미하고, 인적 자본은 새로운 방식으로 행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형성되는 기술이나 능력을 의미하며, 사회적 자본은 사회적 관계 혹은 사회적 구조로서 특정 목적을 달성하게 해주는 사회적 관계망을 의미한다. 특히, 사회적 자본은 특정한 하나의 실체가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가질 수 있으며, 특정한 사회구조적 측면과 타인과의 관계 속에서 신뢰감, 정보 획득의 채널, 규범의 형태로 존재함을 제시하고 있다(Kang, 2016; Chung & Choi, 2010; Beak & Kim, 2007; Seo & Kim, 2010). 더불어 Putnam(1993)은 사회자본을 신뢰, 규범, 네트워크 등과 같은 사회조직의 특징과 관련되는 것으로 개인이 아닌 시민 사회라는 넓은 개념의 사회적 구조 속에서 집단과 집단에 속한 개인에 의해 창출되는 사회적 공동선의 개념으로 주장하였다(Kang & Park, 2008).
이러한 사회적 자본은 사회구성원 간 공동체적 연대와 결속을 통한 공통된 관심사를 중심으로 타인과의 관계나 상호 간의 교류 등을 통해 관계성을 형성하게 되는데 대표적으로 스포츠 활동이 있다(Yeo & Lee, 2010). 개인 스포츠 활동을 제외한 단체 활동 혹은 동호회 활동의 경우 자발적으로 결성된 사회집단으로 사회적 관계 및 교류를 촉진시켜 사회적 연결망 및 공동체를 구성하고 사회 통합의 역할을 하고 있다(Tonts, 2005; Yang, 2014). 또한, 스포츠 활동을 통해 구성원 간의 원만한 유대감과 스포츠 문화적 공감을 얻을 수 있으며, 사회적 관계를 폭 넓게 확산시키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스포츠 분야에서 형성되는 사회적 자본에 대한 연구는 보다 큰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포츠가 가진 고유의 자치성과 규범성은 스포츠 분야가 갖는 대표적인 사회적 자본으로 이해되는데, 다른 분야에서는 이러한 자치성과 규범성이 상당한 제한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현대사회의 조직은 각각이 속한 국가, 자치단체 등에서 정의한 법과 규범에 따라 통제된다(Song, 2004). 물론 각 사회마다 문화, 정치적 특수성에 따라 다르게 형성되며,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하기도 한다. 하지만 스포츠는 그 변화의 폭이 다른 분야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지 않고, 변화가 되더라도 법과 규정의 적용에서 예외가 되는 사실은 좀처럼 변하지 않는다(Kang & Park, 2008). 변화의 폭이 크지 않은 스포츠 분야에서 구성원간의 관계, 규범, 신뢰, 네트워크 등에 의해 형성되는 사회적 자본에 대한 연구는 상당한 경향성을 가지고 있을 것이라는 기대를 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스포츠 분야에서 형성되는 사회적 자본이 갖는 가치를 들 수 있다. 스포츠는 개인이 갖는 호기심이나 흥미 혹은 타인에 의해 정보를 접하는 등 어떠한 정보와 자원들의 합계를 접하면서 흥미를 갖게 되고, 이를 타인과 공유하는 일반적 경향이 있다(Bourdieu, 1986; Coleman, 1988). 이러한 스포츠에 관한 정보 혹은 자원의 형성과 흐름의 과정에서 정보의 전달자 사이에서 존재하는 공통점이나 공유가 가능한 요소, 즉 구성원 사이에 존재하는 신뢰, 규범, 관계 등을 중시하는 사회적 자본이 어떠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기대를 할 수 있는 것이다(Putnam, 1995). 스포츠 사회학, 스포츠 심리학, 스포츠 교육학, 스포츠 경영학 등 다양한 스포츠 학문 분야에서 연구대상자에 대하여 정보의 형성 경로와 구전의도와 같은 정보의 흐름 현상에 관하여 연구를 진행하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이에 따라 지금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사회적 자본의 형성 과정 및 역할 등을 검증하는 연구가 진행되어져 왔으며, 여러 분야의 사회적 현상들을 실증적으로 밝히기 위한 노력이 진행되어져 왔다. 그 중 스포츠 및 체육학분야 연구에서는 사회적 자본을 형성하는 요인으로 스포츠 활동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으며, 성인, 청소년, 선수, 노인, 장애인 등 연구대상의 범위를 넓혀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예를 들어, Chung 등(2012)은 한국 성인들의 스포츠 참여를 통한 사회적 자본 형성 가능성을 탐색하는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Lee 등(2019)은 엘리트 스포츠선수들의 사회적 자본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Lee(2020)는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스포츠 참여를 통해 구축되는 사회적 자본의 구성 요소를 확인하고 사회적 자본 형성을 파악하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한편, 특정 학문 분야에서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연구물을 분석하여 동향을 살펴보는 것은 해당 분야의 학문적 발전 및 특성을 파악하는데 큰 도움이 된다(Park & Kim, 2018). 또한, 시대별로 변화하는 연구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해당 분야의 연구를 진행하고자 하는 후속연구자들에게 연구방향을 제시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해 줄 수 있을 것이다(Ha & Choi, 2013). 따라서 스포츠 분야에서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사회적 자본을 주제로 진행한 연구물의 연구동향을 분석하는 것은 의미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연구동향 분석 연구에서 빈번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내용분석(content analysis)과 언어 네트워크 분석(text network analysis)을 함께 활용하고자 한다. 내용분석은 연구주제, 방법, 기간 등에 관해 체계적으로 분석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Kim et al., 2016). 또한, 언어 네트워크 분석은 텍스트에 나타난 다양한 특성을 가진 개념들을 추출하고, 단어 간 관계를 파악하여 메시지의 객관적인 의미 도출이 가능하므로 연구자의 주관성 개입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Yoon & Park, 2015). 무엇보다 언어 네트워크 분석은 특정 단어와 동시에 출현하는 단어가 무엇인가에 보다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여기서 구축되는 네트워크 지도를 통해 관련 현상과 구조를 해석하는 것이 가능하다(Popping, 2000). 예를 들면, ‘사회적 자본’의 범주에 속하는 연구가 몇 편 출판되었는지, 주제는 무엇인지 등이 관심이라면, 언어 네트워크 분석에서는 ‘사회적 자본’의 단어가 ‘스포츠참여’라는 단어와 연계가 강한지 혹은 ‘공동체’라는 단어와 연계가 강한지를 고찰하게 된다. 즉, 본 연구에서는 내용분석과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연구동향 분석에 관한 다양한 측면의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스포츠 분야 사회적 자본에 관한 논문을 분석하여 연구의 흐름을 이해하는 데 목적이 있으며, 향후 관련 분야 연구를 다양한 방식으로 접근할 수 있도록 연구 방향을 제시하는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연구방법

