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분석 및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을 활용한 학교스포츠클럽 연구동향 분석

Research trends in school-based sport clubs using content and network text analysis

Article information

Korean J Sport Sci. 2016;27(4):782-796
Yonsei University
연세대학교
김태중(body5282@gmail.com).
Received 2016 July 11; Revised 2016 August 23; Accepted 2016 September 12.

Abstract

본 연구는 내용분석과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을 활용하여 학교스포츠클럽 연구동향을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자료분석을 위해 2007년부터 2016년까지 발표된 총 137편의 논문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고, 자료처리는 SPSS 20.0, KrKwic 소프트웨어, UCINET 6 프로그램의 NetDraw 기능을 활용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절차를 거쳐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스포츠클럽에 관한 연구는 2012년 이후부터 양적인 성장을 나타냈다. 둘째, 연구 대상별로 논문 현황을 분류한 결과, 혼합대상 연구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셋째, 연구방법별로 분석한 결과, 양적연구와 질적연구에 비해 통합연구는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통계기법에 대한 연구 분석결과, 변인 간 인과관계와 차이를 분석하는 통계기법이 주로 활용 되었으며, 다차원 분석이 가능한 통계기법 활용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논문 초록의 주제어에 대한 빈도분석 결과, ‘만족도’, ‘정책’, ‘지도자’가 높은 빈도수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을 통해 핵심 주제어간 연결 중심성을 확인한 결과, ‘학교스포츠클럽’과 ‘만족도’가 연결 중심성, 근접 중심성, 매개 중심성 값이 모두 높은 핵심어로 나타났다.

Trans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search trends on school sports clubs using the Content Analysis and Network Text Analysis. Data included 137 journal articles published from 2007 to 2016 and were analysed using SPSS 20.0, KrKwic software and the NetDraw of UCINET 6 program.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number of research articles on school sports clubs were increased since 2012. Second, research studies using mixed subjects were most popular in comparison to more narrow target population. Third, the mixed methods approach was less utilised in comparison to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Fourth, correlational studies were more frequently used while multivariate analyses were less common in terms of statistical methods. Fifth, satisfaction, policy, and leader were the most frequently used keywords among the keywords provided by journal articles. Lastly, the results of Network Text Analysis indicated that school sports clubs and user satisfaction showed the highest degree centrality, closeness centrality, and betweenness centrality.

서 론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최근 다양한 매체를 통해 심심치 않게 볼 수 있는 사회 문제 중 하나는 청소년에 관한 내용일 것이다. 그 중 청소년의 학교폭력, 인성, 학업스트레스, 학업중도포기, 게임중독, 자살 등과 같은 사회적 문제와 성인병 증가, 비만, 체력저하 등과 같은 신체적 문제 등 청소년 문제는 갈수록 다양해지고 심각해지고 있는 현실이다(Kwon et al.,2013; Lee & Nam, 2011; Won et al., 2015). 무엇보다 청소년의 일탈행동은 갈수록 지능화 및 성인 범죄의 모방화 되어가고 있으며, 그 연령 또한 낮아지고 있다는 점에서 현재 우리나라의 청소년 문제가 가정과 학교뿐만 아니라 국가적 차원에서 그 심각성이 어느 정도인지 충분히 이해하고도 남음이 있다. 이에 우리나라 정부에서는 청소년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을 제시하고 있으며, 그중에서도 가정 밖 교육을 전적으로 담당해야하는 학교 교육의 중요성을 무엇보다도 강조하고 있다(Cho, 2013).

한편, 사회의 변화 속에서 학교 교육의 성장과 이를 둘러싼 문제점을 개선하고 학교 교육이 발전하기 위해서는 교육의 본질적 가치 회복이 필요하다. 즉, 입시 위주의 교육이 아닌 교육의 본질에 충실한 교육과정 및 전인적 성장을 도모한 교육이 요구되어지며, 청소년들의 창의성과 인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교육의 질적인 면이 우선적으로 개선되어야 한다(Seo et al., 2014). 더욱이 교육의 본질적 가치 증대를 위해서는 실증적이고 지속가능한 교육 정책이 필요하다.

현재 우리나라 교육 정책에 있어서 새로운 중심이 되어야 하는 정책은 ‘학교스포츠클럽 활정화 정책’이라고 여겨진다. 이는 교육부에서 2007년 시범사업을 시작으로 하여 2012년 2학기부터 초·중·고학생들을 위한 방과 후 학교스포츠클럽 지원 확대 및 모든 중학생이 학교체육 수업과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을 포함해 주당 4시간의 체육활동을 하도록 정책화되는 등 우리나라의 교육 정책에 있어서 효율적인 변화를 도모한 하나의 사례로 판단되기 때문이다(Ministry of Education, 2012). 또한 2013년 3월 ‘학교체육진흥법’이 개정되어 학교체육을 활성화할 법적근거가 마련되었으며, 박근혜 정부는 2013년 6월 ‘전인적 성장을 위한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국정과제 69-4)’을 주요 정책 과제 및 국정 과제로 선정하는 등 정부의 학교체육 활성화에 대한 지원이 널리 확대되는 것은 또 다른 원인으로 이해할 수 있다(Cha & Kim, 2015; Seo et al., 2015 ).

학교스포츠클럽이란 초등학교 1학년부터 고등학교 3학년 학생 중 체육활동에 취미를 가진 동일 학교의 학생으로 구성·운영되어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스포츠클럽을 말하며,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은 중학교 정규교육과정 내에서 운영되는 학교스포츠클럽 활동과 초·중·고등학교 정규교육과정 이외로 운영되는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으로 구분된다. 두 활동 모두 궁극적인 목적은 청소년의 인성교육 강화, 체력증진 및 학교폭력 등을 예방하는 것이다(Ministry of Education, 2012).

한편, 이러한 학교스포츠클럽 활성화 정책은 최근까지의 성과로 이해할 때, 가히 긍정적이라 결론내릴 수 있다. 교육부의 보고에 따르면, 정책의 전폭적인 시행 이후 청소년의 체력증진 및 학업 향상뿐만 아니라 협동심, 배려심 함양 등의 인성 교육과 더불어 학교에서 나타나는 학교폭력, 따돌림 등 부작용을 완화하는데도 큰 효과가 나타났으며(Ministry of Education, 2016), 교육부의 2015 전국학교스포츠클럽대회 참가자 만족도 조사 결과에 따르면, 학생 81.5%, 학부모 79.4%, 지도자 83.4% 등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또한 학교스포츠클럽 시행 이후 학교스포츠클럽 참여 학생등록률이 2007년 8.1%에서 2013년 54.8%까지 성장하였으며, 2015년도에는 68.8%로 높은 증가세를 보였다. 더불어 학교스포츠클럽 대회가 전국대회로 확대 운영되어지고 있어 스포츠 종목이 다양화 되었으며, 무엇보다 학교스포츠 리그 운영을 통해 학생들의 지속적인 스포츠 활동참여를 가능케 하였다(Ministry of Education, 2016).

이러한 학교스포츠클럽의 성과는 정부 예산 편성에 큰 영향을 미쳤다. 문화체육관광부와 교육부는 학교체육 활성화를 위해 2014년 ‘체육교육 내실화’, ‘1학생 1스포츠 활동 활성화’, ‘여학생 체육활동 활성화 및 학생 건강체력 강화’, ‘체육에 소질을 갖고 있는 학생 지원’, ‘학생체육활동 참여 지원’ 등의 5개 중심과제와 그 하위에 20대 실행과제를 두었으며, 문화체육관광부와 교육부, 지방자치단체는 학교체육 활성화를 위해 공동으로 분담하여 2011년에서 2015년까지 총 5,127억 원을 지원을 계획하였으며(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2014), 또한 교육부는 2016년 학교체육 활성화를 위해 총 600억 원 이상의 예산 투입을 발표하였다(Gang & Jung, 2016).

