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학교 저학년 신체활동 실천에 관한 체계적 문헌 분석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Abstract

PURPOSE

This study analyzed research on physical activitie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1st and 2nd-graders to explore teachers’ perceptions and instructional practices in physical activity classes.

METHODS

Twelve studies published in academic journals conducted between 2000 to 2022 were selected for analysis.

RESULTS

The research articles were categorized into three domains: perception of physical activity in lower grades, operational features, and factors influencing practices from a didactic perspective. Challenges identified include dilemmas between curriculum documents and actual practice, a lack of practical teaching expertise, and a teaching culture discouraging physical activity in lower grades. Operational patterns were restructured into “avoidance-style classes,” “ad-hoc classes,” “textbook-dependent classes,” and “textbook-reorganization classes.” Factors influencing physical education for early elementary students included “teacher support factors,” “environmental factors,” and “administrative factors.”

CONCLUSIONS

In conclusion, this study advocates for policies that systematically improve perception, administration, and support classes for activating physical activities in lower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findings suggest the need for strategies such as adapting integrated curricula, creating training programs and educational materials, ongoing professional development activities for teachers, and specific research focused on physical activities for lower grade elementary students.

keyword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Lower grades physical activitySystematic literature review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 체육의 맥락에서 이루어진 저학년 신체활동 연구들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초등학교 저학년 신체활동의 실천 모습을 고찰하고 교육적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있다.

[방법]

체계적 문헌 분석(systematic review)에 따라 2000년부터 2022년까지 국내 학술지에 등재된 연구 문헌을 수집하였다. 선정 기준에 따라 수집된 연구물 12편은 교수학(didactics)의 관점에서 저학년 신체활동에 대한 인식, 운영 모습, 수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등 세 가지 영역으로 재구조화하였다.

[결과]

첫째, 초등교사들은 저학년 신체활동 수업을 어려워하고 있었으며, 이는 ‘교육과정 문서와 실제 운영 사이의 간극’, ‘실천적 수업 전문성 발휘의 어려움’, ‘저학년 신체활동이 장려받지 못하는 교직 문화’에 기인하였다. 둘째, 저학년 신체활동 운영 모습은 ‘회피식 수업’, ‘주먹구구식 수업’, ‘교과서대로 수업’, ‘교과서 재구성 수업’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초등 저학년 신체활동 수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교사 지원 요인’, ‘환경적 요인’, ‘행정적 요인’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에 제도적, 실천적으로 사각지대에 있는 초등 저학년 신체활동의 활성화를 위한 인식 및 행정의 개선, 수업 지원을 위한 다양한 방안이 요구된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첫째, 통합교과 교육과정의 변화를 위한 다양한 방안 마련, 둘째, 연수 프로그램 및 교육자료의 개발, 셋째, 교사 지속적 전문성 개발 활동과 관련된 연구, 넷째, 저학년 신체활동 자체에 관한 다각화된 연구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주요 용어
초등 저학년 체육저학년 신체활동체계적 문헌 분석

서론

‘우리나라 초등학교 1-2학년 교육과정에는 체육이 없다.’

교육계에 몸담고 있거나, 체육을 전공했거나, 자녀를 키워보지 않은 사람들이라면 처음 들어봤을 지도 모르는 말이다. 실제로 1987년 제 5차 교육과정 시기부터 초등학교 1-2학년 체육은 통합교과(즐거운 생활 교과)에 편입되면서 자취를 감춘 채로 오랜 시간이 지났다.

유아기에서 아동기로 넘어가는 과도기인 초등학교 저학년(1-2학년) 시기의 신체활동의 중요성은 연구, 정책 등 다양한 관점에서 제기된다. 기초생활습관 및 학습습관, 가치관이 정립되기 이전 단계로서 이 시기 경험하는 신체활동은 신체활동에 대한 긍정적 인식 및 평생체육 태도 형성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Cho & Shin, 2010; Choi & Jeon, 2011; Jo, 2019; Park & Eom, 2018). Kim(2022)은 아동청소년의 과체중 및 비만 증가, 이로 인한 사회경제적 비용 증가의 원인을 저학년 학생들의 신체활동 부족으로 지적하고, 이 시기의 활발한 신체활동이 중요하다는 의견을 피력하였다. 한편, 지방자치단체 차원의 정책적 접근도 주목해 볼 수 있다. 2023년 어린이날을 맞아 서울특별시에서는 놀이시간 감소, 정신적 건강 저하 등 문제를 지적하면서 ‘서울 어린이 권리장전’을 통해 아동의 놀 권리를 보장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 문화체육시설 우선 입장, ‘놀자놀자’ 프로그램 운영, ‘찾아가는 놀이버스’ 운영 등 ‘서울 어린이 행복 프로젝트’를 제안하였다. 어린 학생들의 신체 움직임이 전인적 성장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는 점은 모두가 공감할만하다.

학교는 학생들이 가장 많은 시간을 보내는 곳이다. 따라서 학교에서는 학생들이 건강한 생활 습관과 가치관을 집중적, 장기적, 효과적으로 형성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해줄 필요가 있다(Cale & Harris, 2013). 특히, 신체활동을 담당하고 있는 체육과에서는 개인적·사회적 수준에서 학생에게 건강한 생활 습관과 삶의 방식을 전수해줄 수 있어야 한다(Yu, 2016). 또한, 저학년 시기의 체육은 낭만체육, 기초 체육, 융합체육, 문화체육, 전인체육의 관점에서 그 중요성이 크다고 할 수 있다(Jo, 2019).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들의 건강하고 활기찬 생활습관 형성을 위하여 우리나라 정규 교육과정 내에서 저학년의 신체활동 학습은 독립된 ‘체육’의 형태가 아닌 ‘통합교과’라는 독특한 형태로 학습되고 있다. 초등학교 저학년은 미분화된 존재로 삶과 관련이 깊은 경험이 제공되어야 한다는 근거(Dewey, 1902)로 하여 통합교과 체제를 도입한 것이다. 이후, 제7차 교육과정부터는 활동 중심 주제에 따른 통합이 이루어졌고(Kim & Choi, 2008), 2009·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주제 중심의 통합으로 확대되었다(Bae, 2019; Lee, 2012; Park & Eom, 2018). 지난해 고시된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도 저학년 신체활동은 체육과로 신설되지 않고, 통합교과 내에 포함되었다. 다만 총론 주요사항을 통해 초등 저학년 신체활동 강화를 위해 현 체제를 유지한 가운데, 즐거운 생활 내 신체활동 강화를 도모하도록 지침을 마련한 점(MOE, 2021)은 이례적으로 평가된다.

