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론
연구방법
연구 참여자
연구방법 및 실험 설계
자료수집
연구 절차
단원 설계와 계획안 개발
교수학습도구 개발
수업적용
자료 분석 방법
연구의 진실성
연구 결과
스포츠중계수업모형 기반 체육수업 개발과 적용
단원 설계안과 계획안 개발
Table 1.
The Unit Plan for Table-tennis
Step | Class No. | Contents | Factors of Creativity/Character* | Place | School Materials |
---|---|---|---|---|---|
Understanding | 1 | Registration of web-site and watching the images of table-tennis | Ⓝ,Ⓦ | Computer room | Homework(site-map) |
2 | Learning about table-tennis and sportscasting model through e-Book and multimedia evaluation | Ⓘ,Ⓛ,Ⓝ,Ⓞ,Ⓣ | |||
Performance | 3 | Mini table-tennis 1 | Ⓝ,Ⓞ, | Table-tennis room | Mini table-tennis |
4 | Mini table-tennis 2/ Basic posture and paddle of table-tennis | Ⓕ,Ⓖ,Ⓞ | |||
5 | Forehand long stroke and serve | Ⓘ,Ⓞ,Ⓣ | Assembly of table-tennis | ||
6 | Serve, cut and judge’s role | Ⓘ,Ⓞ,Ⓣ,Ⓧ,Ⓨ | |||
7 | Serve/receive and basic skill test | Ⓝ,Ⓞ,Ⓟ,Ⓠ,Ⓢ, | |||
8-12 | Organization of team and a game of yut | Ⓓ,Ⓕ,Ⓖ,Ⓝ,Ⓞ,Ⓢ,Ⓨ | a list of matches | ||
13-24 | League games of table-tennis/Playing judges’ role in game | Ⓓ,Ⓕ,Ⓖ,Ⓗ,Ⓘ,Ⓞ,Ⓟ,Ⓦ,Ⓨ | a list of matches,assembly of table-tennis | ||
(18) | Distributing the script and image of mock sportscasting | Ⓠ,Ⓢ,Ⓣ,Ⓧ | |||
(21) | Checking the first scripts | Ⓐ,Ⓑ,Ⓒ,Ⓓ,Ⓔ,Ⓕ,Ⓖ,Ⓙ | |||
(23) | Checking the second scripts | Ⓐ,Ⓑ,Ⓒ,Ⓓ,Ⓔ,Ⓕ,Ⓖ,Ⓙ | |||
Sports casting | 25 | Rehearsal of mock sportscasting | Ⓔ,Ⓕ,Ⓖ,Ⓗ,Ⓜ,Ⓣ,Ⓨ | computer, mikes,desk, chair | |
26 | Presentation mock sportscasting and peer review | Ⓔ,Ⓕ,Ⓖ,Ⓗ,Ⓜ,Ⓣ,Ⓦ,Ⓨ |
* Ⓐ:Divergent Thinking, Ⓑ:Imagination/Visualization Ability, Ⓒ:Analogical/Metaphorical Thinking, Ⓓ:Logical/Analytic Thinking, Ⓔ:Critical thinking, Ⓕ:Problem Finding, Ⓖ:Problem Solving, Ⓗ:Courage, Ⓘ:Autonomy, Ⓙ:Originality, Ⓚ:Complex Character, Ⓛ:Patience for Ambiguity, Ⓜ:Sensibility, Ⓝ:Qriosity/Interest, Ⓞ:Flow, Ⓟ:Honesty, Ⓠ:Commitment, Ⓡ:Forgiveness, Ⓢ:Consideration, Ⓣ:Responsibility, Ⓤ:Ownership, Ⓥ:Moral Sensibility, Ⓦ:Moral Judgement, Ⓧ:Decision-Making Ability, Ⓨ:Moral Action
Table 2.
The Unit Plan for Volleyball
Step | Class No. | Contents | Factors of Creativity/Character* | Place | School Materials |
---|---|---|---|---|---|
Understanding | 1 | Watching the images of volleyball | Ⓝ,Ⓦ | Computer room | Homework(site-map) |
2 | Learning about volleyball and lopsided sportscasting model through e-Book | Ⓘ,Ⓛ,Ⓝ,Ⓞ,Ⓣ | |||
Performance | 3-4 | Basic skills(pass and toss) | Ⓨ,Ⓕ,Ⓖ,Ⓢ,Ⓣ | Volleyball court | Assembly of volleyball and a list of matches |
5 | Judges’ hand signal and organization of team | Ⓘ,Ⓞ,Ⓣ,Ⓧ,Ⓨ | |||
6-7 | Modified mock volleyball game/Playing judges’ role in game | Ⓓ,Ⓕ,Ⓖ,Ⓗ,Ⓘ,Ⓞ,Ⓟ,Ⓦ,Ⓨ | |||
8-16 | 1step: modified volleyball league game on each step/Playing judges’ role in game | ||||
(13) | Distributing the script and image of lopsided sportscasting | Ⓠ,Ⓢ,Ⓣ,Ⓧ | |||
(16) | Checking the scripts that students submitted | Ⓐ,Ⓑ,Ⓒ,Ⓓ,Ⓔ,Ⓕ,Ⓖ,Ⓙ | |||
17-18 | Exercise practice of basic skill and test | Ⓝ,Ⓞ,Ⓟ,Ⓠ,Ⓢ, | |||
Sportscasting | 19 | Rehearsal of lopsided sportscasting | Ⓔ,Ⓕ,Ⓖ,Ⓗ,Ⓜ,Ⓣ,Ⓨ | Table-tennis room | computer, mikes,desk, chair |
20 | Presentation lopsided sportscasting and peer review | Ⓔ,Ⓕ,Ⓖ,Ⓗ,Ⓜ,Ⓣ,Ⓦ,Ⓨ |
* See factors of creativity/character of <Table 1>
교수학습자료 개발
수업적용
창의성과 인성의 수업효과 검증
창의성 수업효과: 양적 검증
Table 3.
