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교 학생선수를 위한 스포츠인권 교육프로그램 개발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Abstract

PURPOSE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sports-related human rights education program for college student-athletes.

METHODS

To do this, literature reviews, individual interviews, and experts’ meeting data were collecte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content analysis and domain analysis.

RESULTS

The study involved five steps. First, the literature reviews examined the problems and improvement points regarding previous sports-related human rights education programs. Second, the direction of human rights in sports education programs was developed based on certain development principles and criterion. Third, eight sports-related human rights education lesson plans were developed. Each lesson plan had a format that contained lesson objectives, ice breaking quizzes, core contents, discussion sections, and essential summaries. Fourth, the program was validated using a pilot test. Last, a “human rights in sports” instructor education program was executed.

CONCLUSIONS

The program can be effectively used among college student-athletes.

keyword
Human rights in sportsCollege student-athletesHuman rights sports education program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교 학생선수의 인권 의식 함양을 위한 스포츠인권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다.

[방법]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문헌분석, 면담, 전문가협의회를 진행했다. 첫째, 문헌은 스포츠인권 선행연구 및 기존 스포츠인권 교안, 정책보고서 등을 분석했다. 둘째, 면담은 12명의 개별 면담을 통해 스포츠인권 교육의 문제점과 개선안을 도출했다. 셋째, 전문가협의회를 통해 스포츠인권 교육프로그램의 개발 방향을 설정했다.

[결과]

본 연구는 총 5단계로 진행됐다. 첫째, ‘선행연구와 기존 스포츠인권 교안 및 면담 분석(1단계)’을 통해 기존 스포츠인권 교육의 문제점 및 개선안을 제시했다. 둘째, ‘스포츠인권 교육프로그램 개발 방향 설정(2단계)’은 개발원리 및 기준과 기본요소를 제시했다. 셋째, ‘스포츠인권 교육프로그램 차시별 특징(3단계)’은 학년군별 1-4차시로 총 8차시를 개발했고, 각 차시는 주제, 아이스브레이킹, 학습 목표, 핵심 개념 및 내용, 스포츠인권 관련 영상, 함께 생각해보기, 핵심 정리 순으로 구성했다. 넷째, ‘현장 수업 시연을 통한 프로그램 타당화(4단계)’는 대학교 학생선수(30명)를 대상으로 수업 시연을 통해 개발 프로그램의 장단점을 파악했다. 다섯째, ‘대학교 운동부 스포츠인권 전문강사 양성과정 운영(5단계)’은 스포츠인권 전문강사 양성과정을 통해 대학교 학생선수 인권교육(총 50회 이상)을 진행했다. 본 연구가 대학교 학생선수의 스포츠인권 교육을 위한 실제적인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주요 용어
스포츠인권대학교 학생선수인권교육프로그램

서론

최근 스포츠 분야의 인권침해가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2019년 발생한 쇼트트랙 성폭력 사건은 국민에게 큰 충격을 주었다. 또한, 2020년 철인3종경기 선수가 폭력과 괴롭힘으로 인해 목숨을 끊는 사건이 발생했다. 이런 현상의 주요 원인으로 국위선양을 목적으로 한 비정상적인 학교운동부 구조가 지적되고 있다(Hong, 2020). 학생선수는 ‘학생’의 신분에도 불구하고, ‘선수’로서의 운동기능 향상에만 치우쳐 인권 보호 문제에는 소홀해 왔다(Ahn & Hong, 2019; Hong & Yu, 2007). 국가인권위원회 실태조사에 따르면, 초·중·고·대학교 학생선수의 학습권 침해, 폭력, 성폭력 등 인권실태는 심각한 수준이며, 운동을 도중에 그만두는 경우 대인관계의 어려움, 학생으로 복귀의 어려움, 심리적 불안감 등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of the Republic of Korea, 2008, 2009, 2010).