일반적으로 정부의 지원과 사회적 관심이 유지되고, 가시적인 성과를 보이는 정책의 경우, 이에 대한 학술적 관심과 연구도 지속되는 경향이 있다(Bae et al., 2014). 학교스포츠클럽 활성화 정책도 마찬가지이다. 정부차원에서 이루어지는 정책적 노력과 지원이 확대되면서, 학술적 차원에서도 학교스포츠클럽의 운영 실태를 규명하고, 성공요인을 밝히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보고되고 있다. 예컨대 Ahn & Cheon(2012)은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에 대하여 살펴보고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이 안정적으로 정착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Lee(2015)는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이 학교현장에서 어떠한 방식으로 적용되고 있으며,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을 모색하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 외 학교스포츠클럽 대회 만족도에 관한 연구(Hong et al., 2015; Kim, 2014),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Choe, 2010; Kim & Heo, 2008; Seong et al., 2013), 정책방향에 관한 연구(Lee, 2014, Lee & Nam, 2011; Shin, 2014)등이 있으며, 학교스포츠 클럽에 관하여 교육 분야뿐만 아니라 스포츠, 정책, 사회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도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처럼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연구의 가시적인 발전과 학계의 관심이 증대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관련 연구들에 대한 종합적인 분석을 시도하는 것은 학문의 정체성 수립뿐만 아니라 학문의 발전이라는 측면에서도 꼭 필요한 작업이라 할 수 있다. 이를 지지하듯, Cha(2007)는 각 분야의 연구동향 분석을 실시하는 것은 학문의 정체성 수립 및 독자영역을 구축하면서 체계적인 연구로 발전하는데 도움을 준다고 하였으며, Byun et al.(2010)은 특정 분야의 연구 성과들을 점검하여 현황을 파악하고 미래의 연구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연구동향 분석은 필수적이라 하였다.

한편, 지금까지 발표된 국내 체육교육분야 연구동향에 관한 연구를 살펴보면, Kang(2003)은 한국스포츠교육학 연구동향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Lee(2013)는 초등체육 발전을 위한 체육학 연구동향을 파악하였다. 또한, Lee & Kim(2011)은 2000년부터 2009년까지 교육학분야에서 10년간 발표된 913편의 논문을 분석하여 연구경향을 살펴보았으며, Park(2014)은 현직교사교육에 관한 연구동향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총 200편의 연구를 선별하여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더불어 Hwang(2015)은 교육학연구를 대표하는 학술지인 ‘교육학 연구’에 나타난 학부모 연구의 연구주제 및 연구방법 동향을 살펴보는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Jeon(2015)은 특성화고등학교를 대상으로 개발 및 실천이 진행되고 있는 프로그램 관련 연구동향을 분석하였다.

이처럼 많은 연구자들은 교육학 분야의 연구동향을 파악하는 연구를 진행하였지만, 아직까지 학교스포츠클럽에 관한 연구동향 분석 연구는 앞서 언급한 가시적인 발전에도 불구하고 질과 양 모든 측면에서 절대적으로 부족한 실정이다. 무엇보다 교육학 분야의 연구동향을 분석한 대다수의 연구는 내용분석(Content Analysis)을 활용하여 분석한 경우가 일반적이다. 내용분석의 경우 연구주제와 영역 그리고 연구중점에 관한 거시적 분석에는 장점이 있는 반면 임의로 만들어진 범주에 의존적이며, 연구자의 주관성이 개입 할 여지가 많아 외적 타당성면에서 제한적이다(Danowski, 1993; Ha & Choi, 2013; Jung et al., 2015).

이에 본 연구에서는 내용분석과 더불어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Network Text Analysis; NTA)을 활용하였다.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은 텍스트를 구성하는 단어와 단어 간의 관계를 분석하는 방법으로, 출현 빈도를 분석하는데 초점을 둔 전통적인 내용분석과는 달리 특정 단어와 동시에 출현하는 단어가 무엇인가에 보다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여기서 구축되는 네트워크 지도를 통해 관련 현상과 구조를 해석하는 분석방법이다(Popping, 2000). 예컨대 내용분석에서 ‘학교스포츠클럽’의 범주에 속하는 교육학 연구가 몇 편이 나타났는지가 관심이였다면,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은 ‘학교스포츠클럽’이라는 단어가 ‘만족도’라는 단어와 연계가 강한지 혹은 ‘지도자’라는 단어와 연계가 강한지를 더불어 고찰하게 된다. 즉,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은 연구동향 분석에 있어 내용분석과는 다른 측면의 시사점을 제공해 줄 수 있다. 따라서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을 통해 사회 네트워크 분석기법과 텍스트 분석을 연계하여 특정 연구 분야 및 현상에 대한 지식과 이해를 높일 수 있는 시도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위와 같은 연구방법을 통해 2007년 시범사업 이후 올해 10년째를 맞은 학교스포츠클럽 활성화 정책에 대한 연구동향을 분석하는 것은 의미 있는 작업이 될 것이라 판단해 본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스포츠클럽에 관한 연구의 동향을 체계적으로 분석하는데 있으며, 이를 통해 관련 연구자들에게 향후 발전적인 연구방향을 제시하는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이러한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 첫째, 학교스포츠클럽에 관한 연구동향은 어떠한가?

  • 둘째, 학교스포츠클럽에 관한 연구의 주요 주제어 빈도수 분석 결과는 어떠한가?

  • 셋째, 학교스포츠클럽에 관한 연구의 빈도수 상위 핵심 주제어들의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 결과는 어떠한가?

연구방법

분석대상

본 연구에서는 내용분석과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을 활용하여 학교스포츠클럽에 관한 연구 성과물을 분석하는데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학교스포츠클럽이 시행된 2007년을 기점으로 2016년까지 게재된 모든 논문을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자료 수집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Korea Education Research Information Service)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 논문을 선정하기 위해 ‘학교스포츠클럽’을 키워드로 검색한 결과, 총 521부의 논문이 검색되었다. 이중 중복되는 논문과 원문보기 설정이 되어있지 않은 논문, 유사어로 검색된 논문들을 제외한 총 137편의 논문을 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방법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내용분석과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을 실시하였다.

내용분석

내용분석이란 질적 자료인 음성이나 문자 형식의 텍스트 자료의 특성을 객관적·체계적·계량적으로 분석 및 기술하는 분석방법이다(Cho, 1999; Holsti, 1969). Kondracki et al.(2002)은 내용분석의 분석 자료로 주로 논문이나 보고서, 책 등과 같은 텍스트 형식의 자료가 주로 활용됨을 보고하였다. 이러한 내용분석은 연구분야의 특정한 현상에 대한 지식 및 이해를 증진하는 데에 목적을 둔다(Park & Leydesdorff, 2004).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Cha et al.(2015)의 내용분석 분류기준을 참조하여 출판년도, 연구대상, 연구방법, 자료처리방법으로 구분하여 자료를 분류하였다.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

사회 네트워크 분석은 구성요소들이 맺고 있는 ‘관계’에 초점을 두고 있다(Wasserman & Faust, 1994). 관계의 유형은 전화 통화에서부터 대화, 메시지, 공동근무 등 눈에 보이지 않는 것까지 포함되며, 메시지의 구성요소는 단어가 된다. 왜냐하면, 메시지는 핵심 단어들이 어떠한 특정 형태로 결합되었을 때 의미를 나타내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즉, 핵심 단어들이 동시에 발생하는 빈도는 사회 네트워크적 시각에서 중요한 ‘관계’가 된다(Park & Leydesdorff, 2004). 이러한 관계를 측정하는데 가장 기본이 되는 것은 단어 간 얼마나 가까이 위치하고 있는가에 따라 정의될 수 있으며, 이를 근접성(proximity)으로 나타낼 수 있다. 더불어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에서는 근접성을 분석하기 위해 공출현(co-occurrence)이라는 개념을 사용하게 되는데, 공출현이란 전체 텍스트 내 특정 범위에서 단어들이 같이 출현하였을 때 이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단어들 간에 의미론적인 연관(semantic association)에 따라 상호연관되는 관계가 있다고 가정하는 것이다(Park & Jung, 2013).