Mean Scores of Creative Thinking between Before and After Test
Factor | Test | M | SD | t | p | ||
---|---|---|---|---|---|---|---|
Creative Thinking | Before | 37.57 | 12.14 | -3.48*** | .001 | ||
After | 40.70 | 12.77 | |||||
the lower factors | |||||||
Fluency | Before | 4.9 | 1.27 | -31.17*** | .000 | ||
After | 18.79 | 6.43 | |||||
Sensibility of thinking | Before | 2.48 | 1.64 | -18.31*** | .000 | ||
After | 5.73 | 1.67 | |||||
Accuracy | Before | 5.57 | 4.01 | -3.65*** | .000 | ||
After | 6.74 | 4.02 | |||||
Imagination | Before | 8.97 | 3.19 | 22.16*** | .000 | ||
After | 3.23 | 1.28 | |||||
Flexibility | Before | 5.52 | 1.26 | 2.64** | .009 | ||
After | 5.06 | 2.13 | |||||
Originality | Before | 10.94 | 4.08 | 28.80*** | .000 | ||
After | 1.15 | 1.25 |
Table 4.
Mean Scores of Creative Character between Before and After Test
Factor | Test | M | SD | t | p | |||
---|---|---|---|---|---|---|---|---|
Creative Character | Before | 89.16 | 11.97 | -5.26*** | .000 | |||
After | 94.52 | 14.32 | ||||||
the lower factors | ||||||||
Curiosity | Before | 15.44 | 3.20 | -2.78 | .006 | |||
After | 16.26 | 2.84 | ||||||
Sensibility | Before | 15.99 | 2.99 | 2.72 | .007 | |||
After | 15.32 | 2.65 | ||||||
Task Pertinacity | Before | 15.76 | 2.74 | 3.28** | .001 | |||
After | 14.84 | 2.90 | ||||||
Humor | Before | 15.31 | 2.48 | -3.30*** | .001 | |||
After | 16.35 | 3.60 | ||||||
Spirit of Independence/Adventure | Before | 14.15 | 2.50 | -5.43*** | .000 | |||
After | 15.71 | 3.26 | ||||||
Problemsolving Leadership | Before | 12.52 | 2.34 | -12.31*** | .000 | |||
After | 16.03 | 3.01 |
창의성과 인성의 수업효과: 질적 검증
확산적 사고: 친구들과 상의하고 다른 모둠과 경쟁하는 것이 특히 좋았다. 또 이걸 준비하면서 우리가 중계한 탁구와 배구의 규칙과 기술에 대한 지식도 늘어났고…(6반 남23).
상상력/시각화 능력: …정말 편파적으로 대본을 짜려고 머리를 싸매고 고민을 했었는데, 아이디어가 나올 때마다 엄청 웃어서 시끄럽다는 소리도 들었다(10반 여33).
논리/분석적 사고: 직접 탁구와 배구 경기를 해 보고 우리가 직접 생각해서 각 모둠마다 나와 모의중계와 편들기중계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다른 모둠의 생각을 비교하고 다른 모둠의 색다른 중계를 볼 수 있어서 좋았고…(8반 여13).
비판적 사고: 모둠 당 인원이 5명을 넘어간 것이 문제였다. 묻어가고 싶지 않아도 5명이 넘어가면 할 일이 없다. 편들기중계나 모의중계 활동은 좀 더 소규모로 모둠을 구성한다면 더 짜임새 있고 좋을 것 같다(9반 여11).
문제발견: 모의중계 영상을 보고 대본을 쓰려니 쉽게 써지지도 않고 10초 간격으로 끊어서 써야 해서 많이 애를 먹었다. …2학기 때 편들기중계도 마찬가지였다(6반 여6).
문제해결: 1학기 때 나는 분석만 했었는데, 이번에 분석과 대본을 담당하게 되었다. 그래서 이왕 완성도 있게 분석을 해보기로 하고, 선수단 홈페이지와 경기 당시 시즌 성적을 찾아보며 기록과 이름들을 찾아냈고 공격 기술들을 분석하기 위해 배구 공격 기술들을 찾아보면서 공부했다(6반 남15).
