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분야의 자원봉사연구

Research on sport volunteering

Article information

Korean J Sport Sci. 2017;28(2):273-284
Korea University
고려대학교
김매이(kimmay@korea.ac.kr).
Received 2017 May 17; Revised 2017 June 04; Accepted 2017 June 05.

Abstract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스포츠 자원봉사 관련 연구에 대한 전반적인 현황을 알아보는 것이다.

방법

KCI 등재 논문 중 스포츠 자원봉사를 그 주제로 한 60편의 논문과 스포츠 자원봉사가 주제는 아니나, 변인이나 제언의 한 방향으로 언급하고 있는 논문 14편(총 74편)을 연도별, 학술지별, 학문분야별, 연구방법별, 연구주제별, 연구대상별, 참여 자원봉사자별, 참여 자원봉사분야별로 분류하였다.

결과

스포츠 자원봉사 관련 연구는 꾸준히 출판되고 있고 2009년부터 그 수가 증가되어가고 있다. 다양한 연구 분야의 학술지에서 출판되고 있으며, 특히 스포츠경영학, 교육학, 특수체육, 스포츠정책분야에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었다. 연구방법적인 측면에서는 양적방법론을 사용한 연구가 절반 가까이를 차지하지만, 질적방법론을 사용한 연구도 적지 않았다. 자원봉사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대부분이며 자원봉사수혜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거의 없었다. 참여 자원봉사자는 많은 수가 대학생이었으며, 이벤트봉사나 교육봉사 등에 참여하는 봉사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가 가장 많았다.

결론

국내의 스포츠 자원봉사 연구는 다양한 주제를 가진 연구들을 기본으로 한 양적 확장도 이루어져야하겠지만 국내 현황과 스포츠 자원봉사자들에 대한 제대로 된 이해와 확실한 이론적 근거를 바탕으로 한 연구의 질적 성장도 필요하다.

Trans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review the current trends of Korean research on sport volunteering.

Methods

For the research purpose, 74 KCI-listed articles published were investigated.

Results

The main topics of 60 articles were sport volunteering and the sub-topic or factor of the other 14 articles was sport volunteering. These articles were classified based on the publishing year, type of journal, academic area, research method, research topic, research sample, volunteer characteristics and volunteer area. Research on sport volunteering has been continuously conducted but the number of related publications has been increased since 2009. Sport volunteer research articles have been published in various sport related journals. However, the majority of the research articles are in the research areas of sport management, sport pedagogy, adopted physical education, and sport policy. Regarding the research method, more than a half of the articles were the ones using quantitative research methods, but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were often used as well. The majority of the research were conducted on volunteers but the research conducted on the beneficiaries of volunteer services were few. Many of the volunteers researched were college students. Event volunteering and educational volunteering were common volunteering areas in the research articles.

Conclusions

Korean researchers should not only conduct more research on sport volunteering with various topics but also improve the quality of the research after conducting the in-depth review of theories and literature and the better understanding about Korean situation on sport volunteering.

서론

전통적으로 봉사, 사회봉사, 자원봉사, 재능기부 등의 용어는 사회복지영역에서 주로 사용되어 왔다. 관련 연구나 교육 또한 사회복지학에서 주로 이루어지곤 했다. 하지만 1988년 서울올림픽 이후, 자원봉사란 용어는 체육계에서도 낯설지 않은 용어가 되었다. 실제로 International Olympic Committee(IOC)는 올림픽 등의 IOC 이벤트에서 자원봉사의 참여를 의무화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올림픽이나 월드컵과 같은 메가 이벤트 이후에는 국내·외 모두에서 자원봉사에 관한 관심이 증가했다(Moreno et al., 1999; Young-Powell, 2012). 그 외에도 2000년대 들어 대학생들의 자원봉사 참여가 급격하게 늘어났고 예비(체육)교사들의 교육봉사 또한 의무화되어 사회복지가 아닌 타 영역에서도 봉사에 관한 관심이 증가되어 왔다(Kim et al., 2014). 이러한 사회적 변화는 관련 연구의 수도 늘어나게 하여 최근에는 스포츠 관련 학술지에서도 스포츠 자원봉사 관련 연구를 종종 보게 된다.

스포츠 자원봉사자의 수가 증가하고 이와 관련한 관심이 확대되면서, 실제 현장에서 일어나고 있는 스포츠 자원봉사 관련 내용을 정리하고, 관련 이슈들을 소개하며 해결책을 제안하는 책이나 연구(Cuskelley et al., 2006; Kim & Bang, 2012) 등도 조금씩 출판되고 있다. 하지만 국내·외적으로 스포츠 자원봉사 관련 연구들을 전반적으로 검토하고 연구의 양적·질적 변화, 현황 및 개선점 등을 보고해주는 리뷰형식의 연구는 찾아보기 힘들다. 리뷰논문은 현재까지 진행된 연구들의 내용 및 변화를 알아보고, 좀 더 발전적인 연구 방향을 설정하고, 관련 학문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큰 도움을 줄 수 있다(University of Texas Libraries, 2017). 특히 다수의 자원봉사 관련 연구가 진행될 것으로 예상되는 2018년 평창 동계 올림픽·장애인올림픽을 앞두고 있기 때문에 국내 스포츠 자원봉사 관련 논문들을 종합적으로 검토하는 것은 시기적으로도 의미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스포츠 자원봉사 관련 국내 논문들을 찾아보고, 이들 논문들을 다양한 방법으로 분류하고 분석한 뒤, 관련 논문들의 현황 및 한계점을 찾아 발전적인 스포츠 자원봉사 연구방향을 제안하는 것을 그 내용으로 한다.

연구방법

분석대상

본 연구의 분석대상은 한국연구재단(KCI)에 등재된 스포츠 및 교육학 관련 학술지에 게재된 연구 논문으로 하였다. 분석대상 연구 논문은 스포츠 자원봉사를 ‘주제’로 하거나, 스포츠 자원봉사가 큰 주제는 아니나, 변인이나 제언의 한 방향으로 언급하여 스포츠 자원봉사와 ‘관련’ 있는 논문을 포함한다. 논문의 수집은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RISS)를 이용하였으며, 검색 주제어로는 ‘봉사+스포츠’, ‘봉사+체육’, ‘재능기부+스포츠’, ‘재능기부+체육’을 사용하였다. 이를 통해 16개의 스포츠 및 교육학 관련 등재학술지에 게재된 74편의 스포츠 자원봉사 관련 논문이 선정되었으며, 이 중 명백하게 스포츠 자원봉사가 주제인 논문은 60편으로 파악되었다.

분석 내용 및 절차

본 연구의 분석 대상인 74편의 논문은 다음과 같은 8가지 기준으로 분류되었다. 8가지 분류 기준은 기본적으로 학술 논문 분류 정보(연도, 학술지, 학술분야)와 학술 논문의 내용적 특징(연구방법, 연구주제, 연구대상), 그리고 자원봉사 관련 논문의 성격을 보여줄 수 있는 특징(자원봉사자 특징, 자원봉사 분야)을 포함했다.