대학운동부 스포츠인권 관련 연구들은 주로 학습권 침해(Kim & Park, 2020), 폭력(Yu, 2021), 성폭력(Kim, 2020)을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하지만, 최근에는 일상적 통제 등 스포츠인권 침해의 범위를 확장하려는 움직임이 진행되고 있다. 2019년 국가인권위원회의 대학교 운동부 인권실태 조사에 따르면, 대학교 운동부의 위계적이고 억압적인 문화와 관행 등으로 인해 심각한 인권침해가 발생하고 있음이 밝혀졌다(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of the Republic of Korea, 2019, 2020a). 일상적 통제의 예는 외출 및 외박 제한, 두발 염색 제한, 빨래 및 청소 강요, 심부름 강요, 휴대전화 사용 제한, 데이트 제한 등이다.

일상적 통제는 “선·후배 간, 지도자와 선수 간, 동료 간 권력 불균형을 바탕으로 운동부의 위계적 문화 속에서 발생하는 강제적인 폭력적 관습”으로 정의된다(Hong, 2021). 이는 성인으로서 본인의 삶을 스스로 결정해야 하는 대학생들을 통제와 관리의 수단으로 바라보고 학생선수의 자기결정권, 행동자유권, 행복추구권 등을 침해한다는 점에서 심각한 인권침해 사안이다. 일상적 통제의 원인으로는 운동부 기강 확립, 내부 결속력 강화, 선·후배 간 엄격한 위계 관계 등이 지적된다(Hong, 2021;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of the Republic of Korea, 2021). 한편, 대학교 인권센터, 학생상담센터, 양성평등센터 등의 조직은 인력과 예산 부족으로 인해 학생선수를 위한 별도의 인권 보호 및 구제체계를 갖추지 못하고 있다(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of the Republic of Korea, 2021). 이는 관계 당사자들이 학교운동부 내 일상적 통제 문화가 심각한 인권침해 사안임을 인지하지 못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최근 스포츠윤리센터, 학교체육진흥회, 대한체육회, 시·도교육청 등에서 학생선수와 지도자를 대상으로 스포츠인권 교육을 진행하고 있다. 그러나 교육내용이 (성)폭력 예방교육, 윤리교육 등으로 제한적이며, 강의방식이 일회성 및 대규모 교육에 치우쳐 실효성이 떨어진다(Kim et al., 2021). 이러한 상황에서 2021년 4월 국가인권위원회는 대한체육회장, 한국대학스포츠협의회장, 교육부 장관,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을 대상으로 대학교 운동부 폭력문화 개선을 권고했다. 구체적 내용은 대학교 운동부에서 발생하는 폭력적 통제의 징계 근거 마련과 이를 예방하기 위한 효과적 인권교육 실행이다. 특히, 기존 학생선수 대상 인권교육이 대규모, 형식적, 일회성으로 진행되는 점을 지적하며, 이를 개선할 것을 권고했다(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of the Republic of Korea, 2021). 권고의 실질적 이행을 위해서는, 대학운동부 학생선수의 일상적 통제를 비롯한 스포츠인권 침해 예방, 보호 및 증진을 위해 실천적인 맞춤형 인권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교 학생선수의 인권상황과 학습맥락을 반영한 맞춤형 인권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스포츠인권 교육프로그램이 향후 인권 친화적 대학교 운동부 문화 형성을 위한 실제적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대학교 운동부 학생선수의 인권상황과 학습맥락을 반영한 맞춤형 인권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문헌 분석, 면담, 전문가협의회를 실시했다. 본 연구의 구체적 과정과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스포츠인권 관련 문헌분석이다. 최종 분석 대상 연구물은 13편이며, 목록은 <Table 1>과 같다.