한편, 지난 저학년 통합교과와 관련된 연구는 오랜 기간 동안 꾸준히 수행되어 왔다. 통합교과 내 즐거운 생활 영역의 정당성을 주장하는 관점에서는 발달단계, 학생들의 흥미, 삶 속에서의 배움 등이 근거가 되었다(Bae, 2019; Choi & Kim, 2012; Kim, 2012; Kim & Choi, 2008; Kong, 2005; Lee, 2012). 통합교과 유지에 정당성을 부여하는 주장에도 불구하고 일각에서는 통합교과 내 신체활동을 독립적으로 분리해야 한다는 주장도 끊임없이 제기되고 있는 실정이다(Cheon & Jun, 2010; Cho, 2001; Lee et al., 2021; Park & Eom, 2018; Park & Son, 2012). 실제로 교사들이 통합교과의 취지대로 즐거운 생활 영역을 지도하고 있는지를 탐색한 Cho(2001)의 연구에서는 상당수의 교사가 부정적인 답변을 하였으며, 이에 Kong(2004)Ahn(2005)은 온전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통합교과 체제를 탈피하여 분과 체제로 회귀하자는 주장을 하기도 하였다. 비교적 최근에 이루어진 Seo et al.(2021)의 연구에서는 저학년 신체활동의 중요성에 대하여 교사들이 높은 비율의 긍정적 응답을 보였으나, 상대적으로 프로그램의 다양성, 움직임 욕구 충족은 충분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선행연구 결과를 토대로 종합하였을 때, 통합교과의 포괄적인 특성으로 인하여 실제 교육 현장에서의 즐거운 생활 교과 운영은 분명 여러 관점에서 개선의 여지가 남아있다고 판단된다. 학습의 주체인 저학년 학생들과 함께 주제 중심의 통합교육과정을 구성해가면서 수업을 운영하는 것은 높은 수준의 교육과정 전문성과 많은 시간과 노력이 수반되어야 하는 힘든 작업이기 때문이다(Kang & Jeong, 2009). 통합교과의 질은 교사의 역량에 따라 양상과 질이 달라지게 되는 것이다(Cheon & Jun, 2011).

이상과 같은 맥락에서 지난 2023년 10월 29일 제9차 사회관계장관회의에서는 이례적으로 ‘제2차 학생건강증진 기본계획(2024~2028)’중 학교체육 활성화 4대 핵심과제로 초등 1~2학년 학생들의 규칙적인 신체활동 시간을 현재 수준보다 확대(2년 간 약 80시간→144시간)하고, 단계적으로 ‘즐거운 생활’의 신체활동 영역을 별도의 ‘체육’교과로 분리하여 운영하는 방안도 검토한다고 밝혔다(MOE, 2023, pp. 1-2).

본 연구에서는 저학년 신체활동 운영의 당위성이나 내실화에 관한 사회적·학문적 논의에 일조하기 위한 목적으로 체계적 문헌 분석(systematic review)의 연구 특성에 따라 초등학교 저학년 신체활동과 관련된 연구물들을 고찰하고, 저학년 신체활동의 활성화를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이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 초등교사는 저학년 신체활동에 대하여 어떻게 인식하는가?

2) 초등교사의 저학년 신체활동 운영 모습은 어떠한가?

3) 초등학교 저학년 신체활동 운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가?

연구 방법

자료수집

1. 포함 및 배제 준거 수립

본 연구는 초등교사의 저학년 신체활동에 대한 인식과 저학년 신체활동 운영 모습을 Kitchenham & Charters(2007)의 체계적 문헌 분석(systematic literature review)을 채택하여 종합적으로 이해하고, 효과적인 초등학교 저학년 신체활동 운영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이에 따라 문헌 선별을 위한 다음의 네 가지 포함 준거를 마련하였다.

첫째, 2000년 이후의 연구만을 대상으로 논문을 선정하였다. 현재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들의 신체활동은 교육과정 내 통합교과를 바탕으로 주제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같은 통합교과의 탈교과적인 내용구성은 제7차 교육과정부터 시작되었다는 점을 고려하여 해당 교육과정 시기 이후의 연구물을 선정하였다. 둘째, 정과교육으로서의 신체활동 교육만을 대상으로 하였다. 특히 초등학교 1~2학생들은 통합교과 내 즐거운 생활 영역을 통하여 신체활동을 학습하고 있는 것을 고려하여, 즐거운 생활 영역 내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정과교육을 위주로 살펴보았다. 셋째, 저학년 신체활동 수업에 대한 이론적 고찰에 머무르지 않고, 실제 신체활동 수업을 준비하거나 실행한 경험에 관한 연구물을 포함하였다. 넷째, 국내 학위 논문과 국외 연구를 제외하고 국내 학술지 연구를 대상으로 하였다.

2. 문헌 검색

연구 설계를 바탕으로 체계적 문헌 분석의 방향을 설정하고, 본 연구의 목적에 부합하는 연구물을 수집하였다. 문헌 수집을 위하여 한국교육학술정보원(www.riss.kr)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초등 저학년 체육’, ‘저학년 신체활동’, ‘즐거운 생활’ 등의 검색어를 통해 연구 논문을 수집하였으며, 수집 및 기준에 따른 분류 작업은 2022년 9월부터 2022년 12월까지 수행하였다. 수집 결과, 초등학교 저학년 신체활동과 관련된 연구물들은 주로 ‘한국초등체육학회지’,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등에 게재되었다. 일차적으로 수집된 연구물들은 총 41편이며 각각의 연구물을 저자, 연도, 출판 학회지명, 제목, 연구 목적 등으로 구분하여 excel 파일에 기록하였다.

3. 문헌 선정

본 연구에서는 키워드 검색을 통해 수집된 41편의 연구물들을 PRISMA에서 제안한 문헌 선택 흐름도(PRISMA flow chart)를 채택(Kim et al., 2011)하여 연구물을 선별하였다.

먼저, 수집된 41편의 논문을 제목 수준에서 검토하며 초등체육 맥락에서 이루어진 저학년 신체활동 관련 연구물을 포함하였다. 이 과정에서 첫째, 정규 교육과정 외의 활동(예. 돌봄, 방과후학교 등)을 다룬 연구(Kim & Baek, 2014; Yoon & Song, 2022) 등 총 16편의 연구물이 배제되었다. 둘째, 1차 기준에서 배제되지 않은 문헌들의 국문 초록을 분석하며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 목적과 연구 문제에 적합한 연구물을 선별하였다. 이 과정에서 신체활동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저학년 신체활동의 당위성에 대하여 논하는 연구, 저학년 신체활동의 효과만을 다룬 연구(Lim, 2015; Park & Lee, 2004) 등 총 5편의 연구물들이 배제되었다. 셋째, 선별된 연구물 전문의 연구 결과를 분석하여 초등 체육 맥락에서 저학년 신체활동에 대한 인식과 운영 모습이 드러난 연구를 선정하였다. 2차 선별 과정을 통해 추려진 연구물 20편의 전체 내용을 반복하여 읽으며 실증적 근거가 불충분하다고 판단(예. 저학년 신체활동 상황보다는 리더십, 생활 기술, 친사회적 행동, 정서 등와 같은 요인들에 주목)된 8편의 연구물(Kwak & Hong, 2007; Moon, 2017 등)을 제외하였다.