분석대상 및 자료수집

분석대상은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에 2020년 12월까지 KCI등재지에 게재된 국내 스포츠 분야 사회적 자본 관련 논문으로 선정하였다. 자료수집을 위해 3단계 과정으로 진행하였다. 먼저, 1단계에서는 ‘사회자본’을 키워드로 논문을 검색하였다. 그 결과, 총 19,135개의 논문이 검색되었다. 다음 2단계에서는 검색된 논문에서 ‘스포츠’, ‘체육’, ‘여가’ 등으로 검색 내 재검색을 하였으며, 총 1,470건의 논문이 검색되었다. 마지막으로, 3단계에서는 2단계에서 선정된 논문을 대상으로 중복되는 논문, 원문이 없는 논문, KCI등재 논문, 제목, 초록 등을 확인하여 연구의 목적에 부합하지 않는 논문을 제외하는 과정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가정을 거쳐 총 69편의 논문이 도출되었으며, 최종 분석에 활용되었다.

분석방법 및 절차

본 연구에서는 스포츠 분야의 사회적 자본에 관한 연구동향을 분석하기 위해 선정된 연구물의 내용분석과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하였다. 먼저, 내용분석의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분석할 내용의 범주를 객관적으로 마련하는 것이 중요한데 이를 위해 선행연구(Kim et al., 2019; Kim & Jeon, 2019; Kim et al., 2016; Kim et al., 2015)를 종합하여 연구물의 논문 수, 출판연도, 연구대상, 연구방법, 저자 수, 출판 학회지를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하여 핵심어 분석(keywords analysis), 중심성 분석(centrality analysis), 네트워크 시각화(network visualization)를 하였다.
한편,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위해 분석대상으로 선정된 논문 69편의 주제어를 활용하였다. 논문의 주제어는 연구자의 연구의도를 함축하고 있으며, 연구주제와 지식의 총체를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고, 논문의 핵심사항을 반영하여 논문의 특성을 확인하는데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이다(Kim & Kim, 2014; Lee et al., 2015). 더불어 주제어 선정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2차 자료 분석 경험이 있는 박사학위 소지자 2명이 선행연구에 근거한 분류기준인 ‘삭제’, ‘복합’, ‘통일’ 과정(Kim & Kwon, 2018; Kim & Jeon, 2019)을 통해 주제어 정제과정을 실시하였다. 예컨대 먼저, 삭제 과정에서는 ‘OO분석’, ‘OO연구’ 등과 같은 일반 연구 용어는 삭제하였다. 다음으로, 복합 과정에서는 ‘사회 자본 → 사회자본’과 같은 띄어쓰기를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통일 과정에서는 ‘중학생, 고등학생 → 청소년’ 유사어 정제과정을 실시하였다.

