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스포츠 사회과학 분야 통합 학술 지식지도(Knowledge Map) 분석

Analysis of interdisciplinary Research Knowledge Map in Sports Social Science of Korea

Article information

Korean J Sport Sci. 2016;27(3):561-574
Chung-Ang University
중앙대학교
Received 2016 July 26; Revised 2016 August 17; Accepted 2016 September 06.

Abstract

본 연구는 국내 스포츠 사회과학 학술지의 10년 간 지식구조의 흐름을 살펴보기 위해 스포츠산업경영학회지, 스포츠교육학회지, 스포츠사회학회지, 스포츠심리학회지, 여가레크리에이션 학회지를 대상으로 소셜 네트워크 분석기법 중 커뮤니티 분석을 통해 지식지도를 도출하였다. 분석결과 스포츠 사회과학 분야 통합 지식지도는 5개의 그룹으로 분리되었으며, 각 그룹은 본 연구의 대상인 5개 학술지 연구영역의 주제키워드군의 지식구조와 유사하게 도출되었다. 이러한 결과와 동시에 각 관계마다 차이는 있지만 전체적인 그룹 간 주제키워드의 교류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스포츠산업경영학 연구영역의 주제키워드 중 일부가 여가레크리에이션과 스포츠사회학 연구영역으로 전이되어 있으며, 스포츠사회학은 스포츠산업경영, 스포츠심리학과 밀접한 교류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스포츠심리학은 대부분의 타 그룹과 연결관계를 이루며, 인간행동을 이해하는 심리학적 변인의 넓은 활용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여가레크리에이션학 영역은 주로 스포츠심리학, 스포츠경영학 주제키워드와 매우 높은 연구관계를 나타내고 있으나 보다 독자적인 연구 개념의 필요성 또한 시사하고 있다. 스포츠교육학 분야는 특성상 고립되어 있지만 스포츠심리학과의 교류를 이루고 있으며, 체육학 페다고지 개념의 접근을 통한 연구영역의 확대를 모색할 수 있다.

Trans Abstract

To examine the flow of knowledge structure in Korean journals of sport and social sciences over the last 10 years, this study has derived a knowledge map by conducting community analysis, one of the social network analysis methods, on Korean Journal of Sports Industry Management, Korean Journal of Sport Pedagogics, Korean Journal of Sport Sociology, Korean Journal of Sport Psychology and Korean Journal of Leisure and Recreation.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the integrated knowledge map for the field of sport and social sciences was classified into 5 groups and these groups were derived to be similar to the knowledge structure of the keyword groups for the research topics of the five journals targeted by this study. Along with this result, at the same time, it has been confirmed that most of the groups shared keywords with each other. Especially, some of the keywords for the research topics of sports industry management have transferred to the research topics of leisure and recreation and those of sport sociology. Sport sociology has been revealed to be closely related to sports industry management and sport psychology. In the case of sport psychology, it has been confirmed that it is related to most of the other groups and the psychological variables for understanding human behavior can be widely used. It shows that leisure and recreation is highly related to sport psychology and sport management in terms of keywords for research topics but it is suggested that it also needs its own independent research topics. Sport pedagogics, by its nature, is an isolated field but interacts with sport psychology and attempts can be made to expand its research topics through an approach based on the concept of pedagogy for physical education.

서 론

한 분야의 학술연구가 오랜 역사를 이어오며 발전을 거듭할 수 있는 요소 중 하나는 특정 시점에서 수행된 연구의 흐름을 돌아보고 반성적·발전적 입장에서 성찰하여 향후 지속될 연구의 방향성을 모색하는 데에 있다. 이러한 학술 동향연구의 필요성으로 말미암아 다수 학자들은 다양한 방법론의 적용을 통해 각 연구 분야가 내제한 특징과 동향 등을 파악해 왔다. 이는 연구의 흐름, 현황 등을 보다 효과적으로 직관적인 관점에서 제공할 수 있는 계기로 작용하며, 해당 학문분야의 질적·양적 수준의 향상을 위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Yoon, 2005).

본 연구 또한 ‘빅 데이터(Big Data)’의 이슈와 더불어 다시금 주목 받는 소셜 네트워크 분석(Social Network Analysis)의 가능성을 기대하고 오랜 시간 방대한 연구를 축적해 온 스포츠 분야 학술연구의 현주소를 파악하는 방법론으로 적용하고자 하였다.

소셜 네트워크 분석의 초기 목적은 말 그대로 인간의 사회적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시작되었다. 네트워크를 이루고 있는 점 즉, 노드(Node)는 특정 인물로 설정되어 있으며, 각 노드의 관계성이 선(링크, Link)으로 연결 지어진 네트워크를 하나의 집단으로 보고 그 안에 존재하는 사람과 사람이 갖는 관계적 특징을 설명하는 것이다(Kim, 2011). 본 연구에서는 노드를 논문의 주제키워드로 설정하고 한편의 논문에서 동시출현하는 주제키워드의 연결관계를 지식구조화 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논문의 저자에게 있어 주제키워드를 선정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라고 볼 수 있다. Kwon & Park(2015)의 연구에서 저자가 제시한 주제키워드는 독자 및 연구자뿐만 아니라 시간 별로 축적되는 논문의 데이터베이스 측면에서도 활용가치가 높음을 언급하였다. 이러한 주제키워드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많은 연구들에서 키워드를 추출하고 일련의 데이터 정제과정을 통해 해당분야의 지식지도와 지적구조를 밝혔다(Lee, 2006; Park, 2011; Kang & Park, 2013; Seo & Jung 2013). 점차 다양한 학술분야로 확대되어 가고 있는 지식지도분석 방법론의 초점은 수 없이 산재해 있는 지식의 조각들(Pieces of Knowledge)을 한데 모아 개별적으로 존재하였을 경우 알아내기 어려웠을 연관된 가치(Associative Value)를 규명하는 것이다. 이로 인해 기존부터 존재해 왔던 풍부한 지식과 정보 간의 예상치 못한 관련성은 새로운 지식과 이론의 잠재성과 전에 없던 연구의 방향성, 시사점, 함의, 통찰력 등을 밝히는 계기가 된다(Yoon et al., 2004). 이러한 특징을 수렴하여 과학기술 분야를 시발점으로 다수 학문분야에서 시도하고 있는 지식지도(Knowledge Map) 연구를 스포츠 사회과학 분야에도 적용하였다.

스포츠 산업·경영, 교육, 사회, 교육, 여가·레크리에이션 분야 등 스포츠 사회과학 학문은 현재 인류가 당면하고 있는 사회적 흐름 가운데 스포츠가 내제하고 있는 여러 가지 특성을 준거로 구분되어 있다. 각 학문 분야와 관련 학술지들은 국내의 스포츠 사회과학 학술분야의 독자적인 영역을 구축하고 있으며, 이러한 흐름이 20년이 넘는 세월동안 지속되어 오고 있다. 이러한 특징에도 스포츠 사회과학의 각 분과영역 학술지는 주기적으로 발표되는 각 학술분과의 연구결과물에서 공통적으로 활용되는 주제 또는 연구개념, 이론 등을 어렵지 않게 발견할 수 있다. 더욱이 본 연구의 대상인 스포츠 사회과학 5개 분과학술지(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지,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에 대한 각각의 주제키워드 지식지도를 구축하고 지식구조를 분석한 최근의 연구(Kim, 2015; Byon & kim, 2015; Kim et al., 2015; Lee et al., 2015; Park et al., 2016)에서도 확인되고 있다.