연구 대상 문헌의 선정 과정은 위의 <Figure 1>과 같이 도식화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다음의 <Table 1>에 제시한 바와 같이 최종 12편의 연구물이 분석 대상 논문으로 선정되었다. 연구 주제 측면에서는 정규 신체활동 수업을 다룬 연구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연구 방법 측면에서는 질적 연구가 10편으로 우세한 가운데, 혼합 연구도 2편 포함되었다.

자료 분석

본 연구에서는 저학년 신체활동 실천과 관련된 연구물 분석을 위해 Mong & Standal(2019)이 분류한 교육내용, 교육 방법, 교육 주체의 분석 프레임워크를 기초 자료로 활용하였다. 이를 연구 목적에 부합하도록 재구성하여 새로운 분석틀로 개선(Walsh & Downe, 2005)하였고, 초등학교 저학년 신체활동에 관한 ‘인식’, ‘운영 모습’, ‘운영에 미치는 요인’ 등 세 가지 상위 주제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먼저, 12편의 분석 대상 연구물의 구체적인 결과를 위의 상위 주제로 나누어 <Table 2>와 같이 정리하였다.

세부 연구 내용들은 Charmaz(2014)의 내용분석법(content analysis)을 통하여 분석되었다. 첫째, 각 연구물에서 저학년 신체활동에 관한 인식, 운영 모습, 운영에 미치는 요인과 관련된 주요 내용을 분석하여 초기 코드(initial code)를 설정하였다. 둘째, 의미상으로 근접한 초기 코드들을 범주화하여 상위 수준의 초점 코드(focused code)를 도출하였다. 셋째, 초점 코드 간의 유사성과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본 연구의 분석틀에 맞추어 분류하였다. 연구 문헌 내용 분석에 따른 코드 생성 과정의 예시는 다음의 <Table 3>과 같다.

연구결과 및 논의

저학년 신체활동 수업 운영에 대한 인식

1. 교육과정 문서와 실제 운영 사이의 간극

통합교과는 제7차 교육과정을 기점으로 교과 간 통합의 형태에서 ‘활동 중심 주제에 따른 통합’의 형태로 변하기 시작하면서 현재에 이르게 되었다(Kong, 2005). 교육과정에서는 통합교과 내 신체활동 수업을 신체활동적 요소, 조형적 요소, 음악적 요소를 통합하여 운영하도록 하고 있지만(MOE, 2015), 각각의 요소들이 온전하게 통합되어 운영되지 않고 있음을 지적하는 목소리가 끊이지 않고 있으며, 이는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들의 신체활동 부족 현상을 초래한다는 우려로까지 번지고 있다.

이에 통합교과 교육과정을 실제 수업으로 적용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교사의 어려움을 분석한 결과 불균형적 활동 구성, 모호한 교육과정 내용, 활동 간의 연계성 부족을 발견할 수 있었다. 먼저, 불균형적 활동 구성과 관련하여 Kim & Choi(2008)의 연구에서는 학교 현장의 현실이 반영되지 않아 실제 수업 운영상의 문제가 발생함을 지적하고 있었다. 특히 발달단계 특성상 구체적 조작이 어려운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들에게 음악적 요소, 조형적 요소를 먼저 학습하고 신체활동이 나중에 제시되는 형태는 신체활동 축소 현상을 자연스럽게 초래할 수 있다. 같은 맥락에서 Seo et al.(2021)은 통합교과에서 신체활동 관련 교육 내용이 차지하는 분량이 1학년 약 13,1%, 2학년 약 12.9%로 확인된다고 하였다. Cheon & Jun(2011)과 Bae(2019)는 저학년 신체활동 수업 운영의 어려움의 원인으로 미술활동, 표현활동과 같은 특정 활동으로 편중된 교과 구성, 교과서 및 지도서에서의 교과 분절적 학습 내용 등을 제시하며, 각각의 주제나 활동들이 동시적이고 통합적 형태로 안내될 필요가 있다고 하였다.

다음으로 모호한 교육과정 내용과 관련하여 교사들은 교육과정의 추상적이고 광범위한 내용으로 인하여 신체활동 지도에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Lim, 2013). 특히, 교사들은 통합교과 교과서 및 지도서에서 신체활동 수업을 위한 충분한 아이디어를 제공받지 못한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Seo et al., 2021), 이러한 어려움은 학습 평가로 이어져, 통합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학습에 대한 평가가 체육, 음악, 미술과 같이 분과적 방식으로 이루어질 가능성이 높아진다(Park & Son, 2012)는 점과도 연결된다고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교육과정 연계성 부족과 관련하여 Park & Son(2012)은 누리 과정(유치원 교육과정)과 초등 3-4학년 체육 교육과정 사이에 위치한다고 볼 수 있는 초등학교 저학년 통합교과 교육과정이 교육단계 간의 연결고리 역할을 하고 있지 못한다고 지적하였다. 같은 맥락에서 Seo et al.(2021)은 주제에 초점을 맞추어 활동을 제시하는 현 통합교과 교육과정이 3-4학년 체육과의 연계에 대한 고려가 부족하다는 점과 함께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들의 성장 및 발달에 적합한 기본 움직임 기술(FMS)에 대한 고려가 부족하다는 점을 추가적으로 밝히고 있다. 특히 Choi & Kim(2012)에 따르면, 즐거운 생활 영역 내 요소 중 신체활동 요소가 다른 요소들에 비하여 가장 연계성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향후 교육과정 개발 시 교육 간의 연계를 위한 논의가 반드시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고 볼 수 있다.

이들이 지적한 연계성 이슈는 Lee et al.(2021)가 수행한 2022 개정 교육과정을 위한 개선 연구에서도 지적된 바 있다. 해당 연구 보고서에서는 즐거운 생활 교과의 교육과정 내용 요소를 분석한 결과, 체육과와 밀접한 연관을 찾기 어렵다고 분석하였는데, 이는 곧 교육과정의 연계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가능성이 배제된 것과 다름없다. 또한 이는 핀란드, 호주 등과 같이 1-2학년부터 체육과 교육과정이 편성된 국가의 교육과정과 비교했을 때, 학년군 간 성취기준 간의 연계 및 위계가 확보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Lee et al., 2021). 이에 즐거운 생활의 교육과정 개선 방안으로 체육 교과의 본질적 특성을 드러낼 수 있는 기본움직임기술(걷기, 달리기, 뛰기, 치기, 굴리기 등)의 교과통합적 반영을 제안하였으나, 고시된 22 개정 교육과정의 통합교과 교육과정에서는 실현되지 못하고, 3학년 체육과 교육과정에 반영된 상태이다(MOE, 2022). 누리 과정에서조차 예술경험(음악, 미술)과 신체운동·건강(체육)을 구분하여 제시하고 있는데, 초등 저학년에서 이를 즐거운 생활 교과로 묶고, 다시 3학년부터 음악, 미술, 체육의 독립 교과로 편성하고 있다(Lee et al., 2021)는 점은 교육과정 연계성 측면에서 설명하기 어렵다는 한계를 보여준다.