용기: 내가 아나운서 역할을 했는데 사람들 앞에 나가서 조용한 가운데 내가 발표하는 것을 처음엔 굉장히 부담이 컸다. 하지만 자신감을 찾으면서 대본을 읽고 애드립까지 넣으면서 해서…(7반 여15).
자율성: 난 신선한 충격을 받았다. 아이들이 너무나 적극적인 것이다. 남녀 할 것 없이 서로 준비할 것을 챙기며 우리 모둠의 경우는 모의중계 카톡방을 만들어 2일이나 회의를 하고 역할분담을 하였다(10반 여31).
독창성: 중계를 하다보면 아나운서와 해설자의 개성이 나오는 것 같다. 그럴 때 웃기기도 하고…(6반 남24).
다양성: 다른 모둠에서 발표하는 것을 보고, 같은 경기를 보고 정말 다양하게 중계할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9반 남10).
애매모호함에 대한 참을성: 맨 처음에 모의중계와 편들기중계를 수행평가로 한다고 했을 때 막막했다. 한 번도 해 본적이 없고, 아나운서와 해설자의 역할을 어떻게 따라가야 할지 막막했기 때문이다. 막상해보니 재미있었다(6반 여7).
감수성: 나는 1, 2학기 때 아나운서를 했는데 정말 쉽지 않았다. 실제 중계하는 사람들의 심리적 압박이 상당히 크다. 그 상황에서 실수를 하면 안 되는데 정말 대단한 것 같다(6반 남17).
호기심/흥미: 평범한 수행평가가 아닌 아주 흥미롭고 참신한 평가였다. …특히 편들기중계는 지금까지 해본 수행평가 중 최고였다(9반 남9).
몰입: 중계수업을 하면서 중학교 때와 다른 색다른 수업을 경험하였다. 서로 협력할 수 있게 하는 수업이었고…. 그리고 점점 더 수업에 몰입할 수 있게 해 준다(6반 남10).
정직: 올해 체육시간에 수행평가로 배구경기 편들기중계를 하였다. 처음 해보는 유형의 수행평가라 굉장히 신선했으며 어떻게 해야 할지 몰라 막막했다. 하지만 우리 모둠은 따로 연락을 하면서 서로 역할분담을 하고 대본을 준비했다. 비록 아쉽게 4등이 되었지만 서로 연락을 하면서 정말 재미있었던 수행평가였던 것 같다(10반 남8).
약속: 2학기 배구중계 때는 대본 쓰는 역할을 맡았다. …대본은 다 나누어서 쓰고 수정과 대본 마지막 검토만 나와 ○○가 다시 맡아서 했다. …아나운서와 해설을 맡았던 ○○이와 ○○가 실전처럼 연습을 몇 일 전부터 해주어서 고마웠고…(10반 여26).
용서: 중학교 때는 생각지도 못한 평가여서 잘 할 수 있을지 걱정이 되었다. 중계를 팀원들과 협조해서 완성해야 했기 때문에 팀원들과 의견을 나누고 이러는 과정이 쓰고 연습하는 것보다 더 어려웠던 것 같다(9반 여26).
배려: …그리고 우리 모둠은 각각 스케줄이 안 맞아서 항상 일요일 저녁에 모여서…(8반 남29).
책임: 모의중계와 편들기중계를 준비하면서 모둠원들끼리 모여서 야자시간까지 남아서 대본을 쓰고 영상분석을 하고 나름 팀워크도 좋아져 중계 과정이 너무 재미있게 준비된 것 같다(9반 여6). .
소유: 모의중계는 모둠원들도 열심히 참여하였고, 아나운서와 해설자도 열심히 하였기 때문에 결과에 만족한다(10반 여22).
도덕적 예민성: 1학기 때 수업에서 탁구 경기를 TV중계로 볼 때, 해설자와 아나운서의 설명을 생각 없이 들으며 감상했었는데, 직접 중계를 해 보니까, 많은 준비와 연습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았다(6반 여19).
도덕적 판단력: 모둠원들이 각각 맡아서 각자의 역할을 책임지고 수행하는 방법이어서 협동심을 기르는데 도움이 되고 열심히 활동에 참여한 자와 열심히 참여하지 않은 자의 점수를 차별화를 둠으로써 모두가 열심히 참여하지 않을 수 없도록 만드는 방법이 좋았던 것 같다(9반 남26).
의사결정능력: 정말 생전 처음으로 마이크 앞에서 정식적으로 스포츠중계를 해봤다. 선생님께서 처음 하라고 했을 때 어떻게 해야 될지 앞길이 막막했다. 하지만 같은 모둠 애들이랑 역할을 분담하면서 각자 할 일을 하니까 훨씬 쉬웠고, 중계 준비를 하면서 재미있었다(7반 여23).
행동실천력: 막상 해보니 재미있었다. 실제 경기처럼 경기에서 사용된 기술을 정확하고 자연스럽게 하진 못했지만 우리가 직접 소품도 구하고 마이크에 대고 하니 실감나고 재미있었다(6반 여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