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교육학 분야의 연구동향과 지적구조 분석

Mapping the Knowledge Structure of Sport Pedagogy Field

Article information

Korean J Sport Sci. 2015;26(3):445-460
Yonsei University
연세대학교
* 이한주(hlee@yonsei.ac.kr).
Received 2015 August 31; Accepted 2015 September 10.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스포츠교육학회지와 체육과학연구에 발표된 문헌을 이용하여 스포츠교육학분야의 지식구조를 조사하는 것이다. 연구문제는 스포츠교육학 분야의 (1)주요 연구주제는 무엇인가 (2)연구주제는 기간별로 구조적 형태(pattern) 변화가 나타나는가, 그리고 (3)지식구조를 구성하는 연구자들의 네트워크(central theme)는 무엇인가? 이다. 2006년부터 2015년까지 발표된 341편의 논문에 나타난 1301개의 키워드와 14826개의 인용문헌을 계량서지학과 사회연결망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체육수업, 교육과정, 교사교육의 세 영역에 연구관심이 집중되었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신체활동, 체육교사, 실행연구, 학교스포츠클럽관련 연구도 키워드 네트워크의 중앙에 위치하여 주요 주제임을 보여 주었다. 또한 10년의 연구들을 5년 단위 기간별로 분석한 결과 체육수업, 교육과정, 교사교육을 중심으로 한 전체적인 연구주제 구조는 크게 다르지 않았는데 체육수업, 신체활동, 실천적 지식을 내용으로 한 연구는 스포츠교육학계의 중요한 관심사로 이전 5년 기간보다 성장하였다. 인용문헌 분석결과 최의창(2010a)의 인문적 체육교육과 하나로수업과 유정애(2007)의 체육교육과정 총론은 연구자들의 지식 생산과 확장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문헌들이었다.

Trans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structure of knowledge in Sport Pedagogy field. Using bibliometric and social network analysis this study analyzed the keywords and citations appeared in Korean Journal of Sport Pedagogy and Korean Journal of Sport Science during 2006-2015 period. Total of 341 research papers which include 1301 keywords and 14826 citation were analyzed utilizing social network analysis as well as keywords frequency analysis, keyword co-occurrence, citation and co-ictation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eaching, curriculum, and teacher education were three central theme in Sport pedagogy field. Key words such as physical activity, PE teacher, action research, and after school sport club activity were prominent research interests for scholard in the field. Quadradic Assignment Procedure analysis showed major research interests has not been changed between two periods of 2006-2010 and 2011-2015. Choi(2010)'s and You(2007)' books were most cited individual work and have influenced sport pedagogy researchers over the five years.

서 론

스포츠 교육학은 스포츠와 체육 현장에서 나타나는 교사/지도자와 학습자/운동 참여자들의 상호작용과정에 대한 과학적 연구와 현장개선을 탐구하는 학문이다. 스포츠와 체육현장을 이해하고 해석하는 관점과 패러다임에 따라 연구자들은 스포츠교육학 분야의 독특한 지식구조를 구축하기 위해 다양한 연구를 진행해왔다.

스포츠교육학에 대한 연구는 일반적으로 교육과정(curriculum), 교사교육(teacher education), 교수학습(teaching) 이라는 세 개의 하위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Silverman & Ennis, 1996). 세 영역이 조금은 중복되지만 연구초점은 다르다. 예를 들어, 교육과정에 대한 연구는 주로 무엇을 가르치고 배우는가와 교과내용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에 초점을 두고 있다. 교사교육관련 연구는 교사교육프로그램 입문 전부터 교직 은퇴까지 교사 훈련과 전문교사로서의 성장과 발달을 주로 연구한다. 교수학습 연구는 교수자의 수업설계와 그로인한 학습자의 학업성취 결과들 그리고 학습과정에서 나타나는 상호작용과 수업관련 다양한 생태학적 변인들에 초점을 두고 있다.

스포츠교육학 연구는 교육적 맥락이 다양하고 폭넓게 변함에 따라 다양한 스펙트럼을 그리며 연구영역이 확장되었다. 예를 들어, 강신복(2003)은 교육과정, 교사교육, 교수학습과 같은 스포츠교육학의 전통적인 연구영역인 학교체육의 경계를 넘어서는 연구를 주장하였다. 그는 사회체육과 전문체육에서 나타나는 교육적 현상이 스포츠교육학이 탐구하는 내용과 다르지 않기 때문에 학교체육, 사회체욱, 전문체육을 포괄하는 내용의 적극적인 연구활동과 연구영역 확장을 주장하였다. 유사하게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Physical Education in Higher Education(2012)는 스포츠교육학의 목적은 체육/스포츠/운동에 참여하는 다양한 사람들의 전생애적 신체활동 요구를 지원하는 것이며 전방위적이고 이음새 없는 지원을 위해 융합적 연구가 촉진되어야함을 강조하였다. 연구영역 확장에 따라 발표된 연구량도 증가하였다.

스포츠교육학 연구의 영역확장과 그에 따른 양적증가를 감안할 때 스포츠교육학에서 진행되어왔던 논문들을 체계적이며, 종합적인 분석을 통해 정리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왜냐하면 스포츠교육학분야에 발표된 연구논문들을 체계적으로 분석함으로써 학문적 성과(예, 어떠한 연구들이 진행 되었는지) 및 연구의 공백(예, 어떠한 연구가 빠졌는지) 그리고 전반적인 발전방향(예, 다음 연구는 무엇이어야 하는지)에 대한 조망이 가능하기 때문이다(강신복, 2003; Buswell et al., 2001; Silverman & Skonie, 1997). 즉 스포츠교육학의 지식구조를 조망하는 리뷰연구 또는 연구 동향 분석이 필요한 시점이다.

스포츠교육학 분야에서 이루어진 연구 동향 분석은 미국의 스포츠교육학 저널인 Journal of Teaching in Physical Education (JTPE) 분석(Ward & Ko, 2006), 대학원 박사학위논문분석 (Silverman & Manson, 2003), 그리고 데이터베이스에 나타난 연구물 분석(Kulinna et al., 2009) 등이 대표적이다. 예를 들어, Ward & Ko (2006)은 1981년부터 2005년도 까지 발표된 JTPE 논문분석을 통해 교사교육(20%)과 교수학습 (21%), 전문성 신장(11%), 교육과정(8%)이 연구의 주 내용이었음을 보고하였다. Silverman & Manson(2003)은 1985년부터 1995년까지의 박사학위논문을 분석 하였는데, 대부분의 연구가 운동학습과 교수방법의 효과관련 주제였으며 질적연구방법이 증가되었음을 보고하였다. Kulinna et al. (2009)은 1995년부터 2005년까지 94개 저널에 발표된 469편의 연구논문들을 분석하였는데, 교수학습 분야 연구가 65.31%이었으며 교육과정분야는 19.24%, 교사교육 분야 연구는 15.45%라고 보고하였다. 그리고 논문이 가장 많이 발표된 저널은 JTPE(14.38%)와 Physical Educator(9.00%)이었으며 건강과 의학 관련 논문인 Journal of School Health(1.1%)나 Preventive Medicine(0.77%)에 조금씩 논문이 발표되고 있다고 보고하였다.

우리나라 스포츠교육학 연구자들도 학문적 성과 및 연구경향 분석을 통하여 스포츠교육학 분야의 지식생산과 지식구조를 이해하였다. 예를 들어 강신복(2003)은 한국스포츠교육학 연구는 크게 학교체육, 사회체육, 전문체육 영역에서 다양한 주제를 연구하여 왔으나 학교체육 중심의 연구가 지배적이라고 보고하였다. 그리고 향후과제로 이론과 실제의 문제, 연구 패러다임의 문제, 그리고 학문 자립성의 문제 등을 해결하기 위한 노력이 시급하다는 것을 지적하였다. 최의창(2001)은 질적연구자의 수와 논문이 양적으로 증가하였고, 주제별 연구장르는 교사사회화, 체육교육과정 개선 및 변화, 체육교육에서의 남녀불평등, 체육교사지식 및 전문성, 반성적 수업과 현장개선 연구 등이 주로 행해졌다고 보고하였다. 이한주 등(2012)는 스포츠교육학 질적연구의 대표적인 키워드는 체육교육과정이었으며 대학을 중심으로 연구자 네트워크가 지식생성체계를 형성하고 있다고 보고하였다. 요약하면, 스포츠교육학 분야의 지식구조 관련 선행연구들은 주로 연구내용과 방법을 분석하였는데, 연구주제와 관련하여 교수학습, 교육과정, 교사교육이 주로 연구되었고, 연구방법과 관련하여 질적연구 논문의 양이 증가하였다고 보고하였다.

그러나 선행연구들이 우리나라 스포츠교육학분야의 지식체계와 지식생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지만, 이런 분석에 관한 선행연구들은 몇 가지 제한점이 있다. 첫째, 스포츠교육학 분야의 지식구조 탐색을 위한 연구물 분석과 이해가 주관적으로 진행되었다. 선행연구들이 실행한 연구경향에 대한 분류와 분석은 빈도 분석 등을 통한 기술통계를 이용하여 수치를 제공하였지만 객관적인 분류와 분석 기준에 의문점을 제기하였다. 교육과정 관련 연구와 교수학습 관련 연구는 중복되는 부분이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어떤 기준으로 교육과정 혹은 교수학습 연구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는지에 대한 정보는 보고되지 않고 있다. 예를 들어, 개정 교육과정은 학습자 중심교육(예, 스포츠교육, 협동학습 등)을 강조하는데, 개정교육과정하에서 협동학습을 이용한 수업효과에 대한 연구는 교육과정관련 연구물로 분류하였는지 교수학습으로 분류하였는지 알 수가 없다. 선행연구들이 객관적인 분류 기준을 제시하지 못하였다는 말이다.