2. 실천적 수업 전문성 발휘의 어려움

학생들의 전인적 성장을 위하여 양질의 수업을 제공하는 것은 학교교육의 궁극적 목적이라고 할 수 있다(Lee et al., 2017). 수업의 질은 다양한 상호작용에 의해 결정되며, 교사의 질은 질적인 수업을 제공하게 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라고 볼 수 있다. 초등학교 저학년 신체활동 수업에서 교사들이 겪는 두 번째 어려움은 실천적 수업 전문성 발휘였다. 통합교과를 어떻게 가르쳐야 하는지에 대한 지식과 정보의 부족은 자연스럽게 신체활동의 소극적 지도로 이어지고 있었다. 먼저, 교사들은 무엇을 가르쳐야 하는지(Park & Son, 2012), 무엇을 평가해야 하는지(Kim & Choi, 2008)에 대한 모호함과 더불어 발달 단계에 적합한 움직임 방법론 및 움직임 원리에 대한 지식 부족(Lim, 2013) 등과 같은 다양한 어려움을 겪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특히, 수업을 운영해나가야 하는 교사의 입장에서 무엇을 가르치고 평가해야 하는지에 대한 모호함은 즐거운 생활 교과를 학생들로 하여금 더이상 즐겁지 않은 교과로 인식하게 할 우려로 작용할 수 있다.

또한 학생 관리의 부담(Bae, 2019)은 교사의 심리적인 스트레스의 원인이 되기도 하였다. 기초 생활 습관 또는 학습 습관이 미흡한 학생들의 돌발행동을 항상 주시하기 어려우며, 놀이 규칙을 이해하기 위한 시간이 많이 들어 실제적인 학습 시간이 축소되기도 한다. 이러한 교사의 전문성 부족으로 나타나는 어려움은 수업이 잘 이루어졌는가에 대한 불안함으로 인한 정신적 부담으로 이어지며, 자연스럽게 낮은 실천 의지로 신체활동 수업 운영을 기피하게 하는 원인을 제공하기도 한다.

3. 저학년 신체활동이 장려받지 못하는 교직 문화

초등학교 저학년 신체활동 수업에서 교사들이 겪는 세 번째 어려움은 교육적 상호작용에서 겪는 어려움이었다. 교직 문화란 학교 구성원들에게 영향을 주는 학교 자체의 내부적인 특성이라고 볼 수 있다(Hoy & Miskel, 2001). 교직 문화가 긍정적일수록 교사 소진은 감소하게 된다(Go, 2022). 그러나 본 연구를 통해 일부 교사들은 저학년 신체활동 수업을 운영하는 데 있어 동료 교사와의 협력 내지는 학교 관리자와의 소통에서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드러났다.

먼저, 동료 교사와의 불충분한 상호작용에 의해‘모난 돌이 된 교사(Bae, 2019)’처럼 다른 학급의 눈치를 보는 경우가 발생하였다. 동학년 위주로 교직 문화가 생성되는 초등학교의 특성상(Jang, 2017), 일부 학급에서의 신체활동 수업 증가는 다른 학급에서의 불만 요소가 되었고, 이는 무언의 압박으로 다가와 해당 교사에게 부담을 가져다주는 것이다(Han et al., 2019). 동학년 교사와의 협력은 신체활동 수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됨에 따라 교육자료의 공유 시도는 상당한 교육적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통합교과에 대한 동료 교사의 관심 부족으로 소극적으로 운영되기도 한다(Cheon & Jun, 2011).

한편, 학교 관리자의 완고한 리더십으로 인해 상호작용이 위축되는 교사의 모습을 발견할 수 있었다. 공식적인 자리에서 이루어지는 ‘활동 안전’에 대한 학교 관리자의 강조는 다른 교사들에게 신체활동 중심 수업에 대한 ‘심리적 위축’ 현상을 야기하여, 신체활동을 축소하여 운영하는 분위기를 조성하였다(Han et al., 2019). 이에 신체활동 활용 수업을 활발히 운영하던 저학년 교사들도 외부의 시선에 눈치를 보기 시작하면서 전반적인 신체활동 수업의 위축으로 이어졌다.

저학년 신체활동 수업 운영 모습

1. 배제: 회피식 수업

초등학교 저학년 신체활동 첫 번째 운영 모습은 회피식 신체활동 수업이었다. 신체활동 활용 수업에 대한 자신감이나 의식 부족으로 다른 활동으로 대체하거나 신체활동이 이루어지지 않는 수업을 의미한다. 회피식 수업에서 저학년 신체활동은 현장체험학습이나 학교 행사와 연계된 파행적 운영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수영 교육이나 스케이트 교육 등과 같은 신체활동과 관련이 있는 체험학습도 있었지만, 관련성이 없는 현장체험학습을 다녀온 것으로 대체하는 것이 용인되기도 하였다(Bae, 2019). 또한 학교 특성상의 이유로 물놀이, 모래성 쌓기 등과 같이 교과서에 제시된 활동을 하지 못하는 경우 단순하게 교실에서 활동을 안내하는 수준으로 갈음하는 경우도 발견할 수 있었다(Kim & Choi, 2008).

이와 같은 회피식 수업에서 교사들은 신체활동 활용 수업에 부담을 느끼며 소극적인 관심을 보이고 있었고, 결과적으로는 신체활동을 지도하려는 의지를 보이지 않는 것(Han et al., 2019)으로 이는 엄격하게 말하여 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배제로 볼 수 있다. 또한 운동장에 나간 자체로 신체활동을 수행했다는 그릇된 인식을 바탕으로 학생들끼리 노는 모습을 바라보는 방관자로서의 역할이 드러나기도 하였다(Kim & Choi, 2008). 이와 같은 교육과정 파행적 운영은 앞서 언급한 저학년 신체활동 수업 운영의 어려움 중 전문성 부족에 의해 나타나는 현상이라고 사료된다. 교육의 질은 교사의 질을 능가할 수 없다는 말처럼 교사들이 저학년 신체활동 수업의 중요성을 인식할 수 있는 다양한 연구 및 실천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할 수 있다.

2. 임의적 수용: 주먹구구식 수업

초등학교 저학년 신체활동 두 번째 운영 모습은 주먹구구식 수업이었다. 주먹구구식 신체활동 수업은 학생들의 흥미에 따라 지도하며 주로 놀이 활동을 위주로 운영되는 수업을 의미한다. 주먹구구식 수업에서 신체활동은 개념이나 지식에 대한 이해가 아닌 단순한 놀이 활동 위주로 운영되며, 이에 따라 무엇을 어떻게 평가할 것인가에 대한 고민은 부재(Park & Son, 2012)하다고 볼 수 있는 것으로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의 임의적 수용에 해당한다. 여기서 교사들은 즐거운 생활 영역 내 신체활동을 ‘즐겁게 노는 시간’이라는 인식을 바탕으로 간단한 놀이나 게임을 실시하는 것으로 학습을 종료한다(Kim & Choi, 2008).