자료처리

연구의 자료처리를 위해 Excel을 이용하여 논문 수, 출판연도, 연구 대상, 연구방법에 대해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을 하였다. 이 후 핵심어 분석을 위해 Park & Leydesdorff(2004)가 개발한 KrKwic 소프트웨어를 활용하였으며, 핵심어 분석을 위한 절차는 다음과 같다 <Fig. 1>. 먼저, 핵심어 대상 내용분석 프로그램인 KrKwic의 Kwords와 KrTitle을 이용하여 주제어의 빈도수를 파악하여 주제어 간의 공출현(co-occurrence)빈도 행렬데이터를 추출하였다. 다음으로, 공출현 빈도 자료를 기반으로 사회연결망 분석 소프트웨어인 UCINET 6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연결망의 구조와 연결 강도를 파악하고, 각 단어가 연결망에서 차지하는 구체적인 역할을 확인하기 위해 중심성 분석을 하였다. 마지막으로, Netdraw 기능을 활용하여 공출현 단어들의 연결망을 시각화하였다.
한편, 중심성은 한 행위자가 전체 연결망에서 중심에 위치하는 정도를 나타낸다. 또한, 연결망의 결속분석을 위한 밀도(density)는 연결망에서 노드(node)의 연결 정도(degree)를 의미하며, 노드의 링크 개수에 결정된다(Yoon & Park, 2015). 이에 본 연구에서는 69편의 논문에서 추출된 주제어가 갖는 영향력을 살펴보기 위해 연결 중심성(degree centrality), 근접 중심성(closeness centrality), 매개 중심성(betweenness centrality) 분석 지표 값을 산출하였다.
연결 중심성은 한 노드가 다른 노드와의 연결된 정도를 알아보는 지표로 한 노드가 많은 수의 링크(link)를 가질수록 연결 중심성이 높아진다. 근접 중심성은 한 노드가 다른 노드와 얼마만큼 가깝게 있는가를 나타내는 지표로 노드 간의 평균 최단 거리의 역수로 측정한다(Park & Kim, 2018). 매개 중심성은 한 노드가 다른 노드들 사이에서 중개자 역할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이며, 매개 중심성이 높은 단어가 생략될 경우 정보 전달력이 낮아져 원활하게 의미 전달이 어려울 수 있다(Park, 2017).

연구결과

내용분석 결과

첫째, 스포츠 분야의 사회적 자본 연구의 동향분석을 위해 추출한 논문은 최초 출판된 2005년을 기점으로 2020년 12월까지 총 69편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연구대상은 스포츠 참여자를 대상으로 진행한 논문이 총 42건으로 나타났다. 세부적으로는 일반 스포츠 참여자 대상 연구 19건, 노인 7건, 대학생 7건, 청소년 6건, 외국인 2건, 장애인 대상 연구 1건으로 확인되었다. 다음으로, 지도자를 대상으로 진행한 연구 7건, 패널자료 6건, 지역주민 4건, 조직구성원 3건, 선수 대상 연구 2건으로 도출되었다.
셋째, 연구방법은 양적연구를 진행한 논문이 48건, 질적연구를 진행한 논문 18건 그리고 문헌연구를 진행한 연구 3건으로 나타났다.
넷째, 저자 수는 단독저자로 진행된 연구가 28건, 2저자 26건, 3저자 13건, 4저자 2건으로 확인되었다.
다섯째, 출판 학회지는 한국체육학회지가 17편, 한국체육과학회지 10편,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 9편, 한국사회체육학회지 9편, 한국스포츠학회지 3편, 한국여가레크레이션학회지 3편, 한국스포츠경영학회지 2편, 한국체육교육학회지 2편, 체육과학연구 1편, 한국특수체육학회지 등의 순으로 분석되었다<Table 1>.

언어 네트워크 분석결과

1. 주제어 빈도분석

연구대상으로 선정된 논문 69편의 주제어 출현 빈도를 분석한 결과, 139개의 주제어가 나타났으며, 이중 ‘사회적 자본’이 61회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어 ‘스포츠참여’ 20회, ‘행동의도’ 11회, ‘사회적 자본유형, 생활체육참여, 청소년’ 10회, ‘노인, 신체활동, 지도자’ 7회, ‘대학생, 만족도, 스포츠이벤트, 스포츠클럽활동, 신뢰’ 6회, ‘사회적 자본형성, 스포츠동호회, 연결망’ 5회, ‘사회적지원, 삶의 질, 선수, 엘리트스포츠’ 4회, ‘건강증진생활양식, 공동체, 네트워크, 몰입, 스포츠조직, 이민자, 정책’ 3회, ‘구별짓기, 구조방정식모형, 규범, 동일시, 성공적노화, 여가활동, 오프라인, 자아탄력성, 자원봉사, 전복전략, 조직문화, 지역사회, 직업청체성, 참여정도, 체육대학, 체육성적, 프로스포츠, 해양스포츠’ 2회 순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의 <Fig. 2>와 <Fig. 3>과 같다.

2. 중심성 분석결과

본 연구에서는 전체 69편의 연구에서 출현한 139개의 주제어를 중심으로 전체 주제어 네트워크 분석을 하였다<Fig 4>. 한편, 1~2회 이하로 출현한 단어들은 네트워크의 연결 정도가 약하고, 중심성 측면에서 영향력이 낮아 139개의 키워드 중 3회 이상 출현한 29개의 주제어를 핵심 주제어로 정의하고, 핵심 주제어를 활용하여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하였다. 분석에 따른 핵심 주제어 네트워크 지도와 중심성 분석결과는 <Table 2>, <Fig. 5>과 같다.
먼저, 29개의 핵심 주제어 네트워크에서 연결망에서의 관계의 수를 나타내는 타이(tie)는 266개이며, 가능한 총 관계 수 중에서 실제로 맺어진 관계 수의 비율로 정의 되는 밀도는 0.768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중심성 분석결과, 연결 중심성이 높은 노드는 ‘사회적 자본’, ‘스포츠참여’, ‘행동의도’, ‘청소년’, ‘생활체육참여’, ‘노인’, ‘사회적 자본유형’, ‘만족도’, ‘신체활동’, ‘신뢰’, ‘지도자’, ‘스포츠동호회’, ‘스포츠이벤트‘, ’삶의 질‘, ’스포츠클럽활동‘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근접 중심성은 ‘건강증진생활양식’, ‘대학생’, ‘네트워크’, ‘이민자’, ‘정책’, ‘엘리트스포츠’, ‘스포츠이벤트’, ‘선수’, ‘스포츠조직’, ‘온라인’, ‘삶의 질’, ‘몰입’, ‘신체활동’, ‘공동체’, ‘노인’, ‘지도자’ 등의 순서로 확인되었다.
매개 중심성은 ‘사회적 자본’, ‘스포츠참여’, ‘행동의도’, ‘신뢰’, ‘사회적 자본유형’, ‘만족도’, ‘생활체육참여’, ‘청소년’, ‘사회적 자본형성’, ‘연결망’, ‘지도자’, ‘노인’, 사회적 지원‘ 등의 순서로 나타났다.

