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권체조 참여자의 조직동일시, 플로우경험, 참여지속의도 및 추천의도 간의 관계
Choi, You-Lee1; Kim, Il-Gwang2; Park, Jongchul3*
Korean Journal of Sport Science, Vol.33, No.3, pp.464-478, 30 September 2022
https://doi.org/10.24985/kjss.2022.33.3.464
Abstract
PURPOSE
Taekwon gymnastics is expected to be a program that can overcome the management difficulties currently faced by Taekwondo gyms and contribute to the expansion of Taekwondo base.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flow experience, intention to continue participation,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of Taekwon gymnastics participants.
METHODS
In this study, data was collected from 313 teenagers participating in Taekwon gymnastics at Taekwondo gyms in the metropolitan area from September 10 to 24, 2021. A total of 267 questionnaires were selected as the final sample, and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 23.0 and AMOS 23.0.
RESULTS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flow experience, challenge only had a positive effect on intention to continue participation, flow experience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recommendation intention, and intention to continue participa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recommendation intention.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ed that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can contribute to improving inner pleasure and self-esteem, and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role of factors that can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flow experience and behavioral intention in the future. Furthermore, managers of Taekwondo gyms should hold various events that can inspire teenagers’ sense of challenge to encourage intention to continue participation.
초록
[목적]
태권체조는 현재 태권도장이 처한 경영의 어려움을 극복하고 태권도 저변 확대에 기여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기대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태권체조 수련생의 조직동일시, 플로우 경험, 참여지속의도 및 추천의도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방법]
본 연구는 2021년 9월 10~24일에 수도권 지역의 태권도장에서 태권체조를 수련 중인 청소년 313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총 267부의 설문지를 최종 유효표본으로 선정하였으며, SPSS 23.0과 AMOS 23.0을 활용하여 자료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조직동일시는 플로우 경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플로우경험 중 도전의식만 참여지속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플로우 경험은 추천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넷째, 참여지속의도는 추천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론
연구의 필요성
최근 정부는 2022년까지 태권도의 10대 문화콘텐츠를 발굴하여 태권도 재도약과 지속 성장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Han, 2018). 아울러, 태권도는 태권도장업, 용품업 및 교육서비스업 등의 성장을 토대로 하나의 산업군으로 인정받고 있다(Lee & Kim, 2019). 하지만, 태권도 산업은 아동층 위주의 편중된 시장 환경과 생활 스포츠로의 저변 확대 미흡으로 인해 그 성장의 한계에 직면해 있는 것도 사실이다(MCST, 2018). 가령, 태권도장 시장은 이미 포화 상태이며, 이로 인해 관련 일자리는 정체되고 많은 태권도장은 경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World Taekwondo Headquarters, 2007). 실제, 국내 생활체육 동호인과 학교스포츠클럽 회원 중 태권도를 즐기는 비율은 각각 3%와 0.21%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MCST, 2018). 더 나아가, 최근 2년간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하여 태권도장 수련생의 지속적인 감소 현상은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Seo, 2021).
따라서 현재 직면한 태권도장의 어려움을 타개하기 위해 기존 수련 중심에서 벗어나 누구나 이용 가능한 태권도 프로그램을 개발·운영하는 것이 필요해 보인다. 그동안 태권도 지도자들은 태권도가 지닌 가치를 지향하면서도 남녀노소 즐겁게 수련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태권도장 경영에 활로를 모색하고자 다양한 시도를 하였다(Song et al., 2020). 정부 차원에서도 기관주도형 태권도 문화에서 탈피하여 수요자 맞춤형 태권도 프로그램 보급을 위한 노력을 진행 중이다(MCST, 2018).
태권체조는 태권도의 대중화를 위해 개발된 프로그램이다(Nam & Choo, 2018). 태권도 고유의 동작에 음악을 접목한 체조 형 동작으로 남녀노소 누구나 손쉽고 즐겁게 태권도를 수련할 수 있도록 창안된 태권도의 새로운 기술체계이다. 현재 일선 도장에서 태권체조 수업은 타 프로그램과 유사하게 보통 20-30명의 수련생이 주 1-2회, 약 1시간 정도로 진행된다. 특히, K-POP에 맞춰 태권도 동작과 안무를 즐기는 태권체조는 최근 10대와 20대 초반의 젊은 세대에게 높은 관심을 끌고 있다. 음악을 활용하여 수련의 친밀성을 높이고 흥미를 유발하는 태권체조의 특성은 청소년들이 태권도에 대해 호의적인 태도로 꾸준히 즐길 수 있도록 도와준다(Oh & Kim, 2008). 따라서, 태권도장의 경영 주체는 기존의 아동 중심 운영에서 벗어나 더 많은 청소년이 유입될 수 있도록 태권체조를 주요 교육콘텐츠로 도입하고 그들이 지속 참여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해 줄 필요성이 있다.
이를 위해 청소년들은 자신이 소속되어 있는 집단 또는 조직에 대한 애착과 소속감 형성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조직 동일시는 자신을 조직의 관점에서 규명하여 조직의 장점과 단점 및 성공과 실패 등을 자신의 것으로 지각하는 심리적인 상태를 의미한다(Mael & Ashforth, 1995). 이러한 조직 동일시는 여가활동 영역에서 몰입을 강화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Lee & Jeon, 2012). 마찬가지로 태권도장에 대해 높은 동일시를 보이는 수련생들은 도장에 대한 강한 소속감을 가지게 되어, 장기적으로는 태권체조에 대한 높은 만족감과 몰입을 동반할 가능성이 높다.
플로우(Flow)는 개인이 전반적인 관여도를 가지고 행동했을 때 완전히 몰입하여 느끼는 최적의 정서적·심리적인 경험 상태를 의미한다(Csikszentmihalyi, 1977). Ghani et al.(1991)은 플로우를 어떤 활동에 대한 집중을 통해 얻게 되는 즐거움이라고 하였다. 다시 말해, 플로우는 자신에 대한 생각까지도 잊게 해버릴 정도의 완벽한 심리적 상태를 의미한다. 한편, 몰입은 어떤 일에 순간적으로 집중하거나 몰두하는 현상을 의미하며(Kwon, 2011), 개인 또는 조직 내에서 지속적인 행동을 설명하는데 유용하다(Becker, 1960; Kelley, 1983). 즉, 몰입은 상대방 또는 조직에 대한 전념, 의지, 노력 또는 헌신 정도에 따른 관계의 지속성과 안정성을 살펴보기 위한 개념에 가깝다면(Kelley, 1983), 플로우는 내적 즐거움, 최상 수행 및 자아실현 등 개인의 이상적인 경험을 설명하기 위해 다양한 요인을 수반한다는 차이점이 있다.
이에 플로우는 단일차원의 개념으로 설명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으며, 대표적인 구성요소로는 목표의 명확성, 피드백, 도전과 기술의 균형, 주의집중, 통제, 자의식 상실, 시간 왜곡 및 자기 목적화 등이 있다(Csikszentmihalyi, 1977). 플로우는 특정 활동, 사건 또는 사물에 대해 관여하고 몰입하는 정도에 따라 그 결과가 상이하게 나타날 수 있다(Heo & Cheon, 2007). 또한, 구성원의 다양한 정서적‧심리적 요인은 그들의 향후 태도, 행동 및 성과 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Brief & Weiss, 2002).
