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형 올림픽가치교육프로그램의 적용 가능성 탐색: 초·중등학교 현장을 중심으로

Study on application of K-OVEP in school settings

Article information

Korean J Sport Sci. 2018;29(1):154-169
1 Korea Sports Promotion Foundation
2 Institute of Museum Education
1 국민체육진흥공단
2 뮤지엄교육연구소
최송아(12096@kspo.or.kr)
Received 2017 October 23; Revised 2017 December 22; Accepted 2018 January 05.

Abstract

[목적]

본 연구는 한국형올림픽가치교육프로그램(K-OVEP)의 필요성과 특징을 살펴보고, 이를 초·중등학교 현장에 적용한 사례를 통해 K-OVEP이 학교현장에 안정적 정착과 확산 방안을 논의하는데 목적을 둔다.

[방법]

이에 K-OVEP의 구성과 내용의 특성을 관련문헌과 개발 자료의 분석 및 현장 적용 과정을 통해 살펴본다. K-OVEP의 장기(8차시)프로그램을 학교 교육과정의 창의적 체험활동과 자유학기제에 적용한 초등학교 2곳, 중학교 2곳의 적용 과정과 학습현장 관찰을 통해 분석하였다. 또한 K-OVEP의 목표를 달성하고 있는지를 검증하고자, 2016년 K-OVEP에 참여한 학습자 187명을 대상으로 올림픽과 올림픽가치에 관한 ‘인지 영역’, OVEP에서 제시한 5가지 교육적 테마와 관련한 ‘가치 영역’, 그리고 스포츠 활동 관여도 등을 묻는 ‘흥미 영역’으로 구성하여 교육 시작 전과 종료 후 2회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결과]

연구결과 K-OVEP은 올림픽을 통한 통합적인 가치 중심 교육과정으로, 인성교육 강조, 진로탐구의 기회, 과정중심 학습이라는 특성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러한 K-OVEP을 적용해 본 결과 인지, 가치, 흥미의 각 영역과 모든 문항에서 교육 목표를 달성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신체활동에 관련하여 학교급과 환경에 따라 교육효과가 상이하게 나타난 점이 발견되었다.

[결론]

본 연구가 K-OVEP 도입 첫 해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진행된 만큼, 향후 K-OVEP 학습자의 유의미한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프로그램 대상 확대, 지속적이고 다양한 프로그램 및 평가도구 개발, 전문가 양성 등의 노력과 후속연구가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Trans Abstract

[Purpose]

This study aims to examine necessity and characteristics of the K-OVEP, and discuss ways of settle and spread the program stably through cases applied in school settings.

[Methods]

To do so, educational components and curriculum of the K-OVEP was represented by analyzing references, developmental materials, and program application. This study was examined through the application process and observation of long-term program of the K-OVEP from two types of educational fields, 2 elementary schools and 2 middle schools. In order to examine if the K-OVEP achieves the aim of the IOC and the K-OVEP, basic level study was conducted to 187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program in 2016.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three categories; ‘cognition part’ through the Olympic games and the Olympic values, ‘value part’ regarding five educational themes of the OVEP, and ‘interest part’ asking interest and involvement in sports activities, participants answered the questionnaire before and after the education.

[Results]

We found that K-OVEP is an integrated value based educational program regarding Olympics, stresses personality education, encourages students to explore their career, and is a process oriented education. The results showed that the K-OVEP achieved the educational goals in every categories and questions, and educational effects in sports activity looked different among schools and the environments.

[Conclusion]

This study was performed to participants at first year of the introduction of the K-OVEP, so in order to keep track of learners’ significant change continuously, expansion of participants, steady development of various new programs, development of assessment tools, experts training and follow-up studies will be required.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2018은 우리나라 스포츠 역사에서 중요한 해이다. 평창동계올림픽 개최되는 해이자, 88서울올림픽이 개최된 지 30주년이 되는 해로, 대한민국은 하계올림픽과 동계올림픽을 모두 개최한 8번째 국가가 된다. 1896년 그리스의 아테네에서 시작된 근대 올림픽은 스포츠정신의 확산과 발전에 기여했고, 특히 올림픽기간 동안의 휴전 및 올림픽이 주는 평화의 메시지는 분단국가인 우리에게 더욱 의미 있게 다가온다.

세계인의 스포츠 축제 올림픽의 의미와 가치에 대해서는 현재까지 여러 방향의 논의가 진행되고 있다. 특히 교육적 차원에서 국제올림픽위원회(International Olympic Committee, 이하 IOC)는 2005년 국제적인 유소년 전략을 수립하고, 교육적 가치 프로그램을 통한 사회적 책임을 다하기로 결정하고(IOC, 2010), 올림픽가치와 스포츠에 대한 인식 제고, 청소년의 스포츠 활동 장려 등을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올림픽가치교육프로그램(Olympic Values Education Programme, 이하 OVEP)을 탄생시켰다. IOC 부위원장이자, 문화 ·올림픽교육위원회 의장을 지낸 허 전량(He Zhenliang)은 2008년 인터뷰에서 올림픽 가치를 촉진하는 것은 모든 올림픽 운동의 기본 사명이며, 스포츠는 더 나은 세상을 만드는 데 일조할 사회적 책임을 가지고 있다고 했다.

근대 올림픽 창시자 피에르 드 쿠베르탱은 1894년 신 소르본느(New Sorbonne)에서 열린 파리 회의(Paris Congress)에서 올림피즘(olympism)의 중요성에 관하여 역설하였다(Jang, 2007). 쿠베르탱에 따르면, 올림피즘은 몸과 정신의 수용력에 대한 균형 있는 발전을 추구하는 것이며, 동시에 스포츠, 예술, 문화의 결합을 지향하는 지성과 감성, 친선을 향상시키기 위한 인간의 문화와 교육적인 가치의 발전을 추구하는 것이다(Shin, 2014). 또한 쿠베르탱은 자신을 스스로를 교육자라고 칭했을 정도로, 신체와 정신의 조화로운 교육을 올림피즘의 중요한 목표로 삼았다. 올림피즘을 통한 교육은 보편적이며 필수적인 인간의 가치에 기초하고, 이는 다섯 가지 올림픽 가치로 구체화된다(Peneva, 2009). 이러한 흐름은 IOC의 올림픽헌장(IOC, 2015)에서도 발견할 수 있는데, 올림픽 이념의 첫 번째 기본 원칙에서 스포츠에 문화와 교육을 접목시킨 올림픽 이념이 생활양식의 개척을 추구한다고 명시해, 올림피즘의 교육적 가치를 강조하고 있다.

OVEP은 IOC에서 젊은이들의 스포츠에 대한 관심과 스포츠 활동의 독려, 올림픽 가치를 알리고자 만들어졌다. 탁월성(Excellence), 우정(Friendship), 존중(Respect) 올림픽 정신과 학습의 3대 영역, 인지(지식), 심동(기술), 정의(태도)적 측면을 담아내고 있다. 특히 OVEP의 교육적 가치1),는 첫째, 노력의 기쁨(Joy of Effort), 둘째, 페어플레이(Fair Play), 셋째, 타인존중(Respect for Others), 넷째, 수월성 추구(Pursuit of Excellence), 다섯째, 신체와 정신의 균형(Balance between Body, Will and Mind)으로 IOC(2007)에서 제작․배포한 참고자료 ‘TEACHING VALUES: AN OLYMPIC EDUCATION TOOLKIT(이하 도구상자)’에 상세하게 제시되어 있다.2)

유의할 점은, 올림픽 정신에서는 ‘Excellence’를 ‘탁월성’으로 제시하였으나 올림픽 가치교육프로그램의 교육적 가치에서 ‘Excellence’는 교육학 용어 사전을 근거로 ‘수월성’으로 제시한다. 교육학에서는 ‘수월성’을 ‘생활의 모든 면에 있어서 최상의 표준에 도달하기 위한 노력’으로 표기하고, 국어사전에서는 ‘효과성을 극대화함’으로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학교 현장에서는 학생 모두의 수월성이 구현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다양한 수월성’의 추구를 통해 미래사회 핵심 역량을 갖춘 다양한 인재를 키우려 노력하고 있다. 최고 수준의 성취를 위한 노력의 형태가 영역마다 또 개인마다 다르기 때문에 수월성을 한 가지로 규정하기는 힘들지만 개인의 자아실현이 바탕이 되고 있으므로 OVEP의 교육적 가치에서 ‘Excellence’는 수월성으로 제시한다.