연구논의

본 연구는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스포츠 분야 사회적 자본에 관한 논문을 분석하여 연구의 동향을 이해하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진행되었다. 연구 결과를 도출하는 과정에서 몇 가지의 논의점을 발견하였으며, 이를 내용 분석 결과와 언어 네트워크 분석 결과에 따라 정리한 것은 다음과 같다.
첫째, 내용 분석 결과에서는 크게 게재 시기, 연구대상자, 그리고 연구방법에 대한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다. 게재시기와 관련해서는 스포츠 분야 사회적 자본에 관한 논문은 최초 게재되었던 2005년 이후 꾸준히 상승하다가 2014년과 2015년에 각각 14.5건과 11.6건으로 정점에 다다른 후 잠시 감소했다가 2018년에 11.6건으로 상승하였으나 그 이후 다시 감소 추세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요약하면, 사회적 자본에 관한 연구 동향은 2014~18년 사이에 상당히 높은 빈도로 이루어진 것을 알 수 있는데, 이러한 동향은 문화체육관광부에서 보고한 전국 스포츠클럽 동향 조사에서 2013년~2018년 기간에 가장 큰 폭으로 동호인 클럽과 동호회 회원이 늘어난 것과 같은 맥락에 있음을 알 수 있다(Ko & Yang, 2016). 그러나 연구 동향의 성장세가 유지되지 못함은 사회적 자본에 관한 학문적 근거, 특히 사회적 자본에 속한 새로운 요소의 발굴과 이에 기인한 스포츠 분야의 사회적 자본에 대한 연구가 폭넓게 형성되지 못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Kim, 2015). 따라서 추후 연구에서는 기존의 사회적 자본의 구성요소에 대한 검증과 새로이 나타나는 사회적 자본 구성 요소에 대한 발굴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며, 특히 우리나라의 특수성을 나타내는 요소에 대한 연구는 상당한 의의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연구대상자에 관해서는 일반 스포츠 참여자 대상 연구 19건으로 가장 많았고, 외국인과 장애인 대상 연구가 각각 2건과 1건으로 확인되었다. 연구대상자의 직업에 관해서는 지도자를 대상으로 진행한 연구 7건으로 가장 많았고, 선수 대상 연구 2건으로 가장 적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스포츠 분야의 사회적 자본에 관한 연구를 진행함에 있어서 사회적 자본을 가장 활발하게 소유하거나 사용할 수 있는 이들을 탐색하는 과정에서 나타난 결과이기에 일반 스포츠 참여자가 가장 높은 수준으로 나타난 것으로 판단된다(Kim & Baek, 2012). 한편, 외국인과 장애인은 우리나라에서 흔히 소외계층으로 분류되는데, 그만큼 스포츠 분야의 사회적 자본을 영위할 수 있는 기회가 많지 않았던 이유로 연구대상자로 선정될 기회 또한 많지 않았던 것으로 판단된다(Kim, Kim & Lee, 2010). 하지만, 사회적 자본이 관계, 신뢰, 네트워크, 규범 등을 통해 형성되고 전달되는 점을 고려할 때, 인간의 높은 삶의 질과 건강 및 행복을 목적으로 하는 스포츠는 사회 구성원간에 사회적 자본의 공유를 방해하는 장애물은 없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추후 연구에서는 사회적 자본과 관련하여 소외된 계층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고 여겨진다.
마지막으로 연구방법에 관하여 살펴보면, 양적연구를 진행한 논문이 48건, 질적연구를 진행한 논문 18건 그리고 문헌연구를 진행한 연구 3건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우리나라 스포츠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으로 양적 연구에 상당히 치중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Kim, 2017). 하지만 스포츠 분야의 사회적 자본에 관한 연구는 그 깊은 내면의 사회적 특성을 수치로 표현하기에는 분명 한계가 존재한다. 이에 사회적 자본에 관한 연구는 그 사례마다 갖는 특수한 상황이나 그 의미를 일반화 하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다수의 연구 대상자를 대상으로 일반화 하는 양적연구보다는 연구대상자가 소수라 하더라도 그 특수한 상황이 갖는 의미를 이해할 수 있는 질적연구 및 문헌연구가 보다 효과적인 연구방법이라고 이해된다(Kim, 2017; Kim, 2011). 따라서 이와 관련된 학문적 근거와 접근법에 대한 적극적인 이해가 반드시 필요할 것이다.
