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강, 상조 (2001). 체육연구방법. 서울: 21세기 교육사.
2. 국민체육진흥공단(2012). 미래형 스포츠산업 모델 설정을 위한 연구.국민체육진흥공단. 2012; 미래형 스포츠산업 모델 설정을 위한 연구
4. 김, 성훈, 이, 호섭 (2008). 자료포락분석(DEA) 모형에 따른 대학의 효율성과 대학평가결과 비교. 교육평가연구, 21(1), 1-26.
5. 김, 승현 2007; 한국프로야구 자유계약선수(FREE AGENT)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동의대학교 대학원.
6. 김, 영환 (2010). 자료포락분석(DEA)에 의한 제품계열의 효율성 분석. 기업경영연구, 12: 33-64.
7. 김, 예형 2014; 한국프로야구에서 득점과 실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통계적 연구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원광대학교 대학원.
8. 김, 종, 조, 성식, 염, 지환, & 정, 희윤 (2008). 프로스포츠리그 경영환경 분석을 통한 프로스포츠 활성화 방안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0(12), 3839-3847.
10. 김, 혁주, 김, 예형 (2014). 한국 프로야구에서 가중수정OPS를 이용한 득점력 설명. 응용통계연구, 27(5), 731-741.
11. 남, 인석, 송, 윤영, & 정, 병호 (2008). DEA 모형을 이용한 정부출연연구기관의 상대적 효율성 분석.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31(1), 1-10.
13. 박, 만희 (2008). DEA 효율성 및 Malmquist 생산성 분석시스템 개발. 생산성논집, 22(2), 241-265.
14. 박, 양규, 김, 은하 (2001). 프로야구팀 운영요인과 관람만족, 기업이미지와의 관계. 한국체육학회, 40(4), 503-513.
16. 박, 은진, 이, 원기, & 강, 호영 (2009). DEA 모형을 이용한 국내 생명보험사의 경영효율성 평가. 경영교육연구, 53: 25-50.
17. 박, 정희, 문, 종범 (2010). DEA를 이용한 지역산업기술개발사업의 효율성 분석. 산업경제연구, 23(4), 2047-2068.
18. 박, 주호, 원, 도연, & 정, 지명 (2014). DEA모형을 통한 프로배구단의 상대적 효율성 분석. 체육과학연구, 25(4), 796-805.
19. 배, 정섭, 원, 도연, & 조, 광민 (2015). 확장된 계획행동이론을 통한 프로야구팬들의 관람행동에 관한 연구.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지, 20(10), 47-65.
20. 배, 정섭, 조, 광민, & 곽, 민석 (2013). 컨조인트 분석을 활용한 프로야구 팬들의 실망요인 분석. 한국체육학회, 52(3), 225-237.
21. 배, 준호 2010; DEA분석을 이용한 특급호텔 외식사업부의 경영효율성에 관한 연구: 서울지역 레스토랑 중심으로 미간행 박사학위청구논문. 경희대학교 대학원.
22. 서, 광규, 최, 다영 (2011). AHP와 DEA 결합모델을 이용한 상장 건설기업의 효율성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1(6), 302-310.
23. 석, 영기 (2014). DEA를 이용한 야구 국가대표단의 타자 선발에 관한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5(1), 165-172.
26. 안, 현호 2015; 한국프로야구 선수들의 경기력 측정을 위한 통계기법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대전대학교 대학원.
27. 오, 승은 (2000). 지방자치단체 기업적 활동의 효율성 분석: 지방공영개발사업을 중심으로. 현대사회와 행정, 10: 125-14.
28. 원, 도연, 강, 호정, & 황, 선환 (2012). 한국 프로야구 구단의 상대적 효율성 및 생산성 변화. 한국콘텐츠학회, 12(8), 330-342.
31. 이, 덕주, 양, 원모 (2001). DEA/OERA를 이용한 한국프로야구 선수들에 대한 성과 측정. 대한산업공학회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11: 707-710.
32. 이, 만규 2006; 세이버 매트릭스를 적용한 프로야구 타자의 경기력과 연봉과의 관계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국민대학교 대학원.
36. 이, 영한 2005; 국내 프로스포츠구단의 경영효율성 평가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37. 이, 장택 (2015). 한국프로야구 기록들의 장기추세.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26(1), 1-10.
38. 장, 경로, 김, 민철 (2012). 경제지표 변화와 스포츠산업의 연관성 분석: 2000년~2010년 자료를 중심으로. 한국체육학회지, 51(5), 491-505.
40. 조, 송현, 한, 준영, 추, 나영, & 김, 애랑 (2014). 한국프로야구 Fan Cost Index 탐색.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지, 19(5), 139-148.
41. 한국야구원회(2015a). 한국프로야구 기록대백과. 서울: 한국야구위원회.한국야구원회. 2015a; 한국프로야구 기록대백과 서울, 한국야구위원회.
42. 한국야구위원회(2015b). 2015년 KBO 연감. 서울: 한국야구위원회.한국야구위원회. 2015b; 2015년 KBO 연감 서울, 한국야구위원회.
43. 황, 진수 (1995). 우리나라 은행의 경영효율성 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산업경영시스템학회, 18(35), 165-175.
44. Anderson, T. R., et al, & Sharp, G. P. (1997). A new measure of baseball batters using DEA. Annals of Operations Research, 73: 141-155.
45. Banker, R. D., Charnes, A., et al, & Cooper, W. W. (1984). Some models for estimating technical and scale inefficiencies in data envelopment analysis.
Management Science, 30(9), 1078-1092. DOI:
10.1287/mnsc.30.9.1078.
46. Charnes, A., Cooper, W. W., et al, & Rhodes, E. (1978). Measuring the efficiency of decision making units.
European Journal of Operational Research, 2(6), 429-444. DOI:
10.1016/0377-2217(78)90138-8.
47. Cho, Y. S., et al, & Cho, Y. J. (2005). A study on OPS and runs from Korean baseball league.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7: 221-231.
48. Farrell, M. J. (1957). The measurement of productive efficiency.
Journal of the Royal Statistical Society, 120(3), 253-281.
49. Fitzsimmons, J. A., et al, & Fitzsimmons, M. J. (1994). Service management for competitive advantage. NY: MacGraw-Hi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