한편,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은 내용분석과 사회 네트워크 분석을 연계하여 단어와 단어 사이의 관계를 링크로 표시하고, 여기서 구축되는 네트워크 지도를 통해 관련 현상과 구조를 해석하는 기법이다(Popping, 2000). 즉, 네트워크 분석방법은 텍스트 사이의 구축되는 연결망을 통해 언어 간의 개념의 새로운 해석을 도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을 위해 분석단위를 논문 초록에 제시된 주제어로 설정하였다. 초록에 제시된 주제어의 경우 연구자의 연구의도를 함축하고 있으며, 한 학문분야의 중점 연구주제와 지식의 총체를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다(Kim & Kim, 2014; Lee et al., 2015). 이에 따른 본 연구의 분석 절차는 다음과 같다<Fig. 1>.

Fig. 1.

Research Procedure

신뢰도

본 연구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하여 먼저, 선행연구에 근거하여 분류기준을 설정 하였고, 2차 자료 분석 경험이 있는 2명의 연구자가 자료를 개별적으로 코딩(Coding)하였다. 코딩된 항목은 분석 논문의 각 출판년도, 주제어, 연구대상, 연구방법, 자료처리 방법이었다. 코딩 과정에서 일부 학회지 논문에서 영문초록은 제시되어 있으나 한글초록은 제시 되지 않은 논문이 나타났다. 가령, ‘Youth Sports Club Participants’의 경우, 한 연구자의 경우 한글로 번역을 하여 ‘유소년 스포츠클럽 참여자’로 코딩을 하였지만, 또 다른 연구자는 ‘유소년 스포츠클럽 참석자’로 코딩된 경우가 발생하였다. 또한 한글 주제어의 경우 ‘강사’, ‘지도자’, ‘학교스포츠클럽 지도자’ 등과 같은 주제어가 나타났다. 이에 연구자 간 충분한 합의를 거쳐 ‘스포츠강사’와 같은 동일한 주제어로 수정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거친 후, 코딩 과정의 일치정도를 나타내는 Kappa계수를 산출하였으며, 2명의 연구자가 코딩을 완료한 후 도출된 Kappa계수는 항목 평균 .80로 나타났다. Rubinstein & Brown(1984)은 Kappa 계수가 .75 이상이면 자료의 신뢰도를 확보할 수 있음을 주장하였다. 하지만 좀 더 명확하고 신뢰성 있는 결과도출을 위해 최종적으로 서로 분류가 다르게 코딩된 자료에 대해서는 연구자간 재검토를 통해 수정작업을 진행하였다.

자료처리

본 연구의 자료처리를 위해 앞서 분류한 자료를 코딩한 후, SPSS 20.0을 이용하여 논문 수, 출판년도, 연구주제, 연구방법, 자료처리방법에 대한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주제어 분석을 위해 Park & Leydesdorff(2004)가 개발한 KrKwic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였으며, 주제어 분석을 위한 절차는 다음과 같다. 먼저, 주제어를 대상으로 내용분석 프로그램인 KrKwic의 Kwords와 KrTitle을 이용하여 주제어의 빈도수를 파악하여 주제어들 간의 공출현(co-occurrence)빈도 행렬데이터를 추출하였다. 다음으로, 공출현 빈도 자료를 기반으로 단어들 사이의 연결구조와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사회연결망분석 소프트웨어인 UCINET 6 프로그램의 NetDraw 기능을 활용하여 공출현 단어들의 연결망을 시각화였다. 이를 통해 연결망의 구조와 연결강도를 파악하고, 각 단어가 연결망에서 차지하는 구체적인 역할을 가늠하기 위해 중심성(centrality)분석을 실시하였다.

한편, 중심성은 한 행위자가 전체 연결망에서 중심에 위치하는 정도를 나타낸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한 노드가 다른 노드와의 연결된 정도를 보는 연결 중심성(degree centrality)분석을 실시하였다. 다음으로, 한 노드가 다른 노드와 얼마만큼 가깝게 있는가를 나타내는 근접 중심성(closeness centrality)분석을 실시 후 마지막으로, 연결망에서 한 노드가 다른 노드들 사이에서 중개자 역할을 살펴보는 매개 중심성(betweenness centrality)을 분석하였다. 이와 같은 자료처리 절차를 도식화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Fig. 2>.

Fig. 2.

Data Analysis Procedure

연구결과 및 논의

내용분석 결과 및 논의

본 연구의 학교스포츠클럽 연구 분야에 대한 내용분석 결과는 <Table 1>과 같으며, 이에 따른 구체적 논의는 다음과 같다.

Results of Content Analysis

첫째, 학교스포츠클럽에 관련하여 137편의 학회지 논문이 출판되었으며, 출판년도는 2007년 0편, 2008년 3편(2.2%), 2009년 3편(2.2%), 2010년 5편(3.6%), 2011년 7편(5.1%), 2012년 14편(10.2), 2013년 27편(19.7), 2014년 30편(21.9%), 2015년 44편(32.1%), 2016년 4편(2.9%)의 순으로 나타났다.

학교스포츠클럽의 경우 2007년 시범사업을 시작하여 해당 년도에는 연구자들의 학문적 관심이 부족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후 2008년부터 2010년 까지 소수의 연구가 발표되기 시작하였고, 학교스포츠클럽 활성화 정책이 본격적으로 시작된 2012년 2학기부터 논문의 발표가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무엇보다 박근혜 정부가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을 적극 추진한 2013년부터는 연구의 양적 성장이 눈에 띄게 높게 나타났다. Cha et al.(2015)에 따르면, 학교스포츠클럽의 활성화에 대한 정부의 정책적 지원과 더불어 건강한 삶에 대한 개인적·사회적 관심이 높아지면서 학교스포츠클럽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질 수 있음을 보고하였다. 이처럼 정부의 지원과 학교스포츠클럽 운영 학교 및 등록 학생 수, 리그 참가율의 증가와 더불어 올해 출범 한 통합체육회 역시 학교스포츠클럽 활성화를 주요 과제로 선정하고 있는 현 시점에서 학교스포츠클럽에 대한 연구가 더욱 더 증가할 것임은 자명하다.

둘째, 연구 대상별로 논문현황을 분류한 결과, 혼합대상으로 진행된 연구가 43편(31.4%)으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으며, 중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40편(29.2%), 초등학생 22편(16.1%), 교사13편(9.5%), 스포츠강사 10편(7.3%), 고등학생 9편(6.6%) 순으로 나타났다.

먼저, 학교스포츠클럽에 관한 연구에서 혼합대상으로 진행한 연구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혼합대상이란 교사와 학생, 학생과 학부모, 학생과 학부모 및 교사 등을 말하며, 혼합대상 연구는 학교스포츠클럽 관련 대상자들의 요구와 형태를 다차원적인 측면에서 분석하여 파악할 수 있으며, 다양한 시각에서 학교스포츠클럽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는데 효과적이다(Cha et al., 2015). 이처럼 많은 연구자들은 한 대상을 선정하기 보다는 혼합대상을 설정하여 대상 간 비교 및 관계를 통해 학교스포츠클럽에 관한 다양한 결과를 도출해 나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학생 대상 연구 중 초·중학생을 대상으로 진행한 연구가 높게 나타난 반면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진행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매우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고등학생들에 비해 초·중학생들의 학교스포츠클럽 참여 학생 수가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으며, 클럽 활동도 고등학생들에 비해 활성화가 되어 있기 때문이라 판단된다. 하지만 고등학생들의 참여율 역시 2013년 400,698명에서 2015년 555,737명으로 꾸준히 증가세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Ministry of Education, 2015). 따라서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어야할 것이다. 무엇보다 성인기로 접어들기 직전인 고등학생들의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참여에 관한 연구와 심리적·사회적 현상 등을 파악하는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진다면, 생애주기별 스포츠 활동 연구를 위한 발판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학생들을 지도하는 스포츠강사와 교사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미진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현장에서 직접 지도하는 지도자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도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필요성이 있다. 무엇보다 연구대상의 다양성을 확보하는 것은 연구의 폭과 결과에 따른 해석의 범위를 확대할 수 있으며, 문제를 바라보는 시각을 확장할 수 있으므로 연구자들은 현장에서 직접 지도하는 지도자들뿐만 아니라 학교스포츠클럽 활성화를 주관하는 관계부처 등 이해관계자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도 진행한다면 다양한 결과를 도출해 낼 수 있을 것이다.