문헌분석을 위해 학술연구정보서비스에서 ‘학교운동부’, ‘학생선수’, ‘운동부지도자’, ‘인권교육’, ‘스포츠인권’, ‘폭력’, ‘성폭력’, ‘학습권’을 키워드로 검색했다. 이를 통해, 1차로 수집된 자료 중 원문이 미확보되거나 본 연구의 목적에 부합하지 않는 연구물을 제외하고 총 132편의 선행연구를 수집했다. 1차 분류는 연구 제목과 초록을 중심으로 68편을 선정했다. 다음으로 연구 대상, 주제 및 시사점을 기준으로 2차 분류하는 과정을 거쳤고, 연구진이 선정한 37편의 연구물 전문을 읽고, 이를 주제, 문제점 및 해결방안의 측면에서 내용분석을 진행했다. 마지막으로, 2019년 스포츠미투 사건을 계기로 스포츠인권 관련 정책 및 권고와 조직이 신설된 점을 고려하여 최근의 사회적 변화를 반영한 연구물에 중점을 두기로 했다. 이를 통해 2020년 이후에 발표된 선행연구 총 13편을 최종 분석 대상으로 선정했다. 문헌분석 결과는 대학교 운동부 학생선수를 위한 스포츠인권 교안 개발의 방향과 시사점 탐색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했다. 한편, 선행연구 외에 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자료를 수집했다. 그 예는, 서울시 체육회, 국가인권위원회 등에서 발간한 스포츠인권 관련 정책보고서 및 자료집, 대한체육회, 한국대학스포츠협의회, 학교체육진흥회 등에서 개발된 스포츠인권 교안 등이다.

둘째, 연구참여자는 총 12명으로 전(前) 대학운동부 학생선수, 스포츠인권 교육 강사, 스포츠인권 전문가로 구분하여 면담을 진행했다. 구체적인 면담 과정은 연구참여자에게 면담 질문지를 이메일로 보내 충분히 검토할 시간을 준 후, 개별 면담을 1-2시간 정도 진행했다. 면담 질문지는 연구참여자의 특성을 고려해 대상별 세 가지 유형으로 구성했다. 질문 예시는 전 대학교 학생선수의 경우, 경력, 인권 침해 경험 등이다. 스포츠인권 교육 강사의 경우, 강의 이력, 스포츠인권 교육의 현황 및 실태, 문제점 등이다. 스포츠인권 전문가의 경우, 스포츠인권 관련 연구 경험, 인권교육의 특성, 교수학습·방법, 평가 등이다. 면담은 코로나 상황을 고려하여 대면 및 비대면을 병행하여 실시했다. 모든 면담은 연구참여자의 동의하에 녹음 및 녹화한 후 전사했다. 전사한 면담 내용은 정확성을 위해 연구참여자에게 확인 및 수정작업을 진행했다. 연구참여자의 특성은 <Table 2>와 같다.

자료 분석은 Marshall & Rossman(2011)이 제시한 질적자료분석 절차에 근거해 영역별 주제를 도출했다. 또한, 연구의 진실성 확보를 위해 동료 간 협의 및 삼각검증을 진행했다. 이를 통해 영역별 주제는 기존 스포츠인권 교육의 문제점(교육방식, 교육내용, 교육의 질 관리)과 개선점(다양한 인권 개념 제시, 이론과 현장의 연계, 강사의 역할 변화)으로 범주화되었다.

한편, 스포츠인권 관련 전문가 3인을 선정해 전문가협의회를 진행했다. 전문가협의회는 스포츠인권 교육프로그램의 내용, 형식, 절차적 타당성과 관련된 부분을 논의했다. 이를 바탕으로 대학교 학생선수 스포츠인권 교육프로그램의 개발원리 및 기준과 기본요소를 설정했고, 오프라인용(총 8차시)과 온라인용(총 4차시)으로 스포츠인권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했다.

이후 연구진과 자문위원이 소속된 대학교 학생선수를 대상으로 개발 프로그램의 차시별 수업 시연(2회)을 통해 프로그램의 타당성을 확보하고자 했다. 마지막으로, 개발된 대학교 운동부 스포츠인권 교육프로그램을 바탕으로 스포츠 인권 강사양성 교육을 진행했다.

연구결과

연구 결과는 총 5단계이다. 구체적으로, 1단계는 ‘선행연구, 기존 스포츠인권 교안 및 면담 분석 결과’이다. 2단계는 ‘스포츠인권 교육프로그램 개발 방향 설정’이다. 3단계는 ‘스포츠인권 교육프로그램 차시별 특징’이다. 4단계는 ‘현장 시연을 통한 프로그램 타당화 과정’이다. 5단계는 ‘대학교 학생선수 스포츠인권 전문 강사 양성과정’이다.