둘째, 선행연구들의 연구동향 분석과 이해는 주로 연구물들의 내용과 방법에 대한 것으로 스포츠교육학 연구의 진화 및 확산을 통해 새롭게 이루어진 지식구조를 구체적으로 파악하기 어렵다. 선행 연구들은 스포츠교육학 연구들의 연구방법을 분류하여 질적연구가 얼마나 되고 혼합연구가 얼마나 되는지를 파악하거나 연구주제를 분류하여 교육과정관련 연구가 일정기간동안 얼마나 진행되었으며 교사교육관련 연구는 얼마나 발표되었는지를 분석하였다(김승재, 2003). 그러나 이러한 연구들은 일정한 기간 동안에 변화하거나 진화된 연구의 동향을 파악하지 못했다. 왜냐하면 연구는 사회적 맥락과 함께 변화/진화함에도 연구자들은 변화/진화과정에 대한 고려없이 일정 기간의 연구결과를 하나의 시점으로 분석하였기 때문이다. 지난 10년간의 연구물을 5년단위 혹은 2.5년단위로 구분하여 분석한다면 전기5년과 후기 5년의 지식 혹은 1/4분기와 4/4분기의 지식이 어떻게 다르게 생성되었고 변화/진화 하는지에 대한 이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다시 표현하면 선행연구들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연구주제의 생성과 변화 등에 대한 설명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셋째, 선행연구들은 어떠한 연구주제들이 혹은 어떤 연구자들이 스포츠교육학 지식구조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한 분야의 지식구조를 생성하고 발전시키는 주체가 연구자와 연구물이라는 점에서 연구자와 논문을 통해 연구자 혹은 논문의 영향력과 공헌을 가늠해 볼 수 있다(장덕희와 양정모, 2009; 정연경, 2011). 그리고 연구자들과 연구물은 개인의 업적에 대한 정보뿐만이 아니라 공통적인 연구주제에 학문적 관심을 갖는 연구자들의 네트워크, 그들의 관계적 특성과 경향, 그리고 지식구조 발전 과정 등에 대한 중요한 정보와 기초자료를 제공한다. 따라서 스포츠교육학 분야에서 지난 10여 년간 활발히 연구 활동을 한 연구자들과 그들의 연구 논문을 분석하는 작업이 필요함이 제기된다.

선행연구의 제한점을 요약하면, 연구 내용에 대한 분류가 주관적이며, 연구주제의 변화와 진화에 대한 설명 부재, 영향력 있는 연구자와 연구물을 나타내는 학문적 네트워크를 분석한 연구가 진행되지 않았다. 따라서 이 연구의 목적은 스포츠교육학 지식구조의 지형을 탐색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2006년부터 2015년까지 스포츠교육학회지와 체육과학연구에 발표된 스포츠교육학관련 연구물을 분석하여 지난 10년간 체육과학연구에 발표된 스포츠교육학 관련 연구물을 분석하여 이 분야의 지식구조를 설명할 것이다.

이 연구는 스포츠교육학 연구동향 또는 지식구조를 탐색했던 선행연구들과 연구방법론에서 다르다. 즉 이 연구는선행연구들의제한점을(예, 연구내용의주관적분류, 연구 진화와 변화에 대한 설명 부재, 연구물들의 영향력 설명부재) 극복하기 위하여계량서지학적 (bibliometric)분석 방법과 사회연결망 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계량서지학적 분석은 키워드 빈도분석, 저자 동시인용분석, 공저자 분석 등 다양한 기법을 이용해 연구물의 특징을 이해하는데, 양적 계량 지표를 사용함으로써 보다 객관적이고 구체적인 연구동향를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키워드 분석을 통해 주요 연구주제가 무엇인지를 이해할 수 있으며 인용문헌 분석 등을 통해 연구자 또는 연구주제들 사이의 영향력과 관계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연결망 분석은 네트워크로 형성된 키워드와 인용문헌들 간의 관계를 구조적으로 분석하여 연구주제의 의미 구조를 파악 한다(김용학, 2003). 이 연구는 키워드/인용문헌 간의 네트워크 관계를 통해 영향력 있는 연구주제나 핵심 저자들 간의 네트워크 구조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를 이끌어 가는 연구문제는: 지난 10년 동안 스포츠교육학회지와 체육과학연구가 형성한 지식구조에서 스포츠교육학 분야의 (1) 주요 연구주제는 무엇인가 (2) 연구주제는 시기별로 구조적 형태 (pattern) 변화가 나타나는가, 그리고 (3) 지식구조를 구성하는 연구자들의 네트워크는 무엇인가? 이다.

연구방법

연구자료

이 연구는 2006년부터 2015년까지 스포츠교육학회지와 체육과학연구에 발표된 스포츠교육학 관련 연구물을 연구자료로 이용하였다. 구체적으로 스포츠교육학회지와 체육과학연구에 지난 10년간 게재된 341편의 (스포츠교육학회지 N=307, 체육과학연구 N=34) 스포츠교육학 관련 논문을 연구 자료로 활용하였다. 연구자료는 636명의 연구자와 1301개의 연구자 제시 키워드 그리고 14826개의 참고문헌 리스트를 포함하고 있다.

자료수집

자료수집은 스포츠교육학회지와 체육과학연구 편집실로부터 2006년부터 2015년까지 발표된 연구 논문 전수(population)를 수집하였다. 수집한 논문들로부터 키워드와 인용문헌을 추출하여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개체(node)로 코딩하였다. 하나의 개체로 사용하기 위해 키워드는 약간의 표준화 작업을 진행한 후 코딩하였다. 예를 들어 저자들이 각각의 논문에서 제시한 키워드 중 체육교육과정, 체육과교육과정, 교육과정의 세 단어는 동일한 의미라고 판단하여 교육과정으로 표준화하여 하나의 개체로 사용하였다. 그리고 같은 방식으로 체육수업과 체육교육은 체육수업으로, 체육교사교육과 교사교육은 교사교육으로 표기하여 표준화하였다. 표준화를 실행한 이유는 동일한 의미를 나타내는 키워드는 동일한 하나의 개체로 인식하여 분석을 해야 하기 때문이다.

자료 정제를 위한 또 다른 작업은 수집한 자료들에 포함된 각 논문 연구자들의 인용 참고문헌들을 한국학술정보(Korean 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및 한국학술지인용색인(Korea Citation Index)를 통해 인용문헌의 정확성을 다시 확인하는 것이었다. 구체적으로, 저자의 이름, 발행연도, 제목 등에서 오기가 발견되었는데, 그대로 사용할 경우 동일한 하나의 개체를 서로 다른 것으로 인식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오기를 수정하고 인용문헌들을 이름과 연도로 조합하여 id를 부여한 후 인용문헌 리스트를 만들어 한국학술정보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정확성을 확인하고 코딩하였다.

자료분석

이 연구는 계량서지학적 분석 방법과 사회연결망 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문제 (1)과 (2)는 빈도분석과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그리고 Quadratic Assignment Procedure(QAP)를 실행하였으며, 연구문제 (3)은 군집분석과 다차원 분석을 하였다.

일반적으로 키워드분석과 인용분석은 주로 빈도분석을 통해 연구물에 많이 출현했던 주요어 또는 키워드나 인용된 논문수를 파악하는 것이다. 키워드는 저자들이 자신의 논문에서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한 내용이나 개념을 선별하여 제시한 것이다. 즉, 키워드는 연구자들이 고심 끝에 선정한 4-5개의 연구 핵심어로, 연구의 주요한 내용을 파악할 수 있다. 나아가 한 학문분야에서 빈번하게 나타나는 논문의 키워드들은 그 학문분야의 중점 연구주제와 지식의 총체를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스포츠교육학에서 어떠한 키워드들이 많이 나타나고, 각각의 키워드들이 연결되어 있는 관계를 파악하면 스포츠교육학 분야에서 나타나는 주요 연구주제 뿐만 아니라 스포츠교육학 분야의 지식이 어떻게 구성되었는지를 파악할 수 있다.

키워드는 연구의 내용을 요약한 핵심단어들이며 인용논문들은 학문적인 영향을 받았음을 나타낸다. 따라서 키워드분석과 인용분석은 일정기간동안 주로 연구되었던 내용이나 핵심적인 논문을 많이 발표한 활동적인 연구자를 나타낼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분석은 단편적인 정보만을 제시하기 때문에 유사한 연구들간의 연관성으로 인해 만들어지는 조합된 키워드나 유사한 내용을 연구하는 연구자그룹의 지식체계를 구체적으로 파악하지는 못한다. 따라서 연구자들은 계량서지학적 분석 방법과 사회연결망 분석 방법을 적용하여 동시출현키워드 분석과 동시인용분석을 실행하였다. 이 방법을 통해 학문분야의 하위주제영역을 파악할 수 있었으며 하위주제영역관련 연구자들의 군집형성을 파악하였다 (김희진과 조현양, 2010).