  • 1) ‘연도별’ 스포츠 자원봉사 관련 논문

  • 2) ‘학술지별’ 스포츠 자원봉사 관련 논문

  • 3) ‘학문분야별‘ 스포츠 자원봉사 관련 논문

  • 4) ‘연구방법별’ 스포츠 자원봉사 관련 논문

  • 5) ‘연구주제 및 변인별’ 스포츠 자원봉사 관련 논문

  • 6) ‘연구대상별’ 스포츠 자원봉사 관련 논문

  • 7) ‘참여 자원봉사자별’ 스포츠 자원봉사 관련 논문

  • 8) ‘참여 자원봉사분야별‘ 스포츠 자원봉사 관련 논문

연도별, 학술지별 분류 등은 논문의 기본적인 정보만으로도 분류가 가능하였으나, 학문분야, 연구주제, 참여 자원봉사자나 참여 자원봉사분야별 분류의 경우 많은 논문들이 직관적으로 분류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논문의 주제어, 주요 변인의 성격, 사용한 연구 척도 등을 중심으로 분류작업을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는 국내에서 출판된 스포츠 자원봉사 관련 연구를 여러 기준으로 분류하여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 포함된 논문들은 국내 스포츠 관련 KCI등재학술지에 게재된 학술논문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스포츠 자원봉사 논문의 연도별, 학술지별, 학문분야별 분류와 연구방법별, 연구주제별, 연구대상별, 참여 자원봉사자별, 참여 자원봉사분야별 분류를 포함한다.

스포츠 자원봉사 논문의 연도별, 학술지별, 학문분야별 분류

연도별 스포츠 자원봉사 관련 논문

RISS를 통해 조사한 연구 논문 중 스포츠 자원봉사 ‘관련’ 연구는 총 74개였으며, 이 중 자원봉사가 논문의 제언이나 설문 문항 중 일부로만 포함된 연구가 14개, 스포츠 자원봉사가 주된 ‘주제’인 연구가 60개였다<Table 1>. 2001년부터 2008년까지 매년 1-3편에 불과하던 스포츠관련 자원봉사 연구 논문은, 2009년부터 그 수가 늘어 2009년 4편, 2010년 5편, 2012년 7편, 그리고 2014년부터 2016년까지는 매해 6-7편씩 출판되었다. 2017년 1분기의 경우, 이미 2편이 출판되어, 2017년에는 전년도와 비슷한 수의 스포츠 자원봉사 논문이 출판될 것으로 예상된다.

Number of Published Articles by Year

학술지별 스포츠 자원봉사 관련 논문

지난 17년간 스포츠 자원봉사 관련 74개의 논문과 스포츠 자원봉사를 주제로 한 60개의 논문들이 게재된 스포츠 관련 등재학술지의 종류도 16개로 매우 다양하다. 본 연구에서 다루지 않는 사회학, 행정학 등의 학술지에도 소수의 논문이 있으나, 대부분의 스포츠 자원봉사 관련 논문은 <Table 2>의 학술지에 실려 있다. 16개의 학술지 중 교과교육학연구(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를 제외한 나머지 15개의 학술지는 모두 스포츠 또는 체육 관련된 학술지이다.

Journals Outlets of Volunteer Studies

스포츠 자원봉사 관련 논문이 가장 많이 실린 학술지는 12편이 게재된 한국사회체육학회지(Journal of Sport and Leisure Studies)와 13편(4편)이 게재된 한국체육학회지(The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그리고 11편이 게재된 한국체육과학회지 (The Korea Journal of Sports Science)이다. 다음으로는 한국체육정책학회지(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port Policy) 6편(3편), 한국특수체육학회지(Journal of Adapted Physical Activity) 5편(1편), 한국스포츠경영학회지(Korean Journal of Sport Management) 5편(3편),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Journal of Leisure, Park, & Recreation Studies) 4편이 실렸다.

스포츠 자원봉사가 주요 주제는 아니나 간단히 언급된 논문이 한국정책학회지와 한국체육학회지에 각 3편씩 포함되어 있지만, 그 논문들을 제외하더라도 한국체육학회지나 한국정책학회지에는 스포츠 자원봉사가 주요 주제인 논문이 비교적 많이 실렸다. 스포츠 자원봉사 관련 연구가 많이 실린 3개의 학술지, 한국체육학회지, 한국사회체육학회지, 한국체육과학회지의 경우, 다양한 분야의 논문들이 포함되어있고, 학술지 당 게재 논문 수와 연간 학술지 출판 편수가 타 학술지보다 많아, 결과적으로 게재된 스포츠 자원봉사 관련 논문의 절대적인 편수가 많을 가능성이 높다.

학문 분야별 스포츠 자원봉사 관련 논문

스포츠 자원봉사 관련 논문이 해당하는 학문 분야는 학술지 명으로 간단히 파악 가능하기도 하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다. 예를 들어 스포츠 자원봉사 관련 논문이 다수 게재된 세 개의 학술지(한국사회체육학회지, 한국체육학회지, 한국체육과학회지) 모두 다양한 체육 분야의 논문을 다루고 있어, 학술지명만 가지고는 논문이 어떤 분야의 연구였는지 알 수 없다. 이는 모든 분야의 체육 관련 학술 논문을 게재하는 한국여성체육학회지(Journal of Korean Physical Education Association for Girls and Women)와 체육과학연구(Korean Journal of Sport Science)도 마찬가지이다. 이렇게 체육학 전반의 논문을 포함하는 학술지에 게재되어 학문 분야별 분류 작업이 필요한 스포츠 자원봉사 관련 연구는 총 42편이었다.

체육학 전반의 논문을 포함하는 학술지에 게재된 42편의 논문은 한 분야의 학문만 탐구하는 학회지와 달리, 직관적으로 학문분야를 분류하기 쉽지 않았고, 한 가지의 학문분야로 분류하는 것도 쉽지 않았다. 따라서 각 논문의 내용, 키워드, 변인, 연구척도 등을 분석하여 몇 개의 학술분야로 분류하였다<Table 3>.

Research Areas of Volunteer Studies

스포츠 자원봉사 관련 논문이 가장 많은 분야는 19편(27.0%)의 논문이 포함된 스포츠경영학(Sport Management) 영역이었다. 다음으로는 스포츠정책학(Sport Policy), 스포츠교육학(Sport Pedagogy), 특수체육학(Adapted Physical Education) 등의 분야에서 스포츠 자원봉사 관련 연구가 다수 이루어졌다. 여가학(Leisure)이나 스포츠심리학(Sport Psychology), 스포츠사회학(Sport Sociology)의 경우 스포츠경영의 학문분야와 그 변인과 주제 등이 흡사한 경우가 많았으나, 학회지가 특정하게 정해져 있지 않은 경우, 연구 주제, 변인의 출처, 연구 대상 등을 바탕으로 학문 분야가 구분되었다. 스포츠경영학 다음으로 스포츠 자원봉사 관련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진 영역은 스포츠정책학 분야였다. 스포츠정책의 많은 연구는 스포츠행정으로 구분될 수 도 있었으나, 국내에서 스포츠행정 분야가 따로 정립되지 않아 스포츠정책으로 포함하였다. 스포츠정책 분야에서는 직접적으로 스포츠 자원봉사 정책을 다루는 경우도 많았지만, 스포츠 자원봉사 활성화를 다른 스포츠 정책 평가 및 정책 제안의 일부로 포함시킨 논문도 7편으로 그 수가 많았다.