셋째, 학교스포츠클럽과 관련된 연구를 연구방법별로 분석한 결과, 양적연구가 77편(56.2%)으로 가장 활발하게 이루어졌으며, 다음으로 질적연구 58편(42.3%), 통합연구 2편(1.5%)순으로 나타났다.

먼저, 학교스포츠클럽 관련 연구에서 양적연구방법을 활용한 연구의 대부분은 사회적 개념을 파악하기 위해 이론에 근거하여 각각의 해당 변인들로 구성된 설문지를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변인 간 관계를 파악하거나 차이를 검증하는 등의 양적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학교스포츠클럽 관련 연구에서 질적연구의 수가 양적연구 못지않게 높은 빈도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질적연구는 Earls(1986)Evans(1986)가 체육교육분야에서 양적연구의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 소개된 이후 1990년대에 들어 주요 체육분야 저널(JTPE, RQES)에서 질적연구 방법을 이용한 연구들이 급격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Lee et al., 2013),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1990년대 초 스포츠 교육학과 스포츠 사회학을 중심으로 질적 연구가 소개된 이후 2000년대부터 질적연구가 급증한 것으로 보고되었다(Kang & Roh, 2009; Lee et al., 2013). 이러한 질적연구는 자연적인 상황에서 일어나는 맥락 속에서 신념과 행위, 의미를 이해하고 기술하고 설명하는데 장점(Rundall et al., 1999)을 가지고 있기에 체육교육학 분야에서도 현상과 경험에 근거한 경험적 데이터를 활용하여 학교스포츠클럽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현상을 보다 현실감 있게 접근하려는 연구자들의 노력이라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학교스포츠클럽 분야에서 양적연구와 질적연구에 비해 통합연구의 비율은 상당히 미흡한 수준에 머물러 있음이 밝혀졌다. 따라서 이론을 바탕으로 변인 간의 관계성을 검증하는 양적연구 방법과 행위자들이 가지고 있는 경험에 대해 심층적 이해와 접근이 가능한 질적연구 방법을 적용하여 연구를 진행하는 것 역시 중요하지만 학교스포츠클럽에 관한 다양한 현상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연구 관점과 더불어 통합연구방법의 확대가 이루어져야 할 필요성이 있다.

넷째, 일반적으로 사회과학 분야에서는 연구내용과 연구목적에 따라 두 가지 이상의 다양한 통계처리기법을 사용하여 분석하는 경향이 있지만 본 연구에서는 가장 중점적으로 사용되었다고 판단되는 통계처리방법을 선택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에서 나타난 통계처리방법은 인터뷰(30.7%)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회귀분석(25.5%), IPA, AHP, 사례연구, 기술통계등과 같은 기타 연구분석방법(19.7%), 분산분석(11.7%), 문헌(8.8%), 구조방정식(3.6%)순으로 나타났다.

먼저, 학교스포츠클럽 연구에서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 연구자들은 인터뷰 자료를 분석하는 통계기법을 가장 많이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변인 간 인과관계와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회귀분석과 분산분석, 구조방정식모델 등 양적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하는 통계기법을 통해 결과를 도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다양한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서는 다차원 분석이 가능한 통계기법이 사용되어야 함이 요구된다. 가령, 본 통계기법의 결과에서 나타나듯, 양적자료를 분석하는 기법 중 구조방정식을 활용한 통계처리는 다소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조방정식모델의 특징은 잠재변수의 사용 및 측정오차의 추정이 가능하고, 동시추정(simultaneous estimation), 직·간접효과 및 총 효과, 다양한 통계기법 및 다양한 표현기법을 활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Yo, 2013). 또한, Kim et al.(2015)은 기존의 설문지를 활용하여 인과관계를 규명하는 연구방법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메타분석과 사회연결망분석 등과 같은 2차 자료를 활용한 연구가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따라서 연구자들은 새로운 연구방법 및 통계처리 기법을 적용하여 연구를 진행하여 다양한 결과를 도출하여 해석의 폭을 넓힐 수 있도록 하며 일반화 가능성을 높일 수 있도록 지속적인 노력이 요구된다고 할 것이다.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 결과 및 논의

텍스트 빈도 분석

최근 10년 동안 학교스포츠클럽에 관한 연구를 분석하기위해 총 137편의 논문 초록 주제어를 분석하였으며, 2회 이상의 빈도수를 나타낸 주제어는 총 68개로 나타났다. 한편, 가장 높게 나타난 ‘학교스포츠클럽(116회)’의 경우 주제어의 빈도차가 높게 나타나 그래프에서는 제외하였다. 이에 총 67개의 주제어의 출현 빈도를 나열하였으며, 다음의 <Fig. 3>, <Fig. 4>와 같다.

Fig. 3.

Frequency Analysis of Keywords(More than 4 times)

Fig. 4.

Frequency Analysis of Keywords(More than 2 times)

먼저, 최고 출현 빈도 주제어는 ‘학교스포츠클럽’으로 116회 출현하였다. 이어 ‘생활만족’ 14회, ‘정책’ 13회, ‘지도자’ 12회, ‘참여만족’ 11회로 10회 이상의 높은 빈도를 차지하였다. 다음으로, ‘신체적자기개념’ 및 ‘인성’ 9회, ‘참여경험’ 8회, ‘리그’, ‘지속의도’, ‘활성화 방안’ 7회, ‘창의적체험활동’, ‘체육교사’, ‘프로그램’ 6회, ‘개선방안’, ‘문제행동’, ‘심리적행복감’, ‘자기효능감’, ‘참여동기’, ‘체육교육’, ‘학교폭력’ 5회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교사’, ‘몰입’, ‘방과후’, ‘인식’, ‘창의경영학교’, ‘청소년’, ‘축구’, ‘학교체육’ 4회, ‘가치’, ‘건강’, ‘관여도’, ‘교우관계’, ‘사회성발달’, ‘스트레스’, ‘스포츠강사제도’, ‘자문화기술지’, ‘자아탄력성’, ‘재미’, ‘체력’, ‘체육수업’, ‘체육활동’, ‘초등학생’, ‘학교적응’, ‘학습태도’ 3회 순으로 나타났으며, ‘공감’, ‘교육과정’ 등 2회 빈도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에서 상위 빈도수를 나타낸 주제어를 대상으로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첫째, 학교스포츠클럽 연구에서 ‘생활만족’과 ‘참여만족’과 같은 ‘만족도’가 주제어로 높은 빈도수를 차지하였다. Choi(2016)는 새로운 교육정책 시행이후 학생들의 사회적 구조를 검토하는데 있어 그들의 환경에서 느끼는 일반적인 만족도를 파악하는 것은 매우 중요함을 제시하였다. 이처럼 연구자들은 청소년들의 만족도 분석을 통해 학교스포츠클럽의 향후 제도적 개선점과 교육적 가치 및 나아갈 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음이 보여 진다. 둘째, ‘정책’이 주제어로 13회로 출현한 것으로 나타났다. Simon(1985)에 의하면, 정책은 시간에 따라 단계별로 변화하고 발전함을 주장하였다. 하지만 정책의 변화가 빈번하거나 현장수용의 강제성 및 정책목표 달성 충족여부 등의 제도적인 문제로 인해 정착에 있어 실패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Kim, 2008; Lee, 2012; Cha & Kim, 2015). 우리나라 교육 정책 역시 마찬가지이다. 과거 새로운 정부가 출범할 때마다 교육 정책은 변화되었으며, 빈번한 정책과제 변경과 학교체육 담당부서 교체 등 장기적인 정책을 유지한 경우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2014). 이에 새로운 정책 시행 이후 정책의 효율성 및 지속 가능성 여부 그리고 미래 예측 등을 위해 학교체육 분야에서는 2013년부터 새롭게 시행된 학교스포츠클럽 정책을 주제로 한 연구가 꾸준히 보고되고 있음을 계량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학교체육 분야에서는 ‘행복감’, ‘자기효능감’, ‘스트레스’ 등과 같은 심리적 요인을 주제어로 선정한 연구가 보고되고 있으며, 더불어 ‘스포츠강사’, ‘교사’, ‘체육교사’와 같은 현장에서 지도하는 지도자들에 대한 논의도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음이 나타났다.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