1단계: 선행연구, 기존 스포츠인권 교안 및 면담 분석 결과

1. 선행연구 분석 결과

선행연구 분석 결과, 미국의 학교운동부 종목별 운영 규정은 경기력뿐만 아니라 대학생으로서의 신분과 역할 및 건강 전반을 고려하고 있었다(Hong et al., 2021). 이는 종목별 운동부 운영 규정이 전무한 국내 학교운동부 현장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판단된다. 한편, 국내 대학교 학생선수는 자유의 억압과 자기결정권의 통제로 인해 행복추구권을 박탈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운동부의 정체성을 획득하는 과정에서 학생선수는 고립, 부적응, 수동적인 삶과 상실 등을 경험했다(Yim & Hong, 2021). 특히, 학생선수 대다수가 합숙소 생활 등에서 일상적 통제를 경험하고 있었다(Jun, 2021). 이는 권위주의와 서열문화의 구조적 대물림을 원인으로 지적한 선행연구의 결과와 맥을 같이한다(Jang & Kim, 2021; Kwon & Nam, 2021; Yim & Hong, 2021). 따라서, 대학교 운동부 운영규정 제정과 더불어 인권 침해 문화 개선을 위한 체계적인 스포츠인권 교육이 요구된다.

다음으로, 학생선수의 성인지감수성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Jeon & Kim, 2021). 따라서 학생선수들은 성폭력 상황에서 문제의 심각성을 뒤늦게 인지하고, 제대로 대응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다(Seo & Cha, 2021). 또한, 학생선수가 성폭력을 경험한 후 피해구제 시스템이 제대로 작동되지 않는 문제도 존재했다(Jang & Kim, 2021; Kim, 2020). 따라서 학생선수의 성인지감수성 증진을 위한 법·제도적 차원의 시스템 마련과 실효성 있는 교육이 요구된다(Hong, 2021; Yim & Hong, 2021).

한편, 서울시체육회, 국가인권위원회 등에서 발간한 스포츠인권 정책보고서 및 심포지엄 자료집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서울시체육회의 ‘스포츠인권 침해 예방·대응 매뉴얼’은 스포츠인권의 이해에서부터 스포츠인권 침해 발생 시 처리 절차, 스포츠인권 침해 예방 가이드 등이 사례 중심으로 체계적으로 구성되었다. 따라서 스포츠인권 교안에 사례에 기반한 다양한 내용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둘째, 국가인권위원회의 자료집 분석 결과, 스포츠인권 정책의 현주소를 침묵과 방관의 관점에서 진단하고 있었다(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of the Republic of Korea, 2019, 2020a, 2020b). 따라서 교안은 인권침해 발생 시 이를 적극적으로 드러내고 해결할 수 있는 체계적 시스템을 교육할 필요가 있다. 셋째, 국가인권위원회 스포츠인권침해 실태조사의 경우, 인권침해 실태에 대한 객관적 지표를 소개하고 있었다. 따라서 교안은 현 실태의 심각성을 인지할 수 있도록 훈련 및 시합, 합숙 상황에서 발생하는 인권침해 예방을 위한 행동강령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

2. 기존 스포츠인권 교안 분석 결과

기존 스포츠인권 교안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한체육회의 ‘스포츠인권 향상 대상별 교육’이다. 이 교안은 스포츠 폭력의 개념, 유형, 상황별 예방법, 스포츠 성폭력의 개념, 유형, 상황별 스포츠 성폭력 예방법, 스포츠 (성)폭력 처리절차 등을 직관적인 이미지로 제시하고 있었다. 하지만, 스포츠인권의 주제가 폭력, 성폭력 등으로 한정되어 스포츠인권의 다양한 범주에 대한 충분한 이해를 도모하지 못하고 있었다.