학생이 수업을 통하여 즐거울 수 있다면 교사는 다양한 시도를 해 볼 가치가 있을 것이다. 그러나 학생이 즐겁기만 한 것이 과연 좋은 수업일 수 있을지에 대한 논의(Placek, 1983)는 다시 한번 나누어볼 필요가 있다. 즐거운 생활 교과 시간이 아이들을 즐겁게만 해 주면되는 시간, 노는 시간, 가르치기 쉬운 시간 등의 그릇된 인식으로 운영되고 있지는 않은지 자성의 시간이 필요해 보인다(Cheon & Jun, 2011). 따라서 학생들이 즐겁다고 하는 표층적인 이유를 넘어 심층적인 요인을 파악하고 즐거운 생활의 교육 방향을 설정할 수 있도록 시사점을 제공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3. 수동적 수용: 교과서대로 수업

초등학교 저학년 신체활동 세 번째 운영 모습은 교과서대로 수업이었다. 교과서대로 수업은 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수동적 수용으로 교과서 및 지도서에 제시된 활동이나 방법을 그대로 적용하는 수업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 교과서대로만 가르쳐지는 수업을 말한다. 수동적 수업에서 신체활동은 교과서에 제시된 내용을 그대로 활용하며, 계획된 통합보다는 즉흥적인 통합이 주로 이루어진다고 볼 수 있다(Cheon & Jun, 2011). 이와 같은 수업 형태에서는 통합교과의 특성을 살리지 못한 상태로 분과적인 형태로 운영되는 것을 발견할 수 있으며(Park & Son, 2012), 많은 수의 교사가 통합의 취지를 살린 재구성 수업을 운영하기보다 교과서 제시 순서에 따라 수업하는 것을 알 수 있다(Choi & Kim, 2012). 이는 앞서 말한 교육과정의 겉은 통합, 속은 병합의 특징에 기인한다고 볼 수 있다. 통합교과가 하나의 교과 자체로서 특성을 가지고 있다는 주장을 하는 관점(Kim, 2018)에서 통합교과는 기존의 익숙한 몇 개의 교과의 통합(예. 즐거운 생활의 경우, 음악, 미술, 체육의 통합)이 아닌 하나의 새로운 교과의 탄생으로 주장하기도 하지만, 위와 같은 수업 운영 체제에서 진정한 의미의 통합은 요원하다.

4. 적극적 수용: 교과서 재구성 수업

초등학교 저학년 신체활동 네 번째 운영 모습은 능동적 수업이었다. 교과서 재구성 수업은 교육과정 운영을 적극적으로 수용하는 방식으로 통합교과 교육과정과 교과서 및 지도서에 근거하되, 교사 나름대로 단원이나 활동을 재구성, 또는 수업 운영 방식을 재구성하여 운영하는 수업을 의미한다. 내용체계 및 성취기준 분석 후 백워드 설계 방법을 활용하여 단원을 재구성하여 운영(Han et al., 2019)하거나, 필요에 따라 두 반이 함께 수업을 진행하며 두 교사가 협력 수업을 진행함으로써 효율적 신체활동 수업을 운영(Kim & Choi, 2008)하기도 한다. 또한 수시로 개정되는 교육과정에 대비하여 자신만의 노하우로 수업 내용을 재구성하여 신체활동 영역을 집중적으로 지도하는 경우도 확인할 수 있었다(Kim & Baek, 2012).

교사들은 다양한 어려움 속에서도 각자의 방식으로 수업을 재구성하고 변형하여 신체활동 활용 수업을 운영하고 있었으며, 향후 통합 교과 교육과정 재구성 관련 다양한 연구가 추가적으로 이루어진다면 더욱 내실 있는 저학년 신체활동 수업이 운영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저학년 신체활동 운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1. 교사 지원 요인

초등학교 저학년 신체활동 수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첫 번째는 교사 지원적 측면이었다. 교사에게 만능을 요구하는 듯한 통합교과의 교육내용에 의해 다양한 지원은 필수불가결 하였으나, 수요에 비하여 충분한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았다고 보인다. 이에 지원체계의 미흡한 부분을 분석한 결과 그 하위 요인으로 빈약한 자료 제공, 보완이 필요한 교사교육 시스템을 발견할 수 있었다.

먼저, 빈약한 자료 제공이다. 예를 들어, 3차원 동작으로 표현되는 신체활동을, 2차원적 설명으로 학생들에게 전달하는 데 한계가 있으며, 보다 구체적이고 직관적인 설명이 필요한 발달 단계의 저학년 학생들이 이해하기에 다소 어려울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이유로 통합교과 운영의 방식은 각양각색이 되어버렸고(Cheon & Jun, 2011), 이는 고스란히 교사의 고충으로 이어졌다. 교수 자료의 부재 속에서 교사는 내용교수지식(PCK)를 발휘하는데 모호함을 경험했으며, 이어지는 불완전한 평가는 온전하지 못한 학습의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Kim & Choi, 2008).

지난 2020년,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산하 학교체육중앙지원단에서는 ‘저학년 신체활동 40가지 레시피’라는 통합교과 주제 중심의 신체활동 프로그램을 책자로 개발하였다(Chae et al., 2020). 이는 전국의 교사들에게 공문으로 발송되어 활용되었고, 이듬해 학교체육진흥회에서 협약하여 영상물로 제작되기도 하였다. 해당 프로그램은 저학년 학생들의 수준과 흥미 고려, 신체 발달과 기본 움직임 기술(FMS) 향상에 도움을 주는 방향으로 구성되어, 현 통합교과 주제에 따라 학생들이 다양한 신체활동을 학습할 수 있도록 돕는 교수 자료이다. 이와 같은 현장 적합성이 높은 자료들이 꾸준히 개발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한다.

다음으로는 보완이 필요한 교사교육 시스템이다. 교사교육 시스템은 현직 교사를 대상으로 한정하지 않고, 예비교사교육 시스템을 포함한다. 현직교사교육 시스템에서는 통합교과 즐거운 생활 내 신체활동과 관련한 연수가 전무한 실정이라는 것이 가장 큰 요인을 작용한다는 것을 파악할 수 있었으며, 여기서 파생된 내용교수지식의 부족, 모호한 평가 방식, 각양각색의 교수·학습방법은 통합교과 내 신체활동 수업 운영을 더욱 혼란스럽게 만들어 가고 있는 것이다(Choi & Kim, 2012). 이에 내실화된 저학년 신체활동 교육을 위한 다양한 방면의 현직교사교육 지원 방안이 개발 및 보급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예비교사교육 시스템에서도 통합교과 교육 준비의 미흡함을 발견할 수 있었다(Kim & Choi, 2008). 예비교사교육 단계에서 미흡하게 이루어지는 통합교과 교육은 교사가 되어 실제 교육 현장에 투입되었을 때 더 큰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개선 방향이 논의되어야 한다. 교육대학 교육과정에서는 통합교과 관련 강좌 내지는 체육과 전공 강좌를 통해 이론과 실제를 병행할 수 있는 학습 환경 조성, 저학년 신체활동에 대한 인식 제고 및 수업 전문성을 강화하기 위한 별도의 조처를 마련해야 할 것이다.