이러한 역설적 측면은 현재 스포츠 사회과학 분과학문이 하나의 모태에서 점진적으로 분화하는 현상이 세월을 거듭하면서 현재와 같은 특성을 형성하였다고 볼 수 있다(Ziegler, 1979). Kim(2009)은 사회과학 연구는 하나의 분과학문만으로 접근하기 어려운 사회문제들이 대부분이라고 하였으며, Won(2009)은 최근 학술 연구의 특징 중 하나는 학문 분야의 개별적인 영역을 확고히 구축하려는 노력과 함께 학문 간 벽이 점차 허물어지고는 현상이 동시에 일어나고 있다는 점을 언급하였다. 이러한 학술적 특징을 바탕으로 앞서 언급한 스포츠 사회과학 5개 분야가 각각의 지식지도 연구를 수행하여 나타난 결과로 인해 개별 학문에 대한 지식구조를 이해하였다면 이를 토대로 통합적인 지식지도의 구축과 전체를 조망하는 것은 학제적(Interdisciplinary) 영역으로 사회과학 분야가 내제하는 통합성과 개별성에 대한 이해를 도울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또한, 학제·융합연구의 필요성이 날로 늘어가는 연구의 시의성을 반영하여 스포츠 사회과학의 범위와 방향성을 확대한다는 연구의 의의를 부여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내용을 종합하여 볼 때, 현재 각 학술분야의 초점은 학문 간 학제적 연구를 확대하는데 주력하고 있으며, 스포츠 분야 또한 그 당위성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포츠라는 거대 범위 내에서 발생하는 복잡한 사회현상을 파악하고 문제해결과 발전방안을 모색하기 위해서는 특정 학술분야에 편향되는 것이 아닌 통합적인 관점에서 전체 스포츠 사회과학 분야를 조망하는 접근을 본 연구에서 수행하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스포츠 사회과학 분야의 최근 10년(2005-2014)간 각 학술 분과에서 추출된 주제키워드를 데이터를 취합하여 소셜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하여 지식지도를 구축하고 스포츠 사회과학분야 개별 학문의 영역과 특정 주제키워드 간 교류관계를 살펴보고 스포츠 사회과학의 통합적 현주소를 파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연구대상

<Table 1>은 본 연구대상인 국내 스포츠 사회과학 5개 학회지 및 10년(2005-2014)간 발표된 논문의 수를 나타내고 있다.

Korean Sport Social Science for 10(2005-2014) years, paper-listed status

본 연구목적에 의거한 연구대상은 앞서 수행된 5개의 국내 스포츠 사회과학 학술지(스포츠산업경영학회지, 스포츠교육학회지, 스포츠사회학회지, 스포츠심리학회지, 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로 설정하였다. 이 가운데 한국 스포츠심리학회지는 ‘스포츠심리학’ 분야의 구성개념과 이론에 초점을 맞추고자 하였다. 그리하여 2005-2014년 간 발표된 총 506편의 논문 가운데 ’운동발달’, ‘운동제어’, ‘운동역학’ 주제 영역을 제외한 ‘스포츠심리학’ 주제 개념을 내포하고 있는 345편의 논문을 대상으로 설정하였다. 이를 포함하여 <Table 1>에 제시된 각 사회과학 분과학회지의 10년(2005-2014)범위의 총 논문은 2,083편으로 나타났다.

자료수집

연구대상인 5개 스포츠 사회과학 학술지의 10년(2005-2014년)범위의 통합 지식지도 구축과 지식구조 탐색을 위해 논문의 주제키워드를 수집하였다. 이 단계에서 수집과정의 학문적 전문성과 객관성 확보를 위해 각 학술지 마다 해당 전공교수 및 박사급 연구원으로 2명씩 구성된 전문가 집단이 참여하여 주제키워드 추출과정에 참여하였다. 연구자를 포함한 각 학술지 별 2인으로 구성된 전문가 집단은 각 논문에 수록된 저자 주제키워드를 중심으로 자료 수집을 실시하였다. 이 과정에서 주제키워드를 통해 해당연구의 핵심주제 파악이 어렵거나 키워드 자체가 명시되어 있지 않은 일부 논문의 경우 제목, 초록, 본문의 내용을 참고하여 추출하였다.

한편, 주제키워드는 해당 연구 및 이론의 대표성을 지니고 있지만 저자가 직접 제시하는 비통제어휘라는 특성상 분석에 그대로 활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다만, 형태소 분석이나 데이터 정제과정을 통해 학술분야의 지적구조를 효과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데이터 셋(Data Set)으로 구성이 가능하다(Ko et al., 2013). 데이터정제의 절차는 데이터 전처리, 클러스터링, 동시출현행렬 매트릭스 작성의 순으로 진행하였다.

데이터 전처리

데이터 전처리 단계에서는 개별적으로 추출한 주제키워드를 각 논문별로 대조하였다. 해당 과정 또한 앞서 주제키워드 추출과정을 수행한 각 학술지의 전공교수 및 박사급 연구원으로 구성된 전문가 집단 2인과 저자가 참여하여 진행되었다. 대조과정에서 3인(연구자, 전문가 2인)의 주제키워드가 동일한 논문은 그대로 수용하였으며, 불일치한 일부 논문의 경우 토의를 통해 가장 적합하다고 판단되는 주제키워드를 확정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더불어 ‘조사’, ‘방법’, ‘연구’ 또는 특정 스포츠 ‘종목’과 같이 연구주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판단된 키워드를 제거하였다. 또한, 띄어쓰기 및 오타와 같은 집필상의 오류를 바로잡는 과정을 통해 데이터 전처리 단계를 완료하였다.

클러스터링

데이터 전처리를 수행한 스포츠 사회과학 각 영역 별 주제키워드 중 의미가 동일하지만 표기방법이 다르거나 지나치게 세분화 되어 있어 상위의 개념으로 통일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이를 군집화, 범주화하는 클러스터링을 실시하였다. 이 단계에서는 각 주제키워드 중 그 개념의 의미를 가장 올바르게 표현한다고 판단되는 단어를 분야별 2인의 전문가 집단과 저자가 합의하여 명명하였다. 클러스터링 과정을 통해 스포츠산업경영 288개, 스포츠교육학 306개, 스포츠사회학 380개, 스포츠심리학 153개 그리고 여가레크리에이션학 455개의 주제키워드가 최종적으로 도출되었다. 주제키워드를 클러스터링 하는 과정은 <Table 2>와 같다.

Keywords Clustering

동시출현 매트릭스 작성

데이터 정제과정이 완료된 각 학술지의 동시출현행렬 매트릭스를 하나로 통합하였다. 이 과정에서 모든 학술지 또는 일부 학술지에 중복으로 출현한 동일한 명칭의 주제키워드를 하나로 통일하였다. 그리하여 5개 스포츠 사회과학 분야 총 1,137개 주제키워드로 이루어진 동시출현 매트릭스가 작성되었다. <Table 3>은 1,137개 주제키워드가 가로, 각 논문이 세로행으로 이루어진 동시출현행렬 매트릭스의 일부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가로행의 주제키워드 중 세로행에 있는 논문에 출현한 경우 1, 출현하지 않은 경우 0으로 표기하는 이진값의 매트릭스로 구성되어 있다.