이와 관련하여, Choi et al.(2018)은 뉴실버세대의 플로우 경험이 지속적 참여 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언급하였으며, Shon(2019)는 뉴스포츠를 경험한 중학생의 플로우 경험 중 주의집중과 즐거움이 참여지속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외에도 다양한 선행연구에서 플로우 경험 또는 몰입이 지속 참여 행동에 직접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제안하였다(Baek & Shim, 2011; Choi et al., 2018; Kwon et al., 2017; Lee, 2017; Park, 2014; Park, 2017). 이를 종합해보면, 태권체조의 도전 과제 수준과 자신의 능력이 균형있게 높은 수준을 유지하여 수련생이 플로우를 경험한다면, 그들의 지속적인 태권체조 참여를 이끌고 주변에 호의적인 메시지를 자발적으로 전파하는 구전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참여지속의도란 스포츠 활동 시 그것을 규칙적으로 지속 수행하는 의도를 의미한다(Welk et al., 2003). 지속의도는 서비스 공급자와 소비자 간 관계를 측정할 시 재구매, 재등록 또는 충성도 등의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Jeon, 2013). 따라서, 참여자의 현재 운동 수행이 향후에도 꾸준히 유지될 수 있을지를 미리 파악하는 것은 마케팅적 관점에서 매우 중요한 과제일 것이다. 특히, 수련생의 지속적 감소 현상을 겪고 있는 태권도장의 입장에서는 기존의 수련생의 요구와 욕구를 수렴하여 충성도 높은 고객으로 전환시키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한편, 추천의도는 개인의 구체적인 경험에 대한 긍정적 내용을 비공식적으로 타인에게 추천하는 과정을 의미한다(Yeo, 2004). 추천의도는 기존의 고객뿐만 아니라 그 주변의 잠재고객을 확보할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개념으로 평가받고 있다(Ko & Lee, 2012). 이러한 각 개념 간 인과관계를 고려해볼 때, 태권체조를 활용하여 태권도장의 지속 가능한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차원에서 조직 동일시, 플로우 경험, 참여지속의도 및 추천의도 간의 관계를 종합적으로 파악해 보는 것은 의미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현재까지 태권체조와 관련하여 대회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Song, 2020), 태권체조의 발전을 위한 지도자 및 수업의 역할과 관련된 스포츠 교육에 관한 연구(Lee, 2018; Lee & Jeon, 2014), 태권체조 프로그램에 참가한 노인의 신체적·심리적 변화를 다룬 연구(Hwang & Min, 2011) 및 태권체조의 신체적 효과성을 파악하기 위한 실험 연구(Choi & Kim, 2020; Oh & Yoon, 2018) 등이 수행되었다. 다시 말해, 대부분은 태권체조 프로그램의 역할 정립 및 참여자들의 신체적 변화를 파악하기 위한 연구가 주를 이루었다. 반면, 수련생 감소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태권도장의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태권체조 참여자의 심리적 욕구를 파악하여 지속적인 참여와 긍정적 구전을 이끌어내기 위한 선행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태권체조의 주 참여자인 청소년 수련생을 대상으로 태권도장에 대한 조직동일시, 플로우 경험, 참여지속의도 및 추천의도 간의 관계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통해 수련생의 심리적 욕구를 파악하여 태권체조 프로그램이 이상적인 분위기 속에서 수행될 수 있도록 기여하고자 한다. 또한, 본 연구는 수련생의 지속적 참여와 긍정적 추천 행동을 위해 선행되어야 할 심리상태를 규명하여 의미있는 이론적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대내외적으로 어려움에 처해있는 태권도장의 경영환경 개선을 위한 효과적인 실무적 시사점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론적 배경 및 연구가설
조직동일시와 플로우 경험
조직동일시는 조직과 구성원 자신이 일치된다고 인식하는 정도 또는 조직에 대한 소속감 정도를 나타낸다(Ashforth & Mael, 1989). 더 나아가 조직의 운명을 자신의 운명으로 여기거나 조직의 성공 또는 실패를 자신의 것으로 느끼는 것을 의미한다(Shin, 2017). 개인은 특정 집단의 실질적 또는 상징적 구성원으로서 집단과의 운명을 함께 한다고 인식한다(Ashforth & Mael, 1989). 이때, 조직동일시 수준이 높은 구성원은 그 소속 집단에 대해 지지하는 행동을 하게 된다(Fisher & Wakefield, 1998).
조직동일시는 구성원 개개인의 안정성과 소속감을 높여줄 수 있다(Wan-Huggins et al., 1998). 조직동일시는 개인이 조직에 대한 심리적 애착을 갖게 하는 중요한 요인이다(O’Reilly & Chatman, 1986). 이는 자신의 조직 내 직무와 역할에 대해 의무감을 높일 수 있으며 결국 개인의 직무만족으로 이어질 수 있다(Dunham et al., 1994; Ji & Ha, 2015). 특히, 이러한 직무만족은 개인의 직무몰입에도 상당한 영향을 끼치게 된다(Seo & Kim, 2003). 직무몰입이 높은 경우, 현재 진행 중인 활동에 대해 중요성을 지각하여 주의집중을 높이고 즐겁게 일할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높아지게 될 것이다. 실제, Willkins et al.(2015)는 대학원생들의 조직동일시는 학습 몰입, 성취감 및 만족감을 높이는데 효과가 있다고 언급하였다. 게다가 Ashforth & Mael(1989)는 조직동일시와 개인의 만족감 간의 깊은 상관관계가 있다고 보고하였다. 다시 말해, 조직동일시는 조직 구성원의 태도와 행동을 이해하고 결정하는데 중요한 요인으로 인식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Yoo(2010)는 아이스하키 동호회 구성원들 대상으로 실시한 연구에서 조직 동일시는 아이스하키에 대한 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Kim et al.(2021)은 스포츠 콘솔 게임 이용자의 팀동일시는 게임몰입에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으며, Kim & Lee(2019)은 농구, 야구 및 축구와 같은 스포츠 동아리 참여자의 조직 동일시가 스포츠 몰입의 인지몰입과 행위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끼친다고 언급하였다. 또한, Kim et al.(2007)은 온라인 게임 커뮤니티 동일시는 플로우 경험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친다고 하였다. 이처럼, 스포츠 내에서도 조직 동일시는 개인의 플로우 경험에 유의한 영향을 끼칠 수 있음을 선행연구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태권체조 수련생과 태권도장에 적용해보면, 태권도장에 대한 수련생의 동일시가 높을수록 태권체조를 참여하는 과정에서 느끼는 긍정적인 감정, 주의집중 및 몰입의 정도는 커지게 될 것이다. 이러한 선행연구 결과와 조직동일시와 플로우 경험 또는 몰입 간의 개념적 관계에 근거하여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하였다.