2. 환경적 요인

초등학교 저학년 신체활동 수업에 영향을 미치는 두 번째 요인은 환경적 측면이다. 하위 요인으로 활동의 규칙을 명확히 인지하고 수행하기 어려운 저학년 학습자의 특성과 신체활동을 위한 공간의 부재는 저학년 신체활동 수업 운영의 또 다른 걸림돌이 되었다.

우선, 기초생활습관이나 학습 습관이 정착되어 있지 않은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들의 경우 질서 교육이 완전히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안전사고의 위험이 비교적 높을 뿐만 아니라, 놀이 규칙을 내면화하는 데 많은 어려움이 따랐다(Han et al., 2019). 학생의 발달 단계를 고려하여 활동을 준비하는 일 또한 교사 전문성의 일부인 것으로 보았을 때, 관련 교사학습공동체 지원, 교사 연구 동아리 지원 등 적극적 대안을 찾아볼 필요가 있다.

우천, 미세 먼지 등 야외 활동이 제한되는 상황에서 신체활동이 연기되거나 취소되는 현상을 피하기 위해 학교 내 유휴 교실 등을 이용하여 신체활동을 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을 마련하는 것도 요구된다. 체육관을 고학년 위주로 운영하거나(Kim & Choi, 2008), 다목적 교실이라는 대체 교실이 존재하여도 해당 공간은 각종 행사 용품이나 날카로운 물건 등이 즐비하여 안전의 보장이 어려운 경우도 있다(Kim & Baek, 2012). ‘움직임 교실’(가칭)처럼 복수의 교실 벽을 허물고 연결해 바닥에 스펀지 매트를 깔아 신체활동을 위한 다목적 교실을 확보하면 보다 안전한 신체활동을 위한 공간을 조성할 수 있다(Jo, 2019). 저학년 신체활동 활성화를 위한 교내 시설을 보완하여 학생들이 안전하게 활동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시급한 아젠다로 다루어질 필요가 있다.

3. 행정적 요인

초등학교 저학년 신체활동 수업에 영향을 미치는 세 번째 요인은 행정적 측면에서 비롯되었다. 하위 요인으로 과중한 업무에 따른 수업 준비 시간 감소, 학부모 민원 등 민감한 사안에 대한 방어적 태도를 발견할 수 있었다.

교사가 전문성을 발휘하여 수업을 재구성하고, 다양한 활동을 준비하는 것은 절대적으로 시간이 필요한 일이다. 그러나 학교에서 주어지는 과중한 업무, 매년 달라지는 학년 구성은 수업을 준비할 수 있는 시간을 축소하며, 때로는 열정으로 준비했던 교육 자료가 무용지물이 되도록 한다(Kim & Baek, 2012). Bae(2019)의 연구에서도 한 시간의 수업을 위하여 교사가 준비할 교구, 기자재, 운동복 등을 갖출 시간이 부족하다는 언급이 있었다. 이에 전담 교사 및 보조 강사의 배치 등과 같은 인력 지원에 대한 고려도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이와 더불어 학부모의 민원 등 민감한 사안에 방어적 태도를 취하는 학교 관리자의 태도는 교사의 신체활동 운영을 위축되게 만드는 요인이 되기도 하였다(Han et al., 2019). 교육활동에 대한 교사의 권한을 강화하고, 학교 구성원의 협력적 대처를 위한 다양한 방안이 논의될 필요가 있다.

결론 및 제언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저학년 신체활동에 관한 선행연구들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저학년 신체활동 수업을 경험한 초등교사들의 어려움과 수업 양상을 살펴보고, 저학년 신체활동 수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였다.

교사들은 저학년 신체활동 운영에 있어 문서적 교육과정을 실제 수업 장면에 적용하는데 있어 발생하는 어려움, 실천적 수업 전문성 발휘의 어려움, 그리고 저학년 신체활동이 장려받지 못하는 교직 문화에서 고충을 겪고 있었다. 이러한 어려움이 발생하는 요인에는 안전사고에 민감한 학교와 과중한 업무와 같은 행정적 요인, 저학년 신체활동을 위한 교수 자료 미흡 및 교사교육 시스템의 부재와 같은 교사 지원 요인, 발달단계에 따른 학습자의 특징과 공간적 환경과 같은 환경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초등교사들은 다양한 방법을 모색하며 수업을 운영하고 있었으며, 그 유형은 회피식 수업, 주먹구구식 수업, 교과서대로 수업, 교과서 재구성 수업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학교 저학년 신체활동 수업 운영 방안에 대한 제언을 하며 본 연구를 마무리하고자 한다. 첫째, 통합교과 교육과정 운영의 실제적 변화를 위한 다양한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일각에서는 독립적인 형태의 체육교육이 초등학교 저학년 단계에서도 이루어져야 함을 피력하며, 즐거운 생활 영역 내 신체활동 요소를 독립된 형태로 분과해야 한다는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Chang & Lee, 2014). 하지만 교육과정 체제를 흔들고 새로운 체제를 만들기에는 상당한 어려움이 뒤따를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즐거운 생활 내 신체활동 요소 포함 비율 확대(Han et al., 2019; MOE, 2021), K-FMS 구안 및 적용(Seo et al., 2021) 등 현재 상태에서 할 수 있는 다양한 개선방안이 논의되고 있으며, 이를 더욱 발전시킬 필요가 있다.

둘째, 내실 있는 저학년 신체활동 수업 운영을 위하여 현직교사나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한 다양한 연수 프로그램 및 강의, 교육자료가 개발되어야 한다. 앞서 말한 교육과정 유지 및 개선방안 마련과 함께 그에 상응하는 다양한 프로그램들이 연계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현장에 있는 교사들의 경험과 의견이 충분히 반영된 교육자료, 시·도 교육청 차원에서의 연수자료 및 교사 연수 보급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교육대학의 교육과정에서도 통합교과와 관련한 내용을 이론을 넘어서 실천적인 측면을 다룰 수 있도록 하는 예비교사 교육과정을 개발, 운영해야 한다(Jung & Jang, 2021). 교사가 수업 전문성을 발휘할 수 있는 환경이 다양한 방면에서 조성될 필요가 있다.