스포츠 자원봉사 논문의 연구방법별, 연구주제별, 연구대상별 분류

연구방법별 스포츠 자원봉사 관련 논문

본 연구에 포함된 74편의 스포츠 자원봉사 ‘관련’ 연구 중, 20편(27.0%)의 논문은 연구 대상이 없는 연구로 분류되었으며, 이는 직접적으로 사람을 대상으로 하지 않은 연구로 정책 제안 또는 사례 분석 등의 연구이다. 스포츠 자원봉사를 ‘주제’로 한 연구 60편중에서는 12편(20.0%)의 연구가 연구 대상이 없는 논문이었다. 연구 대상이 없는 20편의 논문에는 스포츠정책학 13편, 스포츠철학 2편, 스포츠사학 1편이 포함된다. 나머지 4편의 연구는 스포츠사회학, 스포츠경영학, 특수체육학으로 분류되긴 하였지만 그 내용이 스포츠 자원봉사 시스템 구축 방안 또는 활성화 방안 등의 정책 제안의 성격을 띠고 있었다.

연구대상이 있는 논문 중 양적 방법론을 사용한 연구는 34편(45.9%), 질적 방법론을 사용한 연구는 15편(20.3%), 양적 연구방법과 질적 연구방법을 함께 사용한 연구는 5편(6.8%)이었다. 스포츠 자원봉사가 주제인 논문 중 양적연구는 31편(51.6%), 질적연구는 13편(21.7%), 혼합연구는 4편(6.7%)이었다<Table 4>.

Research Methods of Volunteer Studies

연구주제 및 변인별 스포츠 자원봉사 관련 논문

스포츠 자원봉사 관련 연구 중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하는 연구는 정책 제안 및 정책 활성화연구라 할 수 있다. 체육계 자원봉사 활성화와 직접적으로 관련된 연구는 15편으로, 전체 스포츠 자원봉사 관련 연구 중 20.3%이었고 스포츠 자원봉사를 주제로 한 연구 중에는 25.0%를 차지하였다. 연구주제가 자원봉사 활성화가 아니라, 체육계의 다른 분야의 정책 제안이나 활성화 방안을 다룬 연구(생활체육, 엘리트스포츠, 해양스포츠, 스포츠클럽 등) 중 자원봉사 활성화를 포함한 연구는 12편(16.2%)이었다. 연구대상이 없는 20편의 논문 중 18편(90.0%)의 논문이 스포츠 자원봉사 관련 정책 제안이나 활성화 등의 정책 방안 연구로 구분될 수 있었다.

전공연계봉사(Service Learning)라는 용어를 구체적으로 사용하지 않았지만, 체육 관련 전공 학과 대학생들의 전공연계봉사를 다루고 있는 연구는 12편으로 전체의 17.3%이었고, 스포츠 자원봉사를 주제로 한 연구 에서는 21.4%를 차지하였다. 전공연계봉사를 주제로 한 연구는 연구 대상이 체육 관련 전공 대학생들로 한정되었고, 봉사 내용은 학교 및 기타 시설에서의 교육봉사, 스포츠관련 해외봉사, 스포츠 이벤트 봉사 등을 포함하였다. 교육봉사를 주제로 한 연구는 10편(전체 중 14.5%; 스포츠 자원봉사 주제 중 17.9%)으로, 이 중 2급 정교사 자격증 획득의 필수요소인 60시간의 교육봉사 프로그램에 대한 내용을 다루고 있는 연구는 4편이었다. 이 외에 장애인식 실태나 장애인식 개선을 주제로 하는 연구도 5편이었으며, 스포츠 자원봉사 관련 연구척도를 개발한 연구가 1편이었다.

스포츠 자원봉사가 주제인 연구 중 양적방법론을 사용한 연구 34편의 연구에서는 봉사동기, (재)참여 의도, 만족도, 관여도, 동일시, 충실도, (구단)이미지, 심리적 계약, 업무적합성, 진지한 여가 등의 변인을 포함하고 있었다. 특히 봉사 동기를 포함하고 있는 연구가 9편(26.5%), 봉사 참여의도, 재참여의도 및 지속의사를 묻는 연구가 9편(26.5%)이었다. 한편 11편(34.4%)의 연구가 봉사만족을 변인으로 포함하고 있었다. 학교체육이나 생활체육, 스포츠이벤트가 아닌 프로스포츠를 대상으로 한 연구 중 자원봉사 관련 주제를 다루고 있는 논문은 3편으로 많지 않았으나, 3편 모두 구단이미지나 구단 평판 등을 포함하는 연구였다. 조직 및 업무적합성을 포함한 연구 또한 3편이었다.

이 외에 동일시(Identity)를 주제로 한 연구가 3편, 자원봉사자들의 관여도(Involvement)와 조직충실도(Commitment)를 함께 포함한 연구 3편, 조직충실도와 타 변인을 함께 포함한 연구 1편, 봉사자의 심리적 계약 (Psychological Contract)과 관련된 연구 2편, 진지한 여가(Serious Leisure)로서의 자원봉사를 연구한 연구가 2편이었다.

연구대상별 스포츠 자원봉사 관련 논문

연구대상이 있는 54편의 연구의 연구대상자는 봉사자, 봉사관리 및 운영자, 봉사수혜자, 잠재적 봉사자, 일반인, 관련 전문가로 나눌 수 있었다. 봉사자는 특정 이벤트나 프로그램, 시설 등에서 봉사를 하고 있거나 봉사경험이 있는 대상자이고, 봉사관리 및 운영자는 봉사자와 함께 일하는 혹은 그들을 관리하는 유급 직원을 포함한다. 봉사수혜자는 봉사활동을 통해 도움을 현재 받고 있거나 그러한 경험이 있는 대상자이다. 봉사경험자 및 봉사참여 의도가 있을 수 있는 자를 포함하지만, 봉사 경험 유·무에 상관없이 연구대상자가 될 수 있는 연구들의 대상자를 잠재적 봉사자로 분류하였다. 일반인으로 분류된 대상자는 봉사참여와 무관하지만, 봉사참여 등에 대한 전반적인 기업 이미지, 정책 등을 평가하는 일종의 패널 집단의 역할을 하는 대상자이며, 전문가는 델파이 등의 연구기법을 사용할 때 대상자가 되는 관련 전문가를 칭한다.

전체의 절반이 넘는 37편(68.5%)의 연구가 자원봉사자를 대상으로 이루어졌으며, 유급관리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3편(5.5%), 잠재적 봉사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4편(7.4%)이었다. 봉사자와 봉사수혜자를 함께 조사한 연구가 1편, 자원봉사와 특별히 관계를 갖지 않는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8편(14.8%), 전문가 집단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1편(2.0%)이었다. 그러나 봉사수혜자만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전무했다<Table 5>.

Research Participants of Volunteer Studies

스포츠 자원봉사 논문에 포함된 자원봉사 활동의 자원봉사자별, 자원봉사분야별 분류

참여 자원봉사자에 따른 스포츠 자원봉사 관련 논문

자원봉사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Table 5>의 자원봉사자 대상 연구 37편, 잠재적 자원봉사자 대상 연구 4편, 자원봉사자와 봉사수혜자 대상 연구 1편을 포함하는 42편이었다. 이 중, 체육관련 전공 대학생이 봉사자인 경우가 15편(35.7%), 체육관련 전공 여대생 봉사자가 1편(2.4%), 전공 구분 없는 대학생 봉사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6편(14.3%), 중·고·대학생 봉사자를 모두 포함한 연구가 1편(2.4%), 고등학생 봉사자 연구가 2편(4.7%)이었으며, 노인 여성 대상 연구가 1편(2.4%), 봉사자를 구분하지 않고, 모든 봉사자가 포함된 연구가 16편(41.0%)이었다<Table 6>.