Co-Word matrix of Keywords

자료분석

본 연구의 목적을 바탕으로 한 자료처리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수집된 스포츠 사회과학 분야의 10년(2005-2014)간 전체 주제키워드를 통합한 동시출현행렬 매트릭스 작성을 위해 Microsoft Office Excel 2013 소프트웨어를 활용하였다.

둘째, 5개 스포츠 사회과학 분야 학술지 10년 범위의 통합 지식지도를 구축하기 위해 넷 마이너 4.2 (Net Miner 4.2)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소셜 네트워크 분석(Social Network Analysis) 중 커뮤니티(Community)분석을 실시하였다.

셋째, 5개 스포츠 사회과학 분야 학술지 10년 범위의 통합 지식지도를 구성하는 각 주제키워드가 수행하는 역할을 알아보기 위해 중개자 분석(Brokerage measure)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및 논의

국내 스포츠 사회과학 분야 5개 학술지(스포츠산업경영학회지, 스포츠교육학회지, 스포츠사회학회지, 스포츠심리학회지, 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의 10년(2005-2014)간 논문에서 출현한 주제키워드의 통합 지식지도를 구축하기 위해 커뮤니티(Community)분석을 실시하였다. 커뮤니티 분석은 통합된 스포츠 사회과학 주제키워드 지식지도에서 세부 연구 영역 간 그룹을 형성시키고 그룹 간 연결되는 주제키워드의 관계 또한 파악할 수 있는 분석 방법이다(Son, 2013). 이 과정에서 5개 스포츠 사회과학 분야의 10년 간 추출된 1,137개 주제키워드 중 연구영역을 구분하기 어렵다고 판단되는 5개미만 출현빈도의 주제키워드를 제외한 225개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세부 영역은 <Fig. 1>과 같이 5개의 그룹으로 구분되었으며, 각 그룹을 이루고 있는 주제키워드 수, 각 그룹의 밀도는 <Table 4>에 제시하였다.

Fig. 3.

Integrated Sports Social Sciences Knowledge Map(2005-2014)

Sports Social Sciences Keywords configuration through community analysis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Fig. 1>을 통해 그룹 1은 스포츠사회학 영역의 주제키워드를 중심으로 이루어진 연구영역을 확인 할 수 있다. 이어 그룹 2는 스포츠산업경영학 영역, 그룹 3은 스포츠심리학 그리고 그룹 4와 그룹 5는 각각 여가레크리에이션, 스포츠교육학 영역으로 구축되었다. 이를 통해 주제키워드의 통합적 분석결과에서 각 연구영역이 분야 별 이론적 특징을 나타내는 개별적인 그룹으로 구분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긴밀하게 형성된 각 그룹 속에서 간 복잡하게 연결되어 있는 주제키워드 간의 내·외부 교류관계가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특징은 <Fig. 1>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그룹 5(스포츠교육학)를 제외한 그룹 1(스포츠사회학) - 그룹 2(스포츠산업경영) - 그룹 3(스포츠심리학) - 그룹 4(여가레크리에이션)는 서로 활발한 연결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몰입’, ‘리더십’, ‘임파워먼트’, ‘직무만족’, ‘학교생활적응’, ‘운동만족’, ‘운동지속의도’, ‘경영성과’, ‘경영전략’, ‘조직몰입’ 등은 스포츠 심리학, 산업·경영학 분야의 이론적 개념을 내포하고 있는 주제키워드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스포츠 사회학 연구와 관련된 주제키워드로 이루어진 그룹 1에 속해 있다. Koo(2006)의 연구에서는 사회학, 심리학에서 공통적으로 분류되는 영역 중 하나가 ‘사회심리학’이라고 언급하였다. 스포츠 분야 또한 관련된 사회현상을 심리적, 정신적 차원에서 설명하려는 시도에 따라 그 실천과정에서 나타나는 학제적 교류의 지표로써 주제키워드의 그룹 간 이동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주제키워드의 이동뿐만 아니라 두 연구 그룹을 구성하는 주제키워드 간 연결성 또한 매우 복잡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를 통해 스포츠사회학 그리고 스포츠심리학 연구는 두 학제적 연구에서 도출되는 지식의 의미와 중요성을 인지하고 활발하게 수행되어 온 것으로 볼 수 있다. Cho(2000)는 사회과학이 독립된 각 연구영역으로 존재하지만 각자의 측면 혹은 관점에서 인간의 행위와 심리를 탐구하는 특성은 보편적임을 언급하였다. 이와 같은 맥락으로 인간 심리에서 비롯하는 다양한 행동이 각 분과영역이 추구하는 이론에 따라 극명히 구분되지 않는 특성이 존재한다. 따라서 사회과학이 공통적으로 관심을 갖는 인간의 태도, 행동, 감정 등을 연구 개념으로 대변할 수 있는 스포츠심리학 주제키워드가 스포츠 사회과학 분야 전반으로 널리 활용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Lee(2013)는 경영현장에서 발생하는 사회적 상호작용과 조직의 성과 또는 개인·집단의 행동을 연구하는 것이 경영학, 사회학 두 연구영역을 조화롭게 발전시키는데 기여하였음을 언급하였다. 그룹 1에 속한 산업경영 분야 주제키워드를 살펴보면 10년 간 스포츠사회학 분야의 연구는 산업경영 연구를 통해 도출할 수 있는 기업 내외부의 성과적 측면을 사회심리적인 관점에서 지속적으로 시도해 온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Kim et al.(2015)의 연구에서 경영학 연구의 지식구조 분석을 통해 도출한 주요키워드는 브랜드, CSR, 조직몰입, 직무만족, 고객만족 등으로 나타났다. 이는 경영을 통한 실제 이윤창출과 관련된 마케팅 또는 경영성과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기업이나 조직 구성원에 대한 관리 노력이 필요하다는 Lee(2013)의 주장과 동일한 맥락으로 조직몰입, 직무만족과 같은 조직 및 내부 직원 관리와 같은 단어가 대표 주제키워드 군에 속해 있다. 신속한 트렌드와 높은 시의성을 띄고 있는 ‘마케팅’ 분야의 연구가 수행되고 있는 만큼 ‘조직관리’ 측면의 연구주제 더욱 비중 있게 고려한다면 스포츠 ‘경영’ 연구영역에 대한 학문의 다양성과 질적 성장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다만, 두 그룹 간 연결관계의 강도는 비교적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두 분야 간 주제키워드의 교류범위가 다소 한정적인 부분에서만 이루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연구적 접근이 어려운 하위영역 간 이론적 특성의 한계로도 볼 수 있지만 그것을 극복하기 위해 보다 심도 있는 두 분야의 세부 이론들을 탐색하고 접점을 발견하여 다양한 차원의 학제적 교류와 연구 성과를 도출해야 할 부분으로 판단된다.