OVEP은 IOC를 중심으로 세계 각국의 올림픽위원회(National Olympic Committee, 이하 NOC), 국가올림픽아카데미(National Olympic Academy, 이하 NOA), 대학교 및 스포츠교육기관 등이 주관하여 다양하게 제작되어 운영되고 있다. 그리스에서는 2000년 이후로 올림픽 교육 프로그램(Olympic Education Program)이라는 혁신적인 체육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교육의 목적은 올림픽의 역사를 배우고, 스포츠의 가치와 원칙을 이해하며, 경기의 중요성을 알고, 봉사정신의 중요성을 깨달으며, 스포츠와 삶의 과정에서 행동을 제어하는 기술을 개발하며, 건강 측면에서 운동의 중요성을 아는 것이다. 더불어, 프로그램에 참가한 학생들은 그리스에서 익숙하지 않은 올림픽 경기 종목에도 보다 친숙해질 수 있었다(Grammatikopoulos et al, 2004). 나아가 OVEP은 인위적 경계를 뛰어 넘어 세계인들의 ‘앉아서 하는 행동 증가’, ‘도시화 및 놀이를 위한 녹지 공간 부족’, ‘불평등’, ‘사회적 포용 부족’, ‘세계적 불안정’ 과 같은 사회적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지속 가능한 플랫폼을 만드는 것을 목표(IOC, 2016a, 2016b)로 하며 이에 공감하는 세계 여러 나라로 확산되고 있다.

우리사회와 교육환경에서도 그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특히 신체 활동으로만 인식되어 온 체육, 스포츠 교육에 새로운 접근을 가능하게 한다. Kim(2008)은 급진적인 산업화과정과 입시중심교육에서 기인한 우리사회의 다양한 문제들을 자라나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올림픽 가치교육을 통해 해소할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Shin(2014)은 국내에서 시도된 OVEP의 실천적 사례를 제시하며, 국내에서도 OVEP 중요성에 대한 대중적 확산, 지속적 교육이 필요하다고 언급한 바 있다. 학교교육에서는 OVEP이라는 구체적인 프로그램을 인식하고 있지는 않지만 여러 연구에서 올림픽 교육의 실천 및 가능성을 체육, 사회, 미술 등 교과과정을 중심으로 제안하기도 하였다(Cho, 2011; Roh, 2015; Park, 2016 등). 또한 비정규적, 비형식적 교육의 형태로 서울올림픽기념관의 기획전과 함께 교육프로그램도 넓은 의미에서는 OVEP의 실천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2015년 서울올림픽기념국민체육진흥공단(이하 공단)과 뮤지엄교육연구소에서 OVEP을 적용한 구체적인 개발사례라 할 수 있는 한국형 올림픽가치교육프로그램(이하 K-OVEP)이 2016년부터 현재까지 학교와 청소년기관에서 진행되고 있다.

대한민국은 두 번의 올림픽을 모두 성공적으로 개최해냈다. 이 시점에서 스포츠에 대한 넓은 시각, 올림픽에 대한 관심 증대의 측면에서도 OVEP의 역할을 기대해볼 수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 교육환경에 맞는 확장적이고, 지속적인 OVEP의 교육적 실천은 매우 중요하다. 본고에서는 IOC의 OVEP의 유일하고 실질적인 실천적 사례라 할 수 있는 K-OVEP의 교육적 특징과 의미를 점검하여 지속적인 실천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2. 연구문제

1. K-OVEP의 구성 및 내용의 특징은 무엇인가?

2. K-OVEP은 IOC에서 제시한 OVEP의 목적을 달성하고 있는가?

3. K-OVEP이 학교현장에 정착하고 확산되기 위해 필요한 것은 무엇인가?

연구방법

1. 연구과정

프로그램의 본격적인 운영 전 ‘K-OVEP 구성 및 교육자료 이해-파일럿-전문 강사양성-실행학교선정-실행’의 단계를 통해 진행되었다. K-OVEP의 구성과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교안, 교재, 시청각자료 등 교육자료를 분석하고, 적용방안을 검토하였다. 이 단계에서 연구자는 도구상자(IOC, 2007)에 담겨진 내용이 K-OVEP에 어떻게 반영되고 있는지를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2015년 11월 프로그램별로 대표적인 차시 2개를 선정하여 시범운영을 실시하고, 교사와 학습자, 그리고 운영 강사들의 반응을 토대로 개선점을 도출하여 교안 일부를 보완하는 과정을 통해 프로그램을 재구성하였다.

그 후 K-OVEP 전문강사를 양성하기 위하여 개발된 프로그램을 공단 직원 및 서울올림픽기념관 교육 담당자, 교육 강사를 대상으로 세미나와 워크샵을 진행하였다. 그리고 2016년 K-OVEP 현장 교육을 주도할 전문 강사를 선발하여 2개월간의 교육과정을 거쳐 학교에 파견하였다.

프로그램 적용 대상 학교 선정은 공문 발송 및 지인을 통한 섭외과정을 거쳐 K-OVEP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가진 학교 책임자와 담당교사의 승인을 통해 진행되었다. 1학기에 2개 초등학교에 강사를 파견하여 초등프로그램을 운영하였고, 2학기 자유학기제의 일환으로 중등 참가학교 모집 과정을 거쳐, 하반기에는 중등프로그램을 운영하였다. 이 과정에서 연구자 2인은 프로그램 재구성과 전문 강사양성, 실행학교 선정을 주도했고, K-OVEP 개발자와 함께 현실적 현장 적용 과정을 점검하고, 참여하였다.

2. 연구대상

개발된 K-OVEP을 적용하고, 교육적 효과 분석 및 향후 확산 가능성을 논하기 위해 2016년 국민체육진흥공단에서 운영한 교육프로그램에 참가한 학습자들(초등 고학년 99명, 중학교 1학년 88명) 187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IOC의 교육자료를 바탕으로 2015년 개발된 K-OVEP 프로그램을 초중등학교에 적용하여 운영하였다.

초등학교현장에서의 체육교육은 담임교사가 전교과를 담당해야하기 때문에, Chang & Lee(2017)가 주장하는 것처럼 비교적 체육 분야의 교수전문성이 부족하거나, 체육수업 기피현상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고 사료되어, 초등의 경우 체육교과 수업의 일부로 K-OVEP을 운영하였다. 초등 학습자는 성남시 소재 초등학교 4학년 4개 학급(76명)과 평창군 소재의 초등학교 5학년(23명)을 대상으로 교육을 진행하고,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다만, 성남시 소재 초등학교 학습자들의 경우, 학사일정 상 8차시를 모두 참여하지 못하고, 2개 학급은 1~4차시, 2개 학급은 5~8차시로 나누어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진행과정과 진행 후 운영강사와 학교 교육책임자 및 담임교사와 교육내용과 운영에 대한 의견을 나누었다.

중등프로그램은 진로를 탐색하고 세계 문화와 스포츠를 탐구할 수 있도록 짜였으므로, 자유학기제의 일환으로 2학기에 운영되었다. 2016년 1학기부터 자유학기제가 전면 시행됨에 따라, 체육 관련 자유학기제 프로그램에 대한 수요가 있는 중학교를 모집하여 프로그램을 운영하였다. 성북구 소재 학교 2개 학급(58명)이 세계문화탐구 프로그램에 참여하였고, 수도권 소재 체육중학교 1개 학급(30명)은 올림픽보드게임 프로그램에 참여하여 1학년 학생 총 88명이 8차시의 교육을 받고 조사에 응했다. 역시 프로그램 진행과정과 진행 후 진행강사와 학교 담당선생님의 의견을 받았다. 연구 대상자들에 대한 내용은 아래 <Table 1>에 정리되어 있다.

Research participants

3. 조사도구

OVEP에 대한 공식적으로 통용되는 교육효과 측정도구는 아직 개발되지 않았다. IOC(2016c)에서는 교육참가자들이 주요개념을 학습했는지를 파악하고, 향후 교육에 필요한 정보를 습득하기 위해 교육운영기관에서 교육의 목적에 맞는 평가도구를 개발하여 활용할 것을 제안하고 있다. 이에, IOC OVEP과 K-OVEP의 교육적 목표와 관련 핵심개념, 2015년 시범운영 결과 및 현직 교사의 반응 등을 토대로 3개 영역으로 구성하였다. IOC에서 제시하는 OVEP의 목표는, 첫째, 청소년의 스포츠에 대한 관심을 유지하고, 둘째, 청소년의 스포츠 활동을 격려하며, 셋째, 올림픽가치를 촉진하는 것이다. 이에 올림픽과 올림픽 가치에 대해 얼마나 알고 있는지에 대한 ‘인지 영역’과 OVEP의 5가지 교육적 테마와 IOC의 세 번째 목표와 관련한 ‘가치 영역’, 그리고 IOC 의 첫 번째, 두 번째 목표와 관련된 평소 스포츠 활동을 얼마나 좋아하고 참여하는지에 대한 질문으로 구성된 ‘흥미 영역’으로 구성하여 5점 척도로 응답하도록 구성한 총 11개의 문항으로 질문지를 설계하여 사용하였다. 이는 IOC 도구상자의 권고사항을 적용시킨 과정이며, 설문은 교육 시작 전과 교육 종료 후 2회 실시하였으며, 사전 설문지의 경우 187부 전수 자료 분석에 활용이 가능하였으나, 전학으로 인한 중간 이탈자와 체육중학교의 경우 대회 참가 등으로 마지막 차시 결석자가 발생하여 사후설문 데이터는 180부만을 분석에 사용할 수 있었다.