동시출현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은 연구물에서 표시한 키워드간의 관계를 분석하는 것으로 연구주제를 파악하여 연구키워드가 유사한 연구물들을 근거로 연구경향을 분석하는데 용이하다 (김용학과 유소영, 2013; White, 2011). 동시출현키워드는 2개 이상의 키워드가 동시에 나타나는 연구물들을 말하며 이러한 문헌은 연구이론과 주요 연구내용이 부분적으로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가정한다. 즉, A연구와 B연구의 키워드 중 하나의 키워드가 일치한다면 A와 B의 연구주제가 유사하다고 확신할 수 없지만 A연구와 B연구에서 2개 이상의 키워드가 동일하다면 A연구와 B연구는 일부분 유사한 연구주제를 갖고 있는 관계로 생각할 수 있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A연구의 키워드가 체육수업과 창의성이고 B 연구의 키워드가 체육수업과 SPARK 프로그램이라면 A와 B 연구는 전혀 다른 맥락의 체육수업을 의미하지만, A 연구가 체육수업, 창의성, 신체활동의 키워드를 B연구가 체육수업, SPARK 프로그램, 신체활동의 키워드를 갖고 있다면 A와 B연구는 일부분 중첩된 연구내용이 있다고 가정할 수 있다.

동시인용분석도 유사한 가정을 한다. 2개 이상의 동시인용 문헌들이 나타나는 연구물은 인용문헌으로부터 영향을 받았음을 의미한다. 그리고 인용문헌들이 내용면에서 서로 관계가 있음을 가정한다(Acedo, et al., 2001: 김재욱 등 2008에서 재인용). 즉 A연구와 B연구가 선행연구 가와 나를 동시에 인용하고 있다면 연구 가와 나는 서로 관계가 있는 문헌들이며 A와 B연구에 영향을 미쳤기 때문에 A연구와 B연구는 연구 내용이 유사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즉 이러한 분석 방법은 스포츠교육학 분야의 지식구조와 지식생성관계에 영향력을 갖는 연구내용 그룹이나 연구자 네트워크와 그들의 연구물들을 설명할 수 있다. 동시출현키워드와 동시인용을 이용한 네트워크 분석은 경제학 (곽선영과 정은경, 2012), 기술경영 (고재창 등, 2013), 마케팅(김재욱 등, 2008), 관광(Benkendorff & Zehrer, 2013)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동향 관련 연구가 진행되었다.

따라서 연구문제 (1)은 기술통계와 연결망분석을 통해 10년간(2006-2015) 의 연구물에 제시된 키워드의 빈도와 중앙성 지표 값을 산출하였다. 연구문제 (2)는 연구문제 (1)의 분석결과를 5년 단위(2006-2011과 2011-2015)로 기간을 나누어 재분석하였다. 5년단위로 주요키워드의 빈도와 중앙성값, 그리고 시각화된 그림을 제시하여 기간에따라 연구주제 변화가 있는지를 비교하였다. 또한 두 기간에 나타난 키워드 네트워크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유사성이 있는지 QAP분석을 하였다. 연구문제(3)은 군집분석(cluster analysis)과 다차원분석(multi-dimensional scaling)을 이용해 유사한 키워드 집단들과 연구자 집단들이 구성하는 핵심군집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이 연구는 2006년부터 2015년까지 스포츠교육학회지와 체육과학연구지에 나타난 키워드와 인용문헌 분석을 통해 스포츠교육학 지식구조를 조사하였다. 또한 동시출현키워드 네트워크와 동시인용 네트워크 분석을 이용하여 키워드간의 관계 그리고 인용문헌간의 관계를 분석하여 연구주제들 간의 관계로 조합된 지적구조를 탐색하였다.

이 연구에서 분석한 논문은 341편이었으며 636명의 각기 다른 저자를 포함하고 있었다. 단독저자의 논문이 40%이었고 2인 이상 공동저자의 논문이 60%이었다. 분석자료는 7인 공동저자의 논문도 1편을 포함하고 있었다.

논문에 제시된 총 키워드 수는 1301개 이었으며 논문에 중복 사용되지않은 각기 다른 키워드 수는 911개이었다. 3개의 키워드를 제시한 논문이 33%, 4개의 키워드를 제시한 논문이 27%, 5개의 키워드 제시논문은 25% 이었고, 가장 많은 7개의 키워드를 제시한 논문은 5편이었다. 분석한 논문들은 이 연구의 또 다른 자료인 14826개의 인용문헌을 포함하였다.

주요 연구주제

1) 키워드 빈도 분석(Keyword Analysis)

이 연구는 계량서지학적 분석 방법과 사회연결망 분석 연구주제가 무엇이었는지를 파악하기 위해 키워드들을 살펴보았다. 논문별 키워드는 2-7개 이었으며 평균적으로 논문당 3.82개의 키워드가 있었다. 341편의 논문에서 한번만 나타난 키워드는 638개(49%) 이었으며 908개(69.73%)의 키워드가 3번 이하로 사용되었다.

분석한 키워드들을 살펴보면 몇 가지 특징이 나타난다. 첫째, 가장 많이 사용된 키워드는 체육수업이었으며 43번 사용되었다<표 1>. 교육과정, 교사교육은 그 다음으로 가장 많이 사용된 키워드들이다. 이러한 세 개의 키워드, 즉 체육수업, 교육과정, 교사교육의 출현빈도가 다수의 다른 키워드들보다 비교적 높았다. 이들은 스포츠교육학의 전통적인 연구주제들이어서 많은 연구자들의 관심이 집중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스포츠교육학 논문의 주요 키워드 빈도 분석

둘째, 5회 이상 사용된 상위 20위의 키워드는 신체활동, 실행연구, 체육교사, 학생선수, 학교스포츠클럽 등이었다. 신체활동도 주요 연구주제로 많이 등장하였다. 교육과정이 개정되면서 신체활동의 가치를 강조하였고 청소년들의 건강체력 향상을 위한 체육수업에 대한 관심의 증가로 이러한 주제가 부각된 것으로 생각된다. 운동선수에게 가해지는 폭력이나 학대를 금지하고 운동과 공부를 병행하도록 학교운동부 문화를 혁신하려는 사회적 움직임으로 인해 학생선수에 대한 연구관심이 많아졌다고 판단된다.

셋째, 연구방법론 관련키워드들도 자주 나타났다. 예를 들어, 내러티브탐구나 근거이론 등은 질적연구 관련 키워드이며 질적연구 방법에 관련된 연구자의 관점을 나타낸다. 양적연구관련 키워드는 하나도 나타나지 않은 반면 질적연구 관련 용어들이 연구의 핵심내용을 나타내는 키워드에 빈번하게 나타난 점으로 스포츠교육학연구에서 질적연구 방법의 관심이 높음을 추측할 수 있다.

2) 키워드 네트워크

키워드에 대한 빈도분석이 이 시기에 행해진 연구의 주요 연구주제를 나타내긴 하지만 연구 간의 관계 및 연구동향 즉 스포츠교육학 분야의 전체적인 지적구조를 파악하기는 어렵다. 따라서 이 연구는 사회연결망분석을 적용하여 키워드간의 관계와 인용문헌 간의 관계를 파악하였다. 그리고 동시출현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이용하여 내용적으로 밀접한 관계가 있는 키워드와 문헌들을 파악하여 군집으로 형성된 지적구조를 탐색하였다. 이 방법은 연구주제간 또는 개념간의 관계에서 나타나는 내용의 구조를 규명하여 학문분야의 지식의 구조적 특징을 조사할 수 있다(고재창 등, 2013).

키워드 연결망이 어떤 구조를 보이는가에 대한 선행연구가 없기 때문에 이 연구는 먼저 키워드들의 연결망을 구성하여 시각화하였다<그림 1>. 이 그림에서 보이듯이 몇몇의 키워드들이 촘촘하게 중앙에 위치한 집단과 성기게 주변부에 위치한 집단들로 이루어져 있었다.

그림 1.

전체 키워드 구조화 분석

키워드들의 전체연결망은 2개의 구성집단으로 나누어져 있었고, 전체의 68%에 해당하는 624개의 키워드들이 가장 큰 구성집단 속에서 연결되어 있었다. 1개의 키워드는 약 4.46개의 키워드와 관계를 갖고 있었으며, 911개의 키워드들이 평균 4.31 단계 만에 서로 연결되는 관계 속에 있었다. 즉 키워드들이 직접적으로 하나의 논문에 나타나진 않지만 대략적으로 4-5단계만 거치면 다른 논문의 키워드와 연결된 관계로 대부분의 키워드들이 이어져있었다. 또한 가장 멀리 있는 키워드 간 연결은 11단계 만에 이어졌다.

중앙성은 연결망 안에서 나타나는 영향력으로 해석할 수 있다(Everett & Bogatti, 2005). 즉, 중앙성이 높다는 것은 네트워크 안에서 영향력이 강함을 의미하며, 따라서 중앙성이 높은 키워드들은 스포츠교육학 분야의 지식에서 중심적인 위치에 있는 주요 연구주제관련 단어들을 의미한다.

