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 론
연구방법
연구 대상
조사 도구
연구 절차
자료 분석
결과 및 논의
올림픽 출전선수들이 지각하는 올림픽 경기력 긍정적 영향 요인
올림픽 경기력 긍정적 영향 요인의 귀납적 분석 결과
올림픽 경기력 긍정적 영향 요인에 대한 심층면담 내용 분석 결과
표 2.
올림픽 준비 및 시합기간 동안의 긍정적 영향요인 2차 귀납적 내용분석 결과
"내 자신에 대한 믿음, 하루하루 좋아지고 있다고 다짐하고, 괜찮다 다 잘될꺼다 라고 스스로를 응원하며 나는 할 수 있다는 굳은 신념으로 준비했다. 올림픽에 나가는 어렸을 때의 꿈을 곧 이룰 수 있을 것이라는 생각, 힘들게 훈련하고 있는 것을 곧 끝낼 수 있을 거라는 긍정적인 생각을 하는 것이 준비기간에 힘이 됬다."(선수 D)
"내 기술에 대한.... 감각에 대한 이미지 트레이닝, 또 최상의 컨디션과 최고의 기술과 기록을 이미지 트레이닝 했다."(선수 B)
"가장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저를 움직이게 한 것은 목표였다. 선수생활의 마지막 목표였던 올림픽 결승 진출을 이루기 위해 힘든 시간을 잘 이겨냈고 덕분에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선수 G)
"지도자와의 의사소통이 잘 되었어요. 지도자와 말이 잘 통하니까 훈련도 잘 되구요. 경기에서도 잘한 것 같아요."(선수 C)
"코치 선생님이 저를 위주로 웨이트 트레이닝을 해서 체력 컨디션을 끌어올린 것이 많은 도움이 된 것 같다. 그리고 내 컨디션에 따라 심한 훈련 스케쥴 빼주고 다른 가벼운 운동을 하게 했어요."(선수 E)
"팀원들과의 팀웍이 좋아졌을 때 경기력도 좋아졌어요."(선수 C)
"팀동료들이 저희보다 더 열심히 훈련 해주고, 저희보다 힘들게 했죠. 저희는 컨디션 조절 때문에 쉬지만 정작 올림픽에 나가지 않는 파트너는 계속 훈련했어요. 그거 보니까 더 열심히 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어요"(선수 E)
"올림픽 준비기간 동안 이전에 올림픽에 나갔던 선배가 얘기해주는 올림픽 분위기나 올림픽 나가면 기분이 어떻다던가, 경기할 올림픽 경기장에 대해 들었던 것이 실제 올림픽에 가서 경기를 하는데 도움이 정말 많이 된 것 같아요."(선수 J)
"상담과 심리기술훈련이 경기 전에 심리컨디션을 조절하는 기간 동안 좋은 영향을 주었다."(선수 A)
"원래 긍정적인 마인드 보다는 부정적인 마인드였는데 심리상담/심리훈련을 하고 긍정적으로 변했어요. 긍정적으로 변하다 보니까 올림픽 시합을 나가서도 지고 있더라도 포기하지 않고 강한 마음으로 부담없이 시합에 임했어요."(선수 E)
"절실한 마음: 꼭 나가고 싶었기 때문에 후회없이 했다. 메달을 못 따더라도 후회 없이 하자는 마음가짐으로 생각보다 중압감이 작았다."(선수 A)
"실수 없이 잘해 낼거라는 내 자신에 대한 믿음이 컸다."(선수 F)
"선수생활의 마지막이라고 생각하고 즐기기 위해 최선을 다했다. 코치님과 동료와 함께 긍정적인 생각을 하려 많은 노력을 하고, 결과에 상관없이 우리의 최고의 모습을 보여주고 오자는 생각을 했다."(선수 E)
"경기 중에 주위를 일부러 안보려고 했어요. 이게 아마도 주위가 산만해지는 걸 막아 집중력을 향상시킨 것 같아요."(선수 A)
"집중이 엄청 잘 됐어요, 런던에 가서 연습을 하는데 너무 집중이 잘 됐어요."(선수 I)
"코치와의 소통한 것, 바람에 확신이 없을 때 코치가 확신을 준 것이 메달을 따는 데 큰 도움이 됬지요."(선수 A)
"지도자가 선수의 마음을 편안하게 하려하였고, 연습을 더 하고 싶으면 더 할 수 있도록 배려해주었다."(선수 B)
"지도자들가 적절하게 언론을 통제해 준게 경기에 집중하게 해줬다."(선수 C)
"잘 될꺼라 수없이 말해주고 파이팅하라고 응원해준 가족, 감독님 이분들이 없었으면 좋은 성적을 못 냈을 거에요."(선수 D)
"시합 스케줄이 올림픽 기간의 거의 끝에 있어서 쇼핑센터에 가서 구경도 하고 아이스크림도 사먹고 평소처럼 행동했다. 스트레스 긴장을 조절할 수 있는 좋은 방법이었던 것 같다."(선수 E)
"평소와 다름 없는 생각을 하기 위해 노력했다. 사전에 많은 국제대회를 경험했기 때문에 그것과 크게 다르다고 생각하지 않았고 덕분에 크게 어색함을 느끼거나 위축되지 않고 경기를 할 수 있었다." (선수 G)
올림픽 출전선수들이 지각하는 올림픽 경기력 부정적 영향 요인
올림픽 경기력 부정적 영향 요인 귀납적 내용분석 결과
표 3.