교육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프로그램 참가 전과 8차시 과정 종료 후 각각 설문을 실시하였고, 4차시만 참가한 성남의 초등학교의 경우에는 첫 번째 차시 이전에 한 번, 네 번째 차시 종료 후 한 번 설문지를 수집하였다.

조사 시간은 10분 내외였으며, 학습자들에게 교육 내용이 노출되지 않은 상태에서 1차시 수업 이전에 사전 설문을 실시하고, 8차시(혹은 4차시) 종강 후 사후 설문을 실시하였다. 사전 설문과 사후 설문은 동일한 내용에 어미만 변화를 주었으며(알고 있다 → 알게 되었다), 설문지 구성은 <Table 2>와 같다.

Questionnaire Design

4. 자료 분석

사전설문지 187부와 사후설문지 180부 모두를 데이터화 하여 입력한 후, SPSS 24.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교육 전후의 차이를 비교분석하였다. 독립집단 t검증을 통해 교육프로그램 참가 후 각 영역에서의 향상 정도와 그 차이가 유의미한지를 검증하고자 하였으며, 전체 집단을 비교한 뒤, 4차시만 참여한 초등 집단, 8차시 모두 참여한 초등 집단, 세계문화탐구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습자 집단과 보드게임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습자 집단으로 세분화하여 혼합변량분석을 통해 각각의 집단에서 교육이 어떤 효과가 있었는지 분석하였다.

설문의 카테고리별 하위 문항들에 대한 신뢰도(내적일치도) 검증을 위해 Chronbach's Alpha 계수를 산출하였고 인지는 .853, 가치는 .799, 흥미는 .718의 계수를 얻어 척도의 신뢰성을 확보하였다.

본 연구는 K-OVEP의 개발과 적용에 첫 번째 연구로서 그 특징을 분석하고, 적용을 통한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K-OVEP의 장기프로그램만을 대상으로 개략적인 효과를 검증하고자 간단한 평균비교를 통해 사전-사후 설문 결과를 분석하고, OVEP과 K-OVEP이 가진 교육 목표를 실현하였는지를 확인하고자 접근하였다.

연구결과

1. K-OVEP 특징 분석

2015년 개발된 K-OVEP의 구성은 <Table 3>과 같으며 K-OVEP 제작의 주요한 자료로 활용된 것은 도구상자(IOC, 2007)를 기반으로 국내교육환경을 고려한 적용을 중심으로 K-OVEP의 특징을 분석해 보았다. K-OVEP의 구성은 장기프로그램과 단기프로그램으로 구분되며, 초등 고학년과 중학생을 학습대상자로 하고 있다. 도구상자(IOC, 2007)에서 제시하고 있는 교육대상은 8세에서 18세까지로 제시하고 있는 것에 비해 좁은 대상을 제시하고 있다. 이는 K-OVEP은 반드시 정규학습의 환경이 아닌 서울올림픽기념관과 청소년 수련관 등 비정규, 비형식 학습이 이루어지는 다양한 학습 환경에 적용을 고려한 설계라 고려된다. 2016년 기준 K-OVEP 운영은 장기프로그램의 경우 공단에서 강사를 학교로 직접 파견하여 진행하였으며, 단기프로그램의 경우 서울올림픽기념관 방문자를 대상으로 운영하였다. 본고에서는 장기적으로 학교현장에 적용된 3종의 장기프로그램만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K-OVEP programs

도구상자(IOC, 2007)의 구성은 올림픽가치 교육에 대한 소개(제1장), 상징과 의식을 통한 가치의 찬양(제2장), 스포츠와 올림픽을 통한 가치교육(제3장), 다섯 가지의 교육적 가치(제4장), 실행도구(제5장)로 직접 학습현장에서 실행해 볼 수 있는 프로그램을 제시하고 있다.

<Fig. 1>과 같이 올림피즘을 교과과정 속에서 연계하여 다룰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으며, 다음 <Fig. 2>와 같이 각 장별 주제에 맞는 활동지를 제시하며, 구체적인 활동을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활동을 학습대상과 우리 교육환경에 맞게 적용시킬 수 있는 내용으로 재구성하며, 적절한 교육자료 개발로 학습의 수월성을 돕는 것이 K-OVEP의 중요한 과제라 여겨진다. Shin(2014)은 OVEP을 구성함에 있어서 IOC는 특별히 청소년들 사이의 상호존중과 친밀한 교류를 강화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스포츠의 역할에 초점을 맞추고 있고, 이 프로그램을 가르치고 배우는데 있어 다문화 및 다중지능에 관한 최근 교육이론에 기초한 점도 이전의 교육프로그램과 차이가 있는 특이점이라 지적하고 있다.

Fig. 1.

The variety of subjects within the curriculum that can be referenced to Olympism

Fig. 2.

Activity Sheet about the Olympic Rings

본 연구에서는 앞의 <Table 3>에서 제시하고 있는 K-OVEP 중 장기프로그램에 3종에 주목하여 그 특징을 정리해 보고자 한다.

먼저, 초등 고학년대상 장기프로그램은 <Table 4>와 같다. <우리들의 스타디움>은 초등 프로그램의 목표는 ‘스포츠와 예술의 융합을 통해 올림픽과 올림픽가치를 알리고 스포츠에 대한 관심을 증대’시키는 것으로 놀이를 통해 학습자들의 협업, 작품제작활동을 통한 성취욕을 고취시키는데 주력하고 있다(K-OVEP 개발 결과보고서, 2015) 전체과정 속에 도구상자(IOC, 2007)에서 다루고 있는 올림픽의 주요 키워드를 고르게 다루고 있다. 예를 들어 1차시부터 8차시의 교육내용에 담긴 주요 키워드를 나열해 보면 놀이, 스포츠 축제, 올림픽, 올림픽 명장면, 종목(고대&근대), 올림픽스타(선수), 선수촌, 페어플레이, 장애인올림픽, 올림픽 상징, 평화, 조형물 등으로 나타난다. 올림픽경기를 놀이로 부터 접근한 것이 흥미롭다. 놀이를 통해 올림픽 게임의 규율과 정신을 알아가며 토론하기, 문제 해결하기, 상황극하기, 글쓰기, 그리기, 만들기 등이 고르게 접목되어 하나의 완결된 형태를 만들어가는 연계성이 두드러진다.

Curriculum of <Our Stadium>

중학생 대상 프로그램은 중학교의 교육과정에 따라 1학년 자유학기제의 선택형 프로그램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제작되었다. 학기별 16주를 기준으로 16차시 연계 혹은 8차시씩 2회로 분리 진행하도록 2종의 프로그램이 개발되었다.

먼저, <Table 5>의 중등대상 장기프로그램 <올림픽 개최지를 찾아서>는 교과와의 연계성을 강조하고 있다. 사회, 역사 교과 연계를 주(主)로 하여 국어, 체육, 미술, 환경 등 통합교과를 지향하고 있다. 하계 올림픽 개최지를 중심으로 전체 8차시가 연계성을 가지며 개최 시기별 올림픽 주요 개최 목표, 이슈, 역사, 상징, 게임 등 올림픽 관련 내용과 개최국의 문화를 연계하여 학습하면서 자연스럽게 올림픽의 가치를 이해하고 스포츠에 대한 흥미를 유발하도록 구성하고 있다(K-OVEP 개발 결과보고서, 2015).

Curriculum of the <Researching Global Culture>

프로그램의 첫 차시는 2016년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으로 2016년부터 거꾸로 접근했을 때 하계올림픽기준으로 1988년 서울올림픽이 8차시로 마무리된다. 2017년 기준 향후 2∼3년간은 서울올림픽으로 완결되어 프로그램 구성의 의미를 찾을 수 있지만, 계속적으로 새로운 올림픽 개최가 진행되면서 변화가 요구된다. 각 개최지별 다루고 있는 주요한 내용은 리우데자네이루부터 소외 공간, 지속 가능성, 역사와 시민의식, 고대 올림픽(픽토그램), 다문화, 안전, 유산적 가치로 이어지며, 마지막 서울올림픽에서는 냉전체제 속의 개최, 사회, 경제, 문화의 영향 등 하나 되는 올림픽의 가치와 올림픽을 종합적으로 정리하고 있다. 개최지에 대한 사회, 문화적 특성을 살피는 것만으로도 교과내용과 접목이 매우 유용해 보이나 IOC의 OVEP에서 담고 있는 다섯 가지 가치를 적용하여 학습자들의 생활과 접목, 활동과 연결을 강화하다보니 결과적으로 다문화, 친환경, 지속가능의 요소가 대부분의 차시에서 공통적으로 드러나는 경향이 보인다. 각 올림픽 개최지별 특성보다 올림픽의 교육적 의미가 더 부각되는 것으로 나타난다.

<Table 6>의 중등대상 장기프로그램 <올림픽 보드게임>은 올림픽을 주제로 한 보드게임을 기획하고 즐길 수 있도록 설계된 8차시 프로그램이다. 보드게임을 기획하고 만들어가는 과정에 올림픽 콘텐츠를 활용함으로써 자연스럽게 올림픽에 대해 알아가고 올림픽 가치를 습득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또한 협동을 통해 팀 프로젝트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문제들을 경험하고 해결해가는 과정에서 성장할 수 있도록 모든 차시에 강조하였다(K-OVEP 개발 결과보고서, 2015).

