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 론
연구 방법
실험도구
실험절차 및 자료처리
분석구간
결과 및 논의
국면별 소요시간
표 2.
국면별 소요시간
신체중심 위치
신체중심 수평 위치
표 3.
신체중심 수평 위치
Sub | KHH | NYI | RSD | PMS | PEJ | BGR | YHS | CJY |
---|---|---|---|---|---|---|---|---|
E2 | -2.37 | 1.64 | -1.36 | -2.31 | 0.62 | 0.23 | 1.92 | 0.23 |
신체중심 수직 위치
표 4.
신체중심 수직 위치
Sub | KHH | NYI | RSD | PMS | PEJ | BGR | YHS | CJY |
---|---|---|---|---|---|---|---|---|
E2 | 116.13 | 121.27 | 112.23 | 128.49 | 123.06 | 124.93 | 125.98 | 125.95 |
각도 요인
동체회전각
표 5.
동체 회전각
고관절각
표 6.
고관절 각도
무릎관절 각도
표 7.
무릎관절 각도
견관절 각도
표 8.
견관절 각도 변화
동체회전 각속도 요인
표 9.
동체 회전 각속도
결 론
1. KHH의 수평위치와 수직위치가 작게 나타난 것은 물구나무 이후 천천히 하강하면서 릴리스 시 고관절 각도가 가장 크게 나타나면서 다른 대상자들에 비하여 릴리스 타이밍은 빠른 것으로 나타났지만 릴리스 이후 최고 높이에 이를 때까지의 2구간을 길게 하면서 비교적 체공 높이를 확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대 속도와 회전이 릴리스 이후 확보가 되는 문제는 착지 시 회전속도를 감속시키지 못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어 이에 대한 교정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2. NYI는 릴리스 시 좌측의 견관절 각도가 우측보다 크게 나타나면서 좌측으로 밀어주지 못하는 모습을 나타냈으며 이후의 동체회전 각속도 변위가 크게 나타나 안정된 착지로 이어지지 못했다. 특히, 착지 시 동체 회전이 다른 대상자들 보다 크게 나타나면서 중심이 후방으로 빠지는 동작을 나타내 이에 대한 교정이 필요하며 공중회전 시 손의 위치 교정 등을 통해 ‘V자’ 자세를 만들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3. RSD는 2구간의 시간이 짧게 나타나면서 회전이 부족한 상태로 착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회전 각속도를 착지까지 증가시키는 모습을 나타냈다. 이러한 모습은 부족한 회전 때문에 나타난 것으로 안정된 착지를 위해서는 2구간에서 평행봉의 탄성을 이용할 수 있는 훈련 및 손의 위치 등의 교정이 필요하며, 이러한 훈련이 수행된다면 착지 시 나타나는 관절각도 또한 교정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4. PMS의 신체중심 수평위치는 음(-)의 값을 나타내면서 평행봉 사이에 위치했지만, 수직위치는 높게 나타나났으며 1구간은 긴 소요시간을 나타내고 2구간 시간은 짧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대높이를 확보하기 위해 릴리스 타이밍을 늦추는 모습을 나타냈지만, 봉의 탄성을 이용하지 못하면서 동체가 충분히 회전할 수 있는 속도가 부족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착지구간에서도 지속적으로 동체회전각속도가 증가하고 있어 불안정한 착지가 발생하고 있으며 체공 높이 확보를 위한 훈련이 요구된다.
5. PEJ는 릴리스 시 신체중심 수직위치가 높아 체공 높이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이상적인 ‘V자’ 자세를 취하며 공중회전이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나 비교적 안정된 착지자세를 취한 것으로 나타났다.
6. BGR는 PEJ와 마찬가지로 릴리스 시 신체중심 수직위치가 높아 체공 높이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이상적인 ‘V자’ 자세를 취하며 공중회전이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나 가장 안정된 착지자세로 이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7. YHS은 릴리스 순간 수평보다는 수직방향으로 밀어야 체공 높이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며, 특히 공중회전 시 손의 위치도 햄스트링(대퇴) 부분이 아닌 무릎 뒤쪽을 잡아야 ‘V자’ 자세를 보다 효과적으로 취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에 대한 교정 필요하다.
8. CJY는 릴리스 시 신체중심 수직위치는 높았으나 2국면이 짧게 나타나면서 충분한 회전을 위한 높이 확보가 어려웠던 것으로 판단되며, 착지 순간까지 동체회전각속도가 증가되는 불안정한 모습을 나타내었다. 특히 고관절각이 릴리스 순간 가장 작게 나타나면서 수직 상승을 위한 자세를 취하지 못했으며, 무릎관절 각이 가장 작게 나타나 신전시키지 못한 상태로 회전과 착지 동작을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나 이에 대한 교정과 릴리스 이후 손의 위치 교정 등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