셋째, 교사들의 저학년 신체활동 수업 역량 강화를 위한 지속적 전문성 개발 활동(CPD)과 관련된 연구가 필요하다. 온전한 신체활동 수업이 가능하기 위해서는 교사가 수업 실행 전문가로서, 적극적 교육과정 개발자로서 성장할 수 있도록 하는 전문성 개발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를 탐색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이와 같은 전문성 개발 활동의 연구는 교사 개인적 차원에서의 노력이 수반되어야 한다. 따라서 수업을 계획하고 실행하는 주체인 교사는 이미 만들어진 교육 방법을 수동적으로 활용하는 것을 넘어서 능동적으로 학습자 수준에 맞도록 교육내용을 재구성할 수 있는 역량이 필요하다.

넷째, 저학년 신체활동에 관한 다양한 관점의 연구가 필요하다. Lee(2013)은 초등체육에 관한 연구가 주로 스포츠교육학 영역에서 편중적으로 이루어져왔다고 지적하였다. 스포츠를 통한 아동의 사회화 관점, 아동운동발달 및 생리적 특성 등 체육학 학문 분야에서 저학년 체육을 위한 연구가 다학문적 관점에서 수행될 여지가 있다. 또한, 발달 단계 특성상의 이유로 대부분의 저학년 신체활동 관련 연구는 교사의 관점에서 이루어져 왔으며, 학생들의 목소리를 들여다 본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했다. 따라서 학습자 중심의 배움을 지원하고, 학생의 수업 참여 동기 향상을 위하여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이와 더불어 저학년 신체활동에 관한 인식과 교육적 효과에 대한 연구도 추가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최근 저학년 신체활동에 대한 필요성 확대와 관심의 증가로 새롭게 개정된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 강조한 ‘저학년 학생들의 대근육 활용 신체활동 강화’, ‘실외놀이 시수 확보’ 등과 같은 정책적 변화가 긍정적인 신호탄으로 작용하기를 희망한다.

CONFLICT OF INTEREST

논문 작성에 있어서 어떠한 조직으로부터 재정을 포함한 일체의 지원을 받지 않았으며 논문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어떠한 관계도 없음을 밝힌다.

AUTHOR CONTRIBUTION

Conceptualization: Kyunghwan Jang, Data curation: Kyubin Park, Formal analysis: Kyubin Park, Funding acquisition: N/A, Methodology: Kyunghwan Jang, Projectadministration: Kyunghwan Jang, Visualization: Kyubin Park, Writing-original draft: Kyubin Park, Writing-review&editing: Kyunghwan Jang

REFERENCES

1 

Ahn, Y. (2005) A study for reexamination of validity and revisions on the ‘Pleasant life’ curriculum Korean Journal of Sport Pedagogy, 12(3), 33-50 .

2 

Bae, J. (2019) Independence movement of physical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The Korean Journal of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24(4), 63-77 .

3 

Cale, L., & Harris, J. (2013). Physical education and health: Considerations and issues. In S. Capel, & M. Whitehead (Eds.), Debates in physical education (pp. 74-88). Abingdon, UK: Routledge

4 

Chae, C., Jang, K., Park, M., Sung, K., & Hong, Y. (2020) 40 recipes for lower grades’ physical activities Jincheon: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5 

Chang, Y.-K., & Lee, J.-T. (2014) Study of physical education as a separated subject in elementary school lower grades The Journal of Korea Elementary Education, 25(4), 129-147 .

6 

Charmaz, K. (2014) Constructing grounded theory (2nd ed.) London, UK: Sage

7 

Cheon, J., & Jun, S. (2011) How pleasant is the ‘Pleasant life’ class? - A case study on the perceptions of a teacher and students on “Pleasant life” - The Korean Journal of the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16(3), 191-203 .

8 

Cho, M.-H. (2001) The analysis of integrating curriculum ‘Pleasant life’ Journal of Korean Physical Education Association for Girls and Women, 15(1), 183-192 .

9 

Cho, M. H., & Shin, K. C. (2010) Exploring the directions for improving P. E. curriculum for the elementary school 1-2th graders Korean Journal of Sport Pedagogy, 17(4), 19-37 .

10 

Choi, E.-C., & Jeon, S.-M. (2011) Cultivating sport literacy: Reexamining the purpose of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for whole person The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50(1), 93-107 .

11 

Choi, M., & Kim, S. (2012) A study on the actual condition & improvement plan of operating ‘Pleasant life’ curriculum in the elementary School The Korean Journal of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18(2), 157-173 .

12 

Dewey, J. (1902) The child and the curriculum Chicago, IL: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3 

Go, A. (2022) A study on the effect of teacher efficacy and school climate on teacher burnout in elementary school teachers: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resilienc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22(14), 167-181 .

14 

Han, J., Park, S., & Lee, J. (2019) Experience of reconstructing unit of Pleasant Life subject centered on physical activity using backward design and measures to promote physical activity in lower grades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9(24), 669-693 .

15 

Hoy, W. K., & Miskel, C. G. (2001) Educational administration: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6th ed.) Boston, MA: McGraw-Hill

16 

Jung, H., & Jang, K. (2021)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three main P.E. bodiesabout elementary pre-serive teacher education Korean Journal of Sport Pedagogy, 28(3), 61-84 .

17 

Jang, K. (2017)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An exploration on the practices and effects of collaborative teacher inquiry community for the development of novice teachers’ PE curriculum enactment competence

18 

Jo, K. (2019) Problems and improvements in physical education in lower elementary school Proceedings of Seminar Presentation Material Collection for Revitalization of Physical Education in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 Lower Grades, 37-43 .

19 

Kang, C., & Jeong, K. (2009) The direction for the future elementary integrated curriculum Journal of Curriculum Integration, 3(2), 19-41 .

20 

Kim, J. (2012) Activation of physical activity area map during ‘Amusive life (Jeoulguoon Sanghwal)’ Proceedings of the 23rd Acamemic Conference of the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Physical Education, 61-79 .

21 

Kim, J.-H., & Baek, J. S. (2012) Search for revitalizing of physical activity of the 1st and the 2nd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Korean Journal of Sport Pedagogy, 19(4), 85-104 .

22 

Kim, J., & Baek, J. (2014) Application status of physical activity to care class in elementary school and teachers’ perception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Physical Education, 19(2), 79-91 .

23 

Kim, S. (2018) A few ideas for understanding the integrated subjects Journal of Curriculum Integration, 12(3), 1-24 .

24 

Kim, S. J., & Choi, W. S. (2008) Elementary school teachers’ experiences and perceptions in ‘A pleasant life’ physical activity area Korean Journal of Sport Pedagogy, 15(1), 83-98 .