H 1. 조직동일시는 플로우 경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H 1-1. 조직동일시는 주의집중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H 1-2. 조직동일시는 재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H 1-3. 조직동일시는 도전의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H 1-4. 조직동일시는 시간왜곡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플로우 경험과 참여지속의도
플로우(Flow)는 개인이 어떤 활동에 완전히 몰입하였을 때 일반적으로 느끼는 감정과 기분을 의미한다(Csikszentmihalyi, 1977). Csikszentmihalyi(1977)에 의해 처음 제시된 플로우 개념은 행복에 관한 긍정심리이론으로서, 개인의 내적 동기로 인해 특정 대상 또는 활동에 깊게 관여되어 물 흐르듯 어떠한 행동에 자연스럽게 몰두하는 느낌을 플로우 경험(Flow experience)이라고 제시하였다(Jeong, 2021).
기존 대부분의 선행연구에서 플로우는 복잡한 다차원적 구성개념으로 설명된다. 가령, Hoffman & Novak(1996)은 숙련도, 도전감, 주의집중, 상호작용, 자극수준, 원격통신 및 시간왜곡 등으로 플로우를 설명하였다. Lee & Kwon(2005)은 숙련도, 도전감, 고양된 즐거움, 호기심, 시간왜곡으로 플로우 경험을 구성하였다. Yoo et al.(2006)는 숙련도와 도전감으로 플로우 경험을 설명하였으며, Hausman & Siekpe(2009)는 주의집중, 즐거움, 통제감, 도전감의 개념으로 플로우를 개념화하였다. 이처럼 플로우는 개념적 정의가 정확하게 조작화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재미, 즐거움, 기쁨, 최적 경험, 몰입, 주의집중, 기술과 도전의 균형, 호기심 및 시간왜곡 등이 플로우 경험을 설명하기 위해 주로 활용되고 있다(Heo & Cheon, 2007).
그중에서 재미 또는 즐거움은 이전에 본인이 기대했던 바를 성취하거나 특정 욕구를 충족했을 때 생겨나며, 본인의 행동에 대한 통제감을 느끼도록 해준다(Csikszentmihalyi, 2004). 주의집중은 어떤 상황이나 활동에 집중하여 선택적 정보만을 인식하는 상태로 일상생활의 관심사나 스트레스를 잊는 상태를 의미하며, 시간왜곡은 시간이 너무 빠르게 지나가거나 느리게 지나가는 것처럼 시간에 대하여 망각하는 것을 의미한다(Csikszentmihalyi, 2004). 또한, 기술과 도전의 조화는 지나친 긴장감이나 지루함을 느끼지 않고, 플로우를 경험할 수 있는 인지된 도전감을 의미한다(Csikszentmihalyi, 2004). 특히, 도전 의식과 주의집중에 대한 개념은 Hoffman & Novak(1996), Novak et al.(2000) 등 다수의 연구에서 플로우 구성요소로 활용되었다. 이를 종합해보면, 도전 의식, 재미, 주의집중, 시간왜곡 등의 구성 요소들이 플로우 상황을 설명할 수 있는 핵심적인 하위 변수로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플로우 경험은 스포츠 활동을 지속적으로 참여하기 위한 중요한 동기로 작용한다(Song et al., 2013). 이러한 경험의 정도가 강화되면 자아실현으로 이어지게 되며, 결과적으로 운동 참여 지속 가능성은 높아질 수 있다(Moon et al., 2011). 특히, 여가활동 내에서 플로우 경험은 활동의 다양성이나 활동 강도와 같은 양적인 측면보다는 활동 과정에서 변화할 수 있는 실력과 과제의 난이도 등의 질적인 부분에 의해 좌우되는 경향이 있으며, 이는 지속적인 참여 행동에도 상당한 영향을 끼치게 된다(Omodei & Wearing, 1990). 실제 주의 집중, 재미, 도전 의식 및 시간 왜곡 등과 같이 플로우를 구성하는 요소들은 주어진 과업에 집중을 하거나 흥미를 느낄 때 지각되는 심리적 상태이며, 이것이 최상의 경험으로 도달했을 시 주어진 활동에 긍정적인 태도를 형성하게 된다.
스포츠 지속 참여와 헌신의 정도는 개인이 스포츠를 즐기면서 느끼는 즐거움과 몰입 경험에 의해 달라질 수 있다(Jung, 1997). 관련 선행 연구에서도 Heo(2013)는 플로우가 온라인커뮤니티를 지속적으로 이용하는데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하였으며, Choi & Lee(2014)은 플로우 경험이 모험 지향적인 레크리에이션을 지속적으로 참여하는 데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고 언급하였다. 또한, 스쿠버다이빙 관광객의 플로우 경험은 지속 의도에 정적인 영향을 끼쳤다(Oh, 2015). 이는 개인의 플로우 경험이 향후 지속적인 스포츠 활동 참여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에 태권체조 수련생의 플로우 경험과 참여지속의도 간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하였다.
H 2. 플로우 경험은 참여지속의도에 유의한 영향을미칠 것이다.
H 2-1. 주의집중은 참여지속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H 2-2. 재미는 참여지속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것이다.
H 2-3. 도전의식은 참여지속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H 2-4. 시간왜곡은 참여지속의도에 유의한 영향을미칠 것이다.
플로우 경험과 추천의도
플로우 경험은 높은 학습 수준과 자기효능감을 느끼게 하여 지각된 행동적 통제를 강화하며, 궁극적으로 긍정적이고 주관적인 체험을 하도록 이끌어준다(Hoffman & Novak, 1996). 추천의도는 개인이 경험을 통해 느낀 감정을 가족 또는 친지에게 긍정적·부정적 정보를 전하고자 하는 생각을 의미한다(Lee et al., 2015). 아울러, 스포츠 활동 참여자들도 활동에 더 깊이 몰입해 갈수록 타인에게 자신의 경험을 제공하고자 하는 의도가 증가할 수 있다(Son & Hong, 2008). 다시 말해, 개인이 플로우를 통해 완전한 몰입과 함께 정신적·신체적 흥분을 경험한다면 자발적인 구전 활동 수행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전 선행연구는 몰입 또는 플로우 경험과 추천의도 간의 유의한 관계성을 보여준다. Crosby & Step hens(1987)은 고객에게 영향력을 미칠 때 가장 중요한 요소로 몰입을 꼽았으며, 이후 몰입은 고객 충성도를 높이고 추천의도를 강화한다고 보고하였다. 마찬가지로 Kotler et al.(1997)은 개인이 몰입을 통해 즐거움과 만족감을 경험하였을 때 긍정적인 구전 활동으로 타인의 의사결정에 강한 영향을 끼칠 수 있다고 언급하였다. 또한, Kim & Jun(2022)은 뮤지컬 관람객의 플로우 경험이 구전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친다고 보고하였으며, Choi et al.(2018)은 뉴실버 세대의 플로우 경험이 참여지속의도와 추천의도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고 제시하였다. 이러한 개념 간 관계와 선행연구의 결과에 기반하여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하였다.
H 3. 플로우 경험은 추천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H 3-1. 주의집중은 추천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것이다.
H 3-2. 재미는 추천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H 3-3. 도전의식은 추천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것이다.