저자 수는 단독저자로 진행된 연구가 28건, 2저자 26건으로 3저자 13건, 4저자 2건보다 3배 이상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1저자 혹은 2저자 연구가 절대적으로 많은 수치를 나타낸 것은 그만큼 사회적 자본이라는 주제와 관련하여 연구자들이 많은 관심을 갖지 않은 결과로 이해할 수 있으며, 또한 연구 진행 과정에 다양성과 생산성의 측면에서 한계가 발생한다는 한계점을 노출했다고도 할 수 있다. 이는 비록 분야는 다르지만 연구 동향을 분석함에 저자의 수에 따라서 생산성을 평가했던 Lee와 You(2014)의 연구에 의해 지지되는 결과이기도 하다. 따라서 스포츠 분야의 사회적 자본이라는 주제에 대하여 보다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들과의 협업이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출판 학회지와 관련하여 특정 학회지에 게재 건수가 많음은 해당 학회지가 해당 연구 분야에 높은 관심을 가지고 있거나, 혹은 해당 학회지가 그만큼 더 높은 포용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Kim, 2010). 하지만 이 연구결과에 나타난 학회지가 모두 한국체육학회 산하의 체육학 분야의 학회지들로 등재지의 등급을 갖춘 학회지들이다. 따라서 어떠한 학회지에 특별히 많다거나 적다거나 하는 수치에 대하여 학회지의 수준에 대한 판단을 부여하는 것은 오히려 학문의 다양성을 인정하지 않는 오류를 범하게 된다(Oh, Yeo & Park, 2018). 다만 한국체육학회지가 수용인원이 더 포괄적인 만큼, 게재건수가 높게 나타났고, 이는 다시 그만큼 투고건수도 많았던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모든 학술 연구 단체 및 학회지들에서는 사회적 자본이라는 주제에 관한 연구 영역에 대하여 보다 토론을 중심으로 하는 심사 역량의 강화와 포용적인 자세를 가질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두 번째 논의점은 중심성 분석 결과에 관한 논의이다.
근접중심성 분석 결과는 ‘건강증진생활양식’, ‘대학생’, ‘네트워크’, ‘이민자’, ‘정책’, ‘엘리트스포츠’, ‘스포츠이벤트’, ‘선수’, ‘스포츠조직’, ‘온라인’, ‘삶의 질’, ‘몰입’, ‘신체활동’, ‘공동체’, ‘노인’, ‘지도자’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연결중심성과 다소 상이한 성향으로 분석할 수 있는데, 특히 ‘대학생’, ‘공동체’, ‘노인’, ‘지도자’ 등과 같은 사회적 자본을 주고받는 주체 및 객체에 관한 연구 동향이 상당히 낮은 순위에 위치해 있고, 연결중심성에는 등장하지 않는 ‘온라인’, ‘몰입’ 등과 같은 노드들이 나타남으로 연결중심성과는 다소 상이한 연구 결과로 이해할 수 있다. 다만 ‘건강증진생활양식’이 가장 높은 순위로 나타남은 ‘행위’의 개념으로 해석할 때, 연결중심성과 유사함이 존재하는 연구 동향이 있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연결중심성 분석 결과, 노드는 ‘사회적 자본’, ‘스포츠참여’, ‘행동의도’, ‘청소년’, ‘생활체육참여’, ‘노인’, ‘사회적 자본유형’, ‘만족도’, ‘신체활동’, ‘신뢰’, ‘지도자’, ‘스포츠 동호회’, ‘스포츠이벤트‘, ’삶의 질‘, ’스포츠클럽활동‘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스포츠 분야의 사회적 자본을 연구함에 있어서 자본의 개념이 투영되는 ’참여‘, ’행동‘과 같은 사회적 자본의 활용 방법, ’청소년‘, ’동호회‘는 사회적 자본을 주고받는 주체 혹은 객체, 그리고 ’이벤트‘, ’삶의 질‘ 등과 같은 개념은 사회적 자본의 배경으로 정의할 수 있는 만큼(Park, Seo & Chae, 2014), 이 순서로 연구가 이루어지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매개중심성 분석 결과는 ‘사회적 자본’, ‘스포츠참여’, ‘행동의도’, ‘신뢰’, ‘사회적 자본유형’, ‘만족도’, ‘생활체육참여’, ‘청소년’, ‘사회적 자본형성’, ‘연결망’, ‘지도자’, ‘노인’, ‘사회적 지원’ 등의 순서로 나타났다. 매개중심성이 가장 높은 ‘사회적 자본’ 등과 같은 키워드와 연구 분야들은 앞서 분석된 결과와 큰 차이가 없었지만 ‘연결망’, ‘지도자’, ‘노인’, ‘사회적 지원’ 등 매개 중심성이 낮게 나타난 키워드에 관한 연구가 다소 미흡함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따라서 추후 연구 주제로 조금 더 관심을 가져야 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결론 및 제언