Curriculum of the <Olympic Board Game>

<올림픽 보드게임>의 경우 앞의 <올림픽 개최지를 찾아서>에 비해 전 차시의 과정의 연결이 매우 중요한 프로그램이다. 올림픽 표어와 헌장, 올림픽 개최지, 올림픽 종목, 선수들의 노력과 페어플레이, 올림픽을 만드는 사람들, 패럴림픽, 올림픽 상징, 개막식이 교육내용의 주요 키워드로 차시별 학습내용을 적용하여 모둠별 보드게임이 만들어지는 형식이다. 과정 속에서 도출된 결과물이 모여져 보드게임과 게임도구가 만들어져야 하므로, 전후 차시와의 연계성을 잘 짚어주며, 각각의 과정 속에서 도출된 협동 결과물이 잘 보관되어 활용될 수 있도록 유의가 필요하다. 특히 직접적인 제작활동의 비중이 높아 학습자들의 집중력과 흥미가 높게 나타날 수 있는 강점이 있으나 게임이나 제작에 관심이 덜한 학습자에게도 절절한 역할 배분이 중요해 보인다.

위와 같이 K-OVEP의 세 가지 장기프로그램을 분석하며, 그 공통적인 특징을 네 가지로 추려본다.

첫 번째, K-OVEP은 올림픽과 올림픽 가치에 담겨있는 다학문성을 통합적으로 담아내고 있는 가치 중심 교육이다. Peneva(2009)는 올림픽 가치는 보편적인 가치이며, 올림픽 교육은 체육 수업의 내용 뿐 아니라 다른 교과목들도 다루는 새로운 세계적 경향성을 갖는다고 했다. K-OVEP 프로그램 구성에 있어 스포츠를 중심으로 사회, 도덕, 음악, 미술, 국어, 과학 등 다양한 교과와 교수방법 제시와 학습자 관점에서 흥미를 유발하며 즐길 수 있는 통합적 활동에 중점을 두고 있는 것이다.

두 번째, OVEP의 다섯 가지 교육적 가치를 기반으로 인지적 측면과 함께 인성적 측면을 강조하여, 이를 모든 프로그램의 과정 속에 녹여내기 위해 ‘모둠별 활동’을 강화하고 있다. 협동학습과 인성교육에 대한 연구는 체육, 미술 등 교육과정 연구(Jeon, 2015; Park, 2014; Kang & Nam, 2014)에서 다루어지고 있으며 특히 2015년부터 시행된 인성교육진흥법, 중학교 자유학기제에서 제시하고 있는 협동 학습, 토의·토론 학습, 프로젝트 학습 등 학생 참여형 수업 강화(교육부, 2015)와도 매우 밀접한 관련성을 찾을 수 있다.

세 번째, 올림픽이라는 하나의 주제를 다각도로 심층적으로 접근하는 과정은 학습자의 진로탐구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점이다. ‘2014년도 학교진로교육 실태조사’에 따르면 전국의 고등학생 중 29.4%가 희망직업이 없다고 응답했다. 이는 입시위주의 교육환경 속에서 자신의 지로에 대한 진지한 고민이 없기 때문이다(송창용 외, 2014). 일찍이 듀이는 직업교육은 개인의 적성을 발견하고, 사회의 민주적 발전에 봉사할 수 있는 직업을 선택하고 수행하는 생활능력을 키우는 것이어야 한다고 했다(Dewey, 1916). 이렇듯 진로는 다양한 경험 속에서 선택되어져야 한다. K-OVEP에서는 올림픽에 출전하는 선수만이 주인공이 아닌 올림픽을 만드는 다양한 사람과 역할에 대한 제시는 올림픽을 다각도로 심층적으로 접근하여 학습자들에게 다양한 경험을 제공하며, 보이지 않는 곳에서 일하는 다양한 사람과 역할에 대해 고민할 기회를 줄 수 있다.

네 번째, K-OVEP은 학습 과정을 기록하고, 담을 수 있는 포트폴리오 제작을 기반으로 한 과정중심 학습이다. 포트폴리오 제작은 학습자의 개별성을 중시하며 학습의 평가측면에서도 매우 중요한 자료로 활용된다. 특히 학습의 과정을 중시하는 수행평가에 있어서 포트폴리오는 중요한 학습평가 도구로 사용되듯, 현 교육실정이 잘 반영된 부분이다. 교육부는 학생의 학습과 성장을 촉진 할 수 있도록 ‘과정을 중시하는 수행평가’를 강조하고 있다(Ministry of Education & Korea Institute of Curriculum & Evaluation, 2017).

위와 같이 K-OVEP은 통합적 관점의 가치 중심 학습, 인성 교육적 측면의 강조, 진로 탐구의 기회, 포트폴리오 제작을 통한 과정 중심 학습이 특징적인 교육적 의미로 논할 수 있겠다. 또한 IOC에서 제시한 교육목표와 방향이 잘 드러나고 있었고, 우리 교육환경에 적용하고자 노력한 전략이 드러난다. 특히 ‘신체 활동’ 중심으로 이어져 왔던 체육교육, 올림픽에 대한 선입견을 없애고, 스포츠를 즐길 수 있는 다양한 가치 중심을 기반으로 한 관점제시 측면에서는 매우 유의미하다.

2. K-OVEP 적용 결과

초등 프로그램 교육효과 분석

초등프로그램 <우리들의 스타디움> 프로그램에 참가한 총 99명의 초등학습자의 설문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아래 <Table 7>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Descriptive Statistics (elementary school students)

각 문항별 평균 차이 분석결과를 보면, 흥미 영역을 제외한 모든 문항과 영역에서 교육 참여 이후 유의미한 향상도를 보인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Table 8>.

Independent t-test (elementary school students)

홍미 영역의 두 질문 중 스포츠 활동 참여도의 경우에는 교육 전(평균 3.77)과 교육 후(평균 4.00)에 유의미한 차이가 발생하지 않았다(p>.05). 이는 초등생의 경우에는 아직까지는 사교육에 노출된 정도가 적어 비교적 신체활동이 많고, 스포츠를 즐기는 태도도 높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또한, 타 영역이 학습과 밀접한 관련이 있어 8주라는 단기간의 시간 동안 향상될 수 있음에 반해, 스포츠 활동 참여도라는 것은 생활양식이므로 비교적 단기간 변화가 나타나기 어렵다는 점에서 기인한 결과일 가능성도 있다.

초등 학습자의 경우, 4차시만 참가한 그룹과 8차시 모두 참가한 그룹 간 차이에 의해 이러한 결과가 발생했을 가능성도 있을 것으로 판단되어, 초등 학습자들을 두 집단으로 나누어 추가적인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로그램에 참가한 총 99명의 초등학습자 중, 76명의 성남소재 초등학교 학습자는 4차시만 교육에 참여하였다. 수업 참여 시수에 따른 교육효과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두 집단으로 나누어 혼합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인지 수준의 경우 전후 점수의 차이에 주효과가 나타났으며(F(1,94)=38.678, p=0.000), 학교 간 점수 차이(F(1,94)=1.335, p=0.213)와 두 변인 간 상호작용(F(1,94)=0.559, p=0.642)은 발생하지 않았다.

가치의 경우, 전후 점수의 차이에 주효과가 나타났으며(F(1,94)=15.699, p=0.000), 학교 간 점수차이는 유의미하지 않았다(F(1,94)=2.526, p=0.115). 상호작용의 경우, 유의미하지는 않았지만 8차시를 모두 참여한 평창의 초등학교에서 가치 수준에서 더 높은 향상도를 보이는 경향을 발견할 수 있었다(F(1,94)=3.643, p=0.059).

마지막으로 흥미에 대한 전후 점수의 차는 유의미하지 않았고(F(1,94)=3.455, p=0.066), 전후 점수와 참여 시수에 대한 상호작용도 유의미하지 않았다(F(1,94)=0.812, p=0.370). 반면, 학교의 주효과는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는데(F(1,94)=4.314, p=0.044), 성남 소재 학교 학생들이 평창 소재의 학생들보다 교육 전후 모두 스포츠 활동에 대한 흥미와 관여도가 높았다.

분석 결과를 종합 해 볼 때, t검증 결과와 같이 대부분의 영역에서 교육의 효과가 나타났음을 알 수 있었다. 흥미로운 점은 가치의 경우 통계적으로는 유의미하지 않았지만(p=0.059) 상호작용의 경향성이 발생하여, 4차시의 수업보다는 8번의 수업을 모두 참여했을 때 교육의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가치라는 개념은 올림픽에 대한 지식과 운동에 대한 흥미에 비해 장기간 교육 참여를 통해 습득된다는 사실을 유추해볼 수 있었다.