2006년부터 2015년까지 지난 10년간 연결중앙성이 높은 키워드는 체육수업, 교육과정, 교사교육, 신체활동 등으로, 이러한 키워드는 논문에서 다른 키워드와 함께 많이 사용된 것을 의미한다<표 2>. 즉, 이러한 키워드를 사용한 연구주제가 많다는 것이다. 사이중앙성이 높은 키워드는 체육수업, 교육과정, 교사교육, 신체활동, 학교스포츠클럽 등이었다. 이들 키워드는 상이한 주제의 연구들을 많이 연결했음을 의미한다. 근접중앙성은 네트워크의 중심에 있음을 의미한다. 체육수업, 신체활동, 실행연구 등이 아이겐벡터중앙성 값이 높은 키워드로 나타났는데 이러한 키워드들은 다른 영향력 있는 키워드들과 많은 관계를 맺고 있음을 의미한다.

키워드 중앙성

3) 동시출현 네트워크

몇 몇 연구에서 동일한 키워드가 보이더라도 그 연구들의 연구내용이 유사한가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그 키워드가 연결된 다른 키워드가 무엇인지를 살펴보아야한다. 동시출현 키워드분석을 통해서 키워드간의 관계로 나타나는 주요 연구주제를 파악하였다. 학생선수는 학습권과 5회 연결이 되어 이 분야 연구자들의 관심구조를 이루고 있었고, 스포츠맨십과 인성교육, 교육과정과 교육과정개발자, 체육수업과 신체활동이 서로 4회 연결되었으며, 이들 한 쌍의 키워드들이 함축하는 유사한 연구관심을 보여 주었다<표 3>. 예를 들어 체육수업에 대한 연구는 신체활동을 주제로 한 연구자들이 공통적인 관심을 갖는 연구주제이며, 또한 하나로수업모형을 연구주제로한 연구자들도 체육수업을 연구주제로 관심을 갖고 있었다<그림 2>.

동시출현 키워드 빈도

그림 2.

동시출현 키워드 구조화 분석

요약하면, 스포츠교육학의 주요 키워드는 체육수업, 교육과정, 교사교육이었다. 빈도분석결과 체육수업관련 키워드가 출현 빈도가 월등히 많았고, 교육과정과 교사교육은 비슷한 빈도를 나타냈다. 주요 키워드는 연구주제를 전달하므로 많은 연구들이 세 영역관련 지식을 생성하고 있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키워드연결망 결과는 키워드들이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지를 분석하여 지식의 구조를 나타내는데, 체육수업, 교육과정, 교사교육, 신체활동, 체육교사 등이 다른 연구주제와 빈번하게 상호작용하여 지식을 구성하고 있었다. 학생선수와 학습권, 스포츠맨십과 인성교육, 교육과정과 교육과정개발자관련 연구자들은 연구주제에 대한 공통관심을 갖고 있었다.

기간별 연구주제 변화 (2006-2010, 2011-2015)

1) 기간별 키워드 빈도 변화

기간별 분석과 비교를 통해 새로운 키워드 등장과 성장 등 지난 10년간 연구주제의 진화와 변화를 탐색하고 비교하였다. 자료분석 기간은 5년 단위로 하였다. 2006-2010기간과 2011-2015기간에 나타난 키워드는 약간의 차이를 보이고 있다. 2006-2010 기간에는 교육과정, 초등교사, 초등체육 등의 키워드가 많이 나타난 반면에 2011-2015에는 체육교사, 학교스포츠클럽, 학생선수라는 키워드가 이전보다 많이 나타나 연구내용이나 주제가 시기별로 다름을 보이고 있다<표 4>. 주목할만 한 점은 교육과정과 초등체육 키워드가 2011-2015기간의 연구에서 많이 나타나지 않았고 학교스포츠클럽, 학생선수, 내러티브 탐구 등은 새롭게 등장한 키워드들이었다.

주요 키워드 기간별 빈도 분석

2) 기간별 키워드 네트워크변화/동시출현 키워드

5년간의 기간별 분석을 통해 새로운 키워드 네트워크의 등장과 성장 등 연구주제의 변화가 있었는지를 탐색하였다. 먼저 QAP 분석을 하였다. QAP 상관분석 결과를 통해 2006-2010기간과 2011-2015 두 기간은 연구자들이 전체적인 연구주제에 있어서 공통적인 관심사를 가지고 있었지만 세부 관심사에는 차이가 나타났다. 즉, 두 기간의 키워드 네트워크 간에는 0.526(p<.001)의 상관관계를 보였는데 이는 두기간이 비슷한 네트워크구조를 보이지만 일정부분 상호 독립적이지 않은 공통의 연구주제를 가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즉 2006-2010기간과 2011-2015 기간은 전체적으로 지적구조는 비슷한 양상을 보이며 중첩된 연구주제가 있지만, 각 기간에서 일부 하위주제 분야는 차이가 나타나 서로 다른 연구주제가 존재한다고 해석할 수 있다.

기간별로 서로 다른 영향력 있는 연구주제가 무엇인지를 파악하기 위해 키워드네트워크의 중앙성분석 결과를 비교하였다. 2006-2010시기와 2011-2015시기에 나타난 키워드의 중앙성 지표는 약간의 차이를 나타냈다<표 5>, <그림 3, 4>. 2006-2010 시기에는 체육수업, 교육과정, 교사교육, 신체활동, 초등체육 등의 키워드가 연결정도 중앙성이 높게 나타난 반면에 2011-2015에는 체육수업, 교육과정, 교사교육이외에도 체육교사, 학교스포츠클럽, 학생선수 등의 키워드 연결정도중앙성 값이 높이 나타났다. 연결중앙성이 높다는 의미는 다른 키워드와 많이 연결된 키워드이기 때문에 이러한 키워드를 사용한 연구주제가 많다는 것이다.

기간별 키워드 중앙성 값

그림 3.

동시 키워드 2006∼2010 구조화 분석

그림 4.

동시 키워드 2010∼2015 구조화 분석

키워드의 출현빈도수와 연결중앙성 값이 증가한 키워드와 반대로 두 가지 값이 모두 감소한 키워드가 발견되었다. 이러한 점에 주목하여 어떤 키워드가 연구자들의 사용이 많아지고 다른 연구와 연결이 많이 되는 것을 그 연구주제가 성숙한 국면으로, 반대로 사용이 감소하고 연결이 줄어드는 것을 쇠퇴한 국면으로 정의한다면(김동성과 김종우, 2014), 체육수업, 신체활동, 실천적 지식을 내용으로 한 연구는 성숙하였고 교육과정, 교사교육, 실행연구 관련 연구주제는 쇠퇴하고 있었다.

기간별 분석의 또 다른 특징은 동시출현 키워드분석을 통해 확인되었다. 2011-2015 기간에 체육수업과 신체활동 그리고 학생선수와 학습권 등이 이 분야 연구자들의 연구관심주제로 나타났다.

주요 연구와 연구자들

1) 인용문헌 빈도분석

인용분석은 한 분야의 지적 구조뿐만이 아니라 활발한 연구활동을 하는 핵심연구자를 파악할 수 있다(김희진과 조현양, 2010). 문헌을 인용한다는 의미는 단지 문헌의 저자나 제목, 출처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연구자가 인용한 주된 이론적 근거나 방법론 그리고 논리적 주장의 근거 등을 포함하기 때문에 인용문헌들은 연구주제와 밀접한 연관성을 갖는다. 따라서 인용문헌 분석은 학문의 지적구조를 파악하는데 중요하다. 또한 문헌을 인용한다는 것은 영향을 받았음을 반영하기 때문에 많이 인용된 문헌은 한 분야의 지식구조에 영향력이 있음을 의미한다.

빈번하게 이용된 문헌이 무엇이었는지를 분석하기 위해 인용문헌들을 살펴보았다. 분석대상은 저자들의 논문 또는 저서 편수가 아니라 다른 연구자가 인용한 횟수이다. 논문별 인용문헌 수는 최소 10개(서지영과 김기철, 2013)에서 최대 198개(이규일, 2012) 이었으며 평균적으로 논문당 43.47개의 문헌을 인용하고 있었다. 연구자들이 가장 많이 사용한 인용문헌은 최의창(2010a)의 인문적 체육교육과 하나로 수업이었다. 또한 많이 인용한 상위20위의 문헌은 The ethnographic interview(Spradley, 1979), 체육교육탐구 (최의창, 2003), 체육과 교육과정 총론(유정애, 2007) 등 이었다<표 6>. 이 중 학술저서가 빈번하게 인용되어 5위까지 나타났으며, 연구자들은 질적연구 방법 관련 서적들도(Clamdrin, 2000; Creswell, 1998; Spradley, 1979, 1980) 자주 인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용문헌 빈도

2) 저자 네트워크 분석

인용문헌들 간의 연결로 구성된 네트워크를 분석한 결과 최의창(2003, 2010a), 유정애(2007), Carlson(1996) 등이 연결정도 중앙성이 높았다. 이러한 문헌들은 다양한 연구주제들과 많은 관계를 갖고 있음을 의미한다. 그리고 유정애(2007), 최의창(2003, 2010a), Spradley(1979, 1980) 등은 사이중앙성과 아이겐벡터중앙성이 높았는데 이들은 서로 다른 연구주제를 연결하거나 다른 주요 문헌과 연결이 되어 있음을 의미한다<표 7>.