결론

최근 스포츠 분야에 대한 연구의 폭과 깊이가 다양해지면서 수치나 통계에 근거한 스포츠 분야의 양적 평가 외에 그 내면에 숨겨져 있는 질적인 모습에 대한 연구 분야에 대한 다양한 시도 또한 이루어지고 있다. 이는 단순히 연구자 개인의 호기심이나 관심일 수 있지만, 한편으로는 우리나라 스포츠 분야가 보다 건전하고 건강하게 성장하기 위한 또 다른 성장동력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더욱이 스포츠 분야의 사회적 자본은 보다 많은 사람들이 공정하고 공평하게 스포츠를 즐길 수 있는 문화를 조성하기 위한 기본 요소이기에 더욱 중요한 분야라고 할 것이다.
이러한 이유로 본 연구에서는 네트워크 분석관점에서 스포츠 분야의 사회적 자본이라는 주제에 관한 논문 69편을 바탕으로 하여 연구 동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내용분석과 네트워크 분석으로 구분하여 정리하였으며, 이는 다음과 같다.
내용분석 결과는 첫째, 사회적 자본에 관한 연구 동향은 2014~18년 사이에 상당히 높은 빈도로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구대상자에 관해서는 일반 스포츠 참여자 대상 연구가 가장 많았고, 외국인과 장애인 대상 연구가 다소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양적연구를 진행한 논문이 48건으로 질적연구와 문헌연구보다 활발이 진행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1저자 혹은 2저자 연구가 절대적으로 높은 순위를 기록하였다.
네트워크 분석 결과는 근접중심성, 연결중심성, 매개중심성에 따른 분석 결과로 나누어 진다. 첫째, 근접중심성 분석 결과, ‘건강증진생활양식’, ‘대학생’, ‘네트워크’, ‘이민자’, ‘정책’, ‘엘리트스포츠’, ‘스포츠이벤트’, ‘선수’, ‘스포츠조직’, ‘온라인’, ‘삶의 질’, ‘몰입’, ‘신체활동’, ‘공동체’, ‘노인’, ‘지도자’의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결중심성 분석결과, ‘사회적 자본’, ‘스포츠참여’, ‘행동의도’, ‘청소년’, ‘생활체육참여’, ‘노인’, ‘사회적 자본유형’, ‘만족도’, ‘신체활동’, ‘신뢰’, ‘지도자’, ‘스포츠동호회’, ‘스포츠이벤트‘, ’삶의 질‘, ’스포츠클럽활동‘의 순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매개중심성 분석 결과는 ‘사회적 자본’, ‘스포츠참여’, ‘행동의도’, ‘신뢰’, ‘사회적 자본유형’, ‘만족도’, ‘생활체육참여’, ‘청소년’, ‘사회적 자본형성’, ‘연결망’, ‘지도자’, ‘노인’, ‘사회적 지원’ 등의 순서로 나타났다.