Volunteers in Volunteer Studies

자원봉사 참여 분야별 스포츠 자원봉사 관련 논문

자원봉사자를 대상으로 하지 않은 논문에서도 연구된 자원봉사 분야는 분류될 수 있었다. 연구대상이 포함된 54편의 스포츠 자원봉사 관련 연구 중 이벤트봉사가 17편(31.5%), 스포츠시설이나 스포츠센터에서의 봉사가 9편(16.6%), 스포츠클럽봉사 2편(3.7%),학교 및 체육교실 등에서의 교육봉사 12편(22.2%), 해외봉사 3편(5.6%), 경기단체 및 체육회 봉사 3편(5.6%), 프로스포츠구단의 봉사 3편(5.6%)이었다. 자원봉사분야가 구체적으로 명시되지 않은 논문은 5편(9.2%)이었다<Table 7>.

Volunteering Category in Volunteer Studies

논 의

본 연구는 국내의 스포츠 관련 등재학술지에 게재된 스포츠 자원봉사와 관련된 논문을 연도별, 학술지별, 학문분야별, 연구방법별, 연구주제 및 변인별, 연구대상별, 참여 자원봉사자별, 참여 자원봉사분야별로 분류하였다.

연도별·학술지별·학문분야별 분류

스포츠 자원봉사 관련 논문은 2009년을 기점으로 출판 수가 증가되었다고 볼 수 있다. 해외의 경우, 메가 스포츠 이벤트 등이 개최된 직후 스포츠 자원봉사 연구가 많이 진행되곤 하나, 고정적으로 자원봉사 관련 연구가 진행되고 있어 우리와 같은 큰 변화를 찾기는 어렵다. 2009년을 기점으로 한 변화의 정확한 이유를 밝히는 것은 불가하겠지만 2000년대 중·후반부터 국내 봉사자의 수가 늘고, 대학생의 봉사활동 참여 및 관심도 증가하였다. 또한 2009년은 교원양성기관 입학자들이 교사자격증을 발급받기 위해서 교육봉사 60시간이 의무화된 시기이다. 실제로 해외 논문에서는 학생들의 자원봉사 참여를 스포츠교육학적 측면에서 다루고 있는 경우가 거의 없으나, 국내의 경우 스포츠교육학이나 특수체육학으로 분류될 수 있는 논문은 전체 스포츠 자원봉사 주제의 논문 중 30%를 넘었다. 또한 구체적으로 예비교사들의 의무적 교육봉사를 주제로 다루고 있는 연구도 4편이 있었다(Kim, 2012b, 2015; Lee et al., 2015; Yang & Lee, 2014).

현재 사회적 흐름으로 보아 초·중등 교육과정 중 창의적 체험활동(자율활동, 동아리활동, 봉사활동, 진로활동)이 강조되고 있고(Korea Found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and Creativity, 2012a) 교육기부의 중요성 또한 강조되고 있어(Korea Found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and Creativity, 2012b), 향후 교육학에서의 스포츠 자원봉사 연구가 계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대학생 봉사활동 중에서도 전공연계봉사(Service Learning)적 측면이 강조되고 있어(Kim et al., 2014) 스포츠교육학의 자원봉사 연구의 역할 또한 점점 확장될 것이다.

또 다른 특징적인 것은 스포츠 자원봉사 관련 연구의 다수가 스포츠정책학 분야 연구였다는 점이다. 스포츠정책학 분야의 스포츠 자원봉사 관련 연구는 대부분 자원봉사 활성화를 다루고 있고, 이는 분석된 논문의 25.0%(15편)를 차지하였다. 또한 타 정책 활성화 연구에 자원봉사 활성화 내용이 포함된 논문도 11편이었다. 특히 2011년까지의 논문 39편 중 20편이 자원봉사 활성화 방안을 포함한 연구로, 전체의 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해외의 경우, 아동·청소년학 등에서 의무적 봉사활동의 장·단점을 논하는 연구는 찾아볼 수 있으나(Planty et al., 2006) 스포츠 자원봉사 활성화에 관한 정책제안 성격의 논문은 찾아보기 어렵다. 따라서 국내 스포츠정책학 분야의 자원봉사 활성화 연구는 주목할 만하다고 할 수 있다.

특히 스포츠 자원봉사연구가 가장 활발하게 진행되는 북미의 경우, 스포츠 정책이 정부 주도형이라기보다는 민간주도형의 형태를 띠고 있어 정책 연구 자체가 많지 않다. 영국, 호주, 미국 등의 경우 자원봉사자가 스포츠 영역 업무 담당자의 20~25% 이상(Kim et al., 2007)을 차지하는 등 문화적으로 스포츠 자원봉사 문화가 정착되어 있어, 그 필요성이나 당위성을 강조할 이유가 없다. 또한 IOC 등의 스포츠국제조직이 올림픽 등의 메가 이벤트를 주최함에 있어 봉사자의 참여를 의무화하고 있기 때문에 굳이 또 다른 정책 제안이나 활성활 방안을 고민할 필요가 없을 수 있다.

하지만 스포츠 자원봉사자 수가 많지 않고 체육계의 자원봉사 문화가 정착되지 않은 국내의 경우 자원봉사 활성화를 위한 연구가 필요할 수 있다. 그러나 이번 분석에 포함된 대부분의 연구는 구체적이고 효과적인 스포츠 자원봉사 활성화 방안을 도출하는 기보다는 반복적으로 단순히 활성화의 필요성만 강조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해외의 경우, 유소년스포츠나 생활체육영역은 자원봉사지도자나 자원봉사관리자들에 의해 운영되고 있으나, 국내의 경우, 일자리창출의 초점이 맞춰 육성되고 있는 생활체육지도사가 그 중심이 되고 있다. 또한 지난 20여 년 동안, 국제 메가 스포츠 이벤트의 국내 유치가 매우 잦고, 이에 대한 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일반 국민 혹은 잠재적 봉사자들에게도 국제 스포츠 이벤트 참여에 대한 매력도가 높지 않다(Kado.net, 2017). 따라서 국내 실정에서 서구 사회(특히 서유럽이나 북미)와 같은 스포츠 자원봉사 활성화가 가능한지, 스포츠 자원봉사 활성화가 실제로 필요한 지에 대한 진지한 고민이 선행되어야 하며, 이에 따른 정책 제안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연구방법별·연구주제 및 변인별·연구대상별·분류

스포츠 자원봉사 관련 논문들의 연구방법을 살펴보면 양적연구가 전체의 절반, 질적연구가 전체 연구의 약 4분의 1 정도를 차지했다. 직접적인 연구대상이 없는 연구도 많은 수를 차지했다. 이는 스포츠 자원봉사 관련 연구가 체육계의 한 학문분야가 아닌, 다양한 분야에서 이루어져 왔기 때문에 나타나는 결과일 것이다. 스포츠경영학이나 여가학의 경우 양적연구가 그 주를 이루고 스포츠교육학 연구의 상당수가 질적연구 방법을 통해 진행되며 많은 정책연구가 연구대상 없이 진행되는 것을 볼 때, 본 결과는 관련 학문의 현상을 투영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좀 더 면밀히 들여다 볼 때, 실험연구가 전무하고, 양적연구의 경우 제안하는 모형이나 사용하는 통계 유형도 매우 흡사하여 논문별 연구 방법적 차별성과 독특성을 찾기 어려웠다.