한편, <Table 4>를 살펴보면 그룹 2인 스포츠 산업경영 주제키워드 영역은 키워드 수가 23개로 스포츠교육학 영역에 이어 두 번째로 낮은 수치가 나타났다. 또한, 스포츠산업경영학 영역은 0.340으로 가장 높은 밀도를 나타내고 있어 그룹 2를 이루고 있는 주제키워드는 외부와의 교류에 비해 그룹 내부의 연결이 더욱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는 것을 뜻한다. 중요한 것은 일부 스포츠산업경영학 분야의 주제키워드는 타 그룹에 속할 정도로 높은 교류를 나타내고 있다는 점이다. 이는 스포츠산업경영학 주제키워드 중 학술분야 내 연구에 주력하거나 혹은 외부 연구영역과의 연구가 활발히 전개되는 주제키워드의 역할이 비교적 명확히 구분되어져 있다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를 반증하듯 스포츠 산업경영학 분야의 이론적 특성을 띠는 다수의 주제키워드가 그룹 4인 여가레크리에이션 영역에 응집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스포츠 산업경영학 분야의 주요 키워드인 관여도, 서비스품질, 추천의도, 재구매의도, 충성도, 서비스만족 주제키워드 또한 그룹 4에 소속되어 있다. 뿐만 아니라 여가레크리에이션 영역에 응집되어 있는 대부분의 주제키워드는 ‘여가’라는 학술 분야의 특성이 결합되어 스포츠산업경영 및 스포츠심리학적 측면의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각 그룹 간의 연결 관계를 살펴보아도 그룹 4의 여가레크리에이션 분야의 연구영역은 스포츠심리학, 스포츠사회학, 스포츠 산업경영학 분야의 그룹과 활발한 주제키워드의 소통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은 <Table 4>의 각 그룹 별 특징을 통해 파악할 수 있다. 여가레크리에이션 영역이 75개의 키워드 수로 가장 거대한 그룹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각 그룹의 개별적인 응집수준을 나타내는 밀도(Density)는 0.125로 5개 연구영역 중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는 각 주제키워드가 그룹내부 보다 상대적으로 외부 연결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이는 여가레크리에이션학과 같이 일부 흡수한 타 분야의 주제키워드를 포함하는 특징과 함께 외부 그룹과의 연결 관계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구조를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여가레크리에이션 분야가 사회과학 전반의 이론을 적용하는 다양성을 띠고 있다는 긍정적인 평가로 볼 수 있는 반면, 현재의 개선점을 확인 할 수 있게 하는 지표로 작용한다. Hwang & Cho(2016)의 연구에서는 현재 발표되고 있는 다수의 여가 관련 연구들이 스포츠산업·심리학 영역에 편향되어 있음을 지적하였으며, Kim(2015)의 연구 또한 여가레크리에이션 학문영역의 독자적인 연구가 시급함을 주장하였다.

여가레크리에이션이 갖는 시장·산업적 가치에 따라 향후에도 산업경영, 심리학적 주제키워드 접근은 피할 수 없을 것이다. 하지만 이는 여가 또는 레크리에이션의 비교적 긍적적인 단면만을 파악하게 되는 우려가 있다(Kim, 2008). 여가를 향유하는 것은 생활수준, 성별, 연령, 직업 등 인구사회적 특성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며, 계층화와 같은 사회문제와도 직결된다. ‘여가제약’, ‘여가제약협상’과 같은 참여자체의 문제에 대한 논의와 시사점 도출이 가능한 여가레크리에이션 분야만의 차별적인 연구가 더욱 활발히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진지한여가’, ‘여가레크리에이션전문화’ 주제키워드와 같이 여가레크리에이션 분야만의 정체성을 명확히 드러낼 수 있는 주제키워드를 통해 가벼운 취미의 수준이 아닌 고도의 습득과 성취를 위한 관점에서 연구를 진행하는 것 또한 고려할 수 있는 접근방법이다(Tsuar & Liang, 2008). 이를 위해서는 여가지도자, 여가교육, 여가프로그램개발, 여가시설 등과 같은 여가레크리에이션 교육과 환경에 관련된 연구 또한 동반 수행되는 것이 더욱 독창성 있는 영역특성으로 자리 잡을 수 있을 것이다(Lee, 2016).

스포츠교육학 분야 주제키워드는 그룹 5에 소속되어 있다. 키워드 수는 20개로 가장 낮은 반면 밀도는 2번째로 높은 0.232의 수치를 나타내고 있다. <Fig. 1>을 살펴보았을 때 외부 주제키워드 및 타 그룹과의 연결 관계가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을 보이고 있는데 일부 스포츠 심리학 분야와의 연결 관계를 확인할 수 있다. 그럼에도 스포츠교육학 분야는 대체적으로 타 분야에 비해 높은 독자성을 띠는 연구경향이 나타나고 있다.

Kwon et al.(2015)은 스포츠교육을 통한 인간의 전인적 발달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스포츠심리학의 다양한 이론을 접목한 연구결과를 통해 교육현장에 적용해야 함을 언급하였다. 본 연구결과에서 또한 스포츠교육학 분야의 학문적 필요성을 연구 성과로 실천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Lee & Lee (2013)의 연구에서는 ‘잘 가르치고’, ‘잘 배우기’ 위한 교사의 역할과 태도의 중요성과 관련연구 증가의 높은 관련성을 밝히며, 본 연구의 결과를 뒷받침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스포츠 사회과학 분야 전반의 지식지도에서 고립되어 있는 형태를 띠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You(2011)의 연구에서 밝힌 바와 같이 스포츠교육학의 학문 영역의 탐색하기 위한 방안으로 ‘체육학 페다고지’의 개념을 더욱 확대시킬 필요가 있겠다. 현재의 스포츠교육학 영역의 연구주제에 더하여 체육학 세부 학문의 특성에 적합한 효과적인 교수법을 표준화 할 수 있는 연구 및 이론을 제공하는 것이 스포츠교육학 분야가 스포츠 사회과학 전반의 분과학문과 유기적인 연구 교류를 시도할 수 있는 방법으로 볼 수 있다.

또한, 본 연구는 각 주제키워드가 전체 또는 소속된 연구영역에서 차지하는 역할을 유형 별로 살펴보았다. <Table 5>는 각 주제키워드의 네트워크적 특성에 따른 역할명칭과 역할정도를 나타내는 역할지수 그리고 소속된 그룹을 상위 40개로 추출한 지표이다.

Keyword Analysis Role of Sports Social Sciences Research interests

첫째, 역할 유형 중 내부핵심연결 주제키워드(Coordinator)는 개별적인 각 그룹 내에서 연결관계 및 영향력을 행사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키워드를 의미한다.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내는 주제키워드는 그룹 4의 여가만족(1604)으로 나타났으며, 이어 여가참여동기(그룹 4, 206), 성취목표성향(그룹 3, 602), 관여도(그룹 4, 594), 정서(그룹 3, 484)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상위 40개의 내부 핵심연결 주제키워드 내에서도 높은 순위를 차지하는 키워드는 대부분 그룹 4인 여가레크리에이션과 그룹 3인 스포츠심리학 영역인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각 연구영역이 갖는 키워드의 수 즉, 그룹의 규모가 클수록 내부에서 높은 연결성을 갖는 주제키워드의 역할지수가 높아 <Table 5>와 같은 현상이 발생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또한, Park et al.(2016)의 연구에서도 위의 주제키워드의 중심성과 전체 지식구조의 위치에서의 역할이 상위를 나타내고 있었다. 이는 해당 연구개념 들은 특정 분과학문뿐만 아니라 스포츠 사회과학 분야 전반에도 연구주제 모색으로써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룹 2인 스포츠산업경영 그룹은 고객만족(140)과 고객충성도(100)가 연구영역 내에서 높은 핵심연결 역할을 수행하는 주제키워드로 나타났다. 다만, 키워드의 수가 적은 관계로 관계의 수 또한 상대적으로 빈도가 낮아 역할지수의 수치가 낮은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내부핵심연결 주제키워드는 그룹 내의 역할에 대한 수치에 기준을 두고 있기 때문에 전체 그룹을 통합한 순위는 큰 의미가 없을 수 있다. 그룹 5의 스포츠교육학 또한 적은 주제키워드와 관계빈도로 인해 40위 내의 핵심연결 주제키워드는 체육수업(362), 체육교사(180) 2개만이 위치하고 있다.

