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고, 은주, 성, 희원, & 윤, 혜림 (2008). 스마트 의류의 혁신속성과 지각된 위험이 제품 태도 및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마케팅과학연구, 18(2), 89-111.
2. 곽, 민석, 조, 광민, & 이, 광용 (2014). 기술수용모델(TAM)과 계획적 행동이론(TPB)을 적용한 스포츠 용품 온라인 구매의도 모형 검증: 라이프스타일의 조절효과. 한국체육학회지, 53(3), 423-441.
3. 김, 성일 2012; 혁신확산이론에 따른 스마트폰 수용의도에 관한 연구 : 스마트폰 미사용자를 중심으로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세종대학교 대학원. 서울,
4. 김, 진경 2013; 기술준비·수용모델을 적용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의 카테고리별 사용의도에 관한 연구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공주대학교 대학원. 공주,
5. 마, 윤성, 조, 광민, & 진, 지형 (2014). 스마트스포츠웨어의 지각된 혁신속성, 제품태도 및 혁신저항의 구조적 관계. 체육과학연구, 25(3), 513-526.
6. 미래창조과학부(2015). 2020년 ICT 생산 240조원, 수출 2,100억불 달성 - 미래부, “ICT가 선도하는 창조 한국 실현”「K-ICT 전략」발표 -. 보도자료(2015. 3. 25). http://www.msip.go.kr.미래창조과학부. (2015). 2020년 ICT 생산 240조원, 수출 2,100억불 달성 - 미래부, “ICT가 선도하는 창조 한국 실현”「K-ICT 전략」발표 - 보도자료(2015. 3. 25).
http://www.msip.go.kr
7. 박, 철우, 정, 해주 (2012). 개인특성 및 시스템특성이 기술혁신제품의 수용에 미치는 영향 연구 : 클라우드 컴퓨팅을 대상으로. 벤처창업연구, 7(2), 63-76.
8. 산업통상자원부(2014). 웨어러블 스마트 디바이스 산업 육성을 위해 산학연 손 맞잡아 - 웨어러블 특화형 대형ㆍ장기 기술개발 사업도 적극 추진키로 -. 보도자료(2014. 3. 5). http://www.motie.go.kr.산업통상자원부. (2014). 웨어러블 스마트 디바이스 산업 육성을 위해 산학연 손 맞잡아 - 웨어러블 특화형 대형ㆍ장기 기술개발 사업도 적극 추진키로 - 보도자료(2014. 3. 5).
http://www.motie.go.kr
9. 서, 순식 (2011). 확장된 정보기술수용모델(TAM)을 기반으로 디지털교과서 수용 및 활용 탐색. 정보교육학회논문지, 15(2), 265-275.
10. 송, 지준 (2012). 논문작성에 필요한 SPSS/AMOS 통계분석방벙 경기도: 21세기사.
11. 송, 현석 2010; 소비자 기술준비도가 프로슈머 태도와 온라인 구전 의도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대학원. 서울,
12. 오, 종철, 윤, 성준, & 우, 원 (2010). 모바일 인터넷 서비스 이용의도에 관한 연구: 개정된 TRAM모형을 중심으로. 서비스경영학회지, 11(5), 127-148.
13. 옥, 라미 2011; 기술준비도가 소비자의 소셜쇼핑(Social shopping)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대학원. 서울,
14. 유, 재현, 박, 철 (2010). 기술수용모델(Technology Acceptance Model) 연구에 대한 종합적 고찰. Entrue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9(2), 31-50.
15. 이, 맹주, 노, 승용 2013; ICT 융합 국가전략 방향: 국내외 현황과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정책학회 추계학술발표논문집 2013: 1011-1051.
16. 이, 민태, 박, 윤수, & 김, 태희 2015; 기능성 레저/스포츠 서비스와 손목시계형 웨어러블 장치의 연동 및 활용에 관한 연구. 한국통신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15(1), 511-512.
17. 이, 성진 2014; 스포츠웨어러블컴퓨터에 대한 소비자혁신성이 신제품수용도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대학원. 용인,
18. 이, 성진, 전, 익기 (2014). 스포츠웨어러블제품에 대한 소비자혁신성이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기술수용모델(TAM)을 중심으로.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지, 19(1), 95-108.
19. 이, 재신, 이, 민영 (2006). 확장된 기술수용모델을 이용한 IP-TV의 수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한 연구. 방송과 커뮤니케이션, 7(1), 100-131.
21. 이, 지은, 신, 민수 (2011). 스마트폰 기반 모바일뱅킹 채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기술준비도와 전문지식을 중심으로. 한국전자거래학회지, 16(4), 155-172.
22. 임, 양수, 박, 유진, & 김, 선영 2015; 1 28; 2015년 IoT 중심의 융합산업 전망 - 4대 주요 산업의 이슈 중심으로-. KT경제경영연구소. KT경제경영연구소 Issue Crunch Special 19호
http://www.digieco.co.kr.
23. 정, 남호, 이, 현애, & 구, 철모 (2014). 관광객의 기술준비도가 증강현실 관광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관광연구, 29(1), 265-285.