중등 프로그램 교육효과 분석

2종의 중등 프로그램에 참가한 총 88명의 학습자 설문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Table 9>과 <Table 10>과 같이 모든 영역에서 교육 참여 이전에 비해 교육 이후 올림픽과 올림픽 가치에 대한 ‘인지’, 다섯 가지 ‘가치’, 그리고 스포츠에 대한 ‘흥미’가 일관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된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Descriptive Statistics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dependent t-test (middle school students)

중등 학습자의 경우, 일반학교와 체육중학교라는 특성화중학교의 학습자라는 대상의 차이가 있었고, 각각 참여한 프로그램도 달랐기에, 두 집단 간 교육 효과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혼합변량분석을 추가적으로 실시하였다.

전체 88명의 중학생 학습자 중, 58명은 서울 소재 일반 중학교 학습자들로 <세계문화탐구> 프로그램에 참여하였고, 30명은 체육중학교에 소속된 학습자들로 <올림픽보드게임> 프로그램에 참여하여 모두 8차시의 수업을 이수하였다.

분석 결과, 인지 수준의 경우 전후 점수의 차이에 주효과가 나타나(F(1,82)=29.666, p=0.000), 교육에 의해 올림픽에 대한 이해도가 증가하였으며, 학교에 대한 주효과 역시 확인할 수 있었다(F(1,82)=5.469, p=0.22). 체육 분야의 특성화중학교 학생들이 일반 중학교에 비해 교육 전 후 모두 높은 점수를 보였으며, 두 변인 간 상호작용(F(1,82)=0.101, p=0.752)은 발생하지 않았다.

가치 영역에서 역시 교육 참여 전후 점수와(F(1,82)=29.547, p=0.000), 학교의 차이(F(1,82)=12.282, p=0.001)에서 주효과가 발생했으며, 상호작용은 유의미하지 않았다(F(1,82)=0.076, p=0.783). 즉, 교육 후 가치에 대한 이해가 증가했고, 체육중학교 학생들의 점수가 전반적으로 높았다.

흥미에 대한 결과가 주목 해볼 만한데, 전후 점수의 차이(F(1,82)=11.622, p=0.001)와, 학교에 따른 차이(F(1,82)=43.571, p=0.000)에 주효과가 나타났고, 두 변인의 상호작용도 발견할 수 있었다(F(1,82)=3.261, p=0.033). 두 집단 모두 교육 전에 비해 교육 후 스포츠에 대한 흥미와 관여도가 향상되었고, 체육중학교 학생들이 성북구 중학교 학생들에 비해 전후 점수가 모두 높았지만, 향상도는 성북구 중학교 학생들이 훨씬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참여한 프로그램의 차이보다는, 두 집단의 차이에서 기인한 것으로 보는 것이 합당하다. 체육중학교는 학교를 스스로 선택해 진학한 학습자들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샘플의 기본적인 특성부터 달랐다고 볼 수 있다. 기술 통계치를 보면, 교육 전 다양한 스포츠를 좋아하는지 묻는 설문에서 성북구 중학교 학습자들이 평균적으로 3.57점(SD=1.011)으로 응답한 반면, 체육중학교 학습자들은 4.60점(SD=.621)을 응답하였다. 또한 정기적으로 스포츠 활동을 하는지를 묻는 흥미 영역 두 번째 질문에도, 성북구 중학교 학습자들은 평균 3.33점(SD=1.082)을 답변한 것과 달리, 체육중학교 학습자들은 4.60점(SD=.563)으로 응답하여 교육 이전부터 두 집단 간 스포츠 흥미와 관여도 부분에 차이를 보였던 것을 알 수 있다.

논 의

본 연구에서는 IOC의 OVEP 프로그램을 한국 교육실정과 교육대상의 특징에 맞추어 개발한 K-OVEP 프로그램 중 장기프로그램 3종을 분석하고, 그 교육적 효과를 검증하여 K-OVEP이 안정적으로 정착하고 확산되기 위한 교육적 의미를 도출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인간의 수명이 늘어남에 따라 건강한 삶에 대한 관심이 나날이 증가하고 있다. 학생들이 어린 시절부터 체육활동에 흥미를 갖고 이 흥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해 건강한 삶을 표방하는 K-OVEP이 국민 건강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더욱이 하계와 동계올림픽을 모두 개최한 국가의 반열에 오른 이 시점, K-OVEP은 더욱 주목하고 확산해야 할 프로그램으로, IOC에서 제시하고 있는 OVEP의 가치를 체계적으로 만들어 갈 수 있는 공단에서 주도하고 있음에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를 통해 K-OVEP의 프로그램 구성과 내용에 담겨있는 다양한 활동은 연구에 참여한 학습자 대부분에게 올림픽과 올림픽가치, 스포츠에 대한 인지, 흥미, 관여도 등에서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교육 전후의 설문조사 결과에 기반한 기본적 수준에서의 분석이긴 하나, 개발된 프로그램을 학습자에게 직접 적용해 K-OVEP의 교육기획, 운영의 맥락에서 검증적 절차를 밟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올림픽이념은 인간의 신체, 의지, 정신을 전체적 균형과 조화 속에서 고취시키는 생활 철학이다. 스포츠에 문화와 교육을 접목시킨 올림픽 이념은 노력의 즐거움, 모범적 사례를 통한 교육적 가치, 사회적 책임성, 보편적 기본윤리 원칙에 대한 존중의 정신에 입각한 생활양식의 개척을 추구한다(IOC, 2015). 우리나라 교육 현장에서 스포츠는 체육활동과 신체능력 향상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올림픽을 매개로 하고 있는 K-OVEP이 우리 교육환경에서 체육으로 한정되어 인식된다면, 그 정착과 확산에 한계점이 있을 것이다. 2005년 문화예술지원법 제정 공포에 따라 ‘예술을 위한 교육’이 아닌, ‘예술을 통한 교육’으로 학교와 사회에서의 문화예술교육으로 구분되어 활발하게 확산되고 있는 것에 따라 좀 더 넓은 시각으로 스포츠에 접근하는데 K-OVEP이 활용되어야 할 것이다.

먼저, K-OVEP이 가진 강점을 초, 중등 교육과정 현장에서 잘 녹아 날 수 있는 연계지점을 찾아 안내하며 확산해 나가는 것이 중요하리라 여겨진다.

초, 중등 교육과정에서 제시하고 있는 교육목표, 편제와 시간 배당, 교육과정 편성 운영의 중점을 고려하여 교육 내용적 측면에서는 ‘융합프로그램’, ‘인성교육’, 범교과학습‘의 주제가 매우 밀접하게 연계될 수 있으며, 운영적 측면에서는 ’창의적 체험활동‘, ’방과 후 학교‘, ’자유학기제‘, ’돌봄교실‘ 등에서 활용가능성을 발견할 수 있다(Ministry of Education, 2015). 본 연구의 K-OVEP 적용과정에서도 연구대상 학습자들의 학교교육과정 내 창의적 체험활동과 자유학기제에 중점을 두고 접근할 수 있었다.

가장 필요한 것은 K-OVEP의 교육적 의미에 대한 인지와 확산이다. 앞서 언급했듯 OVEP은 다양한 교과와 연계가 가능할 뿐 아니라, 스포츠와 올림픽이 주는 가치를 통해 인성교육이나 진로교육 등에도 도움을 줄 수 있다. 교육 목적 및 교육적 가치를 고려할 때, OVEP은 내용의 특성상 도덕, 사회, 체육 등 몇 가지 교과와 매우 밀접함을 확인할 수 있다. 초중등 도덕과 교육과정의 영역은 공통적으로 ‘자신과의 관계’, ‘타인과의 관계’, ‘사회・공동체와의 관계’, ‘자연・초월과의 관계’라는 4가지 영역이 구성되어 각 ‘성실’, ‘배려’, ‘정의’, ‘책임’을 핵심가치로 다루고 있다(Ministry of Education, 2015). 자신과 타인의 관계를 생각해보고, 갈등상황을 평화적으로 해결하며, 폭력을 예방하는 등의 내용은 올림픽이 시작된 계기와 일맥상통한다. 또한 세계화시대에 다양한 국가의 문화적 다양성을 이해하고, 우리가 처한 분단의 배경을 이해하며, 개인과 국가의 역할과 올바른 자세를 파악하기 위해 올림픽과 같은 스포츠 메가 이벤트는 그자체로 더할 나위 없이 좋은 교육내용이자 활용할 수 있는 사례가 될 수 있다.

또한 체육과 교육과정도 ‘건강’, ‘도전’, ‘경쟁’, ‘표현’, ‘안전’의 5가지 영역을 바탕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올림픽 정식 종목 외에도 다양한 스포츠와 신체활동을 직접적으로 체험하면서, 정정당당하게 도전하고 경쟁하며 건강한 삶을 위한 여가활동으로서 체육을 생활화, 습관화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Ministry of Education, 2015). 이러한 과정 속에 올림픽에서 추구하는 도전, 배려, 페어플레이, 우정 등의 덕목들이 자연스럽게 포함되어 있으며, 실제 수업에서 활용하는 동영상이나 읽기자료에서도 올림픽의 사례가 자주 언급되고 있다. 이처럼 K-OVEP은 국내 교과과정 속에서도 내용적 실현이 매우 용이하다.