인용문헌 중앙성 분석

3) 동시인용분석

많이 인용된 문헌이 무엇인지에 대한 단순한 정보를 넘어서, 어떠한 문헌들이 밀접한 관계를 갖고 함께 인용되어 연구들간에 상호 영향을 주는지를 살펴보았다. 동시인용된 문헌들은 내용적으로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쌍으로 인용된 저자는 그들의 연구주제관련 지식체계를 나타낸다(White & Griffith, 1981: 김재욱 등, 2008에서 재인용). <표 8>은 저자와 출판연도를 표시한 동시인용문헌 쌍을 보여준다. 제일 많이 동시인용된 문헌은 최의창(2009b)의 체육전문인교육과 최의창(2010a)의 인문적 체육교육과 하나로 수업 이었다. 두 문헌은 모두 교육과정과 교사/지도자교육을 내용으로 당연히 동시인용된 것으로 생각된다. Creswell(2009)김영천(2006)은 두 번째로 많이 동시인용되었는데 두 문헌은 질적연구방법에 대한 학술서이다. 또한 유정애(2010)김원정(2010)은 교육개정 개발자로서의 체육교사에 대한 개념을 다룬 것이다. 또한 이남인(2004, 2006, 2009)는 현상학관련 연구방법을, 김무영(2010)은 반성적 교사교육을 다룬 내용이었다. 동시인용이 빈번한 상위 5위의 인용은 교육과정, 교사교육, 질적연구 방법과 관련이 있었다.

동시인용 빈도분석(2006∼2015)

인용문헌 저자들을 분석단위로 저자군집이 나타나는지를 살펴보았다 <그림 5>. 저자군집분석을 통해 연구주제나 방법 등을 알아낼 수 있다. 군집 A는 최의창, 김원정 등 17명이 군집을 이루며 한집단을 이루었는데 이들은 교육과정과 체육수업, 수업모형을 나타내었다. 군집 B는 백승수, 박미림 등이 하나로수업을 인용하는 연구주제로 한 집단을 이루었다. 또한 군집 A와 B는 다시 큰 군집 1로 묶여질 수 있는데 연구자들은 군집1을 교육과정과 체육수업모형으로 명명하였다. 같은 과정을 통해 군집 2는 교사교육, 군집3은 체육교사, 군집 4는 신체활동을 주제로 연구가 많이 이루어졌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림 5.

동시인용 군집분석

결 론

이 연구의 목적은 스포츠교육학회지와 체육과학연구에 발표된 문헌을 이용하여 스포츠교육학분야의 지식구조를 조사하는 것이다. 2006년부터 2015년까지 발표된 341편의 논문에 나타난 1301개의 키워드와 14826개의 인용문헌을 계량서지학과 사회연결망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키워드관계를 파악한 결과 스포츠교육학의 주요 연구주제인 체육수업, 교육과정, 교사교육의 세 영역에 연구관심이 집중되었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신체활동, 체육교사, 실행연구, 학교스포츠클럽 관련 연구도 네트워크의 중앙에 위치하였고, 특히 학교스포츠클럽과 신체활동관련 연구는 상이한 연구주제를 연결시키는 매개 역할을 하고 있음을 보여 주었다. 이는 체육수업을 통해 신체활동을 향상시키거나 학교스포츠클럽을 활성화하는 연구 등을 연결하기 때문이다.

2006년부터 2015년까지의 연구를 5년 단위 기간별로 비교한 결과 전체적인 연구주제 구조는 크게 다르지 않았다. 그러나 체육수업, 신체활동, 실천적 지식을 내용으로 한 연구는 스포츠교육학계의 중요한 관심사로 이전보다 성장하였고 교육과정, 교사교육, 실행연구 관련 연구주제는 쇠퇴하고 있었다.

최의창(2010a)의 학술 저서인 인문적 체육교육과 하나로수업과 유정애(2007)의 체육교육과정 총론은 연구자들의 지식 생산과 확장 관계에서 연구자들의 연구주제에 영향을 미치는 역할을 수행하였다. 질적 연구방법론 학술저서의 저자인 Spradley(1979, 1980)와 Creswell(1998, 2007, 2009)도 우리나라 연구자들의 질적연구 수행과정에서 가치를 인정받았다고 생각된다.

본 연구는 연결망 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스포츠교육학 연구물에 나타난 키워드와 인용문헌 네트워크를 분석하여 지식구조를 밝힌 첫 번째 연구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 연구는 몇 가지 취약한 연구 제한점이 있기 때문에 제시한 결과의 이해와 해석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한 후속연구 실행의 신중함이 요구된다. 첫째, 이 연구는 스포츠교육학회지와 체육과학연구에 발표된 논문만을 분석하였다는 점이다. Kulinna et al.(2009)의 연구처럼 우리나라 스포츠교육학관련 지식이 교환되는 다양한 채널(예, 체육학관련 학회지, 학술대회발표논문, 체육학 인접분야논문, DB 등)을 통해 연구물 전수 자료를 분석했다면 스포츠교육학의 지식구조가 조금은 다른 모습을 보일 수도 있었을 것이다. 비록 스포츠교육학회지가 이 분야의 대표적인 지식생산과 확장 통로로 간주될 수 있기 때문에 지적구조가 크게 다를 것으로 생각되지 않지만 스포츠교육학영역의 지적구조에 대한 연구를 보다 심층적으로 진행할 후속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두 번째 제한점은 김재욱 등(2008)이 지적한 것처럼 연결망 분석방법에서 인용문헌 분석은 분석 대상이 되는 논문에서 인용된 문헌에 근거하여 빈도와 중앙성값이 결정되는데 비교적 최근에 수행된 연구들은 아직 타연구에서 인용이 되지 않았을 가능성이 크다. 또한 학자들의 인용 습관이 다르기 때문에 백여 개의 인용문헌을 가지고 있는 논문(이규일, 2012)이 있었던 반면, 어떤 논문(서지영과 김기철, 2013)은 인용문헌이 매우 적은 경우도 있었다는 점이다. 그리고 복수저자의 문헌인 경우 저자순서를 반영하는 동시인용문헌 분석방법을 실행하여야 한다는 제언(곽선영과 정은경, 2012)도 후속연구에서 고려할 점이다. 이러한 점들은 사회연결망 중앙성분석과 군집분석 등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References

1.

강신복 (2003). 한국스포츠교육학 연구의 동향과 향후 과제.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10(3), 1-28.

강 신복. 2003;한국스포츠교육학 연구의 동향과 향후 과제.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10(3):1–28.
2.

곽선영, 정은경 (2012). 복수저자기반 동시인용분석을 활용한 지적구조 분석 : 경제학 분야를 중심으로. 정보관리학회지, 29(1), 115-134.

곽 선영, 정 은경. 2012;복수저자기반 동시인용분석을 활용한 지적구조 분석 : 경제학 분야를 중심으로. 정보관리학회지 29(1):115–134.
3.

고재창, 조근태, 조윤호 (2013).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살펴본 기술경영의 최근 연구동향. 지능정보, 19(2), 101-123.

고 재창, 조 근태, 조 윤호. 2013;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살펴본 기술경영의 최근 연구동향. 지능정보 19(2):101–123.
4.

권민정 (2012). 학교스포츠클럽 정책의 전개과정 분석 및 교육적 담론. 한국체육학회지, 51(4), 321-333.

권 민정. 2012;학교스포츠클럽 정책의 전개과정 분석 및 교육적 담론. 한국체육학회지 51(4):321–333.
5.

김기철 (2011). 학교 농구스포츠클럽에서의 통합적 스포츠맨십 교육 실천과 학생변화.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김 기철. 2011. 학교 농구스포츠클럽에서의 통합적 스포츠맨십 교육 실천과 학생변화 et al. 서울대학교 대학원;
6.

김동성, 김종우 (2014). 클라우드 컴퓨링 관련 논문의 서지정보 및 인용정보를 활용한 연구 동향 분석. 지능정보연구, 20(1), 195-211.

김 동성, 김 종우. 2014;클라우드 컴퓨링 관련 논문의 서지정보 및 인용정보를 활용한 연구 동향 분석. 지능정보연구 20(1):195–211.
7.

김무영 (2010). 교육실습을 통해 본 예비체육교사의 반성내용과 반성수준.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17(3), 57-77.

김 무영. 2010;교육실습을 통해 본 예비체육교사의 반성내용과 반성수준.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17(3):57–77.
8.

김무영, 손민호 (2012). 교사의 실천적 지식이 갖는 일상성 탐구: 체육수업을 중심으로. 교육과정연구, 30(3), 21-49.

김 무영, 손 민호. 2012;교사의 실천적 지식이 갖는 일상성 탐구: 체육수업을 중심으로. 교육과정연구 30(3):21–49.
9.

김선희 (2004). 안목의 습득을 위한 대학교양체육: 수업사례 연구.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11(2), 105-120.

김 선희. 2004;안목의 습득을 위한 대학교양체육: 수업사례 연구.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11(2):105–120.
10.

김선희 (2010). 청소년스포츠와 코치교육: 반성과 대안.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김 선희. 2010. 청소년스포츠와 코치교육: 반성과 대안 et al.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1.

김승재 (2003). 체육수업에 있어 숙제의 효과 탐색. 한국사회체육학회지, 19(1), 27-37.

김 승재. 2003;체육수업에 있어 숙제의 효과 탐색. 한국사회체육학회지 19(1):27–37.
12.

김원정 (2010). 체육교육과정 개발자로서의 경력 교사가 체험한 딜레마와실행전략.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17(4), 39-66.

김 원정. 2010;체육교육과정 개발자로서의 경력 교사가 체험한 딜레마와실행전략.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17(4):39–66.
13.

김영천 (2006). 질적연구방법론Ⅰ. 서울: 문음사.