H 3-4. 시간왜곡은 추천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참여지속의도와 추천의도
참여지속은 하나의 활동에 꾸준히 참여하는 것으로 개인이 스포츠에 참여한 이후 지속적으로 수행하는 것을 의미한다(Kang, 2020). 소비자는 현재 거래하고 있는 기업과 계속 관계를 유지하기로 하였다면, 친구 또는 동료에게 해당 기업에 대한 호의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경향이 있다(Assael, 1984). 실제, 지속의도는 타인추천의도에 중요한 선행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Park & Lee, 2014).
이와 관련하여 다양한 선행연구는 지속의도와 추천의도 간의 관계를 조명하고 있다(Bigne et al., 2001; Lee, 2006). 프로스포츠 내에서 재관람의도가 구전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다수의 연구 결과가 보고되었다(Chin, 2006; Kim, 2012; Park, 2005; Shin et al., 2009). 또한, 스쿠버다이빙, 골프, 트라이애슬론, 태권도 등 스포츠 참가자의 참여지속의도는 추천의도에 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Choi, 2008; Choi & Kim, 2022; Jeon et al., 2014; Lee & Choo, 2012). 이러한 결과는 스포츠 참여자가 만족감을 충분히 경험하여 향후에도 계속 참여할 의향이 있다면, 해당 스포츠를 주변의 잠재적 참여자에게 적극적으로 권유하거나 추천하게 될 개연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태권체조 수련생의 참여지속의도와 추천의도 간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하였다.
H 4. 태권체조 참여자의 참여지속의도는 추천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연구 모형
본 연구는 태권도장에서 태권체조에 참여하는 청소년 수련생을 대상으로 조직동일시, 플로우 경험, 참여지속의도 및 추천의도 간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한다. 각 요인 간 개념적 틀과 선행 연구결과에 기반한 가설을 바탕으로 <Figure 1>과 같은 연구 모형을 설정하였다.
연구방법
연구대상
본 연구는 2021년 9월 10~24일에 수도권 지역의 태권도장에서 태권 체조를 수련 중인 9세 이상 24세 이하(청소년기본법 제 3조 근거) 청소년 313명을 대상으로 편의표본 추출법을 적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에서 태권체조 수련생은 기본동작, 품새, 겨루기, 태권 체조 등 태권도장이 제공하는 주요 프로그램 중 태권체조 수업에 주로 참여하는 자를 의미한다. 자료수집 전 연구대상자의 권리 보호를 위해 K 대학교 생명윤리심의위원회(Institutional Review Board; IRB)의 연구 계획을 승인받았다(20210916-133).
본 연구자는 사전에 태권도장 관장의 동의를 구한 후 도장을 직접 방문하여 자기평가기입법을 통해 응답을 받고 설문지를 회수하였다. 자료수집 과정에서 연구자는 본 연구의 목적을 충분히 설명하여 서면 동의를 얻은 후 설문지를 작성하도록 하였다. 특히, 아동을 대상으로는 학부모의 연구 참여 동의서를 제출한 경우에 한하여 설문을 진행하였다.
연구 참여에 동의한 대상자들로부터 회수한 설문지 총 313부 중 불성실하게 응답했다고 판단되는 46부를 제외한 267부의 설문지를 최종 유효표본으로 선정하였다. 조사 대상자들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은 <Table 1>과 같다.
조사도구
본 연구의 조사도구는 설문지를 이용하였으며, 설문문항은 개념적 틀과 선행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연구 목적에 맞게 수정 및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배경변인인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성별, 연령, 수련기간, 주당 수련빈도, 수련동기, 수련목적, 품·단 자격 등 7개의 선다형 문항을 구성하였다. 연구목적에 따른 가설 검증을 위해, 조직동일시 6문항, 플로우 경험 15문항, 참여지속의도 4문항, 추천의도 4문항 등 총 36문항을 활용하였다.
먼저, 조직동일시 척도는 Mael & Ashforth(1992)의 연구에서 사용된 것을 본 연구의 맥락에 맞게 수정·번역하여 사용하였다. 플로우 경험 척도는 Novak et al.(2000)의 연구에서 사용된 주의집중, 상호작용, 관여, 재미, 긍정적 감정, 숙련도, 도전의식, 원격통신, 각성 및 시간왜곡 중 본 연구배경에 적용 가능한 주의집중, 재미, 도전의식, 시간왜곡에 대한 내용을 수정·번역하여 사용하였다. 참여지속의도 문항은 Jeon(2006)과 Kim(2012)이 사용한 척도를 본 연구의 맥락에 맞게 수정·번역하여 활용하였다. 추천의도 척도는 Zeithaml et al.(1996)의 연구에서 사용한 척도를 본 연구의 맥락에 맞게 수정·번역하여 사용하였다.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제외한 설문지의 응답 방법은 리커트 5점 척도(5 Likert Scale)을 활용하여 “전혀 그렇지 않다” 1점, “그렇지 않다” 2점, “보통이다” 3점, “그렇다” 4점 및 “매우 그렇다” 5점으로 구분하였다.
자료처리방법
본 연구는 총 267부의 설문지를 최종 유효 표본으로 선정하였으며, SPSS 26.0과 AMOS 23.0을 이용하여 자료 분석을 실시하였다. 첫째, 연구대상자에 대한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둘째, 측정모형에 대한 확인적 요인분석(confirmatory factor analysis) 및 문항 간 내적 일관성(internal consistency) 확보를 위해 Cronbach‘s α 계수 산출을 통한 신뢰도 분석(reliability analysis)을 수행하였다. 셋째, 판별타당도 검증을 위해 상관관계 분석(correlat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요인 간 가설 검증을 위해 구조방정식모형(structural equation model) 분석을 수행하였다.
조사도구의 타당도 및 신뢰도 검증
본 설문지는 스포츠경영학 전공 교수 1인을 포함한 3인의 전문가 회의를 통해 내용타당도를 확보하였다. 또한, 집중타당도(convergent validity)와 판별타당도(discriminant validity)를 파악하기 위하여 다변량 정규성을 가정하는 최대우도법(maximum likelihood)을 이용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x2=653.776(df =329, p <.001)은 적합도 기준에 만족하지 못하였으나, TLI=.900, CFI=.913, RMSEA=.061은 Bagozzi & Dholakia(2002)이 제시한 적정 기준(TLI, CFI: .9 이상, RMSEA는 .08 이하)에 부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후 집중 타당도 검증을 위해 표준적재치, 개념신뢰도(construct reliability: CR) 및 평균분산추출(average variance extracted: AVE) 값을 산출하였다.
그 결과 조직동일시 3문항과 플로우 경험 2문항은 Woo(2012)이 제시한 표준적재치 .5 이상을 충족하지 못하여 제외하고 총 31문항이 본 연구에서 활용되었다. 한편, 평균분산추출 값은 도전의식 요인에서 .496으로 .5 이상 기준에 미치지 못했지만, Fornell & Larcker(1981)는 평균분산추출 값이 .5 이하여도 개념신뢰도 값이 .6 이상일 경우 수용 가능하다고 제시하였기에 전반적으로 집중타당도를 만족시키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마지막으로 측정도구의 내적일관성을 확보하기 위해 Cronbach’s α계수를 이용하여 신뢰도 분석을 진행하였으며, 분석 결과 모두 .6 이상으로 나타나 각 요인들의 신뢰도에 문제가 없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이상의 구체적인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는 <Table 2>와 같다.