또 하나 논의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야 할 것은 K-OVEP의 교육적 함의를 도출하는데 있어서 교육이론과 교수학습 평가 도구가 요구된다는 점이다. 현재 개발되어 있는 K-OVEP에도 평가 항목이 기재되어 제시되고 있다. 교육현장 관찰을 통해 본 결과, 학습과정에서 학급담임선생님의 협조가 면밀하게 이루어지는 학급이 있는 반면, 외부 강사의 시간으로 인식되어 학교 교육과정과 구별되어 진행되는 학급이 있었다. 이 뿐 아니라 K-OVEP은 학교 외의 다양한 현장에서도 진행되는 것을 기반으로 하고 있기에 여러 학습 환경을 고려한 평가방법과 도구가 요구된다. K-OVEP을 뒷받침하는 교육이론 접목과 다양한 현장의 평가도구 개발이 바탕이 된다면, K-OVEP은 더욱 견고해 질 것이며, 공신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2016년 11월 IOC에서 OVEP 2.0버전 ‘The Fundamentals of Olympic Values Education’, ‘Delivering OVEP: A Practical Guide to Olympic Values Education(이하 Delivering OVEP)’, ‘Activity Sheets’을 발간, 배포하였다. 보다 구체적인 활동뿐 아니라 OVEP의 교수자들을 위한 세심한 실용 지침을 전달하고 있다. 특히 Delivering OVEP에서는 ‘OVEP에 대한 이점’, ‘학습 환경’, ‘21세기 학습 역량’, ‘교육과 학습 주기’, ‘교수법’, ‘올림픽과 연결 주제’, 신‘체적 활동의 OVEP’ 등을 제공하고 있다. 이를 통해 K-OVEP의 교육적 근거나 평가에 대한 세세한 접근의 가능성도 발견된다. 또한 OVEP은 절대로 지시적이어서는 안 된다는 것을 강조하며, 학습자들의 ‘창의적 사고’, ‘문제 해결 능력’, ‘비판적 사고’, ‘협업’, ‘시민 문해력’, ‘의사소통 기술’, ‘자기 주도적 학습’을 위한 교수전략과 ‘사전· 사후 평가’, ‘피드백’, ‘성과중심 평가’, ‘자가 평가’, ‘또래 평가’ 등 구체적인 평가 방법에 대해서도 제시하고 있다(IOC, 2016c). 이를 우리나라 교육 현장에 맞게 적용해 가며 다듬어 나가야 할 것이 K-OVEP의 시급한 과제이기도 하다. 현재 K-OVEP 교수자 발굴 및 역량 강화에 대한 의문도 계속된다. 스포츠를 중심으로 융합, 인성, 진로탐구의 가치지향 교육에서 어떠한 역량을 가진 교수자가 적합할까? 이 또한 K-OVEP에서 모든 과정의 근간으로 사용하고 있는 ‘모둠별 활동’ 즉 협업에 그 해답이 있을 것이다.

2017년 공단은 IOC와 K-OVEP 운영에 관한 업무협약(Memorandum of Understanding)을 체결하였다. 이는 K-OVEP의 공식적 정착과 확산의 토대가 될 것이라 여겨진다. K-OVEP이 IOC의 OVEP을 다루는 국내 유일의 프로그램으로 자리매김하기 위해서는 K-OVEP을 중심적으로 연구하고 개발, 운영하는 전담 조직이 우선적으로 요구되며, 이 안에서 더욱 세밀한 분석과 평가로 K-OVEP의 지속성을 논해야 한다.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서울올림픽과 2018년 평창동계올림픽을 성공적으로 개최한 시점에서 올림픽에 대한 관심 증대의 측면에서 OVEP의 역할을 기대하고 접근하였다, 올림픽에 대한 관심 증대의 측면에서 OVEP의 역할을 기대하고 접근하였다. 우리나라 교육환경에 맞는 확장적이고, 지속적인 OVEP의 교육적 실천의 중요성을 점검하고 IOC의 OVEP의 유일하고 지속적인 실천적 사례라 할 수 있는 K-OVEP의 교육적 특징과 의미를 점검하여 확장적인 실천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접근하였다.

K-OVEP은 올림픽과 올림픽가치를 중심으로 초등학교 고학년과 자유학기제 대상 중학교 1학년을 중심으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이 된 장기프로그램의 특성은 다음 네 가지로 정리하였다. 첫째, 올림픽이 지닌 다학문성을 통합적으로 접근한 가치 중심 학습이다. 둘째, 올림픽정신과 가치교육의 5가지 가치를 기반으로 전 과정의 모둠별 활동을 중심으로 서로 배려하고 협력하며 문제를 해결해 가는 인성 교육적 측면을 강조하고 있다. 셋째, 스포츠와 올림픽에 대한 다각적이고 심층적인 접근으로 한 분야에 대한 깊이 있는 경험제공으로 진로탐구의 기회를 준다. 넷째, 전 과정 학습자료를 수집하여 학습자의 학습과정을 확인할 수 있는 포트폴리오 제작을 기반으로 한 과정중심 학습이라는 특징이다.

이러한 K-OVEP을 2016년 학습자 187명을 대상으로 적용한 결과 아래와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K-OVEP 프로그램에 참여하여 교육을 받은 학습자들은 교육 전에 비해 한국에서 개최된 올림픽과 올림픽가치가 무엇인지에 대해 이해하게 되었으며, 다섯 가지 OVEP의 교육적 가치 역시 체득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스포츠 활동에 대한 관심과 관여도가 증가하였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초등프로그램의 경우 4차시만 수업에 참여하는 것으로 올림픽 가치를 체득하기에는 다소 부족한 것으로 밝혀졌다. K-OVEP 초등프로그램 <우리들의 스타디움>은 8차시의 수업을 통해 다섯 가지의 교육적 가치를 전달하고자 개발되었고, 연구 결과를 토대로 프로그램의 교육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모든 차시를 적용하는 것이 효과적이자, 8차시 설계의 효율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흥미요인은 신체활동 관련도에 따라 교육 효과가 상이한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학습시간과 학습에 대한 부담이 적은 초등학습자와 체육 분야 관여도가 이미 높았던 체육중학교 소속 학습자들에게서 흥미 영역의 문항에 교육 전후의 응답에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후속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주제를 다룰 수 있겠다. 먼저, 우리 교육과정에서 중요시하고 있는 ‘인성교육’에 초점을 맞추어 프로그램의 효용성 검토, 구체적인 학습자의 반응 및 효과에 대한 연구를 추진할 수 있다. 더불어, 중등 학습자를 대상으로 개발된 프로그램이 진로탐색에 미치는 영향을 통해, 진로교육의 관점에서도 본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해 볼 수 있다. 프로그램에 참여하면서 다양한 진로에 노출된 학습자들이 교육 전후 진로결정수준 등에 어떤 변화를 보였는지 알아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스포츠 관여도가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에 대한 추적조사도 실시해볼 수 있다. 이러한 과정 속에서 K-OVEP은 안정적으로 정착하고 확산될 수 있으리라 확신한다.

본 연구에는 K-OVEP의 도입 첫 해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운영 첫해인 만큼 4개교 187명만이 교육에 참여하여, 집단별 차이를 판단하기에는 학습자 수가 부족하고, 다양성이 충분히 확보되었다고 보기는 어렵다. 연구 결과를 일반화하기 위해서는 더욱 다양한 지역, 다양한 특징을 가진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며, K-OVEP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과의 비교를 통해 K-OVEP의 효과를 보다 확정적으로 판단할 필요가 있다. 또한, 교육에 참여한 학생들의 실제 신체활동 참여도에 어떤 변화가 일어났는지에 대한 실천적 효과에 대한 종단연구도 수행된다면 K-OVEP의 효과를 보다 다각적으로 분석할 수 있겠다.

신체 활동만을 중심으로 인식되어 온 스포츠 교육을 올림픽을 통해 보다 폭 넓은 시각으로 인간 삶의 가치에 접근할 수 있는 K-OVEP의 교육적 의미를 앞세워, ‘스포츠를 위한 교육’이 아닌 ‘스포츠를 통한 교육’으로 우리 교육환경에 정착되어야 할 것이다. K-OVEP의 관리와 운영 체계 속에서 지속적인 연구, 전문가 양성으로 확장되어야 할 것이다. 우선적으로 2016년 11월 IOC에서 OVEP 2.0버전의 K-OVEP 에 반영, 더욱 다양한 대상이 참여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로 평생교육차원으로 프로그램의 다변화와 고도화가 필요하다.

OVEP 진행보고서에 따르면, 스포츠와 더 넓은 차원에서의 체육교육은 인내, 결속력, 페어플레이, 평등, 포용, 우정, 존중, 탁월, 헌신, 충성과 용기와 같은 삶의 기술을 배울 수 있도록 끝없는 무대를 제공해야한다고 주장한다(IOC, 2010). 본 연구를 토대로 K-OVEP이 우리나라 스포츠 교육의 일환으로 더욱 견고히, 확고히 확장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Notes

1) IOC의 <교육가치: 올림픽교육 toolkit: 영문판>에서 제시하는 5가지 올림픽가치교육프로그램의 교육적 가치를 우리의 교육환경에 맞는 한글 용어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2) IOC에서는 2016년 11월에 도구상자 두 번째 에디션을 배포하였다.