연구의 제한점

본 연구는 체육관련 학회지에 게재된 논문들을 대상으로 연구 주제에 관한 키워드(스포츠, 사회적 분야 등)를 투입하여 분석을 실시하고 결과를 도출하였다. 하지만 연구 진행과정에서 다소간의 제한점이 발견되었으며, 이를 정리한 것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분석에 사용된 키워드와 연구 결과는 철저하게 연구진의 학문적 배경과 지식에 근거하여 추출 및 사용되었다. 따라서 연구 결과를 도출함에 상당한 시간과 비용이 소모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연구자의 주관과 환경에 따라 또 다른 결과가 도출될 가능성도 있어, 향후 모든 스포츠 분야의 연구 동향으로 일반화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따른다.
둘째, 이 연구는 내용분석과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스포츠 분야의 사회적 자본에 대한 연구동향을 분석하였다. 하지만 사회적 자본의 하위 영역이나 겉으로 드러나지 않은 내면의 깊은 부분에 대한 연구 동향까지는 반영되지 않은 한계가 발견되었다.
마지막으로, 네트워크, 지도자, 만족도 등과 같은 키워드들은 스포츠 분야의 사회적 자본에 관한 연구 외에도 스포츠 경영학이나 스포츠 교육학, 스포츠 심리학 등 폭넓게 사용되는 일반 명사인 만큼, 사회적 자본에 관한 보다 정확한 연구동향의 분석을 위해서는 각 단어들이 같은 의미의 특수성이 적극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Fig. 1.
Data analysis procedure
kjss-2021-32-4-551f1.jpg
Fig. 2.
Frequency Analysis of Keywords (More than 4 times)
kjss-2021-32-4-551f2.jpg
Fig. 3.
Frequency Analysis of Keywords (More than 2 times)
kjss-2021-32-4-551f3.jpg
Fig. 4.
Network of keywords for all research papers
kjss-2021-32-4-551f4.jpg
Fig. 5.
Network of the key keywords
kjss-2021-32-4-551f5.jpg
Table 1.
Results of frequency analysis
Contents Sub-contents Freq. % Contents Sub-contents Freq. %
Publishing year 2005 1 1.4 number of authors 1 author 28 40.6
2006 1 1.4 2 authors 26 37.7
2008 2 2.9 3 authors 13 18.8
2009 3 4.3 4 authors 2 2.9
2010 4 5.8 journal The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17 24.6
2011 3 4.3 Korean Journal of Sports Science 10 14.5
2012 6 8.7 Korean Journal of Sociology of Sport 9 13.0
2013 6 8.7 Journal of Sport and Leisure Studies 9 13.0
2014 10 14.5 The Korean Journal of Sport 3 4.3
2015 8 11.6 Korean Journal of Leisure, Recreation & Park 3 4.3
2016 4 5.8 Korean Journal of Sport Management 2 2.9
2017 6 8.7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Physical Education 2 2.9
2018 8 11.6
2019 3 4.3 Journal of Education & Culture 1 1.4
2020 4 5.8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Distribution & Business 1 1.4
Research participants Participants(general) 19 27.5
Participants(senior) 7 10.1 The Journal of the Health and Social Science 1 1.4
Participants (university student) 7 10.1 The Journal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21 1 1.4
Leader 7 10.1 Korean Journal of Sport Science 1 1.4
Participants(youth) 6 8.7 Korean Journal of Convergence Science 1 1.4
Panel data 6 8.7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 1.4
other 5 7.2 Korean Journal of Adapted Physical Activity 1 1.4
Local residents 4 5.8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port Policy 1 1.4
organizational member 3 4.3 The Korean Journal of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1 1.4
Participants(foreigner) 2 2.9
Player 2 2.9 Knowledge Management Research 1 1.4
Participants(Disabled) 1 1.4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Wellness 1 1.4
Methodology Quantitative research 48 69.6 Journal of The Korean Entertainment industry Association 1 1.4
Qualitative research 18 26.1 The Korean Journal of Advertising 1 1.4
Other 3 4.3 Total 69
Table 2.
Results of centrality analysis of keywords
Network characteristics
# of node
# of ties
Density
29
266
0.768
Degree centrality
Closeness centrality
Betweenness centrality
Rank Keywords Degree centrality Rank Keywords Closeness centrality Rank Keywords Betweenness centrality
1 Social capital 144 1 Health promoting lifestyle 52 Social capital 119.005
2 Sport participation 51 2 University student 52 2 Sport participation 35.275
3 Behavioral intention 37 3 Network 52 3 Behavioral intention 17.262
4 Youth 29 4 Immigrant 52 4 Trust 12.725
5 Participation of sports for all 28 5 Policy 52 5 Types of social capital 11.92
6 Elderly 26 6 Elite sport 51 6 Satisfaction 10.778
7 Types of social capital 23 7 Sport event 50 7 Participation of sports for all 10.709
8 Satisfaction 22 8 Athlete 50 8 Youth 9.662
9 Physical activity 21 9 Sport organization 50 9 Social capital formation 8.605
10 Trust 20 10 Online 50 10 Social network 6.294
11 Instructor 19 11 Quality of life 49 11 Instructor 5.049
12 Sports club 16 12 Flow 49 12 Elderly 4.176
13 Sport event 15 13 Physical activity 48 13 Social support 3.866
14 Quality of life 15 14 Community 48 14 Sports club 3.658
15 Sports club activities 14 15 Elderly 47 15 Physical activity 3.067
16 Social network 14 16 Instructor 47 16 Community 2.449
17 Social support 14 17 Sports club 47 17 Sports club activities 1.77
18 Social capital formation 14 18 Sports club activities 47 18 athlete 1.593
19 Health promoting lifestyle 11 19 Social network 47 19 Flow 1.442
20 athlete 11 20 Social support 47 20 Sport organization 0.76
21 University student 10 21 Social capital formation 45 21 policy 0.667
22 Sport organization 10 22 Youth 44 22 Quality of life 0.644
23 Flow 10 23 Participation of sports for all 44 23 Sport event 0.367
24 Elite sport 9 24 Types of social capital 44 24 Elite sport 0.341
25 Online 9 25 Satisfaction 43 25 Immigrant 0.333
26 Community 9 26 Trust 43 26 Online 0.333
27 Network 8 27 Behavioral intention 41 27 Network 0.25
28 Immigrant 8 28 Sport participation 38 28 Health promoting lifestyle 0
29 policy 7 29 Social capital 29 29 University student 0