연구결과
상관관계 분석
본 연구는 요인 간 판별타당도를 확인하기 위해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Fornell & Lacker(1981)는 변수 간 평균분산추출 값이 상관계수의 제곱 값보다 반드시 커야 판별타당성이 있다고 주장하였다. <Table 3>에 따르면 모든 요인들의 평균분산추출 값이 상관계수의 제곱 값보다 크게 나타났으므로 본 연구에서 사용한 척도들은 판별타당성을 갖는다고 볼 수 있다.
연구모형의 적합도 평가
본 연구는 태권체조 참여자의 조직동일시, 플로우 경험, 참여지속의도 및 추천의도 간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구조모형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Table 4>와 같이, x2=421.955(df=230, p<.001), TLI=.928, CFI=.940, RMSEA=.056으로 본 연구 모형의 적합성을 확인하였다.
가설 검증
연구 모형에서 설정한 인과관계를 검증하기 위해 구조방정식모형을 분석한 결과는 <Table 5>와 같다.
가설 1-1의 조직동일시와 플로우 경험 중 주의집중 간의 관계에 대한 실증적 분석결과, 경로계수는 .655(t=6.355, p<.001)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 가설 1-1은 채택되었다.
가설 1-2의 조직동일시와 플로우 경험 중 재미 간의 관계에 대한 실증적 분석결과, 경로계수는 .615(t= 5.648, p<.001)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 가설 1-2는 채택되었다.
가설 1-3의 조직동일시와 플로우 경험 중 도전의식 간의 관계에 대한 실증적 분석결과, 경로계수는 .606(t=4.975, p<.001)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 가설 1-3은 채택되었다.
가설 1-4의 조직동일시와 플로우 경험 중 시간왜곡 간의 관계에 대한 실증적 분석결과, 경로계수는 .515(t=5.136, p<.001)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 가설 1-4는 채택되었다.
가설 2-1의 플로우 경험 중 주의집중과 참여지속의도 간의 관계에 대한 실증적 분석결과, 경로계수는 .021(t=.211, p=.833)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가설 2-1은 기각되었다.
가설 2-2의 플로우 경험 중 재미와 참여지속의도 간의 관계에 대한 실증적 분석결과, 경로계수는 -.046(t=-.264, p=.792)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가설 2-2는 기각되었다.
가설 2-3의 플로우 경험 중 도전의식과 참여지속의도 간의 관계에 대한 실증적 분석결과, 경로계수는 .784(t=3.723, p<.001)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 가설 2-3은 채택되었다.
가설 2-4의 플로우 경험 중 시간왜곡과 참여지속의도 간의 관계에 대한 실증적 분석결과, 경로계수는 -.001(t=-.006, p=.996)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가설 2-4는 기각되었다.
가설 3-1의 플로우 경험 중 주의집중과 추천의도 간의 관계에 대한 실증적 분석결과, 경로계수는 .101(t=-.1.139, p=.255)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가설 3-1은 기각되었다.
가설 3-2의 플로우 경험 중 재미와 추천의도 간의 관계에 대한 실증적 분석결과, 경로계수는 .168(t=1.0 88, p=.276)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가설 3-2는 기각되었다.
가설 3-3의 플로우 경험 중 도전의식과 추천의도 간의 관계에 대한 실증적 분석결과, 경로계수는 .283(t=1.404, p=.160)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가설 3-3은 기각되었다.
가설 3-4의 플로우 경험 중 시간왜곡과 추천의도 간의 관계에 대한 실증적 분석결과, 경로계수는 .043(t=.369, p=.712)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가설 3-4는 기각되었다.
가설 4의 참여지속의도와 추천의도 간의 관계에 대한 실증적 분석결과, 경로계수는 .36(t=3.964, p<.001)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 가설 4는 채택되었다.
논의
본 연구는 태권도장에서 태권체조를 수련하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조직 동일시와 플로우 경험, 참여지속의도, 추천의도 간의 관계를 규명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가설 검증을 통해 도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구체적으로 논의하고자 한다.
조직동일시와 플로우 경험 간의 관계
본 연구 결과, 태권도장 수련생의 조직동일시가 플로우 경험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 1은 모두 채택되었다. 이는 일반 경영학 선행연구에서 동일시가 몰입에 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와 유사하게 나타났다(Ahn et al., 2009; Hwang, 2014; Park, 2009; Yoon et al., 2013; Yoon et al., 2015). 또한, 본 연구는 프로구단, 스포츠 동아리 또는 온라임 게임 커뮤니티에 대한 동일시가 개인의 몰입 또는 플로우 경험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친다는 스포츠 영역 내 선행연구의 결과도 지지하고 있다(Kim & Lee, 2019; Kim et al., 2006; Kim et al., 2007). 즉, 기존의 다수 선행연구 결과와 마찬가지로 태권도장을 배경으로 조직동일시와 태권체조 활동에 대한 플로우 경험 간의 인과적 관계가 유효함을 보여주었다.