Acknowledgements

본 연구는 <뮤지엄교육연구소(2015) 올림픽가치교육프로그램 개발 결과 보고. 서울:국민체육진흥공단> 미간행 보고서에서 일부 발제되었음.

References

1.

Athens 2004 Organising Committee for the Olympic Games S. A. (2005). Official report of the XXVIII olympiad, Athens: ATHOC.

Athens 2004 Organising Committee for the Olympic Games S. A. 2005. Official report of the XXVIII olympiad Athens: ATHOC;
2.

Atlanta Committee for the Olympic Games (1997). Official report of the centennial olympic games. Atlanta: Atlanta Committee for the Olympic Games.

Atlanta Committee for the Olympic Games. 1997. Official report of the centennial olympic games Atlanta: Atlanta Committee for the Olympic Games;
3.

Beijing Organising Committee for the Games of 25 Olympiad. (2010). Official report of the Beijing 2008 olympic games. 北京体育大学出版社.

Beijing Organising Committee for the Games of 25 Olympiad. 2010. Official report of the Beijing 2008 olympic games 北京体育大学出版社.
4.

Cho, K. B. (2011).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olympic education to physical education classes of secondary school,Unpublished master dissertation, Hanyang University.

Cho K. B.. 2011.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olympic education to physical education classes of secondary school et al. Hanyang University;
5.

Chang, J. I. (2008). Integrated art experience in the olympic park as the complex space of culture,Unpublished master dissertation, Korea University.

Chang J. I.. 2008. Integrated art experience in the olympic park as the complex space of culture et al. Korea University;
6.

Chang, Y. K. & Lee, J. T. (2017). Exploring the ordinary structure of elementary school physical education classes for character education, The Journal of Korea Elementary Education, 28(2),49-62.

Chang Y. K., et al, Lee J. T.. 2017;Exploring the ordinary structure of elementary school physical education classes for character education. Journal of Korea Elementary Education 28(2):49–62.
7.

Dewey, J. (1916). Democracy and Education, John Dewey: The Middle Works. Vol. 9.

Dewey J.. 1916. Democracy and Education John Dewey: The Middle Works. 9
8.

Geammarikopoulos, V., Papacharisis, V., Koustelios, A, Tsigilis, N. & Theodorakis, Y. (2004). Evaluation of the training program for Greek Olympic education,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Education Management, 18(1), 66-73.

Geammarikopoulos V., Papacharisis V., Koustelios A., Tsigilis N., et al, Theodorakis Y.. 2004; Evaluation of the training program for Greek Olympic education 18(1):66–73.
9.

Hong, E. K. (2013), Olympic Education in Korea. Deutsche Sporthochschule Köln.

Hong E. K.. 2013. Olympic Education in Korea Deutsche Sporthochschule Köln.
10.

Institute of Museum Education. (2015), Report on the development of Korean version of the olympic value Education Program, Unpublished Report, Seoul: KSPO.

Institute of Museum Education. 2015. Report on the development of Korean version of the olympic value Education Program et al. Seoul; KSPO:
11.

IOC. (2007). Teaching values-an olympic education toolkit, Lausanne: IOC.

IOC. 2007. Teaching values-an olympic education toolkit Lausanne: IOC;
12.

IOC. (2008). Olympic Charter, Lausanne: IOC.

IOC. 2008. Olympic Charter Lausanne: IOC;
13.

IOC. (2010). Olympic values education programme Progress Report 2005-2010. Lausanne: IOC.

IOC. 2010. Olympic values education programme Progress Report 2005-2010 Lausanne: IOC;
14.

IOC & WTP OVEP Oraganising Committee. (2011). Teaching olympic value: an olympic education toolkit, Seoul: Taekwondo Promotiom Foundation.

IOC & WTP OVEP Oraganising Committee. 2011. Teaching olympic value: an olympic education toolkit Seoul: Taekwondo Promotiom Foundation;
15.

IOC. (2011). Olympic values education programme.Lausanne: IOC.

IOC. 2011. Olympic values education programme Lausanne: IOC;
16.

IOC. (2014). Olympic Charter, Lausanne: IOC.

IOC. 2014. Olympic Charter Lausanne: IOC;
17.

IOC. (2016a). FACT SHEET: Olympic values education programme. Lausanne: IOC.

IOC. 2016a. FACT SHEET: Olympic values education programme Lausanne: IOC;
18.

IOC. (2016b). The Fundamentals of Olympic Values Education. Lausanne: IOC.

IOC. 2016b. The Fundamentals of Olympic Values Educat Lausanne: IOC;
19.

IOC. (2016c). Delivering OVEP: A Practical Guide to Olympic Values Education. Lausanne: IOC.

IOC. 2016c. Delivering OVEP: A Practical Guide to Olympic Values Education Lausanne: IOC;
20.

IOC. (2016d). Activity Sheets. Lausanne: IOC.

IOC. 2016d. Activity Sheets Lausanne: IOC;
21.

Jang, J. H. (2007). Pedagogy of olympism, Seoul: Korea Olympic Academy.

Jang J. H.. 2007. Pedagogy of olympism Seoul: Korea Olympic Academy.
22.

Jeon, D.R. (2015), A study on cooperative learning-based character education plans in the subject of art in middle school: With a focus on the LT cooperative learning model, Unpublished master dissertation, Sookmyung Women’s University.

Jeon D.R.. 2015. A study on cooperative learning-based character education plans in the subject of art in middle school: With a focus on the LT cooperative learning model et al. Sookmyung Women’s University;
23.

Kang S. P.: His Olympic Academic Movement. (2010). Korea culture and Seoul Olympic Studies, Seoul: The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Kang S. P.. His Olympic Academic Movement. 2010. Korea culture and Seoul Olympic Studies Seoul: The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24.

Kang, Y. I. & Nam, S. H. (2014), The effects of noncompetitive cooperation game adapted physical Education on students' personality, Journal of Elementary Education, Vol.30, No.2.

Kang Y. I., et al, Nam S. H.. 2014;The effects of noncompetitive cooperation game adapted physical Education on students' personality. Journal of Elementary Education 30(2)
25.

Kim, D. H. (2008). Introduction to korean olympic education program, 2008 busan 6th world olympic education forum announcement, IOC.

Kim D. H.. 2008. Introduction to korean olympic education program. 2008 busan 6th world olympic education forum announcement IOC;
26.

Kim, D. K. & Shin, H. K. (2009). Sport philosophy: action plans of olympism as a new national campaign, Philosophy of Movement: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 Society for Sport and Dance, 17(4), 81-96.

Kim D. K., et al, Shin H. K.. 2009;Sport philosophy: action plans of olympism as a new national campaign. Philosophy of Movement: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 Society for Sport and Dance 17(4):81–96.
27.

Kim, G. S., Kim, J. P. Kim, K. S. & Song, I. H. (2010). A study on the physical education policy according to the national curriculum of physical education (NCPE), The Journal of Martial Arts, Institute of Martial Arts Yongin University, 21(1), 15-30.

Kim G. S., Kim J. P., Kim K. S., et al, Song I. H.. 2010;A study on the physical education policy according to the national curriculum of physical education (NCPE). The Journal of Martial Arts, Institute of Martial Arts Yongin University 21(1):15–30.
28.

Kim, N. G. (2011). The process of adapting alienated students in physical education: by using humanities-oriented physical education, Journal of Research in Curriculum Instruction, 15(2), 451-472.

Kim N. G.. 2011;The process of adapting alienated students in physical education: by using humanities-oriented physical education. Journal of Research in Curriculum Instruction 15(2):451–472.
29.

Lee, I. H. (2016). A study on construction of objectives and contents in sports history education, Unpublished Ph. D. disserta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Lee I. H.. 2016. A study on construction of objectives and contents in sports history education et al.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30.

Lee, J. S. (2011). Korean journal of 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 studies, korean journal of 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 Studies, 25(6),375-420.

Lee J. S.. 2011;Korean journal of 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 studies. korean journal of 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 Studies 25(6):375–420.
31.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09). 2009 Revised Curriculum Introduction to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Curriculum, Seoul: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No. 41, 2009.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09. 2009 Revised Curriculum Introduction to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Curriculum Seoul: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No. 41, 2009.
32.

Ministry of Education &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2014). Comprehensive manual of free semester system. Jincheun: KED.

Ministry of Education &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2014. Comprehensive manual of free semester system Jincheun: KED;
33.

Ministry of Education (2015). 2015 Revised Curriculum Introduction to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Curriculum, Seoul: Ministry of Education. No. 80, 2017.

Ministry of Education. 2015. 2015 Revised Curriculum Introduction to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Curriculum Seoul: Ministry of Education; No. 80, 2017.
34.