김 영천. 2006. 질적연구방법론Ⅰ 서울: 문음사.
14.

김용학 (2003). 사회 연결망 분석. 서울 : 박영사.

김 용학. 2003. 사회 연결망 분석 서울: 박영사.
15.

김용학, 유소영. (2013). 한일 비교연구의 비교: 인문사회분야 논문 키워드 연결망 분석을 중심으로. 사회과학논집, 44(1), 25-45.

김 용학, 유 소영. 2013;한일 비교연구의 비교: 인문사회분야 논문 키워드 연결망 분석을 중심으로. 사회과학논집 44(1):25–45.
16.

김윤희 (2003). 운동기능이 낮은 학생의 체육수업체험에 관한 질적연구.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10(1), 57-76.

김 윤희. 2003;운동기능이 낮은 학생의 체육수업체험에 관한 질적연구.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10(1):57–76.
17.

김재욱, 김향미, 이소영, 이진화 (2008). 저자 동시 인용 분석을 통한 "관계 마케팅" 연구 동향 및 지적 구조 규명에 관한 연구. 마케팅연구, 23(3), 1-35.

김 재욱, 김 향미, 이 소영, 이 진화. 2008;저자 동시 인용 분석을 통한 "관계 마케팅" 연구 동향 및 지적 구조 규명에 관한 연구. 마케팅연구 23(3):1–35.
18.

김희진, 조현양 (2010). 저자동시인용분석과 저자서지결합분석에 의한 지적 구조 분석 : 사회복지학 분야를 중심으로. 정보관리학회지, 27(3), 283-306.

김 희진, 조 현양. 2010;저자동시인용분석과 저자서지결합분석에 의한 지적 구조 분석 : 사회복지학 분야를 중심으로. 정보관리학회지 27(3):283–306.
19.

서지영, 김기철 (2013). 체육과 성취기준 및 성취수준의 이해와 적용.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20(1), 1-16.

서 지영, 김 기철. 2013;체육과 성취기준 및 성취수준의 이해와 적용.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20(1):1–16.
20.

손천택 (2002). 체육교사교육의 현황과 개선방안.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9(2), 26-42.

손 천택. 2002;체육교사교육의 현황과 개선방안.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9(2):26–42.
21.

유정애 (2004). 제7차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체육교육과정 및 수업운영 실태분석. 한국체육학회지, 43(3), 235-263.

유 정애. 2004;제7차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체육교육과정 및 수업운영 실태분석. 한국체육학회지 43(3):235–263.
22.

유정애 (2005). 체육수업비평. 서울: 무지개사.

유 정애. 2005. 체육수업비평 서울: 무지개사.
23.

유정애 (2007). 체육과 교육과정 총론. 서울: 대한미디어.

유 정애. 2007. 체육과 교육과정 총론 서울: 대한미디어.
24.

유정애 (2010). 왜 교육과정 개발자로서의 체육 교사인가?.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17(4), 1-18.

유 정애. 2010;왜 교육과정 개발자로서의 체육 교사인가?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17(4):1–18.
25.

이규일 (2012). 뇌 과학적 관점에서 바라본 체육교육의 의미.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19(4), 17-43.

이 규일. 2012;뇌 과학적 관점에서 바라본 체육교육의 의미.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19(4):17–43.
26.

이남인 (2004). 현상학과 해석학.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이 남인. 2004. 현상학과 해석학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7.

이남인 (2006). 후설의 현상학과 현대철학. 서울: 풀빛미디어.

이 남인. 2006. 후설의 현상학과 현대철학 서울: 풀빛미디어.
28.

이남인 (2009). 현상학적 환원과 21세기 현상학의 전망. 후설탄생 150주년 기념 학술대회 자료집, 1-12.

이 남인. 2009. 현상학적 환원과 21세기 현상학의 전망. 후설탄생 150주년 기념 학술대회 자료집 1–12.
29.

이한주, 이정화, 고봄나 (2012). 스포츠교육학 질적연구의 양적 특성 분석: 2003년부터 2011년까지. 한국체육학회지, 52(1), 195-211.

이 한주, 이 정화, 고 봄나. 2012;스포츠교육학 질적연구의 양적 특성 분석: 2003년부터 2011년까지. 한국체육학회지 52(1):195–211.
30.

이혁규 (2007). 수업 비평의 필요성과 방법에 대한 탐색적 논의. 교육인류학연구, 10(1), 151-185.

이 혁규. 2007;수업 비평의 필요성과 방법에 대한 탐색적 논의. 교육인류학연구 10(1):151–185.
31.

이혁규 (2010). 수업 비평의 개념과 위상. 교육인류학연구, 13(1), 69-94.

이 혁규. 2010;수업 비평의 개념과 위상. 교육인류학연구 13(1):69–94.
32.

장덕희, 양정모 (2009). 정부의 연구비 지원이 연구자의 논문 성과에 미친 영향분석 : 성별(gender)에 따른 효과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행정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4, 99-321.

장 덕희, 양 정모. 2009;정부의 연구비 지원이 연구자의 논문 성과에 미친 영향분석 : 성별(gender)에 따른 효과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행정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4:99–321.
33.

전용진(2011). '교육과정 개발자' 관점에서 바라본 체육교사의 교육적 성장과 교육과정 실천의 의미.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18(3), 17-38.

전 용진. 2011;'교육과정 개발자' 관점에서 바라본 체육교사의 교육적 성장과 교육과정 실천의 의미.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18(3):17–38.
34.

정연경 (2011). 국내 기록관리학 연구자들의 인용행태 불석: 학국기록관리학회지 (2001년-2010년)를 중심으로.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5(2), 367-391.

정 연경. 2011;국내 기록관리학 연구자들의 인용행태 불석: 학국기록관리학회지 (2001년-2010년)를 중심으로.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5(2):367–391.
35.

최의창 (2001). 인문적 체육과 하나로 수업: 대학에서의 체육 지도를 위한 한 가지 접근.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8(2), 45-64.

최 의창. 2001;인문적 체육과 하나로 수업: 대학에서의 체육 지도를 위한 한 가지 접근.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8(2):45–64.
36.

최의창 (2002). 인문적 체육교육. 서울: 무지개사.

최 의창. 2002. 인문적 체육교육 서울: 무지개사.
37.

최의창 (2003). 스포츠교육학. 서울: 무지개사.

최 의창. 2003. 스포츠교육학 서울: 무지개사.
38.

최의창 (2004a). 가장바람직한 체육교사는 누구인가? : 체육교사교육 논의의 최근 동향과 과제.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11(2), 25-49.

최 의창. 2004a;가장바람직한 체육교사는 누구인가? : 체육교사교육 논의의 최근 동향과 과제.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11(2):25–49.
39.

최의창 (2004b) 코칭의 심법적 측면과 코칭교육. 스포츠과학, 89, 70-78

. 최 의창. 2004b;코칭의 심법적 측면과 코칭교육. 스포츠과학 89:70–78.
40.

최의창 (2005a). 통합적 스포츠지도: 하나로 수업모형의 체육교사교육에의 적용.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12(1), 1-30.

최 의창. 2005a;통합적 스포츠지도: 하나로 수업모형의 체육교사교육에의 적용.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12(1):1–30.
41.

최의창 (2005b). 호울 스포츠와 하나로 코칭: 인문적 스포츠교육론 서설.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12(3), 97-120

. 최 의창. 2005b;호울 스포츠와 하나로 코칭: 인문적 스포츠교육론 서설.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12(3):97–120.
42.

최의창 (2009a). 전인지향적 체육교육론으로서의 인문적 체육교육: 탐색적 분석. 한국체육학회지, 48(6), 243-260

. 최 의창. 2009a;전인지향적 체육교육론으로서의 인문적 체육교육: 탐색적 분석. 한국체육학회지 48(6):243–260.
43.

최의창 (2009b). 체육전문인교육. 경기: 생능출판사.

최 의창. 2009b. 체육전문인교육 경기: 생능출판사.
44.

최의창 (2009c). 코치의 인성적 자질 함양을 위한 인문적 접근 탐색. 한국스포츠교육학지, 16(1), 119-143.

최 의창. 2009c;코치의 인성적 자질 함양을 위한 인문적 접근 탐색. 한국스포츠교육학지 16(1):119–143.
45.

최의창 (2010a). 인문적 체육교육과 하나로 수업. 서울: 레인보우북스.

최 의창. 2010a. 인문적 체육교육과 하나로 수업 서울: 레인보우북스.
46.

최의창 (2010b). 스포츠맨십은 가르칠 수 있는가?: 체육수업에서의 정의적 영역 지도의 어려움과 가능성.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17(1), 1-24.

최 의창. 2010b;스포츠맨십은 가르칠 수 있는가?: 체육수업에서의 정의적 영역 지도의 어려움과 가능성.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17(1):1–24.
47.

최의창 (2011a). 댄스 리터러시 혹은 무용소양: 문화예술교육으로서 무용교육의 목적 재검토. 한국무용기록학회지, 21, 139-161.

최 의창. 2011a;댄스 리터러시 혹은 무용소양: 문화예술교육으로서 무용교육의 목적 재검토. 한국무용기록학회지 21:139–161.
48.

최의창 (2011b). 창의·인성강조 체육수업의 개념과 방법: 통합적 관점에서의 탐색. 교육과정연구, 29(1), 209-237.