내·외부 연결 주제키워드(Gatekeeper)는 그룹 내의 주제키워드와 타 그룹의 주제키워드를 연결시켜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여가만족(그룹 4, 680), 관여도(그룹 4, 579), 정서(그룹 3, 544), 여가참여(그룹 4, 524), 성취목표성향(그룹 3, 394)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그룹 1인 스포츠사회학 영역은 리더십(287), 스포츠산업경영학 영역은 고객만족(그룹 2, 169), 그룹 5인 스포츠교육학 영역은 학교체육(그룹 5, 98)이 각 영역에서 가장 높은 주제키워드임을 알 수 있다. 각 연구 그룹에 위치한 높은 수치의 내·외부 주제키워드들은 외부 그룹과의 연결을 위한 매개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는 외부연구 영역과의 결합된 주제선정을 시도하는 과정에서 이론적 근거를 탐색하거나 연구자체를 구성하는 주제키워드 등으로 활용할 수 있다.

내부핵심연결 및 내·외부 연결 주제키워드는 상위의 수치를 나타내고 있는 주제키워드의 양상이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존 스포츠 각 학문 분야의 지식지도연구(Kim, 2015; Lee et al., 2015; Park et al., 2106)결과에서 나타난 높은 중심성의 주제키워드 군과 유사한 결과를 보이고 있다. 5개 분과학문을 아우르는 커뮤니티 지식지도에서도 각 분과학문 마다 높은 연구 활용성을 나타내는 주제키워드를 확인할 수 있으며, 분과학문 영역 내 뿐만 아니라 자신이 속한 영역과 타 영역의 통합 연구주제를 도출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연구영역 간 연결 주제키워드(Liaison)는 해당 키워드가 소속된 내부 혹은 외부 그룹의 관계없이 연결 관계를 매개해주는 역할을 의미한다. 즉, 특정 주제키워드가 그룹 3에 속해있으면서 그룹 1과 그룹 4에 있는 주제키워드를 연결해주는 다리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매개의 역할이 어떠한 연구영역에 치우치지 않고 널리 링크가 분포되어 연구주제를 이루는 연구가 진행되어 온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주제키워드는 관여도(그룹 4, 270), 몰입(그룹 1, 238), 여가참여(그룹 4, 216), 정서(그룹 3, 216), 사회적 관계(그룹 4, 174). 리더십(그룹 1, 160) 등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고객만족이 그룹 2인 스포츠산업경영학 분야의 가장 높은 연구영역 간 주제키워드로 나타났다. 스포츠교육학(그룹 5) 연구영역은 상위 40위에 속하는 연구영역 간 연결 주제키워드는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Fig. 1>의 시각화 된 주제키워드 그룹에서도 볼 수 있듯이 그룹 내에서만 주로 연결 관계가 생성되는 스포츠교육학의 이론적 특성과 독자성에 기인한 것으로 볼 수 있다. 한편, 상위에 랭크되어 있는 연구영역 간 연결 주제키워드들은 일부 영역에서의 관계가 아닌 전체 지식지도의 전반적인 연구의 ‘마당발’, ‘중재자’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Won(2009)의 연구에서는 사회과학 분야 간 연계지도를 도출하면서 사회과학 내 타 분야로의 파급효과가 높은 주제키워드를 주목해야 한다고 밝혔다. 또한, Kang et al.(2014)은 국내 기술기반산업 전반의 융합구조를 도출하는 커뮤니티 Knowgedge Map을 구축하고 기술 나타나는 융합현상을 이끌고 있는 특정 분야 및 주제키워드를 규명하여 향후 미래 융합산업의 첨병 역할을 할 것으로 주장하였다. 따라서 스포츠 사회과학 분야 내 특정 연구영역에 속해있지만 개방성이 비교적 높은 영역 간 연결 주제키워드는 주제접근의 다양성을 높이는 역할과 함께 통합적인 학제 스포츠 사회과학 연구를 위한 주제접근의 초점이자 근거로 작용할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오늘날 우리가 당면한 사회전반의 문제 그리고 관점을 축소하여 스포츠와 관련된 대부분의 현상을 살펴보아도 스포츠 사회과학의 한 분과학문만으로는 접근하고 해결하는 것이 어렵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사실상 사회과학 분야의 연구 개념을 이루는 각 주제키워드와 그것을 활용하는 척도는 개발과 응용단계에서 각자 분야의 이론만을 적용한 태생적 공통점이 존재하는 특징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중요한 것은 각 연구영역의 독자성과 교류관계가 가시적으로 확인된 최근 10년의 스포츠 사회과학 통합적 지식구조가 향후에도 유지 및 발전적인 형태로 전개되기 위한 학술적 노력이 지속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스포츠 사회과학 각 분야는 현장의 변화가 학술연구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높은 학문이다. 따라서 급변하는 외부환경에 대처하는 각 연구영역의 속도 차이를 최소화함으로써 학술적 발전에 동반상승하여 스포츠 사회과학이라는 거대 학문이 서로 간 유기적인 연구 교류 체계를 더욱 견고히 할 수 있는 분과영역 간 협력을 지속해야 할 것이다.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국내 스포츠 사회과학 학술지의 10년 간 지식구조의 흐름을 살펴보기 위해 스포츠산업경영학회지, 스포츠교육학회지, 스포츠사회학회지, 스포츠심리학회지, 여가레크리에이션 학회지의 지식구조와 각 주제영역이 갖는 특징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스포츠 사회과학 분야의 10년 간 주제키워드를 통합한 학술 지식지도 결과가 도출되었다. 지식지도를 구축하는 과정에서 설명력 있는 연구영역을 도출하기 어렵다고 판단되는 5개 미만 출현의 주제키워드를 제거하여 총 225개의 키워드가 분석에 활용되었다.

분석결과 스포츠 사회과학 통합 지식지도는 5개의 그룹으로 분리되었으며, 각 연구 영역은 본 연구의 대상인 5개 학술지의 지식구조와 유사하게 도출되었다. 이러한 결과와 동시에 각 관계마다 차이는 있지만 전체적인 그룹 간 주제키워드의 교류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스포츠산업경영학 연구영역의 주제키워드 중 일부가 여가레크리에이션과 스포츠사회학 연구영역으로 전이되어 있으며, 스포츠사회학은 스포츠산업경영, 스포츠심리학과 밀접한 교류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스포츠심리학은 대부분의 타 그룹과 연결관계를 이루며, 인간행동을 이해하는 심리학적 변인의 넓은 활용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여가레크리에이션학 영역은 주로 스포츠심리학, 스포츠경영학 주제키워드와 매우 높은 연구관계를 나타내고 있으나 보다 독자적인 연구 개념의 필요성 또한 시사하고 있다. 스포츠교육학 분야는 특성상 고립되어 있지만 스포츠심리학과의 교류를 이루고 있으며, 체육학 페다고지 개념의 접근을 통한 연구영역의 확대를 모색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가 부분적으로는 학자들의 학제적 시도의 결과로 볼 수 있겠지만 사회과학 분야가 내제한 특징에 따라 공통적 연구개념과 이론 즉, 주제키워드가 지속적으로 연구영역으로써 활용되어 온 것으로 판단된다.