REFERENCES

Baek, B. B., Kim, K. K. (2007).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academic achievement and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capital. Korean Journal of Sociology of Education, 17(3), 101-129.
crossref
Bourdieu, P. (1986). He forms of capital. In Richardson, J. G. (Ed.), Handbook of theory and research for the sociology of education (pp. 241-258). New York: Greenwood Press.
Chung, J. Y., Choi, Y. L. (2010). The negative aspect of social capital on school athletics : A case study of KBS investigative report SSAM 'the Mafia of Court'. The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49(5), 49-59.
Chung, K. S., Ryu, D. S., & Kang, H. M. (2012). Sport participation and developing social capital : the case of south korean adults. Korean Society for the Sociology of Sport, 25(3), 61-76.
crossref
Coleman, J. S. (1988). Social capital in the creation of human capital.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94: 95-120.
crossref
Ha, H., Choi, Y. (2013). Research trends in the field of local government and administration : An analysis of articles published in korean society and public administration, 1991-2012. Korean Society and Public Administration, 24(2), 125-151.
Kang, H. K. (2016). The effects of social capital and cultural capital on adolescent depression. Journal of Social Welfare Management, 3(2), 185-203.
Kang, H. M., Park, K D. (2008). The building of social capital and sport club participation in rural communities. Korean Society for the Sociology of Sport, 21(4), 845-863.
crossref
Kim, B., Kim, J. (2014). Research articles : Analysis of articles related STEAM education using network text analysis method.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33(4), 674-682.
crossref
Kim, H. R., Park, S. H., & Won, D. (2015). An analysis of research trends of sport management: Co-author network and keyword network. Korean Journal of Sport Management, 20(3), 63-84.
Kim, H. S. (2017). Phenomenological study on sport and its methodological adequacy.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 Society for Sport and Dance, 25(1), 175-193.
Kim, H., Kwon, C. (2018). Research trends of ‘preliminary teacher education’ using semantic network analysis method. The Journal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9(4), 1161-1176.
crossref
Kim, J. Y., Kim, E. H., & Lee, J Y. (2019). A study on the research trends and knowledge structure of dance management using textmining and semantic network analysis. Korean Journal of Sport Management, 24(3), 85-103.
crossref
Kim, K. I., Kim, M. L., & Lee, J. H. (2010). Sports Welfare: Developing the Conception and the Model for the Underprivileged. Korean Society of Sports and Leisure Studies, 40(1), 197-205.
crossref
Kim, M., Jeon, S. (2019). Analysis of research trends in the journal of korean sport policy in the last 10 years : Focusing on semantic network analysi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port Policy, 17(3), 1-17.
crossref
Kim, P, J. (2015). An Analytical Study on Research Trends of Reading and Reading Instruction in Overseas: Focused o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Korea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32(3), 69-97.
crossref
Kim, S. D., Baek, S. W. (2012). The study on the awareness of inequility which the participants in sports experienced. The Korean Society Of Sports Science, 21(6), 165-175.
Kim, S. H., Chung, H. (2015). Analyses of family-environmental factors affecting game addiction among adolescents: Focusing on families’ economic, cultural, and social capital. Health and Social Science, 38: 5-36.
Kim, T., Chung, T., & Won, D. (2016). Research trends in school-based sport clubs using content and network text analysis. Korean Journal of Sport Science, 27(4), 782-796.
crossref
Kim, W. J. (2011). Multidisciplinary Literature Review of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on Physical Education and Sport.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 Society for Sport and Dance, 50(6), 21-36.
Kim, Y. G. (2010). A Review of the Meta-Analysis in Major Academic Journal of Business Management in Korea. Korean Journal of Business Administration, 23(4), 1833-1858.
Ko, M, Yang, S. (2016). Content Analysis of Welfare Tourism Research Trend in KCI Journals. Northeast Asia Tourism Research, 12(4), 181-201.
Lee, H., Son, N., & Lee, T. (2015). Mapping the knowledge structure of sport pedagogy field. Korean Journal of Sport Science, 26(3), 445-460.
crossref
Lee, J. M., Lee, J. Y., & Chang, K. R. (2019). A study on the social capital formation of elite athletes. Korean Journal of Sport Management, 24(6), 63-79.
crossref
Lee, S. H., You, B, J. (2014). A Study on the Research Trends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in Korea using S&T Authority Data.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8(4), 377-399.
crossref
Lee, S. H., You, B, J. (2014). A Study on the Research Trends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in Korea using S&T Authority Data.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8(4), 377-399.
crossref
Lee, S. M. (2020). Social capital formation through sport participation in an adolescent period.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Physical Education, 25(1), 155-169.
crossref
Lee, S. S., Lee, M. J. (2016). The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of studies on cultural capital in Korea. The Korean Association for Sociology of Culture, 21: 339-380.
crossref
Oh, D. G., Yeo, J. S., & Park, S. H. (2018). An Analysis of Sister Journal Characteristics for Enhancing the Publication of International Journals.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9(3), 219-240.
crossref
Park, H., Leydesdorff, L. (2004). Understanding the KrKwic : A computer program for the analysis of korean text.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6(5), 1377-1387.
Park, H. J. (2017). Analysis of research trends in the journal of speech-language and hearing disorders by using a semantic network analysis: 1998-2015. Journal of Speech-Language & Hearing Disorders, 26(1), 131-143.
crossref
Park, H. W., Seo, J. W., & Chae, J. S. (2014). The Relationship between Sport Activity Participants and Social Capital. Journal of Sport and Leisure Studies, 56(1), 95-104.
crossref
Park, S., Kim, T. (2018). Longitudinal analysis of researches on professional sports using semantic network analysis. Korean Journal of Sport Science, 29(1), 114-128.
crossref
Popping, R. (2000). Computer-assisted text analysis. Sage.
Putnam, R. D. (1993). Making democracy work: Civic traditions in modern Italy. Princeton: Princeton Univ. Press.
Seo, B. S., Kim, C. R. (2010). Sports participation and social capital in Korean society.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49(6), 79-89.
Song, K. J. (2004). The social capital and network. Korean Social Theory Association, (25), 251-282.
Tonts, M. (2005). Competitive sport and social capital in rural Australia. Journal of Rural Studies, 21: 137-149.
crossref
Yang, J. H. (2014). The relationships between formation of social capital, social support and sports socialization of sife sports club members. The Korean Journal of Sport, 12(3), 189-200.
Yeo, J. K., Lee, C. S. (2010). Types and forms of social capital in sport club in middle school.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Physical Education, 15(3), 93-108.
Yoon, J. W., Park, J. H. (2015). Semantic network analysis for content analyzing of qualitative research in adapted physical activity. The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Natural Science, 54(5), 877-889.


ABOUT
BROWSE ARTICLES
EDITORIAL POLICY
FOR CONTRIBUTORS
Editorial Office
Korea Institute of Sport Science, 727 Hwarang-lo, Nowon-gu, Seoul 01794, Korea                         Privacy Policy
Tel: +82-2-970-9570    Fax: +82-2-970-9651    E-mail: publ@kspo.or.kr                

Copyright © 2024 by Korea Institute of Sport Science.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