최근 10년 동안 학교스포츠클럽에 관한 연구를 분석하기 위해 총 137편의 논문 초록 주제어를 분석하여 2회 이상의 빈도수를 나타낸 주제어 68개 가운데 4회 이상 출현한 29개 주제어를 핵심 주제어로 정의하고, 핵심주제어를 활용하여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도출한 핵심 주제어 간 네트워크 지도와 중심성 분석은 다음의 <Table 2>, <Fig. 5>와 같다.

Results of Centrality Analysis of Keywords

Fig. 5.

Network of the keywords

<Fig. 5>는 핵심 주제어 사이에 네트워크 지도를 나타내고 있다. 먼저, 연결 중심성은 한 점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점들의 합으로 얻어지는데, 다른 단어와 동시에 출현한 빈도가 높은 단어는 네트워크상에서 중앙에 놓이게 되며, 두 단어 사이 간격이 가까울수록 상호관계가 강하다고 분석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Kim & Kim, 2014; Ha & Choi, 2013). 이처럼 핵심 주제어들은 네트워크상에서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음이 확인되었으며, 핵심 주제어들 중 중심역할을 하는 상위 핵심주제어는 ‘학교스포츠클럽’, ‘교사’, ‘스포츠강사’, ‘정책’, ‘생활만족’, ‘참여만족’으로 나타났다. 이는 많은 연구자들이 학교 구성원들의 특성을 분석하는데 중점을 두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이 가능하다. 학교스포츠클럽에서 실질적인 주체인 교사나 스포츠강사 그리고 학생들이 학교스포츠클럽을 통해 얻어지는 심리적 만족감을 파악하는 것을 통해 학교스포츠클럽의 성격과 특징을 탐색하기 위한 학자들의 노력으로 볼 수 있다. 더불어 학교스포츠클럽에 관한 정책과 관련된 연구가 보고 되어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현재의 학교스포츠클럽 정책의 효율성과 효과성을 파악하는데 기여할 수 있으며 차후 문제점 파악 및 해결점을 제시하는데 주요한 근거가 되는 역할을 할 수 있기 때문이라 판단된다.

다음으로, 근접 중심성은 전체 연결망에 가장 빨리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위치에 있는 노드를 중심성이 높은 노드로 보고 노드 간의 평균 최단거리의 역수로 측정할 수 있다. 따라서 연결망의 중앙에 놓일수록 근접 중앙성의 수치는 낮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Kim et al., 2015). 이에 본 연구의 근접 중심성이 높은 상위 핵심주제어는 ‘학교스포츠클럽’, ‘활성화방안’, ‘생활만족’, ‘참여만족’, ‘프로그램’, ‘청소년’으로 나타났다. 근접 중심성이 높은 연구 키워드들은 상대적으로 중심에 위치하고 있어 다른 연구주제에도 쉽게 사용될 수 있는 구조적 특징을 가지고 있다(Kim, 2015; Kim, 2015). 즉, 근접 중심성이 높은 상위 핵심 주제어들은 학교스포츠클럽 관련 연구에서 다양한 방면에 활용이 가능한 연구주제로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매개 중심성은 전체 연결망에서 노드 간을 이어 주는 역할을 얼마나 하는지를 측정하는 지표이다(Kim, 2013). 이에 본 연구의 매개 중심성이 높은 상위 핵심 주제어는 ‘학교스포츠클럽’, ‘생활만족’, ‘활성화방안’, ‘참여만족’, ‘프로그램’, ‘개선방안’으로 나타났다. 매개 중심성이 높은 핵심 주제어의 경우 각각의 개별 주제어들이 연결되어 의미를 생성하는데 있어 특정 주제어 간 사이에서 연결해주는 다리 역할을 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Kim, 2015). 즉, 본 연구에서 나타난 6개의 핵심 중심어들은 학교스포츠클럽 연구에서 다른 주제어들을 연결하는 핵심 주제어임을 나타내는 결과이다.

이상의 논의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의 결과를 종합적으로 살펴보았을 때, 연결 중심성, 근접 중심성, 매개 중심성 값이 모두 높게 나타난 핵심주제어는 ‘학교스포츠클럽’과 ‘만족도(생활만족, 참여만족)’인 것으로 나타나 학교스포츠클럽 관련 연구에서는 만족도의 연구가 다양하게 발표되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는 본격적으로 학교스포츠클럽 정책이 시행된 지 얼마 되지 않은 시점에서 많은 연구자들은 정책의 실효성을 검증하려는 의도가 엿보이는 부분이라 판단된다.

추가적으로, 후속연구에서는 학교스포츠클럽 참여의 긍정적 효과 등을 분석하는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뤄져야 할 것이다. 가령, 학생들의 건강, 학업성적향상, 우울증, 폭력예방 등 학교스포츠클럽으로 인해 발생하는 효과성에 관한 연구 및 성인들을 대상으로 한 과거 학창시절 체육활동이 현재 개인에게 미치는 영향 등을 분석한다면 더욱 실질적인 정책의 효과성을 검증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결론 및 제언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스포츠클럽에 관한 연구의 동향을 체계적으로 분석하는데 있다. 연구수행을 위해 총 137편의 논문을 활용하여 내용분석과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학교스포츠클럽에 관한 연구는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무엇보다 2013년 박근혜 정부에서 추진한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시행 이후 학교스포츠클럽 연구의 양적 성장을 확인할 수 있었다. 현재 통합체육회가 출범한 시점에서 이러한 학교스포츠클럽 연구 발표는 더욱 더 증가할 것이라 판단된다.

둘째, 연구 대상별로 논문현황을 분류한 결과, 혼합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한 연구물이 가장 높게 나타난 반면,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부족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을 통해 청소년들의 스포츠 활동이 청소년기에 머무는 것이 아닌 성인이 된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스포츠 활동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기대해 볼 수 있다. 따라서 성인으로 넘어가기 직전인 고등학생들의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참여에 관한 연구와 심리적·사회적 현상을 파악하는 연구 등 다양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셋째, 연구방법별로 분석한 결과, 양적연구와 질적연구의 비율은 비등하게 나타났지만, 통합연구의 비율은 현저히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론을 바탕으로 변인 간의 관계성을 검증하는 양적연구 방법과 행위자들이 가지고 있는 경험에 대해 심층적 이해와 접근이 가능한 질적연구 방법을 적용하여 연구를 진행하는 것 역시 중요하지만 학교스포츠클럽에 관한 다양한 현상 및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서는 통합연구방법의 확대가 이루어져야할 필요성이 있다.