둘째, 국가인권위원회의 ‘대학교 학생선수 스포츠인권교육’이다. 이 교안은 학생선수가 경험하는 인권침해 유형을 실제 사례 및 객관적 정보를 제공하고 있었다. 주목할만한 점은 스포츠인권 침해 상황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토론을 일부 포함하고 있었다.

셋째, 한국대학스포츠협의회의 ‘대학운동부 학생선수 소양교육’이다. 이 교안은 스포츠인권에 대한 다양한 영상 자료를 제시하여 학생선수의 이해를 높이고 있었다. 또한, 스토리가 있는 주제별 내용제시(예, ‘공부는 4학년 때 끊었어요’, ‘선수가 하고 싶은 운동을 더 좋아하게 만드는 것이 코치의 목표’)를 통해 학생선수의 흥미 유발에 중점을 두고 있었다.

넷째, 학교체육진흥회의 ‘초·중·고 학생선수 인권교육’이다. 이 교안은 인권과 스포츠인권 개념을 학교급별(초·중·고)로 수준을 달리하여 제시했다. 예를 들어, 초등학교 교안인 ‘인권이라는 보물상자’는 인권의 개념과 인권침해 상황(예:차이와 차별, 권리, 편견, 장난과 폭력의 경계 등)을 시각적 자료를 활용하여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였다. 또한, 중·고등학교 교안은 초등학교 교안을 바탕으로 학교급별 수직적 계열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기존 스포츠인권 교안 분석을 통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스포츠인권 개념에 대한 범주 확장이 요구된다. 둘째, 대학교 학생선수의 성별, 종목별, 환경별 특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셋째, 자기결정권, 자기돌봄권, 동의 등의 개념을 학교운동부 상황과 연결해서 설명할 필요가 있다. 넷째, 학년군 및 차시별 계열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3. 면담 결과

면담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 대학교 학생선수, 스포츠인권 교육 강사, 스포츠인권 전문가 총 12명을 대상으로 했으며, 기존 스포츠인권 교육의 문제점과 개선점을 중심으로 분석했다. 첫째, 기존 스포츠인권 교육의 문제점이다. 연구참여자들은 교육방식에 대한 문제점을 지적하고 있었다.

큰 강당에서 인권 강의를 진행한 적이 있는데 2층에 있는 학생들은 보이지도 않죠. 그때, 150명이 한 번에 강의 듣는 걸 보고 ‘이거 진짜 감당이 안 된다.’라는 생각이 들었죠. (스포츠인권 교육 강사 I)

스포츠인권 교육을 시행해온 기관은 인권교육을 사업으로 인식하여 실적을 높이기 위한 효율성을 중시하고 있었다. 이에 따라 기존 인권교육은 대단위 집체교육과 함께 기관별로 유사한 내용을 반복하는 현상이 나타났다. 이는 선행된 인권교육 교안 분석에서도 드러난 문제점이었다.

1-4학년 학생들이 모여 교육을 받았었는데 어떤 내용이었는지 정확히 기억이 안 날 정도로 형식적이었어요. 애들은 다 딴짓하고 잘 안 들었죠. (전 학생선수 C)

다음으로, 스포츠인권 교육내용의 협소화 문제이다.

대한체육회에서 진행했던 프로그램이 ‘스포츠인권’이라는 명칭을 갖고서 ‘폭력’과 ‘성폭력’ 예방교육만 했던 건 문제라고 생각해요. 인권의 극히 일부분인 폭력 및 성폭력 예방이 스포츠인권의 전부인 것처럼 되어 버린 거죠. 스포츠윤리센터의 경우는 아예 인권보다 ‘스포츠 윤리교육’을 중심으로 교육을 진행하기도 했구요. (스포츠인권 교육 강사 H)

기존의 여러 기관에서 진행한 스포츠인권 교육은 내용이 주로 폭력 금지에 대한 당위적 내용으로만 구성되어 있어 학습자의 흥미와 관심을 끌어내기에는 어려운 측면이 있었다. 이는 스포츠인권 교육의 내용선정 기준이 명확하지 않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성)폭력 예방 교육 일변도로 진행된 기존의 인권교육은 인권감수성 증진 등 내용 범위의 확장이 요구된다.