구체적으로, 조직동일시는 자신이 조직의 가치관과 규범에 일치하도록 행동하여 조직과 하나 되고자 노력하는 현상을 말한다(Ashforth & Mael, 1989). 사회화 이론에 따르면, 조직동일시는 조직의 지원 정도에 따라 그 정도가 달라질 수 있으며(Van Maanen & Schein, 1979), 자신이 추구하는 가치가 조직의 지원 방향에 부합 한다면, 조직과 개인의 목표가 통합될 가능성이 높아진다고 하였다 (Ashforth & Saks, 1996). 다시 말해, 조직동일시는 개인에 대한 조직의 지원과 관심, 명확한 목표 설정 및 적절한 행동규범 등이 동반되어야 높아지게 된다. 아울러, 플로우는 목표가 분명하고 즉각적인 피드백을 받을 수 있으며 정해진 규칙을 수행할 때 비로소 경험하게 될 확률이 높아지게 된다(Csikszentmihalyi, 2004). 이처럼, 조직동일시가 높을 때 나타나는 특징은 플로우 경험에 도달하기 위해 선행되어야 할 요소들이다. 따라서, 조직동일시가 플로우 경험에 전반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끼친다는 본 연구 결과는 두 개념 간의 관계에 비춰봤을 때 타당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게다가, Csikszentmihalyi(2004)는 플로우 경험에 쉽게 도달할 수 있는 활동으로 암벽타기, 요트, 체스 등과 함께 춤을 언급하였다. 앞서 언급했듯이, 태권체조는 태권도를 기반으로 다양한 음악과 춤이 가미된 체조 형 동작이다. 실제 태권도의 기본서기와 함께 다양한 딛기와 발차기 그리고 팔, 다리, 머리, 몸통 등의 움직임으로 태권도 품새와는 달리 신체의 활발한 움직임을 유도한다. 또한 음악을 활용해 자연스럽게 태권체조에 심취하도록 하여 박자와 리듬 감각을 향상시키고 태권체조에 집중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이를 통해 태권체조가 종목 특성상 플로우를 경험하는 데 어느 정도 적합하다는 것을 간접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태권체조에 집중할 수 있는 태권도장의 물리적 환경을 개선하고 지도자가 수련생과의 소통을 강화하여 도장에 대한 조직동일시를 더욱 높임으로써 수련생들이 플로우로서의 몰입을 통해 최적의 정서적‧심리적 경험을 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플로우 경험과 참여지속의도 간의 관계
플로우 경험과 참여지속의도 간의 관계에 대한 가설 2 중 2-3은 도전의식이 참여지속의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쳐 채택되었지만, 가설 2-1, 2-2 및 2-4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기각되었다. 이는 스포츠 참여자의 플로우 경험이 지속적인 참여의도에 정적인 영향을 끼친다는 다양한 선행연구와 상반되는 결과이다(Baek & Shim, 2011; Choi et al., 2018; Kwon et al., 2017; Lee, 2017; Park, 2014; Park, 2017). 또한, 플로우 경험 중 즐거움, 시간왜곡, 주의집중이 참여의 지속성에 유의한 결과로 이어진다는 선행연구 결과와도 대립된다(Choi, 2014; Min & Lee, 2022; Shon, 2019). 즉, 태권체조를 통해 수련생이 순간적으로 느낄 수 있는 즐거움, 시간왜곡 및 집중 등의 최상의 플로우 경험은 기존 연구들과 달리 지속적 참여 여부로 반드시 귀결되지 않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상반된 결과는 플로우 경험과 몰입의 개념적 차이에서 유추해 볼 수 있을 것이다. Kwon(2011)는 플로우와 몰입의 개념이 다른 의미임에도 불구하고 국내에서는 혼용되고 있음을 지적하며, 플로우는 하나의 활동에 몰두하여 무아지경에 이르는 일시적인 절정의 심리상태라고 언급하였으며, 몰입은 스포츠 또는 여가활동을 통해 얻게 되는 희망, 신념 또는 믿음 등을 뜻하고 지속적인 스포츠 참여 욕구를 의미한다고 주장하였다. 다시 말해, 두 용어 모두 긍정적이고 만족스러운 감정 상태를 동반하지만, 플로우는 일시적으로 순간의 찰나에 발생하는 반면 몰입은 일정 기간 동안 그 상태를 지속하려는 경향이 있다. 이는 몰입과는 달리 플로우 경험은 반드시 참여 지속을 직접적으로 이끄는 것은 아닐 수 있으며, 그 순간의 활동 또는 행위 자체를 스스로 즐기는 데 보다 초점이 맞춰져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플로우 경험은 그 순간의 일시적인 즐거움이며, 어떤 일이나 과제를 마무리 후에 자신의 내면 속에서 자아의 성장을 느끼는 감정이다(Csikszentmihalyi, 2004). 즉, 몰입은 지속적 참여와 성과에 대한 욕구로 이어진다면, 플로우는 자아존중감, 창의적인 깨달음과 같은 자아의 경험 또는 성장에 만족하는 것이 우선임을 추론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태권도장에서 태권체조 수련생들이 플로우 경험을 하였더라도 당장의 지속적 참여에 대한 욕구보다는 당일 수행해야 했던 활동량을 잘 마무리했다는 행복한 내적 감정, 자긍심 및 자아존중감 등을 우선하여 느낄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와 별개로 플로우 경험 중 도전의식은 참여지속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단 참여자는 플로우를 통해 즐거움과 만족을 느낀다면 향후 재차 경험하기 위해 더욱 노력할 것이며, 이러한 과정에서 자아는 성장하게 된다(Csikszentmihalyi, 2004). 도전의식은 주의집중, 재미, 시간왜곡, 통제 및 각성 등과 달리 한층 더 높은 수준의 수행과 이전에 경험해본 적 없는 상태에 도달하고자 하는 플로우의 또 다른 특성을 대변하고 있다. 특히, 플로우는 적절한 난이도와 자신의 능력이 높아져 적절한 균형을 이룰 때 경험할 수 있다. 본 연구 결과는 참여자가 과제의 난이도에 맞춰 자신의 목표를 위해 역량을 키우고자 연습을 한다면, 지속적 참여와 출석에 대한 욕구가 높아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와 관련하여 Shon(2019)은 뉴스포츠를 통한 중학생의 플로우 경험 중 도전의식이 참여지속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끼치지 않았다고 언급하였다. 뉴스포츠는 기존 스포츠와 달리 규칙의 유연성, 게임의 간편성, 게임의 재미 등을 특징으로 하는 새로운 형태의 스포츠 활동을 의미한다(Ko et al., 2011). 다시 말해, 뉴스포츠는 상대적으로 난이도와 경쟁성이 낮으며 적용 기술이 단순하여 도전의식이 타 스포츠에 비해 불필요할 수 있다. 반면, 태권체조는 태권도, 기계 체조 및 비보잉 등의 동작이 가미된 고난도의 기술이 포함되기도 한다. 실제, 기술 습득을 위해 태권체조를 지도하는 과정에서 단계별·수준별 학습법이 사용되고 다양한 기계 체조 보조 학습 도구가 활용되기도 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수련생은 다양한 피드백을 전달받고 상급 기술 도전에 대한 개별적인 목표를 설정하여 자연스럽게 도전의식을 함양하게 된다.
이를 종합해보면, 비록 플로우 경험의 핵심은 자아의 성장과 함께 내면의 만족과 즐거움을 추구하는 것이지만, 플로우에 도달하기 위해 높아지는 난이도만큼 자신의 능력 향상에도 힘써야 하므로 꾸준한 연습을 위한 지속 참여의 필요성이 도전의식을 통해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태권도장 수련생의 도전의식을 강화시킬 수 있는 구체적인 목표를 제시해주고 역량을 발휘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해준다면 지속적인 참여로 이어질 개연성이 높아질 것이다.
플로우 경험과 추천의도 간의 관계
태권체조 수련생들의 플로우 경험은 추천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 3은 모두 기각되었다. 이와 관련하여 Hong & Lee(2018)은 태권도 공연 관람자의 플로우 경험이 구전의도에 정적인 영향을 끼친다고 하였으며, Son & Hong(2008)은 스포츠 참여자들이 활동에 더 깊이 몰입할수록 타인에게 자신의 주관적 견해를 추천할 가능성이 높아진다고 언급하여 본 연구결과와 상반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태권체조 수련생의 도전의식을 제외한 플로우 경험 대부분이 참여지속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끼치지 않았던 것과 맥을 같이한다.
추천의도는 개인이 어떤 일을 경험하여 지각된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주변 친지에 전달하는 과정을 의미한다(Cronin & Taylor, 1992). 다시 말해, 우호적인 추천 또는 구전 활동은 직·간접적인 경험과 구매에 기초하여 긍정적인 메시지를 친구 또는 동료에게 전하는 행위이다. 하지만,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플로우 경험은 새로운 세계를 접한듯한 창의적인 깨달음을 느끼고 내면의 즐거움을 추구하는 것이 우선이다(Csikszentihalyi, 2004). 즉, 플로우 상태에 도달한 이들은 즐거운 경험과 만족감을 외부에 표현하고 추천하기보다는 자신의 잠재력을 발휘하여 성취한 주관적인 만족감과 행복감을 통해 자아실현을 이루는데 더 큰 관심을 가질 가능성이 높을 것이다.
