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강, 형철 (2006). 국제무역협상과 방송이 공적 가치: 한미 FTA 협상을 중심으로. 언론과학연구, 6(3), 5-36.
2. 김, 도연 (2013). 다문화사회에서 사회통합과 소통을 위한 스포츠교육의 역할과 과제.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20(4), 93-109.
3. 김, 범식, 이, 정우 (2009). 스포츠공적개발원조사업의 활성화를 통한 한국스포츠외교력 강화방안. 한국체육학회지, 48(3), 101-112.
4. 김, 승재, 홍, 석표 (2009). 공공체육단체의 윤리경영 모델 개발 및 촉진 방안. 한국체육학회지, 48(4), 241-256.
5. 김, 영갑 (2015). 한국스포츠문화의 지향점과 선진화 대안 찾기. 한국체육학회지, 54(1), 47-55.
6. 김, 영갑, 김, 기홍 (201). 한국스포츠문화의 현실과 과제:학교체육. 한국체육철학회지, 18(1), 241-252.
7. 김, 은혜, 권, 형일 (2015). 문화체육관광부의 스포츠공적개발원(ODA) 사업과 새천년개발목표와의 부합성. 한국체육학회지, 54(1), 327-334.
8. 김, 정효 (2011). 스포츠문화의 사회철학적 기초에 대한 고찰. 움직임의 철학: 한국체육철학회지, 19(1), 77-94.
9. 김, 재철 (2007). 공영방송의 공적 가치 인식과 수신료 부담의지의 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방송학보 21-2,
10. 김, 지하 2014; 고등교육기관의 기부금 실태 분석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서
11. 나, 병현 (2004). 공교육의 의미,
황 원철 외
공교육, 원미사. 7-28.
12. 대한체육회(2012). 학교체육진흥 5개년 계획 수립연구. 대한체육회보고서.대한체육회. 2012; 학교체육진흥 5개년 계획 수립연구. 대한체육회 보고서
13. . 박, 균섭 2007; 조선시대 교육의 공적 가치와 그 일탈. 한국교육사회학회·한국교육사학회 공동학술대회 자료집
14. 박, 명림 (2011). 지식의 인간성, 학문의 사회성, 교육의 공공성. 동방학지, 256: 39-79.
15. 박, 영옥 2008; 사회양극화와 스포츠. 한국스포츠사회학회 정기학술대회 자료집
16. 박, 연호 2007; 교육에서의 공적 가치와 사적 동기: 한국의 역사적 경험. 한국교육사회학회·한국교육사학회 공동학술대회 자료집
17. 박, 호성 (2002). 국제스포츠활동과 사회통합의 상관성, 가능성과 한계. 국제정치논총, 42(2), 93-110.
18. 방, 정배, 김, 재철 (2006). 디지털 시대 공영방속의 공적 가치와 역할에 관한 인식 연구: 전문가집단을 중심으로. 한국방송학보, 20-1,
19. 서, 희진 2010; 소외계층의 사회통합에 기여하는 스포츠의 역할. 한국스포츠과학통합자학술대회 발표자료집
20. 송, 형석, 박, 남환 (2004). 문화로서의 스포츠. 서울: 무지개출판사.
21. 송, 형석 (2011). 스포츠를 통한 사회통합, 그 가능성의 고찰. 한국체육학회지, 50(2), 31-44.
22. 송, 형석 (2014). 겔런의 문화개념으로 본 스포츠문화의 의미와 형성과정. 한국체육학회지, 53(3), 81-89.
23. 신, 희영 2008; 공적 가치 모델과 민주적 거버넌스: 공공행정 정당성 위기의 극복 가능성. 한국행정학회 정기하계학술대회
24. 신, 희영 2007; 공적가치의 창출과 공직가치. 한국지방행정학회·서울행정학회 공동학술대회 자료집
25. 오, 광진 2008; 장애인의 체육활동을 통한 완전사회통합의 구현. 한국스포츠사회학회 정기 학술대회 자료집
26. 오, 욱환 2007; 교육사회학적 관점에서 본 교육의 공적 가치와 사적 자유: 개인과 국가의 선택에 대한 논의. 한국교육사학회 학술대회자료집
27. 오, 현택, 이, 정연, & 김, 방출 (2007). 스포츠의 공공성과 공동체주의. 한국체육학회지, 46(2), 57-65.