스포츠 자원봉사 연구들의 주제별 분류를 보면 이는 위에서 논한 학문분야별 분류와 많은 부분이 일치한다. 그 외에는 스포츠경영 분야에서 다루어지고 있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과 관련된 연구들이다 (Cho & Lee, 2002; Hong, 2012; Kim et al., 2012). 이 연구들은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 중 하나인 기업 혹은 선수들의 자원봉사활동 참여가 기업이나 구단의 이미지에 어떤 영향을 주는 지 일반인이나 팬들에게 설문을 통해 알아보았다. 해외에서도 비슷한 주제나 형식의 연구들이 종종 이루어진다.

이번 분석에 포함된 연구에 가장 많이 포함되었던 변인은 봉사만족, 봉사(재)참여, 봉사동기이다. 스포츠경영학의 스포츠 자원봉사 관련 연구는 위에서 언급한 기업의 사회적 책임이나 기업(구단)이미지 관련 연구가 아닌 경우, 대부분 조직행동/인사자원(Organizational Behavior/Human Resources)분야에서 연구되는 경우가 많아 (재)참여나 만족, 동기 등이 변인으로 많이 활용된 것은 일반적일 수 있다. 하지만 교육학과 정책 연구,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주제로 한 연구를 제외한 스포츠경영학 또는 여가학 바탕의 대부분의 연구가 동기, 만족, (재)참여의 3가지 변인 중 일부 또는 모든 변인을 포함하고 있는 것은 연구 주제의 다각화라는 점에서 아쉬운 점이 있다. 특히 이미 이 세 가지 변인을 측정하고, 그들의 관계를 반복적으로 확인하는 것은 연구에 참여한 자원봉사자들의 분야나 특징이 다르다 해도 학문적 의의를 크게 논하기 힘들다.

이 3가지 변인 외에 연구에 포함된 개념들은 동일시, 심리적 계약, 관여도, 조직충실도, 진지한 여가 등이 있다. 거론된 각 변인별 연구가 2-3편씩 이루어지고 있으나 다양한 학자에 의한 연구는 아니다. Kim et al.은 동일시(Kim, 2010; Kim, 2012a; Cho et al., 2015)와 심리적 계약 관련 연구(Cho et al., 2012; Cho et al., 2015)를 주로 연구하고 있으며, Park et al.은 관여도와 조직충실도(Park, 2009; 2015; Park & Han, 2014)를, 또 다른 Kim과 그의 연구진들은 진지한 여가(Kim & Hwang, 2015) 개념을 포함한 스포츠 자원봉사 연구를 해오고 있다. 언급된 학자들의 연구들은 해외 학술지에서도 게재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특정 대상을 포함한 연구의 대부분은 자원봉사참여자나 잠재적 봉사자를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다수의 연구가 스포츠경영학, 여가학, 교육학을 바탕으로 하고 자원봉사자를 서비스수혜자, 여가참여자, 혹은 교육제공자로 설정한 연구들이 대부분이다. 그러나 봉사참여를 여가적 관점에서 보는 경우가 아니라면, 봉사제공자뿐 아니라, 수혜자나 함께 일을 하는 유급 관리자의 입장도 중요하다. 그러나 국내의 스포츠 자원봉사 연구 중 수혜자를 연구대상으로 포함한 연구는 단 한편으로, 관리자인 교사의 입장에서 봉사제공자(체육멘토-고등학생)와 봉사수혜자(체육멘티-초등학생)를 관찰한 교육학 관점의 연구이다(Joo, 2014). 해외 연구에도 수혜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많지 않지만, 그 필요성은 대두되고 있다. 연구대상 확보 등의 어려움으로 봉사수혜자를 대상의 연구를 진행하기 어렵다면 수혜자의 입장을 Kim & Trail(2010)이 진행한 유사-실험연구 등을 통해서라도 알아보는 시도가 필요할 것이다. 또한 봉사관리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도 매우 부족하였다. 대부분의 스포츠 현장에서는 자원봉사와 유급직원이 함께 일을 하게 되고 그들의 처우, 관리, 관계 등에 따라 갈등이나 문제가 생길 수도 있고 효과적인 업무 관계가 이루어질 수도 있어(Cuskelley et al., 2006) 이에 대한 심층적인 탐구가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국내에서는 이러한 연구가 전무한 실정이다.

참여 자원봉사자별·참여 자원봉사분야별 분류

국내에서 진행된 스포츠 자원봉사 연구의 과반이 대학생을 그 연구 대상으로 설정하고 있었다. 실제로 국내 스포츠 분야 자원봉사자(스포츠 이벤트, 스포츠지도, 학교체육 등)의 다수가 대학생이지만 실제로 스포츠 행사, 사회체육 등에는 대학생이 아닌 다양한 자원봉사자들이 참여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연구되는 자원봉사자를 다양화할 필요가 있다. 실제로 다수의 연구에서 다양한 나이, 성별, 직업의 자원봉사자들이 각기 다른 특성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기에, 특정 부류의 자원봉사를 대상으로 독특하게 연구되어야할 주제가 존재할 가능성이 크다. 그러나 체육전공 대학생을 제외한 다른 인구통계학적 특징을 바탕으로 연구대상을 설정한 연구는 여대생의 스포츠 시설 자원봉사경험 연구 1편(Heo & Lee, 2004)과 여성노인들의 진지한 여가 수준에 따른 봉사참여 및 지속 연구 1편(Kim & Lee, 2013)뿐이었다.

연구가 이루어진 자원봉사 종류의 경우, 이벤트 자원봉사가 가장 많았고 교육봉사가 그 뒤를 이었다. 그 외에는 스포츠시설/센터, 스포츠클럽, 경기단체, 프로스포츠구단, 해외봉사 등이 있었다. 이벤트 자원봉사 연구는 국·내외 모두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고, 가장 기본적인 동기, 만족도, 재참여의도와 함께 다양한 변인이 연구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공식적 스포츠 자원봉사의 시작은 1986 아시안게임과 1988 올림픽게임 자원봉사이다. 실제로 1988 올림픽게임 자원봉사는 다른 어떤 올림픽보다 성공적으로 이루어졌다고 평가된다(Moreno et al., 1999). 그러나 그 이후, 다양한 스포츠 메가 이벤트를 유치하고, 수십만 명의 자원봉사자가 각각의 이벤트에 참여해왔지만 이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기본적인 동기, 만족 등을 넘어서는 올림픽유산(Olympic Legacy) 등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었다고 볼 수 있다. Yang(2016)이 우리나라에서 개최되었던 3번의 아시안게임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긴 하나, 자원봉사자 수나 업무 등으로 그 내용이 제한적이었다.