앞서 제시된 결과와 같이 본 연구는 소셜 네트워크 분석을 이용하여 세부분과 학문이 아닌 스포츠 사회과학 학술 영역(스포츠산업경영, 스포츠교육, 스포츠사회, 스포츠심리, 여가레크리에이션) 전반에 대한 커뮤니티 지식지도를 도출하였다. 분석결과를 통해 각 분과학문의 주제키워드를 하나의 거대한 네트워크로 시각화하여 최근 10년 간 스포츠 사회과학 분야의 연구동향과 연구 개념의 교류관계를 살펴본 초기연구라는 부분에서 그 의의가 있다. 아울러 본 연구를 토대로 이후 후속연구의 방향성을 제시하기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의 분석데이터로 활용한 주제키워드에 대해 소셜 네트워크 분석이 가능한 데이터 셋으로 구성하고자 해당 주제영역의 의미를 오염시키지 않도록 정제작업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전처리 및 클러스터링 단계에서 각 연구마다 제시하는 키워드의 형태가 매우 다양하고 방대하여 각 학술지 전공영역 전문가들의 노력이 상당 부분 기여하였다. 다만, 본 연구와 같은 지식구조를 직관적으로 도출하는 연구를 지속하고 질적향상을 거듭하기 위해서는 보다 다수의 전문가의 투입과 정제과정이 필요하며, 연구 개념을 설명하는 주제키워드의 명확한 표준화가 또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분석결과에서 지식지도의 가장자리에 위치하고 있으며 대체적으로 드러나지 않고 있는 주제키워드 중 향후 연구에서의 가능성이 아직 규명되지 않은 경우가 있을 수 있다. 향후 연구에서는 부각되지 않는 위치의 주제키워드를 면밀히 살펴 높은 잠재성을 내제한 주제키워드와 연구영역을 도출할 필요가 있다.

셋째, 논문 내 주제키워드뿐만 아니라 범 스포츠 사회과학 분야 전반의 연구자 인용관계, 연구자 간 네트워크 규명을 통한 다양한 관점으로 연구동향을 살펴보는 것 또한 국내 스포츠사회과학 연구동향의 통찰력을 견고하게 다질 수 있는 후속 연구의 방향성으로 볼 수 있다.

Acknowledgements

본 연구는 이제욱의 2016년 박사학위논문에서 발췌 정리하였음

References

1.

Byon, K. K. (2015). A Study on the Intellectual Structure of Leisure and Recreation Studies through Examining the Keyword Network: Published Articles in the Korean Journal of Leisure and Recreation for the Past 9 Years (2006-2014). Journal of Leisure, Park & Recreation Studies, 39(2), 117-132.

Byon K. K.. 2015;A Study on the Intellectual Structure of Leisure and Recreation Studies through Examining the Keyword Network: Published Articles in the Korean Journal of Leisure and Recreation for the Past 9 Years (2006-2014). Journal of Leisure, Park & Recreation Studies 39(2):117–132.
2.

Cho, S. S. (2000). New Millennium Korea sociology of sport. Sport Science, 71, 8-14.

Cho S. S.. 2000;New Millennium Korea sociology of sport. Sport Science 71:8–14.
3.

Hwang, S. H., & Cho, H. T. (2016). Research Trends in Leisure Studies. Korean Journal of Sport Science, 27(1), 1-11.

Hwang S. H., et al, Cho H. T.. 2016;Research Trends in Leisure Studies. Korean Journal of Sport Science 27(1):1–11.
4.

Kang, B. I. & Park, J. H. (2013). Profiling and Co-word Analysis of Teachin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Domain. Journal of Korean Information Management, 30(4), 195-213.

Kang B. I., et al, Park J. H.. 2013;Profiling and Co-word Analysis of Teachin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Domain. Journal of Korean Information Management 30(4):195–213. 10.3743/kosim.2013.30.4.195.
5.

Kang, J. H., Jin, Y. H., & Bea, Y. K. (2014). Structural analysis of the fusion between Korea Technology Industry. Journal of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Proceedings 2014.

Kang J. H., Jin Y. H., et al, Bea Y. K.. 2014. Structural analysis of the fusion between Korea Technology Industry. In : Journal of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Proceedings; 2014;
6.

Kim, D. R., Kwon, K. S., & Jeong, S. B. (2015). Knowledge Structure Analysis on Business Administration Research using Keyword Network Analysis. Journal of Decision Science, 23(1), 111-125.

Kim D. R., Kwon K. S., et al, Jeong S. B.. 2015;Knowledge Structure Analysis on Business Administration Research using Keyword Network Analysis. Journal of Decision Science 23(1):111–125.
7.

Kim, H. G. (2009). What did we do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South Korea: Role and Future of the Korea Social Science. State and national public Dean of Social Sciences Council Conference hosted presentations.

Kim H. G.. 2009;What did we do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South Korea: Role and Future of the Korea Social Science. State and national public Dean of Social Sciences Council Conference hosted presentations
8.

Kim, H. N. (2008). A study on extraction and analysis of leisure and recreation activities with social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Journal of Leisure, Park & Recreation Studies, 32(3), 31-39.

Kim H. N.. 2008;A study on extraction and analysis of leisure and recreation activities with social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Journal of Leisure, Park & Recreation Studies 32(3):31–39.
9.

Kim, H. R., Park, S. H., & Won, D. Y. (2015). An Analysis of Research Trends of Sport Management: Co-author Network and Keyword Network. Korean Journal of Sport Management, 20(3), 63-84.

Kim H. R., Park S. H., et al, Won D. Y.. 2015;An Analysis of Research Trends of Sport Management: Co-author Network and Keyword Network. Korean Journal of Sport Management 20(3):63–84.
10.

Kim, K. S. (2015). Examining of Knowledge Structure of Sports Sociology through Keyword Network Analysis: Published Articles in the Korean Journal of Sociology of Sport Published for the Past 22 Years. Korean Journal of Sociology of Sport, 28(3), 1-25.

Kim K. S.. 2015;Examining of Knowledge Structure of Sports Sociology through Keyword Network Analysis: Published Articles in the Korean Journal of Sociology of Sport Published for the Past 22 Years. Korean Journal of Sociology of Sport 28(3):1–25.
11.

Kim, Y. H. (2011). Social network analysis.Seoul : PAKYOUNGSA

. Kim Y. H.. 2011. Social network analysis Seoul: PAKYOUNGSA.
12.

Ko, Y. M., Song, M. S., Kim, B. Y., & Min, H. R. (2013).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Appearance Frequency of Author Keyword and the Number of Citation in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Journal Articles of the Korea Citation Index. Korean Information Management, 30(2), 227-243.

Ko Y. M., Song M. S., Kim B. Y., et al, Min H. R.. 2013;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Appearance Frequency of Author Keyword and the Number of Citation in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Journal Articles of the Korea Citation Index. Korean Information Management 30(2):227–243.
13.