마지막으로, 스포츠인권 교육 강의의 질이 강사에 따라 달라지는 부분도 확인할 수 있었다. 예를 들어, 인권이나 상담을 배경으로 가진 일부 강사들은 대학교 학생선수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강사의 역량에 따라 강의 질이나 내용이 달라지기도 하죠. 표준 강의안이 나와도 강사가 어떤 배경을 가졌는지에 따라 강조점이 달라지는 거죠. (스포츠인권 전문가 K)

강사가 운동부랑 맞지 않는 사례를 제시하면 누가 교육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려고 하겠어요? (전 학생선수 F)

이는 스포츠인권 강사 모집에 있어서 스포츠에 대한 이해가 다소 부족한 일반 상담 교육 강사나 인권교육 강사 등이 참여할 경우, 스포츠 분야의 종목별, 환경별 특수성에 대한 교육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둘째, 스포츠인권 교육의 개선점이다. 먼저, 연구참여자들은 다양한 인권 개념 제시와 더불어 이론과 현장의 연계가 필요함을 지적했다.

인간의 존엄성 등 인권의 기본 개념을 알아야 해요. 또한, 세계인권선언문이나 여성 차별철폐협약 같은 인권 관련 협약 등도 중요한 내용이죠. (스포츠인권 교육 강사 H)

한 주간 훈련이 어떻게 진행되는지 미리 알 권리가 있는데, 저희는 훈련 일정이 당일 공지되는 일이 다반사였어요. 또한, 자기결정권에 대한 교육도 필요해요. 대학생임에도 언제 휴식을 해야하는 지에 대한 요구를 감독님께 말할 수가 없었어요. (전 학생선수 B)

다음으로, 연구참여자들은 강사가 지식 전달자가 아닌 촉진자로서 역할을 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강사는 퍼실리테이터(facilitator)로서의 역할에 충실해야 한다고 봐요. 즉, 딜레마 상황 질문을 많이 던져주면서 토론을 이끌어내는 역할을 해야죠. (스포츠인권 교육 강사 I)

운동부 생활만 오래 하다보니, 일반 대학생의 문화를 접해볼 시간이 부족하고 시야가 좁아요. 따라서 강사는 토론을 통해 학생선수의 시야를 넓히고, 그들의 적극적인 표현을 끌어낼 필요가 있어요. (스포츠인권 전문가 K)

종합하면, 기존 스포츠인권 교육의 문제점으로는 교육방식의 형식성, 내용의 협소화, 내용 선정기준의 불명확성, 강사의 질 관리 측면이 지적되었다. 이에 대한 개선점으로는 내용 범위의 확장, 이론과 현장의 연계 및 강사의 역할 변화가 제시되었다.

2단계: 스포츠인권 교육프로그램 개발 방향 설정

1. 개발원리 및 기준

스포츠인권 교육프로그램의 개발원리 및 기준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시대상 반영이다. 이를 위해 영화, 드라마, 예능 등의 스포츠인권 관련 영상을 추출하여 교안에 포함했다. 또한, 영상은 성별의 균형과 종목별 다양성을 고려해 선정했다. 이를 통해 학생선수의 흥미와 관심 및 최신 트렌드를 반영하고자 했다. 둘째, 학생 참여 증진을 위한 암기 위주의 강의식 교육 지양이다. 이를 위해 학생선수가 쉽게 참여할 수 있는 토론주제를 중심으로 학습내용을 구성했다. 셋째, 내용의 계열성 확보이다. 구체적으로, 1) 단순에서 복잡으로, 2) 필수적인 내용의 학습, 3) 전체에서 부분으로, 4) 연대순에 따라 학습 순서를 계열적으로 구성했다(Yu, 2016). 넷째, 통합성 확보이다. 이를 위해 차시별 순서와 주제가 상호유기적이고, 횡적 관계를 유지하며 일관성을 갖도록 주제, 목차, 아이스브레이킹, 스포츠인권 관련 영상시청, 핵심 개념 및 내용 제시, 함께 생각해보기, 핵심 정리 순으로 구성했다.