이외에 앞에서도 언급했던 많은 자원봉사 연구가 공식적인 예비교사들의 교육봉사 과정을 바탕으로 이루어진다는 것은 해외 연구와 비교해 매우 특징적이다. 또 주목할 만한 특징은 최근 1-2년 사이 게재된 3편의 해외봉사 관련 연구가 모두 태권도봉사단의 해외자원봉사에 관한 것이라는 것이다(Kim & Rhee, 2017; Park & Kim, 2016; Yoo & Cho, 2016). 스포츠 ODA 사업이 확장되고 있고, 스포츠 지도나 공연 등이 증가하고 있는 국내 상황을 볼 때 해외자원봉사 관련 연구는 앞으로도 증가할 것이라 본다. 해외에서도 스포츠를 통한 발전 (Sport for Development)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이에 대한 연구도 증가되고 있어 이는 세계적인 추세로도 볼 수 있을 것이다(Schulenkorf et al., 2016).

결론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스포츠 자원봉사 관련 연구에 대한 전반적인 현황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에 RISS를 통해 2017년 4월까지 게재된 연구 논문 중 스포츠 자원봉사를 그 주제로 한 60편의 KCI 등재 논문과 스포츠 자원봉사가 주제는 아니나, 변인이나 제언의 한 방향으로 언급하고 있는 KCI 등재 논문 14편(총 74편)을 연도별, 학술지별, 학문분야별 분류와 연구방법별, 연구주제별, 연구대상별, 참여 자원봉사자별, 참여 자원봉사분야별로 분류하였다.

스포츠 자원봉사 관련 연구는 꾸준히 출판되고 있고 2009년부터 그 수가 증가되고 있다. 다양한 연구 분야의 학술지에서 출판되고 있으며, 특히 스포츠경영학, 교육학, 특수체육학, 스포츠정책분야에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었다. 연구방법적인 측면에서는 양적방법론을 사용한 연구가 절반 가까이를 차지하지만, 질적방법론을 사용한 연구도 적지 않았다.

자원봉사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대부분이며 자원봉사수혜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거의 없었다. 참여 자원봉사자는 많은 수가 대학생이었으며, 이벤트봉사나 교육봉사 등에 참여하는 봉사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가 가장 많았다.

본 연구의 대상이 된 논문들은 RISS를 통해 ‘봉사+스포츠’, ‘봉사+체육’, ‘재능기부+스포츠’, ‘재능기부+체육’의 검색 주제어를 사용해 수집되었다. 이에 1997년 이전 연구가 포함되지는 않았으나, 2017년 4월까지 출판된 가능한 모든 연구를 포함하려 노력하였다.

스포츠 자원봉사자는 스포츠경영학, 여가학, 스포츠심리학, 스포츠교육학 연구의 대상으로만 볼 수도 있지만, 자원봉사자는 유급직원이나 유급지도자와는 전혀 다른 성향이나 사고방식을 보인다. 일반적으로 스포츠 자원봉사자는 타 분야의 자원봉사자들과 다르게 이타적인 성격뿐 아니라 강한 이기적 동기(여가적 동기)를 가지는 경우가 많다(Chelladurai, 2006). 스포츠 자원봉사자는 많은 수가 관련 스포츠 종목 참여자이거나 팬인 경우가 많아, 기업·기관이나 관리자의 입장에서 스포츠 자원봉사자는 타 분야의 자원봉사자들보다 마케팅적으로도 중요하다 할 수 있다.

이에 국내의 스포츠 자원봉사 연구는 수적 확장도 이루어져야하겠지만 질적 성장도 필요하다. 단순하게 자원봉사의 당위성만을 주장하는 활성화 방안보다는 국내 스포츠 자원봉사 현황이나 배경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국내·외 타 연구 및 정책들에 대한 심도 있는 조사를 바탕으로 한 효과적인 정책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반복적인 봉사동기, 만족, (재)참여 연구를 넘어서, 의미 있는 연구주제와 확실한 이론적 근거를 포함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한다. 스포츠 교육봉사의 경우, 해외에서는 드문 연구 주제이나 국내의 교육적 특성상 매우 자주 연구되는 주제이다. 이에 단순한 관찰과 보고식의 반복적 연구보다는 의미 있고 효과적인 전공연계 봉사 프로그램 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스포츠 봉사자와 봉사수혜 학생의 다양한 심리 상태 및 성향, 그들의 관계를 통한 교육학 및 사회학적 변화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Acknowledgements

자료 수집 및 정리에 도움을 준 정은(고려대학교) 대학원생에게 감사를 표합니다.

References

1.

Chelladurai, P. (2006). Human Resource Management in Sport and Recreation(2nd ed.). IL, US: Human Kinetics.

Chelladurai P.. 2006. Human Resource Management in Sport and Recreation 2nd edth ed. IL, US: Human Kinetics.
2.

Cho, S., Kim, J., Kim, G. & Kim, M. (2015). Event Volunteers’ Psychological Contract, Sport Identification and Satisfaction. Journal of Leisure, Park & Recreation Studies, 39(1), 44-54.

Cho S., Kim J., Kim G., et al, Kim M.. 2015;Event Volunteers’ Psychological Contract, Sport Identification and Satisfaction. Journal of Leisure, Park & Recreation Studies 39(1):44–54.
3.

Cho, S., Kim, M. & Moon, I. (2012). Development of the Psychological Contract Inventory for Sport Event Volunteers. The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51(1), 261-272.

Cho S., Kim M., et al, Moon I.. 2012;Development of the Psychological Contract Inventory for Sport Event Volunteers. The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51(1):261–272.
4.

Cho, Y. & Lee, C. (2002). The Effect of Corporate Image According to Type of Participation Sports Event’s Satisfaction. Korean Journal of Sport Management, 7(1), 161-176.

Cho Y., et al, Lee C.. 2002;The Effect of Corporate Image According to Type of Participation Sports Event’s Satisfaction. Korean Journal of Sport Management 7(1):161–176.
5.

Cuskelley, G., Hoye, R., & Auld, C. (2006). Working with volunteers in sport: Theory and practice. Roudtledge, NY.

Cuskelley G., Hoye R., et al, Auld C.. 2006. Working with volunteers in sport: Theory and practice Roudtledge: NY.
6.

Heo, H. & Lee, M. (2004). A Study on the Voluntary Service Activities of Female College Students. Journal of Korean Physical Education Association for Girls and Women, 18(2), 115-128.

Heo H., et al, Lee M.. 2004;A Study on the Voluntary Service Activities of Female College Students. Journal of Korean Physical Education Association for Girls and Women 18(2):115–128.
7.

Hong, S. (2012). Effect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ies and Moderating Effect of Perceived Motivation in Professional Sports. Korean Journal of Sport Management, 17(1), 79-93.

Hong S.. 2012;Effect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ies and Moderating Effect of Perceived Motivation in Professional Sports. Korean Journal of Sport Management 17(1):79–93.
8.

Joo, B. (2014). An Autoethnography: The Educational Issue and Dilemma of Physical Education Mentoring Volunteering Program. Korean Journal of Sport Pedagogy, 21(1), 117-137.

Joo B.. 2014;An Autoethnography: The Educational Issue and Dilemma of Physical Education Mentoring Volunteering Program. Korean Journal of Sport Pedagogy 21(1):117–137.
9.