Koo, C. M. (2006). A trend and future work of interdisciplinary studies in sports sociology.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45(6), 117-132.

Koo C. M.. 2006;A trend and future work of interdisciplinary studies in sports sociology.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45(6):117–132.
14.

Kwon, S. H., Jeon, H. S., & Kim, B. C. (2015). Studying tendency and developmental direction of sports psychology in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The Korean Journal of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20(4), 133-145.

Kwon S. H., Jeon H. S., et al, Kim B. C.. 2015;Studying tendency and developmental direction of sports psychology in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The Korean Journal of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20(4):133–145.
15.

Kwon, S. Y., & Park, E. J. (2015). Knowledge Structure of the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through Network Analysis. Korean Journal Of Occupied Health Nursing. 24(2), 76-85.

Kwon S. Y., et al, Park E. J.. 2015;Knowledge Structure of the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through Network Analysis. Korean Journal Of Occupied Health Nursing 24(2):76–85. 10.5807/kjohn.2015.24.2.76.
16.

Lee, H. J., Lee, J. H., & Ko, B. N. (2013). Quantitative Analysis of Qualitative Studies in Sports Pedagogy: From 2003 to 2011. The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52(1), 195-211.

Lee H. J., Lee J. H., et al, Ko B. N.. 2013;Quantitative Analysis of Qualitative Studies in Sports Pedagogy: From 2003 to 2011. The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52(1):195–211.
17.

Lee, H. J., Son, N, R., & Lee, T. G. (2015). Mapping the Knowledge Structure of Sport Pedagogy Field. Korean Journal of Sport Science, 26(3), 445-460.

Lee H. J., Son N, R., et al, Lee T. G.. 2015;Mapping the Knowledge Structure of Sport Pedagogy Field. Korean Journal of Sport Science 26(3):445–460.
18.

Lee, J. W. (2016). Analysis of Research Knowledge Map in Sports Social Science Utilizing Social Network Analysis.Docto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Lee J. W.. 2016. Analysis of Research Knowledge Map in Sports Social Science Utilizing Social Network Analysis. et al. Chung-Ang University;
19.

Lee, Y. D. (2006). An Analysis of the Key Words in Korean Journal of Japanology in Korea. JALALIDA. 31, 107-122.

Lee Y. D.. 2006;An Analysis of the Key Words in Korean Journal of Japanology in Korea. JALALIDA. 31 :107–122.
20.

Lee, Y. H. (2013). Sociological Studies on Science and Technology in Korea: A Review and Appraisal. Economic and social, 100, 251-272.

Lee Y. H.. 2013;Sociological Studies on Science and Technology in Korea: A Review and Appraisal. Economic and social 100:251–272.
21.

Lee, Y. J. (2013). Service Marketing.Seoul : HAKHYUNSA.

Lee Y. J.. 2013. Service Marketing Seoul: HAKHYUNSA.
22.

Park, O. N. (2011). Knowledge Structures in Knowledge Organization Research: 2000-2011. Bibliographic Information, 22(3), 247-267.

Park O. N.. 2011;Knowledge Structures in Knowledge Organization Research: 2000-2011. Bibliographic Information 22(3):247–267.
23.

Park, S. J., Lee, J. W., & Lee, H. W. (2016). Construct of knowledge Map based on social network analysis of Sports Psychology Keyword.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55(3), 187-198.

Park S. J., Lee J. W., et al, Lee H. W.. 2016;Construct of knowledge Map based on social network analysis of Sports Psychology Keyword.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55(3):187–198.
24.

Seo, S. K., & Chung, E. K. (2013). Domain Analysis on the Field of Open Access by Co-Word Analysis. Bibliographic Information, 24(1), 207-228.

Seo S. K., et al, Chung E. K.. 2013;Domain Analysis on the Field of Open Access by Co-Word Analysis. Bibliographic Information 24(1):207–228. 10.14699/kbiblia.2013.24.1.207.
25.

Son, D. W. (2013). Social Network Analysis.Seoul : KYUNGMUNSA.

Son D. W.. 2013. Social Network Analysis Seoul: KYUNGMUNSA.
26.

Tsaur, S., & Liang, Y.(2008). Serious leisure and recreation specialization. Leisure Sciences, 30, 325-341.

Tsaur S., et al, Liang Y.. 2008;Serious leisure and recreation specialization. Leisure Sciences 30:325–341. 10.1080/01490400802165115.
27.

Won, D. G. (2009). Social sciences academic research knowledge map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Daejeon: NRF.

Won D. G.. 2009. Social sciences academic research knowledge map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Daejeon: NRF.
28.

Yoon, B. U. (2005). Methodology for Managing Technological Knowledge and Developing New Technology Using Patent Analysis.Docto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Yoon B. U.. 2005. Methodology for Managing Technological Knowledge and Developing New Technology Using Patent Analysis. et al. Seoul National University;
29.

Yoon, M. S., Oh, H. Y., Lee, W. H., Park, G. L., & Park, S. J. (2004). Strategic planning methodology for national R&D projects of emerging technology : integrated procedure of TRM and KM.Seoul: STEPI.

Yoon M. S., Oh H. Y., Lee W. H., Park G. L., et al, Park S. J.. 2004. Strategic planning methodology for national R&D projects of emerging technology : integrated procedure of TRM and KM Seoul: STEPI.
30.

You, J. A. (2011). Kinesiology pedagogy: another role of sport pedagogy. The Korean Journal of Spors Education, 18(4), 1-17.

You J. A.. 2011;Kinesiology pedagogy: another role of sport pedagogy. The Korean Journal of Spors Education 18(4):1–17.
31.

Ziegler, E. F. (1979). past present and future development of physical education and sport. Monography, 13, 9-19.

Ziegler E. F.. 1979;past present and future development of physical education and sport. Monography 13:9–19.

Article information Continued

Table 1.

Korean Sport Social Science for 10(2005-2014) years, paper-listed status

Korean Sport Social Science Journals 10(2005-2014) years paper-listed status
Korean Journal of Sport Management 505
Korean Journal of Sport Pedagogy 311
Korean Journal of Society Of Sport 336
Korean Journal of Sport Psychology 345(Exercise Psychology)
korean society of leisure & recreation 586
Total 2,083

Table 2.

Keywords Clustering

Before Clustering After Clustering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chievement Goal Aim, etc.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Leisure Motivation, Leisure Participation Motivation, etc. Leisure Motivation
Relation Quality, The Quality of Relationships, etc. Relation Quality
Recreation Specialization, Recreational Specialized, etc. Recreation Specialization
SNS, Social Network Service, Social Media, etc. Social Media
Effective Teaching, Effective Physical Education, etc. Effective Teaching
Celebrity, Park Ji-Sung, Kim Yu-Na, Ryu Hyun-Jin, etc. Celebrity
Spectator Motives, Game Spectator Motives, etc. Spectator Motives
Self Efficacy, Self-Efficacy, etc. Self Efficacy
Self-identity, Ego-identity, etc. Self-Identity
Depressive Tendency, Depressive, Depression, etc. Depression
Social Resource, Resource of Society, etc. Social Resource
Social Relationship, Relationship of Society, etc. Social Relationship
·
·
·
·
·
·

Table 3.