최 의창. 2011b;창의·인성강조 체육수업의 개념과 방법: 통합적 관점에서의 탐색. 교육과정연구 29(1):209–237.
49.

Acedo, F., Barroso, C., & Galan. J (2001). The resource-based theory: Dissemination and main trends.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27, 621-636.

Acedo F., Barroso C., et al, J Galan.. 2001;The resource-based theory: Dissemination and main trends.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27:621–636.
50.

Benckendorff, P., & Zehrer, A. (2013). A network analysis of tourism research. Annals of Tourism Research, 43, 121-149.

Benckendorff P., et al, Zehrer A.. 2013;A network analysis of tourism research. Annals of Tourism Research 43:121–149. 10.1016/j.annals.2013.04.005.
51.

Buswell, D. J., Sherrill, C., French, R., & Myers, B. (2001). Perspectives of publication among highly productive women adapted physical activity scholars. Adapted Physical Activity Quarterly, 18, 366-388.

Buswell D. J., Sherrill C., French R., et al, Myers B.. 2001;Perspectives of publication among highly productive women adapted physical activity scholars. Adapted Physical Activity Quarterly 18:366–388. 10.1123/apaq.18.4.366.
52.

Carlson, T. B. (1996). We hate gym: Student alienation from physical educatio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14, 467-480.

Carlson T. B.. 1996;We hate gym: Student alienation from physical educatio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14:467–480.
53.

Clandinin, D. J., & Connelly D. M. (2000). Narrative inquiry: Experience and story in qualitative research. CA : Jossey-Bass.

Clandinin D. J., et al, D. M. Connelly. 2000. Narrative inquiry: Experience and story in qualitative research CA: Jossey-Bass.
54.

Creswell, J. W. (1998). Qualitative inquiry and research design: Choosing among five traditions. CA: Sage Publications. 조흥식, 정선욱, 김진숙, 권지성(공역)(2012). 질적 연구방법론. 서울: 학지사.

Creswell J. W.. 1998. Qualitative inquiry and research design: Choosing among five traditions CA: Sage Publications. 조 흥식, 정 선욱, 김 진숙, 권 지성(공역). 2012. 질적 연구방법론 서울: 학지사.
55.

Creswell, J. W. (2007). Qualitative inquiry & research design: Choosing among five approaches(2nd ed.). Thousand Oaks, CA: Sage.

Creswell J. W.. 2007. Qualitative inquiry & research design: Choosing among five approaches(2nd ed.) Thousand Oaks, CA: Sage.
56.

Creswell, J. W. (2009). Research design: Qualitative, quantitative, and mixed methods approaches(3rd ed.). London: Sage.

Creswell J. W.. 2009. Research design: Qualitative, quantitative, and mixed methods approaches(3rd ed.) London: Sage.
57.

Everett, M., & Bogatti, S. P. (2005). Ego network betweenness. Social Networks, 27, 31-38.

Everett M., et al, Bogatti S. P.. 2005;Ego network betweenness. Social Networks 27:31–38. 10.1016/j.socnet.2004.11.007.
58.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Physical Education in Higher Education(2012). AIESEP-Bham 2012 Position Statement: Sport (and Exercise) Pedagogy, Specialist Research Seminar, 'Sport (& Exercise) Pedagogy': (Re)Defining the Field', p. 2., Thursday 29 March – Saturday 31 March 2012, Univers ity of Birmingham, UK. http://aiesep.org/wp-content/uploads/2014/11/2012-AIESEP-Position-Statement-on-Sport-Pedagogy.pdf retrieved 27/06/15.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Physical Education in Higher Education. 2012. AIESEP-Bham 2012 Position Statement: Sport (and Exercise) Pedagogy, Specialist Research Seminar, 'Sport (& Exercise) Pedagogy': (Re)Defining the Field' 2. Thursday 29 March – Saturday 31 March 2012; Univers ity of Birmingham; UK: http://aiesep.org/wp-content/uploads/2014/11/2012-AIESEP-Position-Statement-on-Sport-Pedagogy.pdf retrieved 27/06/15.
59.

Kulinna, P. H., Scrabis-Fletcher, K., Kodish, S., Phillips, S., & Silverman, S. (2009). A decade of research literature in physical education pedagogy. Journal of Teaching in Physical Education, 28(2), 119-140.

Kulinna P. H., Scrabis-Fletcher K., Kodish S., Phillips S., et al, Silverman S.. 2009;A decade of research literature in physical education pedagogy. Journal of Teaching in Physical Education 28(2):119–140. 10.1123/jtpe.28.2.119.
60.

Penney, D. (2005). Coaching as teaching: New acknowledgements in practice. In R. Jones(Ed.). The sport coach as educator: Re-conceptualizing sport coaching(pp. 25-36). London: Roudledge..

Penney D.. 2005. Coaching as teaching: New acknowledgements in practice. In. In : Jones R. (Ed.), ed. The sport coach as educator: Re-conceptualizing sport coaching p. 25–36. London: Roudledge.
61.

Siedentop D., Tannehill, D.(2001). Developing teaching skills in physical education(4th ed.). Mountain View, CA: Mayfield.

D. Siedentop, Tannehill D.. 2001. Developing teaching skills in physical education(4th ed.) Mountain View, CA: Mayfield.
62.

Silverman, S., & Ennis, C. D. (1996). Student learning in physical education. Leeds: Human Kinetics.

Silverman S., et al, Ennis C. D.. 1996. Student learning in physical education Leeds: Human Kinetics.
63.

Silverman, S., & Manson, M. (2003). Research teaching in physical education doctoral dissertation: A detailed investigation of focus, method, and analysis. Journal of Teaching in Physical Education, 22, 280-297.

Silverman S., et al, Manson M.. 2003;Research teaching in physical education doctoral dissertation: A detailed investigation of focus, method, and analysis. Journal of Teaching in Physical Education 22:280–297.
64.

Silverman, S., & Skonie, R. (1997). Research teaching in physical education doctoral dissertation: A detailed investigation of focus, method, and analysis. Journal of Teaching in Physical Education, 22, 280-297.

Silverman S., et al, Skonie R.. 1997;Research teaching in physical education doctoral dissertation: A detailed investigation of focus, method, and analysis. Journal of Teaching in Physical Education 22:280–297.
65.

Sparadley, J. P. (1979). The ethnographic interview. New York : Holt, Rienhart & Winston. 박종흡 역(2003). 문화기술적 면접법. 서울: 시스마프레스.

Sparadley J. P.. 1979. The ethnographic interview New York: Holt, Rienhart & Winston. 박 종흡 역. 2003. 문화기술적 면접법 서울: 시스마프레스.
66.

Sparadley, J. P(1980). Participation observation. New York: Holt, Rienhart and Winston. 이희봉 역(1998). 문화 탐구를 위한 참여관찰방법. 서울: 대한교과서주식회사.

Sparadley J. P. 1980. Participation observation New York: Holt, Rienhart and Winston. 이 희봉 역. 1998. 문화 탐구를 위한 참여관찰방법 서울: 대한교과서주식회사.
67.

Ward, P., & Ko, D. (2006). Publication trends in the Journal of Teaching in Physical Education from 1981 to 2005. Journal of Teaching in Physical Education, 25, 266–280.

Ward P., et al, Ko D.. 2006;Publication trends in the Journal of Teaching in Physical Education from 1981 to 2005. Journal of Teaching in Physical Education 25:266–280. 10.1123/jtpe.25.3.266.
68.

White, H. D. (2011). Scientific and scholarly networks. Ind J. Scott & P. J. Carrington(Eds.), The SAGE handbook of social network analysis (pp. 271-285).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

White H. D.. 2011. Scientific and scholarly networks. Ind. Scott J., et al, Carrington P. J. (Eds.). The SAGE handbook of social network analysis p. 271–285.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
69.

White, H. D., & B. Griffith (1981). Author cocitation: A literature measure of intellectual structure. Journal of the American Society for Information Science, 32(3), 163-172.

White H. D., et al, Griffith B.. 1981;Author cocitation: A literature measure of intellectual structure. Journal of the American Society for Information Science 32(3):163–172. 10.1002/asi.4630320302.

Article information Continued

표 1.

스포츠교육학 논문의 주요 키워드 빈도 분석

No. 키워드 빈도
1 체육수업 43
2 교육과정 20
3 교사교육 18
4 신체활동 13
5 실행연구 10
6 체육교사 10
7 학생선수 10
8 학교스포츠클럽 9
9 내러티브탐구 7
9 실천적 지식 7
9 인성교육 7
9 초등체육 7
13 근거이론 6
13 스포츠맨십 6
13 체육교과서 6
13 초등교사 6
13 학습권 6
18 스포츠교육 5
18 스포츠교육학 5
18 중학생 5
18 체육교과 5
18 하나로수업 모형 5

그림 1.

전체 키워드 구조화 분석

표 2.