Kado.net (2017). Need for budget allocation for Olympic volunteers. Kangwondominilbo. Retrieved from http://www.kado.net/?mod=news&act=articleView&idxno=838564

. Kado.net. 2017. Need for budget allocation for Olympic volunteers Kangwondominilbo; Retrieved from http://www.kado.net/?mod=news&act=articleView&idxno=838564.
10.

Kim, J. & Rhee, S. (2017). The effect of satisfaction of overseas volunteering perceived by World Friends Taekwondo volunteers on sociality. The Korea Journal of Sports Science, 26(1), 33-47.

Kim J., et al, Rhee S.. 2017;The effect of satisfaction of overseas volunteering perceived by World Friends Taekwondo volunteers on sociality. The Korea Journal of Sports Science 26(1):33–47.
11.

Kim, J., Yoo, Y., & Lee, J. (2012). The Effect of Professional Basketball Team’s Volunteering on Team Image. Journal of Korean Physical Education Association for Girls and Women, 26(2), 15-35.

Kim J., Yoo Y., et al, Lee J.. 2012;The Effect of Professional Basketball Team’s Volunteering on Team Image. Journal of Korean Physical Education Association for Girls and Women 26(2):15–35.
12.

Kim, M. (2010). Volunteering as Leisure: Influence of Various Identification on Volunteering Intention. Journal of Leisure and Recreation Studies, 34(3), 173-181.

Kim M.. 2010;Volunteering as Leisure: Influence of Various Identification on Volunteering Intention. Journal of Leisure and Recreation Studies 34(3):173–181.
13.

Kim, M. (2012a). The Influence of Identification on Pre-volunteers’ Behavior Intention in a Mega Sporting Event. Journal of Sport and Leisure Studies, 47, 103-113.

Kim M.. 2012a;The Influence of Identification on Pre-volunteers’ Behavior Intention in a Mega Sporting Event. Journal of Sport and Leisure Studies 47:103–113.
14.

Kim, M. (2012b). The Understand on the Educational volunteering program of the Pre-service P.E Teacher’s Experience. Korean Journal of Sport Pedagogy, 19(4), 105-124.

Kim M.. 2012b;The Understand on the Educational volunteering program of the Pre-service P.E Teacher’s Experience. Korean Journal of Sport Pedagogy 19(4):105–124.
15.

Kim, M. (2015). Study on the Experience of Pre-service P.E Teacher’s Reflection through Educational volunteering and Inquiry on the Educational meaning.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5(2), 639-661.

Kim M.. 2015;Study on the Experience of Pre-service P.E Teacher’s Reflection through Educational volunteering and Inquiry on the Educational meaning.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5(2):639–661.
16.

Kim, M. & Bang, H. J. (2012). Volunteer management in sport. In L. Robinson, P. Chelladurai, G. Bodet, & P. Downward (Eds.), Routledge Handbook of Sport Management (pp.159-177). New York, NY: Routledge.

Kim M., et al, Bang H. J., et al. 2012. Volunteer management in sport. In. In : Robinson L., Chelladurai P., Bodet G., et al, Downward P. (Eds.), eds. Routledge Handbook of Sport Management p. 159–177. New York, NY: Routledge.
17.

Kim, M., Chelladurai, P., & Trail, G. T. (2007). A model of volunteer retention in youth sport. Journal of Sport Management, 21, 151-171.

Kim M., Chelladurai P., et al, Trail G. T.. 2007;A model of volunteer retention in youth sport. Journal of Sport Management 21:151–171. 10.1123/jsm.21.2.151.
18.

Kim, M. & Hwang, S. (2015). Sporting event volunteers’ perceived benefit and satisfaction according to serious leisure levels. The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54(4), 493-502.

Kim M., et al, Hwang S.. 2015;Sporting event volunteers’ perceived benefit and satisfaction according to serious leisure levels. The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54(4):493–502.
19.

Kim, M., Lee, H., Kim, E. & Hwang, H. Y. (2014). Final Report for the Project_Proposal to vitalize university volunteering program. Ministry of Education.

Kim M., Lee H., Kim E., et al, Hwang H. Y.. 2014. Final Report for the Project_Proposal to vitalize university volunteering program Ministry of Education.
20.

Kim, M. & Lee, Y. (2013). Examining Behaviors of Female Older Adult Volunteers in a Global Sporting Event. Korean Journal of Sport Science, 24(1), 36-46.

Kim M., et al, Lee Y.. 2013;Examining Behaviors of Female Older Adult Volunteers in a Global Sporting Event. Korean Journal of Sport Science 24(1):36–46.
21.

Kim, M., & Trail, G. T. (2010). The effects of service provider employment status and service quality exchange on perceived organizational image and purchase intention. Sport Management Review, 13, 225-234.

Kim M., et al, Trail G. T.. 2010;The effects of service provider employment status and service quality exchange on perceived organizational image and purchase intention. Sport Management Review 13:225–234. 10.1016/j.smr.2009.06.001.
22.

Korea Found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and Creativity (2017a). Introduction of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Retrieved from http://www.crezone.net/?page_id=300.

Korea Found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and Creativity. 2017a. Introduction of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Retrieved from http://www.crezone.net/?page_id=300.
23.

Korea Found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and Creativity (2017b). Introduction of Donation for Education. Retrieved from http://www.teachforkorea.go.kr/aboutus/neo_edunanum_info/.

Korea Found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and Creativity. 2017b. Introduction of Donation for Education Retrieved from http://www.teachforkorea.go.kr/aboutus/neo_edunanum_info/.
24.

Lee, A., Bae, J., & Roh, H. (2015). Secondary PE teacher candidates’ perceptions and reactions on the experiences of educational service activities. Journal of Research in Curriculum Instruction, 19(1), 159-175.

Lee A., Bae J., et al, Roh H.. 2015;Secondary PE teacher candidates’ perceptions and reactions on the experiences of educational service activities. Journal of Research in Curriculum Instruction 19(1):159–175.
25.

Moreno, A. B., Moragas, M., & Paniagua, R. (1999). The evolution of volunteers at the Olympic Games. In M. Moragas, A. Moreno & N. Puig (Eds.) Symposium on Volunteers, Global Society and the Olympic Movement. Lausanne, 24-26.

Moreno A. B., Moragas M., Paniagua R.. 1999. The evolution of volunteers at the Olympic Games In. In : Moragas M., Moreno A., et al, Puig N. (Eds.), eds. Symposium on Volunteers, Global Society and the Olympic Movement Lausanne. p. 24–26.
26.

Park, S. (2009). The Causal Relationships among Involvement,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for Volunteers in Recreational Sport Programs. Journal of Leisure and Recreation Studies, 33(3), 207-217.

Park S.. 2009;The Causal Relationships among Involvement,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for Volunteers in Recreational Sport Programs. Journal of Leisure and Recreation Studies 33(3):207–217.
27.

Park, S. (2015). Examining the Link between Involvemen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Sport Volunteerism: Implications for Behavioral Manifestation. Journal of Sport and Leisure Studies, 61, 383-393.

Park S.. 2015;Examining the Link between Involvemen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Sport Volunteerism: Implications for Behavioral Manifestation. Journal of Sport and Leisure Studies 61:383–393.
28.