올림픽 준비 및 시합기간 동안의 부정적 영향요인 2차 귀납적 내용분석 결과
올림픽 경기력 부정적 영향 요인의 심층면담 내용 분석 결과
"올림픽에서 메달을 딸 것이라고 기대하고, 이것 때문에 인터뷰 요청이 너무 많아서 훈련에 방해가 됬어요."(선수 C)
"미디어 인터뷰하면서 이번 올림픽에서 목표가 뭐냐고 물어보고 여기에 대답하면서 금메달을 따야한다는 부담감이 더욱 커졌어요."(선수 H)
"지도자와의 소통이 원활하지 못했어요. 지도자의 기술지도에 믿음을 가지지 못하고 지도자도 선수들이 잘 못했을 때 따끔한 질책과 충고없이 흐지부지한 모습을 보여서 답답했어요."(선수 D)
"지도자와의 분열과 선수들간의 분열이 있었어요. 올림픽은 운동선수들의 최고의 축제라고 하고, 축제는 즐기는 것이지만, 한국선수들에게는 와닿지 않는다. 나라를 위해 자기 종목을 위해 자신을 위해 시합에 임한다. 그래서 준비과정은 그 어느때 보다도 긴장감이 넘치고 예민해진다. 선수 한 명의 기록이 좋지 않아서 서로 믿지 못하고 분열이 일어났었다."(선수 H)
"선수 개인의 컨디션이 다른데 획일적인 훈련량, 그리고 특정선수 위주로 훈련량이 변하게 되어 훈련량이 작아진 적도 있었어요. 나는 더 훈련하고 싶었는데, 그러면 눈치보면서 또 못하게 되고..."(선수 D)
"너무 많은 전지훈련, 너무 많은 외부훈련으로 인해 내 자신이 스스로 준비할 시간이 부족하고 긴장의 연속이 이어졌다."(선수 H)
"첫날 연습을 할 때, 평소와 다른 분위기와 심리적 불안감에 훈련에 집중이 흐트러졌다."(선수 F)
"시합장에서 상위 랭크의 선수들을 보고 조금은 위축되는 부분이 있었다."(선수 I)
"경기 중에 지도자가 저를 믿지 못하고, 불안해하거나, 나도 많이 떨리는데 지도자가 나보다 더 긴장하는 모습을 보일 때 정말 힘들었다. 그리고 경기력이 좋은 특정 국가 선수를 의식하는 모습도 보였다."(선수 H)
"올림픽 선수촌에서 종목별로 시합 스케쥴이 다른데, 시합이 끝난 선수들은 게임하고 얘기하고 소란스러웠어요. 다음 날 시합이 있어서 다음 날에 일찍 일어나야하는데 잠을 설쳤어요."(선수 E)
올림픽 출전선수들이 지각하는 올림픽과 다른 국제경기의 차이점
올림픽 경기와 다른 국제경기와의 차이점 요인 귀납적 내용분석 결과
표 4.
올림픽경기와 국제경기와의 차이점 귀납적 내용분석 결과
올림픽과 다른 국제경기의 차이점 요인 심층면담 내용 분석 결과
올림픽 규모
"관중 임원 등 주위환경: 경기장 규격까지는 잘 모르겠지만 관중들의 수는 확연하게 많았고, 기자와 시합에 관여한 임원들의 수까지 규모가 다르다."(선수 D)
"본선에서 결승에 올라가기 위한 선수들의 분위기가 다른 대회와는 다르게 조금 더 악착같고 서로 의식을 더 많이 한다."(선수 F)
"주위환경이 아시안 게임이나 세계대회보다 집중 조명(국민의 관심과 언론의 관심을 받아서 심리적인 부담이 많이 생긴다."(선수 C)
"언론의 관심이 다른 국제경기에 비해 매우 치열하다"(선수 B)
"전 국민의 관심도가 일반국제대회와 달리 엄청나게 높다. 많은 사람들이 관심을 갖고 중계를 본다거나 응원을 한다."(지도자 P)
"전 국민이 지켜보잖아요. 여기서 잘해야 된다는 느낌이 부담도 많이 가고 국가를 대표한다는 느낌이 다른 대회보다 더 크다. 메스컴이 올림픽 몇 달 전부터 자주 와서 강박관념이 올 것 같았어요."(지도자 R)
"선수촌에 모두 들어가서 생활하여 호텔과 다른 분위기로 외부와 차단이 되고 통제된 분위기로 보안도 철저하고 낯설고 생소한 분위기이다."(선수 A)
"올림픽에서는 다른 경기보다 체크하고 제한하는 부분이 많아서 조심히 행동해야할 부분이 많았다. 그런 부분에서 내가 올림픽이라는 큰 대회에 참여하는 것이 실감이 났다. 그리고 올림픽이라는 큰 경기는 선수촌 내에 있을 때엔 다른 대회와 차이점이 느껴진다. 규모가 워낙 크고 선수촌 내에 올림픽을 알려주는 여러 현수막과 건물들이 올림픽이라는 꿈의 무대라는 것을 계속 말해주기 때문이다."(선수 F)
"선수들이 다들 진짜 견제 하는게 느껴지고, 전에 세계대회에서 말을 걸었던 선수들에게도 말을 걸기가 힘들정도로 분위기가 삭막했다."(선수 E)
"다른나라 선수들의 모습에서 진지함이 보였다."(선수 H)
"메달을 따야한다는 중압감과 너무 많은 기대치로 인해 부담스러웠다."(선수 A)
"좀 더 스스로가 많은 준비를 하려 노력하고 부담감이 많이 생긴다. 스스로가 큰 기회를 잡았다는 생각이 든다. 올림픽 메달의 의미가 크다고 느끼므로 실수 안하려고 해서 의기소침, 행동을 조심하게 된다."(선수 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