Co-Word matrix of Keywords

Sports Social Science Interdisciplinary Matrix
  Consumer
Trust
Leisure
Satisfaction
··· Motivation Gender Policy Physical
Education Class
··· Recreation
Specialization
···
paper1 0 0 ··· 1 0 1 1 ··· 0 ···
paper2 1 0 ··· 0 1 0 0 ··· 0 ···
paper3 1 1 ··· 1 0 0 0 ··· 1 ···
: : : : : : : : : : :
paper98 0 1 ··· 1 1 0 0 ··· 0 ···
paper99 0 1 ··· 1 1 1 1 ··· 0 ···
: : : : : : : : : : :
paper500 1 0 ··· 1 1 1 1 ··· 1 ···
paper501 0 0 ··· 0 1 0 0 ··· 0 ···
: : : : : : : : : : :
paper999 0 1 ··· 0 0 1 0 ··· 0 ···
: : : : : : : : : : :

Fig. 3.

Integrated Sports Social Sciences Knowledge Map(2005-2014)

Table 4.

Sports Social Sciences Keywords configuration through community analysis

Field Keywords Organization Number of keywords Density
Group 1 Sport Society Field flow, readership, job satisfaction, school life adaptation, exercise satisfaction, media, intention to continue exercise, violence, multiple cultures, instructor capability, student athlete, social network, socialization, interaction, somaesthetics, turnover intention, policy, organization citizenship behavior,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career preparation behavior, sports club, organizational culture, schoolwork, conflicts experience, management performance, management strategy, community sense, nationalism, news frame, discourse, social resource, sexual violence, celebrity, social media, winner orient, heroism, ideology, empowerment, capitalism, resource exchange, journalism, gender, organizational flow, broadcast, dropout, occupational identity, hegemony 49 0.173
Group 2 Sport Management Field perceived value, sensitive, customer loyalty, cognitive, satisfaction, customer satisfaction, relationship quality, purchase intention, revisit intention, spectator satisfaction, recovery justice, customer attitude, relationship marketing, spectating decision factor, corporate image, brand personality, brand identification, brand image, brand royalty, brand attitude, sponsorship efficacy, team identification 23 0.340
Group 3 Sport Psychology Field emotion,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self efficacy, motivation, stress, social support, physical self description, self management, self esteem, fun, culture adaptation, basic psychological needs, perception, exercise addiction, self realization, research trends, depression, sensation seeking tendency, exercise flow, job attitude, exercise continuance intention, subjective norms, stress coping, attitude, conflict, competition anxiety, expectancy-value model, intrinsic motivation, motivational climate, anxiety, sociability, class satisfaction, sportsmanship, sports psychological skills, psychological well-being, psychological environment, passion, exercise intention, exercise identity, exercise behavior change process, decisional balance, perceived freedom, cognitive strategy, deviant behaviors, self regulation,, ego resiliency, autonomy support, professional development, interest, perceived competence, validation, coaching behavior, burnout,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happiness 58 0.183
Group 4 Leisure & Recreation Field involvement, leisure participation, social relationship, service quality, leisure satisfaction, leisure attitude, recommend intention, life satisfaction, leisure motivation, participate motivation, lifestyle, re-participation intention, leisure flow, recreation specialization, leisure participation inventory, repurchase intention, leisure constraint, leisure cognition, revisit intention, local image, image, serious leisure, psychological happiness, leisure culture, leisure constraint negotiation, participation satisfaction, loyalty, family functioning, family satisfaction, family leisure, sensitive loyalty, aging society, green leisure, campus life satisfaction, identification, recreation, marketing strategy, problem behavior improvement, development strategy, life quality, service satisfaction, selection attribute, demands, achievement, sports values, leisure, experience, leisure functioning, leisure consumption, leisure facility, leisure safety, leisure history, leisure competence, leisure benefit, leisure cognition, leisure confidence, leisure policy, leisure identity, leisure identity salience, leisure instructor, continue participation leisure intention, leisure participation level, leisure participation intention, leisure environment, excercise emotion, wellness, risks perception, deviant leisure, place attachment, emotional expressiveness, community attachment, therapeutic recreation, school life satisfaction 75 0.125
Group 5 Sport Pedagogy Field improvement plan, Improving teaching skill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Educational Life, educational meaning, the ORDER approach, gender equality, teaching games for understanding model, character education, professional, emotional experience, physical education teacher, physical education teacher education, physical education teacher training, physical education process, physical education class, physical education learning contents development, physical education learning assessment, hanaro teaching model, efficient physical education 20 0.232

Table 5.

Keyword Analysis Role of Sports Social Sciences Research interests

Coordinator Gatekeeper Liaison
Keywords Group role
index
Keywords Group role
index
Keywords Group role
index
leisure satisfaction 4 1604 leisure satisfaction 4 680 involvements 4 270
leisure motivation 4 608 involvements 4 579 flow 1 238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3 602 emotion 3 544 leisure participation 4 216
involvements 4 594 leisure participation 4 524 emotion 3 216
leisure flow 4 544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3 394 social relationship 4 174
emotion 3 484 leisure flow 4 347 readership 1 160
life satisfaction 4 476 self efficacy 3 306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3 116
leisure participation 4 454 leisure participation motivation 4 304 self efficacy 3 96
self efficacy 3 442 social relationship 4 292 service quality 4 88
motivation 3 372 readership 1 287 motivation 3 84
physical education class 5 362 life satisfaction 4 282 customer satisfaction 2 76
stress 3 296 motivation 3 272 leisure satisfaction 4 72
attitude 3 262 leisure attitude 4 218 leisure attitude 4 66
media 1 260 stress 3 208 stress 3 60
leisure attitude 4 252 service quality 4 204 recommend intention 4 60
basic psychological needs 3 240 customer satisfaction 2 169 social support 3 48
satisfaction 3 234 social support 3 169 physical self description 3 48
social support 3 234 physical self description 3 167 self management 3 48
readership 1 224 self esteem 3 162 job satisfaction 1 48
intrinsic motivation 3 212 recommend intention 4 152 self esteem 3 44
physical education teacher 5 180 media 1 143 life satisfaction 4 38
participation leisure inventory 4 174 basic psychological needs 3 139 fun 3 36
physical self description 3 166 fun 3 137 leisure participation motivation 4 32
re-participation intention 4 166 leisure continuous intention 4 136 participation motivation 4 32
social relationship 4 164 flow 1 112 lifestyle 4 30
leisure participation intention 4 162 job satisfaction 1 110 re-participation intention 4 28
service quality 4 156 re-participation intention 4 104 perceived value 2 26
student athlete 1 148 physical education class 5 98 school life adaptation 1 26
customer satisfaction 2 140 re-purchase intention 4 98 sensitive 2 24
self esteem 3 136 perceived value 2 83 culture adaptation 3 24
leisure competence 4 124 leisure participation inventory 4 82 leisure flow 4 24
excercise intention 3 120 wellness 3 81 exercise satisfaction 1 24
exercise continuous intention 3 120 lifestyle 4 76 customer loyalty 2 22
fun 3 120 recreation specialization 4 73 basic psychological needs 3 22
burnout 3 118 exercise addiction 3 69 recreation specialization 4 20
leisure continuous intention 4 102 perception 3 68 perception 3 20
customer loyalty 2 100 leisure participation level 4 67 media 1 18
exercise flow 3 98 leisure constraint 4 65 exercise addiction 3 18
conflicts experience 1 96 exercise continuance intention 3 63 cognitive 2 18
recreation specialization 4 94 violence 1 61 self realization 3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