넷째, 통계기법에 대한 연구 분석 결과, 인터뷰를 활용한 질적연구방법과 더불어 변인 간 인과관계와 차이를 분석하는 통계기법이 주로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다차원 분석이 가능한 통계기법 활용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폭넓은 결과 도출을 위해서는 다차원 분석이 가능한 통계기법을 활용함이 요구된다. 가령 구조방정식모델 및 2차 자료 분석을 위한 메타분석과 사회연결망 분석 등을 활용하여 다양한 결과 도출 및 해석의 폭을 넓힐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다섯째,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을 위한 선행 절차인 논문 초록의 주제어 빈도분석 결과, 만족도와 정책, 심리적 요인, 지도자가 높은 빈도수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먼저, 연구자들은 청소년들의 만족도 분석을 통해 학교스포츠클럽의 향후 제도적 개선점과 교육적 가치 및 나아갈 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연구를 지속적으로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연구자들은 새로운 정책 시행 이후 정책의 효율성 및 지속 가능성을 파악하고 예측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학교체육 분야에서는 심리적 요인을 주제어로 선정한 연구와 지도자들에 대한 연구도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음이 밝혀졌다.

여섯째,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을 통해 핵심 주제어간 연결 중심성을 확인한 결과, ‘학교스포츠클럽’과 ‘만족도’가 연결 중심성, 근접 중심성, 매개 중심성 값이 모두 높은 핵심어로 나타났다. 이는 본격적으로 학교스포츠클럽 정책이 시행된 지 얼마 되지 않은 시점에서 많은 연구자들은 정책의 실효성을 검증하려는 의도가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론을 바탕으로 본 연구의 한계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다음과 같이 하고자 한다. 첫째, 학교스포츠클럽에 관한 학문적 동향을 분석하는 데 있어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만을 활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후속연구에서는 학회지뿐만 아니라 학위논문 그리고 학술발표 자료를 활용하여 연구동향을 파악할 필요성이 있다.

둘째, 연구대상 분석에 있어 초·중·고·스포츠강사·교사·혼합대상으로 한정하였다. 향후 연구에서는 좀 더 세분화하여 분석할 필요성이 있다. 가령, 성별, 학년별 등을 세부적으로 분석한다면 더욱 다양한 결과를 도출해낼 수 있을 것이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한국교육학술정보원 검색을 통한 자료를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따라서 후속연구에서는 다양한 검색도구를 활용하여 연구 성과물을 수집하고, 연구결과를 정교화 할 필요성이 있다.

넷째, 본 연구는 연구를 위한 자료의 수집을 국내에서 발간된바 있는 연구들만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가령 해외 연구 분야로까지 그 영역을 확대할 수 있다면, 이는 보다 폭넓은 연구 성과를 도출할 수 있는 중요한 기회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References

1.

Ahn, H. & Cheon, H. (2012). Exploration of Ways to Settle down School Physical Activity: Based on School Sport Club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port Policy, 10(2), 13-29.

Ahn H., et al, Cheon H.. 2012;Exploration of Ways to Settle down School Physical Activity: Based on School Sport Club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port Policy 10(2):13–29.
2.

Bae, S., Jang, C., Lee, T., & Cho, S. (2014). The Trend and Tasks of Meister High School Research: Network Text Analysis and Content Analysis. The Journal of Vocational Education Research, 33(3), 83-104.

Bae S., Jang C., Lee T., et al, Cho S.. 2014;The Trend and Tasks of Meister High School Research: Network Text Analysis and Content Analysis. The Journal of Vocational Education Research 33(3):83–104.
3.

Byun, K., Lee, S., & Kim, S. (2010). Trends of higher education policy studies in Korea: Research topics and characteristics of researchers. Asian Journal of Education, 11(1), 121-145.

Byun K., Lee S., et al, Kim S.. 2010;Trends of higher education policy studies in Korea: Research topics and characteristics of researchers. Asian Journal of Education 11(1):121–145.
4.

Cha, E. & Kim, Y. (2015). The Structure of School Sports Club Related Policy Value Applied Rokeach value theory: Social Network Analysis Rokeach. Korean Journal of Sociology of Sport, 28(2), 201-224.

Cha E., et al, Kim Y.. 2015;The Structure of School Sports Club Related Policy Value Applied Rokeach value theory: Social Network Analysis Rokeach. Korean Journal of Sociology of Sport 28(2):201–224.
5.

Cha, E., Huh, J., & Kim, Y. (2015). Analysis on the Trends of Research on School Sports Clubs. Korean. Journal of Sports Science, 24(2), 65-81.

Cha E., Huh J., et al, Kim Y.. 2015;Analysis on the Trends of Research on School Sports Clubs. Korean. Journal of Sports Science 24(2):65–81.
6.

Cha, S. (2007). Research trends and subjects of marine sports from point of view of scientific journals. The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46(1), 557-565.

Cha S.. 2007;Research trends and subjects of marine sports from point of view of scientific journals. The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The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46(1):557–565.
7.

Cho, H. (1999). An Analysis of Trends in Sport Management Research in Korea. Korean Journal of Sport Management, 4(2), 123-141.

Cho H.. 1999;An Analysis of Trends in Sport Management Research in Korea. Korean Journal of Sport Management 4(2):123–141.
8.

Choe, H. (2010). An Activation Plan on the Implementation of School Sports Club through New Sports. Research Institude of Curriculum and Instruction, 14(1), 203-219.

Choe H.. 2010;An Activation Plan on the Implementation of School Sports Club through New Sports. Research Institude of Curriculum and Instruction 14(1):203–219.
9.

Choi, S. (2016). The Effect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Participation in School Sports Clubs on Their School Violence Attitudes and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M.A. Dissertation, Gyeongi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oi S.. 2016. The Effect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Participation in School Sports Clubs on Their School Violence Attitudes and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et al. Gyeongi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10.

Danowski, J. A. (1993). Network analysis of message content. Progress in communication sciences, 12, 198-221.

Danowski J. A.. 1993;Network analysis of message content. Progress in communication sciences 12:198–221.
11.

Earles, N. (1986). Producing a report of naturalistic inquiry. Journal of Teaching in Physical Education, 6, 66-70.

Earles N.. 1986;Producing a report of naturalistic inquiry. Journal of Teaching in Physical Education 6:66–70.
12.

Evans, J. (Ed.). (1986). Physical education, sport and schooling: Studies in the sociology of physical education. Falmer Press.

Evans Evans, J. (Ed.). 1986. Physical education, sport and schooling: Studies in the sociology of physical education Falmer Press.
13.

Gang, J. & Jung, j. (2016). It is the time for School Sports Club!. KBS NEWS.

Gang J., et al, Jung j.. 2016. It is the time for School Sports Club! KBS NEWS.
14.

Ha, H. & Choi, Y. (2013). Research Trends in the Field of Local Government and Administration – An Analysis of Articles Published in Korean Society and Public Administration, 1991-2012 -. Korean society and public administration, 24(2), 125-151.

Ha H., et al, Choi Y.. 2013;Research Trends in the Field of Local Government and Administration – An Analysis of Articles Published in Korean Society and Public Administration, 1991-2012 -. Korean society and public administration 24(2):125–151.
15.

Holsti, O. R. (1969). Content analysis for the social sciences and humanities.

Holsti O. R.. 1969. Content analysis for the social sciences and humanities
16.

Hong, S., Lee, J., & Park, S. (2016). An examination of the relationships among satisfaction on school sports club competition, satisfaction on school sports club and intention to continue exercise. The Korean Journal of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21(4), 143-154.

Hong S., Lee J., et al, Park S.. 2016;An examination of the relationships among satisfaction on school sports club competition, satisfaction on school sports club and intention to continue exercise. The Korean Journal of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21(4):143–154.
17.

Hwang, S. (2015). A Research Trends on Parents in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An Analysis of Research Theme and Method.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53(4), 253-282.

Hwang S.. 2015;A Research Trends on Parents in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An Analysis of Research Theme and Method.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53(4):253–282.
18.

Jeon, M. (2015). The Research Trends in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Programs. The Korean Journal of Technology Education, 15(1), 126-149.