28. 유, 정애, 김, 선희 (2007). 왜 스포츠문화교육인가. 한국체육학회지, 46(4), 169-181.
29. 유, 정애 (2010). 학문으로서의 체육, 교과로서의 체육. 한국체육학회지, 45(4), 311-322.
30. 유, 정애 (2012). 학생선수의 학습역량 계발을 위한 교육방향과 과제. 한국체육학회지, 51(3), 157-169.
31. 유, 정애, 권, 민정 (2015). 학교체육에서의 통합체육교육의 재개념화.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5(3), 491-514.
32. 이, 병량 2011; 문화정책과 공공성. 한국행정학회 추계학술대회발표자료집 1-15.
33. 이, 윤미 (2008). 현대교육에서의 공적 가치와 사적 자유. 열린교육연구, 16(3), 37-53.
34. 이, 정학, 김, 종훈, & 김, 욱기 (2009). 공공체육시설의 경영 효율화 방안. 한국체육학회지, 48(4), 301-310.
35. 이, 창섭 2008; 한국사회의 균열구조와 사회통합: 스포츠의 역할 탐색과 그 방향에 대한 소론. 한국스포츠사회학회 정기학술대회자료집
36. 정, 현우 2014a; 영국 학교체육 영역의 확장과 재개념화: 정책, 정치, 체육교육. 한국스포츠교육학회 추계학술대회 자료집
37. 정, 현우 (2014b). 담론분석을 통한 체육정책 이해: 학교체육진흥법에 담긴 신체문화담론의 의미.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21(1), 1-19.
38. 조, 욱상 2014; 스포츠교육학의 학문적 영역 확장: 전문체육. 한국스포츠교육학회 추계학술대회 자료집
39. 조, 욱상 (2015). 전문체육의 교육적 의미에 대한 소고: 스포츠티칭과 스포츠코칭의 개념을 중심으로.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22(1), 151-171.
40. 최, 미세 (2013). 문화예술의 공적 가치와 문화민주주의. 독일어문학, 64: 395-415.
41. 최, 의창 2014; 스포츠티칭교육학에서 스포츠코칭교육학으로:한국스포츠교육학연구의 재개념화와 그 시사점. 한국스포츠교육학회 추계학술대회 자료집
42. 한국교육개발원(2014). 단위학교 교육서비스의 범위확대에 따른 재정투자 변화 양상. 한국교육개발원이슈페이퍼 2014-12.한국교육개발원. 2014; 단위학교 교육서비스의 범위확대에 따른 재정투자 변화 양상. 한국교육개발원 이슈페이퍼 2014-12
43. 한국체육과학연구원(2009). 유아체육 활성화를 위한 정책 방안. 한국체육과학연구원연구보고서.한국체육과학연구원. 2009; 유아체육 활성화를 위한 정책 방안. 한국체육과학연구원 연구보고서
44. 한국체육과학연구원(2013). 생활체육진흥 중·장기정책 계획수립. 한국체육과학연구원 연구보고서.한국체육과학연구원. 2013; 장기정책 계획수립. 한국체육과학연구원 연구보고서
45. 함, 정혜, 김, 영선 (2004). 현대 운동문화의 가치 비판. 한국체육학회지, 43(1), 89-98.
46. 황, 옥철 (1999). 스포츠문화에 있어서의 페어플레이정신. 움직임의 철학: 한국스포츠무용철학회지, 7(1), 37-62.
47. Benington, J., et al, & Moore, M. (2007).
From private choice to public value?
. Institute of Governance & Public Management, Warwick Business School.
48. Brooks, S., et al, & Wiggan, J. (2009). Reflecting the public value of sport.
Public Management Review
, 11(4), 401-420.
49. Ennis, C. (2010). New directions in undergraduate and graduate education in Kinesiology and physical education.
Quest
, 62: 76-91. DOI:
10.1080/00336297.2010.10483633.
50. Moore, M., et al, & Khagram, S. 2004;
On creating public value: what business might learn from government about strategic management
A Working Paper of the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Initiative.
51. Sam, M. (2011). Building legitimacy at sport canada: pitfalls of public value creation?
International Review of Administrative Sciences
, 77(4), 757-778. DOI:
10.1177/0020852311419389.
52. Sport, Canada (2004).
Strategic Plan, 2004-2008
. Hull, Quebec: Canadian Herit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