한편, 태권체조는 1992년 태권도 한마당에서 대중에게 처음 선보여지긴 했으나 겨루기와 품새에 비해 대중성이 부족한 것은 사실이다. 특히, 태권체조는 태권도 수련생에게도 그 관심과 흥미가 여전히 낮은 것으로 알려져있다. 이로 인해 태권체조 수련생이 지극히 주관적인 감정을 토대로 타인에게 태권체조 수련을 추천하거나 도장 등록을 적극적으로 권유하기에는 다소 부담스러울여지가 있다. 따라서, 태권도장 운영자는 수련생들이 태권체조를 통해 자아 정체성, 자긍심 및 자아존중감 등을 지속적으로 느낄 수 있도록 해야 하며, 추후 이러한 긍정적인 감정과 믿음이 타인에게 자발적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장기간 노력해야 할 것이다.
참여지속의도와 추천의도 간의 관계
태권도장 수련생의 참여지속의도는 추천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 4는 채택되었다. 이는 트라이애슬론, 스키 및 합기도 참여자를 대상으로 지속참여의도가 추천의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기존 선행연구 결과를 지지하고 있다(Jeon et al., 2014). 이러한 결과는 태권체조 참여자들에게 지속적 참여를 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 준다면, 타인에게 긍정적으로 추천하여 결국 태권체조의 저변을 넓히는데 기여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실제, 최근 기업들은 새로운 고객을 확보하는 것과 별개로 기존 충성도 높은 고객과의 관계를 지속적으로 유지, 발전시키는 소위 리텐션마케팅(Retentionmarketing)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또한, 구전 활동은 제품과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고 신뢰성을 바탕으로 소비자의 실질적인 태도 변화를 이끄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Howard, 1973). 이를 본 연구결과에 적용한다면, 기존 수련생과의 장기적인 관계 형성은 태권도장에 대해 충성도 높은 회원으로 유지 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들이 적극적으로 구전 활동에 나서서 태권체조와 그 도장을 홍보하고 등록하는 데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태권도장 운영자는 수련생들이 도장의 물리적 환경, 인적 서비스 및 기능적 품질 등에 즐거움과 만족감을 느껴 태권체조에 지속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실질적인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결론 및 제언
본 연구의 목적은 태권도장에서 태권체조에 참여하는 청소년 수련생을 대상으로 조직동일시, 플로우 경험, 참여지속의도, 추천의도 간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9세 이상 24세 이하의 태권체조 수련생 313명을 대상으로 편의표본 추출법을 적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이 중 불성실하게 응답했다고 판단되는 설문지 46부를 제외한 총 267부를 분석에 사용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조직동일시는 플로우 경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플로우 경험 중 도전의식만 참여지속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플로우 경험은 추천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넷째, 참여지속의도는 추천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태권체조 수련생의 긍정적인 행동 의도를 위한 이론적·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해준다. 먼저, 이론적 시사점과 관련하여, 조직동일시는 플로우 경험을 위한 중요한 선행요인임을 재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자신과 조직 간 추구하는 가치와 규범의 일치 수준이 높을 경우, 자신이 직면한 과제를 수행하는데 있어 잠재적 능력을 최대한 발휘하고 만족스러운 순간을 경험할 가능성도 높아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처럼, 본 연구는 조직동일시가 기존의 조직몰입, 직무만족 및 조직시민행동 등 업무의 효율성 증진과 효과적인 조직운영뿐만 아니라 개인의 내면적 성숙 및 창조성 향상에도 기여 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게다가, 본 연구에서는 다수의 선행연구와 달리 대부분의 플로우 경험이 참여지속의도와 추천의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물론 이러한 결과는 태권체조라는 종목과 연구의 대상이 청소년이라는 특성에서 함의하는 바를 찾을 수 있겠으나, 무엇보다 플로우 경험이 몰입과는 달리 일시적인 즐거움과 내면의 자아 성장을 추구한다는 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 그러므로 플로우 경험과 행동의도 간의 관계를 좀 더 체계적으로 살펴보기 위해 내적 감정, 자아 정체감, 창의성 또는 주관적 행복감 등 양측을 연결해 줄 수 있는 매개변인의 역할을 확인해보는 것도 필요할 것이다.
태권도장 경영환경 개선을 위한 실무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태권도장 경영자는 수련생과 도장 간 조직동일시 강화를 위해 차별화된 서비스품질 또는 서비스 스케이프를 제공하여 수련생들이 편안하고 안정적인 분위기 속에서 태권체조를 수련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또한, 동일시라는 것은 상대방의 감정에 대한 공감에서부터 시작될 수 있다. 즉, 태권체조의 주 수련생이 청소년이라는 점에서, 도장 경영자는 그들과의 긴밀한 의사소통을 통해 신뢰를 쌓고 친근함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한편 태권도장의 가치를 공유하여 공통의 목표를 지향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둘째, 플로우 경험 중 도전의식만 참여지속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끼친 것을 고려할 때, 태권도장 경영자는 청소년 수련생의 도전의식을 고취 시킬 수 있는 다양한 이벤트를 개최해보는 것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태권도장 내에서 태권체조 창작·경연대회를 실시하거나 정기적으로 자신의 실력을 확인해볼 수 있는 시험을 통해 태권체조의 지속적 참여 동기를 부여하고 스스로 성장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해주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개별 태권도장과 더불어 태권도계 전반에서 적극적인 홍보 활동을 통해 태권체조의 저변확대에 힘써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태권체조가 지닌 스트레스 해소, 체중 감량, 협동심 함양 및 정서 증진 등 다양한 긍정적인 측면들이 대중에게 인식될 수 있도록 SNS를 활용하거나 다양한 태권체조 이벤트를 개최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를 설계하고 분석하는 과정에서 도출된 제한점을 바탕으로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플로우 경험과 참여지속의도, 추천의도 간의 직접적인 인과관계만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후속 연구에서는 앞서 언급했듯이 플로우 경험으로 인해 귀결될 수 있는 내적 감정, 자아 정체감, 창의성 또는 주관적 행복감 등의 매개역할을 확인해본다면 플로우 경험의 효과성을 보다 심층적으로 규명해볼 수 있을 것이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현재 태권체조의 주 참여자인 청소년 수련생만을 연구 대상으로 설정하였다. 하지만, 연령층 또는 세대 간에 따라 플로우 경험을 느끼는 반응과 정도는 다를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연구결과도 상이할 수 있다. 따라서, 후속 연구에서는 세대 또는 연령에 따른 플로우 경험 차이를 파악해보거나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해본다면 연구결과를 해석하는 데 있어 중요한 통찰력을 제공해줄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수도권 지역의 태권도장 내 태권체조 수련생만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기에 연구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대도시와 중소도시 간 태권도장 운영방식과 태권체조 수련생의 특성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추후 연구에서는 도시 간 효과성의 강도와 방향을 검증할 수 있는 조절효과를 실시하고 그에 따른 경영전략을 제공하는 것도 의미있을 것이다.