Jeon M.. 2015;The Research Trends in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Programs. The Korean Journal of Technology Education 15(1):126–149.
19.

Jung, K., Won, Y., & Koo, S. (2015). An Analysis of the Research Trend in Adapted Physical Activity and Exercise : 2011-2014. Korean Journal of Adapted Physical Activity, 23(1), 77-90.

Jung K., Won Y., et al, Koo S.. 2015;An Analysis of the Research Trend in Adapted Physical Activity and Exercise : 2011-2014. Korean Journal of Adapted Physical Activity 23(1):77–90.
20.

Kang, S. (2003). The Trends and Tasks of Sport Pedagogy in Korea. Korean Journal of Sport Pedagogy, 10(3), 1-28.

Kang S.. 2003;The Trends and Tasks of Sport Pedagogy in Korea. Korean Journal of Sport Pedagogy 10(3):1–28.
21.

Kang, Y. & Roh, H. (2009). Inquiry on Trends of Qualitative Research in Adapted Physical Activity. Journal of Adapted Physical Activity, 17(3), 285-310.

Kang Y., et al, Roh H.. 2009;Inquiry on Trends of Qualitative Research in Adapted Physical Activity. Journal of Adapted Physical Activity 17(3):285–310.
22.

Kim, B. & Kim, J. (2014). Research Articles : Analysis of Articles Related STEAM Education using Network Text Analysis Method.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33(4), 674-682.

Kim B., et al, Kim J.. 2014;Research Articles : Analysis of Articles Related STEAM Education using Network Text Analysis Method.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33(4):674–682.
23.

Kim, H., Park, S., & Won, D. (2015). An Analysis of Research Trends of Sport Management: Co-author Network and Keyword Network. Korean Journal of Sport Management, 20(3), 63-84.

Kim H., Park S., et al, Won D.. 2015;An Analysis of Research Trends of Sport Management: Co-author Network and Keyword Network. Korean Journal of Sport Management 20(3):63–84.
24.

Kim, J. (2015). An Essay for Understanding the Meaning of the Network Text Analysis Results in Study of the Public Administration. Institute For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16(4), 247-280.

Kim J.. 2015;An Essay for Understanding the Meaning of the Network Text Analysis Results in Study of the Public Administration. Institute For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16(4):247–280.
25.

Kim, J. (2015). A Study on Research Trends of National R&D in IT Sector Using Keyword Network Analysis. Ph.D. Dissertation, Soongsil University.

Kim J.. 2015. A Study on Research Trends of National R&D in IT Sector Using Keyword Network Analysis et al. Soongsil University;
26.

Kim, K. (2014). Study on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Sociality Development and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along with School Sports Club Activity Participation. Journal of Sport Science, 26, 81-102.

Kim K.. 2014;Study on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Sociality Development and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along with School Sports Club Activity Participation. Journal of Sport Science 26:81–102.
27.

Kim, S. & Heo, H. (2008). Role of School Sports Clubs and Activation Plan of Its. Journal of Sport and Leisure Studies, 33(1), 347-364.

Kim S., et al, Heo H.. 2008;Role of School Sports Clubs and Activation Plan of Its. Journal of Sport and Leisure Studies 33(1):347–364.
28.

Kim, Y. (2008). The Limits of Rationality and the Management of Contradictions. Korean Journal of Public Administration, 46(3), 1-33.

Kim Y.. 2008;The Limits of Rationality and the Management of Contradictions. Korean Journal of Public Administration 46(3):1–33.
29.

Kim, Y. (2013). Social Network Analysis. Seoul: pakyoungsa publishing co.

Kim Y.. 2013. Social Network Analysis Seoul: pakyoungsa publishing co.
30.

Kondracki, N. L., Wellman, N. S., & Amundson, D. R. (2002). Content analysis: review of methods and their applications in nutrition education. Journal of nutrition education and behavior, 34(4), 224-230.

Kondracki N. L., Wellman N. S., et al, Amundson D. R.. 2002;Content analysis: review of methods and their applications in nutrition education. Journal of nutrition education and behavior 34(4):224–230. 10.1016/s1499-4046(06)60097-3.
31.

Kwon, M., Chung, Y., Lee, Y., & Heo, H. (2013). Policy Measures for Vitalizing After-School Sports Program for Preventing Adolescents' School Violence. The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52(5), 207-221.

Kwon M., Chung Y., Lee Y., et al, Heo H.. 2013;Policy Measures for Vitalizing After-School Sports Program for Preventing Adolescents' School Violence. The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52(5):207–221.
32.

Lee, H., Lee, J., & Ko, B. (2013). Quantitative Analysis of Qualitative Studies in Sports Pedagogy: From 2003 to 2011. The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52(1), 195-211.

Lee H., Lee J., et al, Ko B.. 2013;Quantitative Analysis of Qualitative Studies in Sports Pedagogy: From 2003 to 2011. The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52(1):195–211.
33.

Lee, H., Son, N., & Lee, T. (2015). Mapping the Knowledge Structure of Sport Pedagogy Field. Korean Journal of Sport Science, 26(3), 445-460.

Lee H., Son N., et al, Lee T.. 2015;Mapping the Knowledge Structure of Sport Pedagogy Field. Korean Journal of Sport Science 26(3):445–460.
34.

Lee, J. (2012). The applicability of the time-lag approach for educational policy studies. Journal of educational studies, 43(2), 1-21.

Lee J.. 2012;The applicability of the time-lag approach for educational policy studies. Journal of educational studies 43(2):1–21.
35.

Lee, J. (2015). A qualitative study on the school sports club activity: Its application and improvement point with Centered around 2013∼2014 school year.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5(5), 1-27.

Lee J.. 2015;A qualitative study on the school sports club activity: Its application and improvement point with Centered around 2013∼2014 school year.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5(5):1–27.
36.

Lee, M. & Kim, E. (2011). Research Trends in Educational Journal Articles: Content Analysis.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2(2), 81-100.

Lee M., et al, Kim E.. 2011;Research Trends in Educational Journal Articles: Content Analysis.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2(2):81–100.
37.

Lee, O. (2013). Trends and Issues in Kinesiology Research and Directions for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Development. The Korean Journal of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18(4), 113-128.

Lee O.. 2013;Trends and Issues in Kinesiology Research and Directions for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Development. The Korean Journal of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18(4):113–128.
38.

Lee, W. (2014). A Study on the Analysis of Policy-Making Process of School Sports Club Activity in a Middle School: With focus on Policy Streams Framework. Korean Journal of Sport Pedagogy, 21(4), 105-118.

Lee W.. 2014;A Study on the Analysis of Policy-Making Process of School Sports Club Activity in a Middle School: With focus on Policy Streams Framework. Korean Journal of Sport Pedagogy 21(4):105–118.
39.

Lee, Y. & Nam, Y. (2011). Current Status and Policy Alternatives of School Sport Club in Korea.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port Policy, 9(1), 127-138.

Lee Y., et al, Nam Y.. 2011;Current Status and Policy Alternatives of School Sport Club in Korea.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port Policy 9(1):127–138.
40.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2016). SPORT WHITE PAPER 2014.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2016. SPORT WHITE PAPER 2014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41.

Ministry of Education. (2012). School Sports Club Development Plan 2012. Ministry of Education.

Ministry of Education. 2012. School Sports Club Development Plan 2012 Ministry of Education.
42.

Ministry of Education. (2016). School Physical Education Activation Plan 2016. Ministry of Education.

Ministry of Education. 2016. School Physical Education Activation Plan 2016 Ministry of Education.
43.

Park, C. & Jung, J. (2013). Text Network Analysis: Examples of shared meaning between policy stockholders via sociocognitive network analysis. Journal of Governmental Studies, 19(2), 73-108.

Park C., et al, Jung J.. 2013;Text Network Analysis: Examples of shared meaning between policy stockholders via sociocognitive network analysis. Journal of Governmental Studies 19(2):73–108.
44.