Park, S. & Kim, H. (2016). Analyzing on Intention and Behavior about Overseas Volunteer Activities through Taekwondo: Focused on the Participation in the World Taekwondo Peace Corporation. The Korea Journal of Sports Science, 25(1), 187-196.

Park S., et al, Kim H.. 2016;Analyzing on Intention and Behavior about Overseas Volunteer Activities through Taekwondo: Focused on the Participation in the World Taekwondo Peace Corporation. The Korea Journal of Sports Science 25(1):187–196.
29.

Park, S. & Han, K. (2014). The Relationships among Involvement, Satisfaction, Commitment in Volunteerism among Sport Event Volunteers. Journal of Sport and Leisure Studies, 55, 351-360.

Park S., et al, Han K.. 2014;The Relationships among Involvement, Satisfaction, Commitment in Volunteerism among Sport Event Volunteers. Journal of Sport and Leisure Studies 55:351–360.
30.

Planty, M., Bozick, R., & Regnier, M. (2006). Helping because you have to or helping because you want to? Sustaining participation in service work from adolescence to young adulthood. Youth and Society, 38, 177–202.

Planty M., Bozick R., et al, Regnier M.. 2006;Helping because you have to or helping because you want to? Sustaining participation in service work from adolescence to young adulthood. Youth and Society 38:177–202.
31.

Schulenkorf, N., Sherry, E., & Rowe, K. (2016). Sport for development: An integrated literature review. Journal of Sport Management, 30, 20-39.

Schulenkorf N., Sherry E., et al, Rowe K.. 2016;Sport for development: An integrated literature review. Journal of Sport Management 30:20–39. 10.1123/jsm.2014-0263.
32.

University of Texas Libraries (2017). What’s a “review article?” Retrieved from http://www.lib.utexas.edu/lsl/help/modules/review.html.

University of Texas Libraries. 2017. What’s a “review article?” Retrieved from http://www.lib.utexas.edu/lsl/help/modules/review.html.
33.

Yang, J. M. & Lee, D. H. (2014). The Emotional Understand on the Educational volunteering program of the Pre-service P.E Teacher’s Experienc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4(10), 67-87.

Yang J. M., et al, Lee D. H.. 2014;The Emotional Understand on the Educational volunteering program of the Pre-service P.E Teacher’s Experience. 14(10):67–87.
34.

Yoo, D. & Cho, S. (2016). Exploration on Awareness of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Taekwondo Towards Advancement into Overseas Countries Through Taekwondo Overseas Voluntary Service Activities. The Korea Journal of Sport Science, 25(6), 109-120.

Yoo D., et al, Cho S.. 2016;Exploration on Awareness of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Taekwondo Towards Advancement into Overseas Countries Through Taekwondo Overseas Voluntary Service Activities. The Korea Journal of Sport Science 25(6):109–120.
35.

Yong-Powell, A. (2012). Best bits: The Olympic legacy for the volunteer sector. The Guardian. Retrieved from https://www.theguardian.com/voluntary-sector-network/2012/aug/07/best-bits-olympic-legacy-volunteering.

Yong-Powell A.. 2012. Best bits: The Olympic legacy for the volunteer sector. The Guardian https://www.theguardian.com/voluntary-sector-network/2012/aug/07/best-bits-olympic-legacy-volunteering.

Article information Continued

Table 1.

Number of Published Articles by Year

Year 97 99 00 01 02 03 04
No. 1 4(1) 0 2(2) 2(1) 2(1) 3
Year 05 06 07 08 09 10 11
No. 3 4(2) 1 1 7(3) 5 4
Year 12 13 14 15 16 17 total
No. 9(2) 4(1) 7 6 7(1) 2 74(14)

Note. No.= Numbers of articles on sport volunteering as the main topic; (No.)= Numbers of articles including sport volunteering as a factor or sub-topic.

Table 2.

Journals Outlets of Volunteer Studies

Journal Title No.
Journal of Adapted Physical Activity 5(1)
Journal of Korean Physical Education Association for Girls and Women 4(1)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Physical Education 1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port Policy 6(3)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2
Journal of Leisure, Park & Recreation Studies 4
Journal of Research in Curriculum & Instruction 1
Journal of Sport and Leisure Studies 12
Korea Journal of Sociology of Sport 2
Korean Journal of Sport Management 5(3)
Korean Journal of Sport Pedagogy 3
Korean Journal of Sport Science (체육과학연구) 2(1)
Philosophy of Movement: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 Society for Sport and Dance 2(1)
The Korean Journal of History for Physical Education, Sport, and Dance 1
The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13(4)
The Korea Journal of Sports Science (한국체육과학회지) 11
Total 74(14)

Note. No.= Numbers of articles on sport volunteering as the main topic; (No.)= Numbers of articles including sport volunteering as a factor or sub-topic.

Table 3.

Research Areas of Volunteer Studies

Academic Area Related Main Theme
No.(%)
Adapted Physical Education 7(9.5) 6(10.0)
Leisure 6(8.1) 6(10.0)
Sport History 1(1.4) 1(1.7)
Sport Management 20(27.0) 16(26.7)
Sport Pedagogy 11(14.9) 11(18.3)
Sport Philosophy 2(2.7) 1(1.7)
Sport Policy 17(23.0) 9(15.0)
Sport Psychology 5(6.7) 5(8.3)
Sport Sociology 5(6.7) 5(8.3)
Total 74(100) 60(100)

Table 4.

Research Methods of Volunteer Studies

Research Method Related Main Theme
No.(%)
Quantitative Method 34(45.9) 31(51.6)
Qualitative Method 15(20.3) 13(21.7)
Mixed Method 5(6.8) 4(6.7)
Without Samples 20(27.0) 12(20.0)
Total 74(100) 60(100)

Table 5.

Research Participants of Volunteer Studies

Research Participants Related Main Theme
No.(%)
Volunteers 37(68.5) 34(77.1)
Managers (Paid) 3(5.5) 1(2.1)
Beneficiaries 0(0) 0(0)
Latent Volunteers 4(7.4) 4(8.3)
General Population 8(14.8) 5(10.4)
Volunteers and Beneficiaries 1(1.9) 1(2.1)
Experts 1(1.9) 0(0)
Total 54(100) 48(100)

Table 6.

Volunteers in Volunteer Studies

Volunteers Related Main Theme
No.(%)
College Students- Sport Related Majors 15(35.7) 15(35.7)
Female College Students – Sport Related Majors 1(2.4) 1(2.4)
Other College Students 6(14.3) 6(14.3)
Junior-, High School & College Students 1(2.4) 1(2.4)
High School 2(4.7) 2(4.7)
Elderly Women 1(2.4) 1(2.4)
General Volunteers 16(38.1) 16(38.1)
Total 42(100) 42(100)

Table 7.

Volunteering Category in Volunteer Studies

Volunteering Category Related Main Theme
No.(%)
Event Volunteering 17(31.5) 15(31.3)
Sport Center/Facility Volunteering 9(16.6) 9(18.8)
Sport Club Volunteering 2(3.7) 1(2.1)
Educational Volunteering 12(22.2) 12(25.0)
International Volunteering 3(5.6) 3(6.2)
Sport Organization Volunteering 3(5.6) 1(2.1)
Pro Sport Team’s CSR 3(5.6) 3(6.2)
Unknown 5(9.2) 4(8.3)
Total 54(100) 48(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