Ministry of Education & Korea Institute of Curriculum & Evaluation (2017). The Performance Assessment of Middle School, How can I do?, Seoul: KICE

. Ministry of Education & Korea Institute of Curriculum & Evaluation. 2017. The Performance Assessment of Middle School, How can I do? Seoul: KICE;
35.

Park, H. S. (2012). A study on revitalization of seoul olympic museum, Unpublished master dissertation, Chung-ang University.

Park H. S.. 2012. A study on revitalization of seoul olympic museum et al. Chung-ang University;
36.

Park, H. Y. (2016). A study on the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of high school focusing on pictogram production activities, Unpublished master dissertation, Sookmyung Women’s University.

Park H. Y.. 2016. A study on the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of high school focusing on pictogram production activities et al. Sookmyung Women’s University;
37.

Park, J. I. (2014). The Study on Creativity and Personality Teaching Adapted Cooperative Learning Model (Centered on Basketball class), Unpublished master dissertation, Chonnam National University.

Park J. I.. 2014. The Study on Creativity and Personality Teaching Adapted Cooperative Learning Model (Centered on Basketball class) et al. Chonnam National University;
38.

Peneva, B. (2009). Functions of olympic education in contemporary school. Sport Science, 2(1), 31-34.

Peneva B.. 2009;Functions of olympic education in contemporary school. Sport Science 2(1):31–34.
39.

Roh J. H. (2015). Case study on seoul olympics for history education in elementary social studies, Unpublished master dissertation, Sogang University.

Roh J. H.. 2015. Case study on seoul olympics for history education in elementary social studies et al. Sogang University;
40.

Shin, H. G. (2008). Sport Philosophy: A study on illuminating olympism as the foundations of olympic, Movement and Olympic Education, 16(4), 137-154.

Shin H. G.. 2008;Sport Philosophy: A study on illuminating olympism as the foundations of olympic. Movement and Olympic Education 16(4):137–154.
41.

Shin, H. G. (2014).Olympic value education project and its philosophical and educational significance, Korea Sport Society, 12(1), 83-96.

Shin H. G.. 2014;Olympic value education project and its philosophical and educational significance. Korea Sport Society 12(1):83–96.
42.

Song, C. Y., Jang, H. J., Kim, N. R., Kim, M. K., Yoon, S. L., Park, B. N. & Kim, J. H. (2014). 2014 Survey on school career education. Seajong: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Song C. Y., Jang H. J., Kim N. R., Kim M. K., Yoon S. L., Park B. N., et al, Kim J. H.. 2014; 2014 Survey on school career education Seajong: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43.

Sydney Organising Committee for the Olympic Games. (2001). Official report of the XXVII olympiad, sydney: sydney organising committee for the Olympic Games.

Sydney Organising Committee for the Olympic Games. 2001. Official report of the XXVII olympiad, sydney: sydney organising committee for the Olympic Games
44.

Taekwondo Promotion Foundation (2010). Report on the 2th world youth taekwondo camp, Seoul: Taekwondo Promotion Foundation.

Taekwondo Promotion Foundation. 2010. Report on the 2th world youth taekwondo camp Seoul: Taekwondo Promotion Foundation;
45.

The London Organising Committee of the olympic Games and Paralympic Games Limited (2013). London 2012 olympic games official report. London: LOCOG.

The London Organising Committee of the olympic Games and Paralympic Games Limited. 2013. London 2012 olympic games official report London: LOCOG;
46.

Yoo, J. E. (2013). Effects of levels of structured team toward students' cognitive load, academic achievement, and satisfaction, Unpublished master dissertation, Korea University.

Yoo J. E.. 2013. Effects of levels of structured team toward students' cognitive load, academic achievement, and satisfaction et al. Korea University;

Article information Continued

Table 1.

Research participants

School Grade Time Participants Total
Elementary(1) 4 80M * 4 76 99
Elementary(2) 5 80M * 8 23
Middle(1) 1 90M * 8 58 88
Middle(2) 1 90M * 8 30

Table 2.

Questionnaire Design

Categories Questions
Cognition
(4)
Olympic Values
Olympic Games
Seoul Olympic Games
Pyeongchang Olympic Games
Values
(5)
Joy of Effort
Fair Play
Respect for Others
Pursuing Excellence
Balance of Body, Mind, and Will
Interest
(2)
Interest in Sports
Involvement in Sports Activities

Table 3.

K-OVEP programs

Program Target Location
Long-term
(2 periods*
8 times)
Our Stadium Upper graders of
elementary school
Participat
ing
schools
Researching
Global Culture
Middle school
students
Olympic Board
Game
Short-term
(120-180
mins)
Olympic
Supporters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oul
Olympic
Museum
UCC Olympic Middle school
students

Fig. 1.

The variety of subjects within the curriculum that can be referenced to Olympism

Fig. 2.

Activity Sheet about the Olympic Rings

Table 4.

Curriculum of <Our Stadium>

No. Topic Content
1 Shall We Get
Started?
Create game and play
Game/play is the sports
2 The Olympic Games
- Everyone Enjoys!
the purpose and characteristic of
the Olympic Games
3 Running Together! Learn about various
Olympic events
4 I Want to Meet! Learn and become interested in
the Olympic athletes.
5 Fair Play as a Promise The importance of fair play Various cases of fair play
6 Go! Paralympics Learn about the Paralympics
Play paralympics events
7 Symbols Holding
Olympic Value
Creating a symbolic object
encompassing the Olympic value
8 At Our Stadium The contribution of the Olympic
Games on the world peace

Table 5.

Curriculum of the <Researching Global Culture>

No. Topic Content
1 Another Start,
Rio!
Olympic host cities and landmarks
Favela painting project in Rio
2 Promise for a
Sustainable Society,
London
Sustainability of London Olympics
Plan an eco-friendly sports day
3 Coexistence of
History and
Growth, Beijing
Opening ceremony and 4 inventions
Civic consciousness
4 Fairly from a very
long time ago,
Athenes
Ancient Olympics and fairplay
Design pictograms
5 Living Together,
Sydney
Aboriginal culture of Austrailia
Joy of living together
6 Preparation for the
Safe Life, Atlanta
Safety problems in the Olympics
School safety check
7 Arts and Olympic
Feasts, Barcelona
Heritage value of art city
Make a stadium model
8 For the world to
be one, Seoul
A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Seoul Olympics
Create Olympic brochures

Table 6.

Curriculum of the <Olympic Board Game>

No. Topic Content
1 Start of the game IOC, Plan for the Olympics
Preparation for board games
2 Find the Olympic
Venues
History of the Olympic games
Design the board game
3 Esthetics of
Movement
Various Olympics events
Make game cards
4 Le CAF spirit Athletes’ efforts and sports spirit
Create a rule based on Fairplay
5 Olympic Superstar Olympic related occupations
Make board game tools
6 Olympics Together Learn about the Paralympics
Completing the board game
7 Preparation for the
Birth of a Hero
Understand the Olympic symbols
Make posters promoting the game
8 Opening of the
Board Games
Opening ceremony of the board
game Olympics and play games

Table 7.

Descriptive Statistics (elementary school students)

Categories Pre-test Post-test
M SD Min Max M SD Min Max
Cognition 3.23 1.08 1.00 5.00 4.15 .75 1.25 5.00
Values 3.81 .72 1.60 5.00 4.13 .65 2.80 5.00
Interests 3.93 .91 1.50 5.00 4.17 .87 1.50 5.00

Table 8.

Independent t-test (elementary school students)

Categories Questions t df p
Cognition
(4)
Olympic Values -9.163 164.786 .000
Olympic Games -5.617 169.624 .000
Seoul Okympics -5.037 17.3.292 .000
Pyeongchang Olympics -3.206 189.616 .001
Cognition -6.901 175.100 .000
Values
(5)
Joy of Effort -1.993 193 .024
Fair Play -2.088 193 .019
Respect for Others -1.851 193 .033
Persuing Excellence -2.621 193 .005
Balance -3.312 193 .001
Values -3.234 193 .001
Interest
(2)
Interest -1.707 193 .045
Involvement -1.487 193 .069
Interest -1.821 193 .035

Table 9.

Descriptive Statistics (elementary school students)

Categories Pre-test Post-test
M SD Min Max M SD Min Max
Cognition 3.64 .91 1.00 5.00 4.53 .75 1.00 5.00
Values 4.03 .61 2.80 5.00 4.57 .58 3.00 5.00
Interests 3.84 .98 1.50 5.00 4.40 .84 1.50 5.00

Table 10.

Independent t-test (middle school students)

Categories Questions t df p
Cognition (4) Olympic Values -9.119 146.769 .000
Olympic Games -4.388 170 .000
Seoul Okympics -6.083 154.173 .000
Pyeongchang Olympics -3.892 170 .000
Cognition -7.016 166.410 .000
Values (5) Joy of Effort -4.427 170 .000
Fair Play -4.792 170 .000
Respect for Others -4.650 170 .000
Persuing Excellence -5.498 170 .000
Balance -4.592 170 .000
Values -5.792 170 .000
Interest (2) Interest -3.187 170 .001
Involvement -4.162 170 .000
Interest -4.021 170 .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