이 논문은 2021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NRF-2021S1A5B5A17046934).
참고문헌
Han, H. J. (2018. 6. 15). 文 Government announces Taekwondo state affairs task... 1.7 billion won by 2022. Mookas. Retrieved from https://mookas.com/news/16336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2018) The future strategy and policy issues of Taekwondo Retrieved from https://www.mcst.go.kr/kor/s_notice/press/pressView.jsp?pSeq=16735
Seo, Y. B. (2021. 3. 30). The crisis of bankruptcy of sports facilities such as health and Taekwondo... Parallel courier, surrogate driving, etc. Chungcheong Today, Retrieved from https://www.cc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2134047
World Taekwondo Headquarters (2007)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a management revitalization model for taekwondo courts Retrieved from http://research.kukkiwon.or.kr/%EC%97%B0%EA%B5%AC%EC%84%B1%EA%B3%BC/2449498
, , , (2013) The effect of calling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The mediated effect of psychological capital and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perceived supervisor support Journal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Research, 20(4), 61-86 .
Figure and Tables
Table 1.
Variables | N | (%) | |
---|---|---|---|
Gender | Male | 177 | 66.3 |
Female | 90 | 33.7 | |
Age | 10-13 | 129 | 48.3 |
14-16 | 48 | 18.0 | |
17-19 | 30 | 11.2 | |
20 ≤ | 60 | 22.5 | |
Training period | < 6 months | 27 | 10.1 |
6 months – 1 year | 8 | 3.0 | |
1 ~ 2 years | 20 | 7.5 | |
2 ~ 3 years | 30 | 11.2 | |
More than 3 years | 182 | 68.2 | |
Training frequency (per week) | Less than 3 times | 13 | 4.9 |
3 times | 41 | 15.4 | |
4 times | 29 | 10.9 | |
More than 5 times | 184 | 68.9 | |
Training motivation | Fun | 85 | 31.8 |
Achievement | 62 | 23.2 | |
Recommendations | 30 | 11.2 | |
Drawing attention | 6 | 2.2 | |
Showing off abilities | 14 | 5.2 | |
Friendship | 3 | 1.1 | |
Improving physical strength | 24 | 9.0 | |
Improving confidence | 8 | 3.0 | |
Relieving stress | 10 | 3.7 | |
Others | 25 | 9.4 | |
Purpose of training | Developing skills as a performer | 90 | 33.7 |
Winning a prize | 62 | 23.2 | |
Creation of Taekwon gymnastics | 10 | 3.7 | |
Losing weight | 38 | 14.2 | |
For SNS activities | 18 | 6.7 | |
Others | 49 | 18.4 | |
Level | Less than first degree | 28 | 10.5 |
First degree | 22 | 8.2 | |
Second degree | 49 | 18.4 | |
Third degree | 75 | 28.1 | |
More than fourth degree | 93 | 34.8 |
Table 2.
Factor | Measurement items | Estimate | SE | CR | AVE | α |
---|---|---|---|---|---|---|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 I am interested in what other people think about my Tarkwondo gym | .599 | .753 | .506 | .656 | |
The success of my Taekwondo gym is the same as my success | .586 | .162 | ||||
When someone praises my Taekwondo gym, it feels like a personal compliment | .688 | .169 | ||||
Focused attention | While I was doing Taekwon gymnastics, I was deeply absorbed | .781 | .841 | .574 | .824 | |
While I was doing Taekwon gymnastics, I deeply devoted | .796 | .081 | ||||
While I was doing Taekwon gymnastics, I was completely concentrated | .575 | .085 | ||||
I was completely committed to doing Taekwon gymnastics | .788 | .083 | ||||
Playfulness | I feel joy when I do Taekwon gymnastics | .652 | .783 | .548 | .788 | |
Doing Taekwon gymnastics stimulates my curiosity | .782 | .133 | ||||
Doing Taekwon gymnastics is essentially interesting | .774 | .104 | ||||
Challenge | Doing Taekwon gymnastics is challenging for me | .636 | .796 | .496 | .794 | |
I challenge Taekwon gymnastics to make the most of my ability | .737 | |||||
Doing Taekwon gymnastics maximizes my ability | .773 | .121 | ||||
Compared to others, doing Taekwon gymnastics is a big challenge | .666 | .122 | ||||
Time distortion | When I do Taekwon gymnastics, time seems to go by very quickly | .807 | .676 | .515 | .663 | |
When I do Taekwon gymnastics, I tend to lose my sense of time | .615 | .092 | ||||
Intention to continue participation | I will continue Taekwon gymnastics | .819 | .892 | .676 | .887 | |
Taekwon gymnastics is very important to me | .861 | .068 | ||||
I want to continue doing Taekwon gymnastics in any case | .883 | .069 | ||||
I want to do Taekwon gymnastics if I have time | .715 | .075 | ||||
Recommendation intention | I will positively talk about Taekwon gymnastics to others | .803 | .824 | .542 | .834 | |
I will recommend Taekwon gymnastics to those who ask for advise | .800 | .078 | ||||
Friends and relatives will be encouraged to train Taekwon gymnastics | .711 | .088 | ||||
I will choose Taekwondo gym first for Taekwon gymnastics | .611 | .088 |
Table 3.
Variables |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 Focused attention | Playfulness | Challenge | Time distortion | Intention to continue participation | Recommendation intention |
---|---|---|---|---|---|---|---|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 506(a) | ||||||
Focused attention | .503** | 574(a) | |||||
Playfulness | .419** | .562** | 548(a) | ||||
Challenge | .459** | .580** | .675** | 496(a) | |||
Time distortion | .339** | .476** | .527** | .583** | 515(a) | ||
Intention to continue participation | .322** | .479** | .573** | .651** | .478** | 676(a) | |
Recommendation intention | .414** | .510** | .573** | .648** | .479** | .682** | 542(a) |
Table 5.
Path | Estimate | S.E | t | p | Result |
---|---|---|---|---|---|
H1-1 | .655 | .164 | 6.355 | .001 | Accepted |
H1-2 | .615 | .155 | 5.648 | .001 | Accepted |
H1-3 | .606 | .147 | 5.696 | .001 | Accepted |
H1-4 | .515 | .187 | 5.136 | .001 | Accepted |
H2-1 | .021 | .117 | .211 | .833 | Rejected |
H2-2 | -.046 | .230 | -.264 | .792 | Rejected |
H2-3 | .784 | .284 | 3.723 | .001 | Accepted |
H2-4 | -.001 | .130 | -.006 | .996 | Rejected |
H3-1 | .101 | .099 | 1.139 | .255 | Rejected |
H3-2 | .168 | .194 | 1.088 | .276 | Rejected |
H3-3 | .283 | .259 | 1.404 | .160 | Rejected |
H3-4 | .043 | .110 | .369 | .712 | Rejected |
H4 | .360 | .087 | 3.963 | .001 | Accep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