키워드 중앙성

순위 키워드 연결정도 중앙성 키워드 근접중앙성 키워드 사이중앙성 키워드 아이겐벡터중앙성
1 체육수업 132 체육수업 0.346 체육수업 98099.7 체육수업 132.858
2 교육과정 63 교육과정 0.346 교육과정 60076.8 신체활동 18.389
3 교사교육 50 교사교육 0.346 교사교육 31815.56 실행연구 12.739
4 신체활동 48 인성교육 0.346 신체활동 29827.41 하나로수업모형 10.318
5 체육교사 34 체육교사 0.346 학교스포츠클럽 17504.48 체육교사 9.18
6 실행연구 31 신체활동 0.346 체육교사 15988.6 실천적지식 8.215
7 학생선수 30 교사지식 0.346 근거이론 15674.74 중학생 7.338
8 스포츠맨십 23 내러티브탐구 0.346 실행연구 14739.54 교육과정 7.298
9 학교스포츠클럽 23 교육과정개발자 0.346 학생선수 14287.5 뇌과학 7.25
10 실천적지식 23 실천적지식 0.345 초등체육 12372.86 정의적영역 7.201

표 3.

동시출현 키워드 빈도

순위 키워드 1 키워드 2 빈도
1 학생선수 학습권 5
2 스포츠맨십 인성교육 4
3 교육과정 교육과정개발자 4
4 체육수업 신체활동 4
5 실행연구 체육수업 3
6 하나로수업모형 체육수업 3
7 감성적차원 영성적차원 3
8 교육과정 체육교과서 2
8 ARCS모형 학습동기 2
8 ARCS모형 학습동기(ARCS)전략 2
8 학습동기(ARCS)전략 학습동기 2
8 블랜디드러닝 체육수업 2
8 체육수업 내적동기 2
8 중학생 척도개발 2
8 체육수업 정의적영역 2

그림 2.

동시출현 키워드 구조화 분석

표 4.

주요 키워드 기간별 빈도 분석

No 키워드 2006∼2010 2011∼2015 차이
1 체육수업 20 23 +3
2 교육과정 14 6 -8
3 교사교육 10 8 -2
4 신체활동 5 8 +3
5 실행연구 6 4 -2
6 체육교사 2 8 +6
7 학생선수 2 8 +6
8 학교스포츠클럽 1 8 +7
9 내러티브탐구 2 5 +3
10 실천적 지식 3 4 +1
11 인성교육 2 5 +3
12 초등체육 7 0 -7
13 근거이론 1 5 +4
14 스포츠맨십 3 3 0
15 체육교과서 3 3 0
16 초등교사 5 1 -4
17 학습권 3 3 0
18 스포츠교육 2 3 +1
19 스포츠교육학 0 5 +5
20 중학생 4 1 -3
21 체육교과 4 1 -3
22 하나로수업모형 2 3 +1

표 5.

기간별 키워드 중앙성 값

No. 2006~2010 2011~2015
키워드 연결정도
중앙성
키워드 근접
중앙성
키워드 사이
중앙성
키워드 아이겐벡터
중앙성
키워드 연결정도
중앙성
키워드 근접
중앙성
키워드 사이
중앙성
키워드 아이겐벡터
중앙성
1 체육수업 51 체육수업 0.431 체육수업 19076.37 체육수업 129.368 체육수업 81 체육수업 0.532 체육수업 26324.25 체육수업 125.189
2 교육과정 40 교육과정 0.431 교육과정 15304.13 실행연구 20.009 신체활동 30 교육과정 0.531 교육과정 9332.078 신체활동 31.297
3 교사교육 26 실행연구 0.431 실행연구 7376.787 블랜디드러닝 16.224 체육교사 28 교사지식 0.531 학교스포츠클럽 8445.743 체육교사 16.754
4 신체활동 18 초등학교 0.431 교사교육 7311.912 내적동기 14.736 교사교육 24 인성교육 0.531 교사교육 7340.453 뇌과학 13.478
5 초등체육 18 초등체육 0.431 초등체육 7086.523 초등체육 10.894 학생선수 23 교사교육 0.531 내러티브탐구 6901.603 실천적지식 13.235
6 실행연구 16 정의적영역 0.431 초등학교 5623.723 학습동기 8.512 교육과정 23 신체활동 0.531 신체활동 6298.952 SPARK프로그램 12.725
7 초등교사 14 초등학교체조활동 0.431 정의적영역 4435.945 중학생 8.105 학교스포츠클럽 21 체육교사 0.531 학생선수 5514 혼합연구 12.725
8 스포츠맨십 14 내러티브 0.431 스포츠맨십 3665.573 학습동기(ARCS)
전략
8.069 내러티브탐구 16 내러티브탐구 0.531 체육교사 5052.997 하나로수업모형 11.106
9 수업전략 13 통합교과 0.431 초등학교체조활동 3405.754 ARCS모형 8.069 스포츠교육학 16 학교폭력 0.531 교사지식 4235.636 교육과정 8.652
10 체육교과 11 또래갈등 0.43 내러티브 3044.126 정서경험 8.036 실행연구 15 교육적의미 0.531 근거이론 4221.823 신체적라이프스타일 8.566
11 학습권 11 체육 0.43 신체활동 3039.382 교육모형 7.78 전문성 14 교육과정개발자 0.531 인성 4067.619 교사교육 8.531
12 체육 11 즐거운생활 0.43 블랜디드러닝 2949.033 ICT활용 7.745 감성적차원 14 하나로수업모형 0.531 하나로수업모형 3689.904 실행연구 8.192
13 중학생 11 신체활동 0.43 현상학적연구 2660 수행카드 7.745 영상적차원 14 폭력예방·선도·
치료프로그램
0.531 신체활동가치 3666 인성교육 7.783
14 자격연수 11 체육교과서 0.43 축구 2403 즉시적인피드백 7.745 근거이론 14 생애사연구 0.531 인성교육 3341.048 교육과정개발자 7.325
15 모둠활동 10 블랜디드러닝 0.43 초등체육수업 2159 축구 7.488 인성교육 14 모형기반지식 0.531 스포츠교육학 3045.289 건강과체력 63988
16 역할부여 10 자기주도적학습 0.43 체육 1997.893 하나로수업모형 7.445 실천적지식 14 통합적접근 0.531 스포츠 2625.554 학교폭력 6.758
17 체육교과서 10 인성교육 0.43 중학생 1993.311 개별정서 7.229 교육과정개발자 13 뇌과학 0.531 스포츠교육 2592 내러티브탐구 6.745
18 동료교수 10 교사교육 0.43 인성교육 1933.848 정의적영역 7.224 예비교사 11 신체적라이프
스타일
0.531 체육교과서 2588 신경가소성 6.472
19 교수전략 10 스포츠맨십 0.43 자기효능감 1893 팀활동 7.119 하나로수업모형 11 SPARK프로그램 0.531 교수,학습방법 2575 전뇌교육 6.472
20 체육수업소외 10 교육모형 0.43 정서경험 1720 사고양식 7.104 학습권 11 전뇌교육 0.531 전문성 2233.789 체육과인지학습 6.472
21 실천적지식 9 중학생 0.43 자격연수 1632 학습양식 7.104 뇌과학 11 체육과인지학습 0.531 예비교사 2028.5 체현된인지론 6.472

그림 3.

동시 키워드 2006∼2010 구조화 분석

그림 4.

동시 키워드 2010∼2015 구조화 분석

표 6.

인용문헌 빈도

No 저자 년도 제목 출처 인용수 연간 평균인용
1 최의창 2010a 인문적 체육교육과 하나로 수업 서울: 레인보우북스 27 5.4
2 Spradley, J. P 1979 The ethnographic interview New York Holt, Rinehart and Winston. 박종흡 (역)(2003). 문화기술적 면접법. 서울: 시그마프레스. 26 1.4
3 Spradley, J. P 1980 Participation observation. New York: Holt, Rinehart and Winston. 이희봉 역(1978). 문화탐구를 위한 참여관찰 방법. 서울: 대한교과서 주식회사 26 1.3
4 최의창 2003 체육교육탐구 서울: 태근문화사 22 1.8
5 유정애 2007 체육과 교육과정 총론 서울: 대한미디어. 21 2.6
6 Carlson, T. B 1996 We Hate Gym: Student Alienation From Physical Educatio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21 1.1
7 최의창 2003 스포츠교육학 서울: 무지개사 20 1.7
8 최의창 2002 인문적 체육교육 서울: 무지개사 19 1.5
9 김윤희 2003 운동기능이 낮은 학생의 체육수업체험에 관한 질적연구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18 1.5
10 유정애 2005 체육수업비평 서울: 무지개사 17 1.7
11 최의창 2005a 통합적 스포츠지도: 하나로 수업모형의 체육교사교육에의 적용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17 1.7
12 Clandinin, D. J 2000 Narrative inquiry: Experience and story in qualitative research SanFrancisco: Jossey-Bass Publishers 16 1.1
13 최의창 2010b 스포츠맨십은 가르칠 수 있는가?: 체육수업에서의 정의적 영역 지도의 어려움과 가능성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16 3.2
14 손천택 2002 체육교사교육의 현황과 개선방안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14 1.1
15 최의창 2004a 가장바람직한 체육교사는 누구인가? -체육교사교육 논의의 최근 동향과 과제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13 1.2
16 Creswell. J. W 1998 Qualitative inquiry and research design: Choosing among five traditions.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s, Inc. 13 0.8
17 유정애 2004 제7차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체육교육과정 및 수업운영 실태분석 한국체육학회지 13 1.2
18 최의창 2009b 체육전문인교육 서울 : 생능출판사 13 2.2
19 최의창 2011b 창의·인성강조 체육수업의 개념과 방법: 통합적 관점에서의 탐색 교육과정연구 12 3
20 김영천 2006 질적연구방법론Ⅰ 서울:문음사 12 1.5

그림 5.

동시인용 군집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