24. 조, 위덕, 위, 정식, & 서, 윤교 (2013). 스마트 ICT융합 비즈니스 서울: 진한엠앤비.
25. 진, 영정 2007; 한국과 대만 소비자의 기술준비도 수준과 모바일데이터서비스 이용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서울,
26. 채, 진미, 조, 현승, & 이, 주현 (2009). 혁신기술수용모델의 관점에서 고찰한 MP3-playing 의류와 생체신호 센싱 의류의 수용도. 감성과학, 12(2), 289-298.
27. 천, 덕희 (2012). 기술수용모델(TAM)을 이용한 여행사 종사원의 CRS 수용에 관한 연구. 관광연구, 27(3), 413-429.
28. 최, 혁라, 신, 정신 (2006). 사용자의 신기술반응이 신서비스 수용에 미치는 영향 : 모바일뱅킹 서비스를 중심으로. 산업경제연구, 19(1), 131-155.
29. 하, 호진, 서, 현곤 (2014). 강원도 동계 스포츠 IT 융합 서비스 방안 연구. 경영과학, 31(4), 107-116.
30. 한, 상린, 심, 현숙, & 신, 유민 (2014). 기술준비도와 소비자 관여도가 혁신제품의 수용과정에 미치는 영향. 상품학연구, 32(3), 91-109.
31. 허, 유민 2013; 스마트사회에서 정보통신(ICT) 융합기술 및 서비스 활용의 사회경제적 의의와 활성화 유인을 위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경제대학원. 서울,
32. 홍, 석표 (2012). 기술수용모형(TAM)과 신뢰를 적용한 스포츠 상품 온라인 구매의사 모형 검증. 한국체육학회지, 51(6), 201-213.
33. Ajzen, I. (1985).
From intentions to actions: A theory of planned behavior
(pp. 11-39). Springer Berlin Heidelberg. DOI:
10.1007/978-3-642-69746-3_2.
34. Bentler, P. M. (1990). Comparative fit indexes in structural models.
Psychological bulletin
, 107(2), 238. DOI:
10.1037//0033-2909.107.2.238.
35. Bentler, P. M., et al, & Bonett, D. G. (1980). Significance tests and goodness of fit in the analysis of covariance structures.
Psychological bulletin
, 88(3), 588. DOI:
10.1037//0033-2909.88.3.588.
36. Davis, F. D. (1989).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and user acceptance of information technology.
MIS quarterly
, 319.
37. Davis, F. D., Bagozzi, R. P., et al, & Warshaw, P. R. (1989). User acceptance of computer technology: a comparison of two theoretical models.
Management science
, 35(8), 982-1003. DOI:
10.1287/mnsc.35.8.982.
38. Fishbein, M., et al, & Ajzen, I. 1975;
Belief, attitude, intention and behavior: An introduction to theory and research
39. Ha, S., et al, & Stoel, L. (2009). Consumer e-shopping acceptance: Antecedents in a technology acceptance model.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 62(5), 565-571. DOI:
10.1016/j.jbusres.2008.06.016.
40. Hu, L. T., et al, & Bentler, P. M. (1999). Cutoff criteria for fit indexes in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Conventional criteria versus new alternativ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 multidisciplinary journal
, 6(1), 1-55. DOI:
10.1080/10705519909540118.
41. Lancaster, K. (1966). Change and innovation in the technology of consumption.
The American Economic Review
, 14-23.
42. Liljander, V., Gillberg, F., Gummerus, J., et al, & van Riel, A. (2006). Technology readiness and the evaluation and adoption of self-service technologies.
Journal of Retailing and Consumer Services
, 13(3), 177-191. DOI:
10.1016/j.jretconser.2005.08.004.
43. Lin, C. H., Shih, H. Y., et al, & Sher, P. J. (2007). Integrating technology readiness into technology acceptance: The TRAM model.
Psychology & Marketing
, 24(7), 641-657. DOI:
10.1002/mar.20177.
44. Lin, J. C. C., et al, & Lu, H. (2000). Towards an understanding of the behavioural intention to use a web site.
International journal of information management
, 20(3), 197-208.
45. Moon, J. W., et al, & Kim, Y. G. (2001). Extending the TAM for a World-Wide-Web context.
Information & management
, 38(4), 217-230. DOI:
10.1016/s0378-7206(00)00061-6.
46. Parasuraman, A. (2000). Technology Readiness Index (TRI) a multiple-item scale to measure readiness to embrace new technologies.
Journal of service research
, 2(4), 307-320.
47. Segars, A. H., et al, & Grover, V. (1993). Re-examining perceived ease of use and usefulness: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MIS quarterly
, 517-525.
48. Van de Ven, A. H., et al, & Ferry, D. L. (1980).
Measuring and assessing organizations
(pp. 19New York: Wiley.
49. Venkatesh, V., et al, & Davis, F. D. (2000). A theoretical extension of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Four longitudinal field studies.
Management science
, 46(2), 186-204. DOI:
10.1287/mnsc.46.2.186.11926.
50. Walczuch, R., Lemmink, J., et al, & Streukens, S. (2007). The effect of service employees’ technology readiness on technology acceptance.
Information & Management
, 44(2), 206-215. DOI:
10.1016/j.im.2006.1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