Park, H. & Leydesdorff, L. (2004). Understanding the KrKwic: A computer program for the analysis of Korean text.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6(5), 1377-1387.

Park H., et al, Leydesdorff L.. 2004;Understanding the KrKwic: A computer program for the analysis of Korean text.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6(5):1377–1387.
45.

Park, S. (2014). A Study on the Research Trends of In-Service Teacher Education in Korea : Implications and Tasks. The Journal of Korean Teacher Education, 31(2), 227-254.

Park S.. 2014;A Study on the Research Trends of In-Service Teacher Education in Korea : Implications and Tasks. The Journal of Korean Teacher Education 31(2):227–254.
46.

Popping, R. (2000). Computer-assisted text analysis. Sage.

Popping R.. 2000. Computer-assisted text analysis Sage. 10.4135/9781849208741.
47.

Rubinstein, R. A., & Brown, R. T. (1984). An evaluation of the validity of the diagnostic category of attention deficit disorder. American Journal of Orthopsychiatry, 54(3), 398.

Rubinstein R. A., et al, Brown R. T.. 1984;An evaluation of the validity of the diagnostic category of attention deficit disorder. American Journal of Orthopsychiatry 54(3):398. 10.1111/j.1939-0025.1984.tb01506.x.
48.

Rundall, T. G., Devers, K. J., & Sofaer, S. (1999). Overview of the special supplement issue. Health Services Research, 34(5 Pt 2), 1091.

Rundall T. G., Devers K. J., et al, Sofaer S.. 1999;Overview of the special supplement issue. Health Services Research 34(5 Pt 2):1091.
49.

Seo, J., Kim, K., & Yu, C. (2015). The perceptions of teachers on educational outcomes of school sports club activity. The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54(5), 301-315.

Seo J., Kim K., et al, Yu C.. 2015;The perceptions of teachers on educational outcomes of school sports club activity. The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54(5):301–315.
50.

Seo, J., Yu, C., & Kim, T. (2014). The Improvement Scheme for the Effects of School Physical Education Plan.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The Research Report, RRC 2014-8.

Seo J., Yu C., et al, Kim T.. 2014. The Improvement Scheme for the Effects of School Physical Education Plan.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The Research Report, RRC 2014-8
51.

Seong, M., Kim, M., & Lee, J. (2013). A Developmental Strategy Regarding Sports Club Operation in a Creative Management School in accordance with Classification of Physical Education Innovatio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port Policy, 11(3), 69-85.

Seong M., Kim M., et al, Lee J.. 2013;A Developmental Strategy Regarding Sports Club Operation in a Creative Management School in accordance with Classification of Physical Education Innovatio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port Policy 11(3):69–85.
52.

Shin, K. (2014). A Study of the Current Status and Future Tasks of the Main Policies in the School Physical Education Promotion Act at the Elementary School Level. The Korean Journal of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20(2), 145-156.

Shin K.. 2014;A Study of the Current Status and Future Tasks of the Main Policies in the School Physical Education Promotion Act at the Elementary School Level. The Korean Journal of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20(2):145–156.
53.

Simon, H. A. (1985). Human nature in politics: The dialogue of psychology with political science. American Political Science Review, 79(02), 293-304.

Simon H. A.. 1985;Human nature in politics: The dialogue of psychology with political science. American Political Science Review 79(02):293–304. 10.2307/1956650.
54.

Wasserman, S., & Faust, K. (1994). Social network analysis: Methods and applications (Vol. 8). Cambridge university press.

Wasserman S., et al, Faust K.. 1994. Social network analysis: Methods and applications 8Cambridge university press.
55.

Won, N., Choi, S., Lee, S., Lee, S., & Jo, G. (2015). Promotional Plan of School Sport Club : From the Perspectives of Students. Asi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and Sport Science, 3, 49-55.

Won N., Choi S., Lee S., Lee S., et al, Jo G.. 2015;Promotional Plan of School Sport Club : From the Perspectives of Students. Asi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and Sport Science 3:49–55.
56.

Yo, J. (2013). Concept and understanding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oul: hannarae publishing co.

Yo J.. 2013. Concept and understanding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oul: hannarae publishing co.

Article information Continued

Fig. 1.

Research Procedure

Fig. 2.

Data Analysis Procedure

Table 1.

Results of Content Analysis

Contents Sub-contents Freq. %
Publishing
Year
2007 0 0
2008 3 2.2
2009 3 2.2
2010 5 3.6
2011 7 5.1
2012 14 10.2
2013 27 19.7
2014 30 21.9
2015 44 32.1
2016 4 2.9
Research
Participants
Elementary School Students 22 16.1
Middle School Students 40 29.2
High School Students 9 6.6
Sports Instructors 10 7.3
Teachers 13 9.5
Mixed subjects 43 31.4
Methodology Qualitative research 58 42.3
Quantitative research 77 56.2
Mixed methods 2 1.5
Statistics
Processing
Interview 42 30.7
Literature Review 12 8.8
ANOVA 16 11.7
Regression 35 25.5
SEM 5 3.6
Other 27 19.7
Total 137

Fig. 3.

Frequency Analysis of Keywords(More than 4 times)

Fig. 4.

Frequency Analysis of Keywords(More than 2 times)

Table 2.

Results of Centrality Analysis of Keywords

Degree centrality Closeness centrality Betweenness centrality
Rank Keywords Degree centrality Rank Keywords Closeness centrality Rank Keywords Betweenness centrality
1 school sports clubs 169.000 1 school sports clubs 28.000 1 school sports clubs 179.117
2 teacher 31.000 2 activation plan 44.000 2 life satisfaction 14.500
3 sports instructors 24.000 3 life satisfaction 46.000 3 activation plan 13.817
4 policy 22.000 4 participation satisfaction 46.000 4 participation satisfaction 11.233
5 life satisfaction 21.000 5 program 46.000 5 program 9.317
6 participation satisfaction 20.000 6 adolescent 47.000 6 improvement plan 7.867
7 physical education teacher 19.000 7 improvement plan 47.000 7 adolescent 6.867
8 physical education 17.000 8 teacher 47.000 8 sports instructors 6.867
9 activation plan 17.000 9 sports instructors 47.000 9 teacher 5.450
10 program 16.000 10 policy 48.000 10 perception 4.450
11 adherence intention 15.000 11 after school 48.000 11 policy 4.233
12 improvement plan 14.000 12 perception 48.000 12 adherence intention 3.833
13 character 14.000 13 physical education 48.000 13 physical education 3.817
14 physical self description 14.000 14 school violence 49.000 14 after school 3.450
15 participation experience 13.000 15 creative school management 49.000 15 school physical education 3.150
16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ies 12.000 16 school physical education 49.000 16 participation experience 2.167
17 school violence 12.000 17 adherence intention 49.000 17 creative school management 2.100
18 adolescent 12.000 18 character 50.000 18 school violence 1.950
19 school physical education 11.000 19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ies 50.000 19 self-efficacy 1.750
20 creative school management 10.000 20 physical education teacher 51.000 20 character 1.583
21 problem behavior 10.000 21 commitment 51.000 21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ies 1.400
22 psychological happiness 10.000 22 problem behavior 51.000 22 league 1.250
23 perception 10.000 23 participation experience 51.000 23 commitment 1.167
24 after school 10.000 24 self-efficacy 51.000 24 psychological happiness 1.000
25 league 9.000 25 psychological happiness 52.000 25 physical self description 0.833
26 self-efficacy 9.000 26 league 52.000 26 problem behavior 0.750
27 commitment 8.000 27 physical self description 52.000 27 soccer 0.500
28 participation motivation 8.000 28 participation motivation 52.000 28 physical education teacher 0.333
29 soccer 7.000 29 soccer 53.000 29 participation motivation 0.250

Fig. 5.

Network of the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