25 

Kim, S. Y., Park, J. E., Seo, H. J., Lee, Y. J., Jang, B. H., Son, H. J., ..., & Shin, C. M. (2011) NECA’s guidance for undertaking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 for intervention Seoul: National Evidence-based Healthcare Collaborating Agency

26 

Kim, T. (2022) Dong-A Ilbo Lower grades in elementary school, strengthening physical education, Retrieved from https://www.donga.com/news/Opinion/article/all/20220314/112312799/1

27 

Kitchenham, B., & Charters, S. (2007) Guidelines for performing systematic literature reviews in software engineering, Version 2.3: EBSE Technical Report EBSE-2007-01 Durham, UK: University of Durham

28 

Kong, K.-H. (2004)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Amusive life (Jeoulguoon Sanghwal)’ in elementary school Research Works from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Busa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6, 111-129 .

29 

Kong, K.-H. (2005)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Amusive life(Jeoulguoon Sanghwal) in elementary school The Korean Journal of the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11(1), 109-122 .

30 

Kwak, N. U., & Hong, B. K. (2007) The influences of movement activity on elementary student prosocial behavior and leadership life skill Journal of Holistic Convergence Education, 11(2), 51-70 .

31 

Lee, O. (2013) Trends and issues in kinesiology research and directions for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development The Korean Journal of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18(4), 113-128 .

32 

Lee, O., Choi, E., Jung, H., & Yoon, K. (2017) A systematic review of physical education teachers’ continuing professional development Korean Journal of Sport Pedagogy, 24(3), 1-23 .

33 

Lee, S. (2012) The connectivity of the 2009 revision of the integrated curriculum in elementary school: Focused on ‘The pleasant life’ of 1st and 2nd grades The Korean Journal of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18(3), 193-209 .

34 

Lee, S., Lee, M., Lee, E., Lee, S., Kang, H., Seol, K., ..., & Kim, A. (2021) 2022 revised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curriculum improvement study (CRC 2021-18) Jincheon: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35 

Lim, S. (2013) Teaching expression-activity competently: Exploring difficulties and improvements of teaching expression-activity within “Joyful life” The Korean Journal of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19(1), 1-13 .

36 

Lim, S. (2015) Exploring teaching-learning method of unified course of study in elementary school: Based on the expression-activity of 1st grade The Korean Journal of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21(3), 99-114 .

37 

MOE (Ministry of Education) (2015)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Sejong: Author

38 

MOE (Ministry of Education) (2021) The 2022 revised education curriculum outline(draft) Sejong: Author

39 

MOE (Ministry of Education) (2022)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Sejong: Author

40 

MOE (Ministry of Education) (2023) The 9th council of ministers on social affairs(press release) Sejong: Author

41 

Mong, H. H., & Standal, Ø. F. (2019) Didactics of health in physical education - A review of literature Physical Education and Sport Pedagogy, 24(5), 506-518 .

42 

Moon, H. (2017) Exploring the emotional experience of low-grade elementary school girls through physical education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7(18), 827-844 .

43 

Park, M., & Eom, W. (2018) A comparative analysis of physical activity in Pleasant Life subject on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Approach via OECD countries, physical activity guidelines The Korean Journal of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24(3), 51-62 .

44 

Park, S., & Lee, I. (2004)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physical expression activity programs for 1st-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the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10(1), 39-51 .

45 

Park, S., & Son, C. (2012) An integrated analysis of the subject of ‘Pleasant life’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elementary school physical education for lower grade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18(2), 257-271 .

46 

Placek, J. H. (1983) Conceptions of success in teaching: Busy, happy and good? In T. J. Templin, & J. K. Olson, (Eds.), Teaching in physical education Champaign, IL: Human Kinetics pp. 46-56

47 

Seo, J., & Kim, K. (2021) Exploring multilateral ways to promote physical education in low grades of elementary schools The Korean Journal of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27(2), 41-58 .

48 

Walsh, D., & Downe, S. (2005) Meta-synthesis method for qualitative research: A literature review Journal of Advanced Nursing, 50(2), 204-211 .

49 

Yoon, B.-C., & Song, Y.-G. (2022) Effects of physical self-concept and emotion towards after-school physical activity in the elementary students Journal of Coaching Development, 24(2), 93-102 .

50 

Yu, C. (2016) Reflection and vision on the nature and orientation of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Proceedings of 2016 Fall Conference on Korean Association of Sport Pedagogy, 3-34 .

Figure and Tables

View original
Fig. 1.
Literature selection process through PRISMA flow chart
kjss-2023-34-4-717f1.tif
View original
Table 1.
Final Analysis Literature List
No. Author (year) Title
1 Bae(2019) Independence movement of physical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2 Kim & Choi(2008) Elementary school teachers’ experiences and perceptions in ‘A pleasant life’ physical activity area
3 Han et al.(2019) Experience of reconstructing unit of Pleasant Life subject centered on physical activity using backward design and measures to promote physical activity in lower grades
4 Cheon & Jun(2011) How pleasant is the ‘Pleasant life’ class?
- A case study on the perceptions of a teacher and students on “Pleasant life” -
5 Kim(2012) Activation of physical activity area map during ‘Amusive life (Jeoulguoon Sanghwal)’
6 Kim & Baek(2012) Search for revitalizing of physical activity of the 1st and the 2nd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7 Park & Son(2012) An integrated analysis of the subject of ‘Pleasant life’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elementary school physical education for lower grade students
8 Seo et al.(2021) Exploring multilateral ways to promote physical education in low grades of elementary schools
9 Kong (2005)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Amusive life(Jeoulguoon Sanghwal) in elementary school
10 Choi & Kim(2012) A study on the actual condition & improvement plan of operating ‘Pleasant life’ curriculum in the elementary school
11 Cho & Shin(2010) Exploring the directions for improving P.
E. curriculum for the elementary school 1-2th graders
12 Lim(2013) Teaching expression-activity competently: Exploring difficulties and improvements of teaching expression-activity within “Joyful life”
View original
Table 2.
Example of a literature summary
part perception main cause
difficulties in physical activity teaching in lower grades gap between curriculum documentation and actual class 1. unbalanced activities insufficient support 1. inadequate resource provision
2. ambiguous curriculum
3. lack of connectivity 2. lack of teacher education system
a lack of practical teaching expertise 1. lack of integrated curriculum education expertise an environment to overcome 1. characteristics of learners
2. passive physical activity instruction 2. a free space absence
a teaching culture in which physical activity in the lower grades is not encouraged 1. insufficient interaction with fellow teachers rigid administration 1. less preparation time due to heavy work
2. vertical relationship with school administrators 2. a defensive attitude toward sensitive issues
teaching types exclusion: an avoidance-style class
arbitrary acceptance: an ad hoc class
passive acceptance: a textbook-dependent class
View original
Table 3.
Example of codes through content analysis
analysis criteria initial code focused code
difficulties in physical activity teaching in lower grades unbalanced activities gap between curriculum documentation and actual practice
ambiguous curriculum
lack of connectivity
lack of integrated curriculum education expertise a lack of practical teaching expertise
passive physical activity instruction
insufficient interaction with fellow teachers a teaching culture in which physical activity in the lower grades is not encouraged
vertical relationship with school administrato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