2. 기본요소

스포츠인권 교육프로그램 개발 방향의 기본요소인 성격, 목표, 내용, 교수·학습 방법, 평가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격은 ‘스포츠인권 개념의 이해와 인권의식 함양 및 실천을 통한 인권친화적 스포츠 문화 형성’으로 설정했다. 이는 오랜 기간 학교운동부에 소속되어 엘리트스포츠 문화를 답습해온 대학교 학생선수의 문화 대물림 현상에 주목하고 이를 인권친화적 스포츠 문화로 바꿔내기 위함이었다. 또한, 대학교 학생선수의 성별, 종목별 특성을 고려한 토론 등 참여형 성격을 지향해 현장에서 실질적인 활용에 중점을 두었다. 둘째, 목표는 ‘인권친화적 삶의 실현을 통한 대학교 운동부 문화의 질 향상’으로 설정했다. 셋째, 내용선정은 중요성, 타당성, 유용성, 사회적 효용성, 학습 가능성, 실행 가능성을 기준으로 삼았다(Hong, 2016). 이를 통해 교육내용이 학습 목표의 달성과 직접적인 연관이 있도록 선정하였으며, 학습자의 관심과 흥미를 끌고, 대학교 운동부 문화와 현실의 실제적 맥락을 고려하여 선정했다. 넷째, 교수·학습 방법은 개별성, 통합성, 적합성의 원리를 고려했다(Yu, 2016). 예를 들어, 개별성의 경우 대학교 학생선수가 성별, 종목별, 환경별 특성이 다양함을 고려하여 맞춤형 사례 제공과 토론주제 선정을 통해 학습 소외 현상을 최소화하고자 했다. 다섯째, 평가는 인권 교안 차시별로 질의응답, 상호토론, 조별 발표를 활용하여 핵심 개념 이해 여부를 확인했다.

3단계: 스포츠인권 교육프로그램 차시별 특징

이상을 통해 개발된 학년군별 1-4차시 스포츠인권 교육프로그램의 특징은 <Table 3, 저학년군> 및 <Table 4, 고학년군>과 같다. 각 차시는 50분 분량으로 아이스브레이킹 등 도입(5분), 목차 및 학습목표 제시(2분), 본 내용(35분), 함께 생각해보기(5분), 핵심정리(3분) 순으로 구성했다. 영상 자료는 차시별로 4-6개(10-20분 분량)이며 국가인권위원회와 스포츠윤리센터, 프로스포츠협의회 등에서 제작한 스포츠인권 관련 영상, 최근 방영된 스포츠 주제 드라마에서 인권침해와 관련한 상황을 다룬 영상, 예능프로그램의 스포츠 선수 출연 시 선수 생활 경험 및 애로사항 중 인권과 관련한 내용 등을 유튜브를 통해 공개된 관련 영상 등을 편집하였다. 사용된 영상은 저작권 여부를 확인 후 영상 출처를 표기하여 교안에 포함하였다. 개발된 스포츠인권 교육프로그램의 구체적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차시별 주제이다. 저학년군과 고학년군의 차시별 주제는 일관성을 유지하되 학년군별로 수준을 달리해 저학년군은 기본편, 고학년군은 응용편으로 구성했다. 이는 학년군별 내용 주제의 나선형(spiral) 원리를 고려한 것으로 저학년군에서 학습한 내용의 동일한 주제를 고학년군에서 보다 심화 학습하는 형태로 제시했다. 예를 들어, 저학년군 1차시에서 인권과 스포츠인권의 개념을 각각 이해하기 쉽게 제시했다면, 고학년군 1차시에서는 인권과 스포츠인권의 관계에 중점을 두어 이를 본인의 경험과 연관해서 토론하는 방식으로 제시했다. 차시별 주제는 ‘스포츠인권의 이해(1차시)’, ‘반인권적 스포츠문화 탐색(2차시)’, ‘스포츠인권 감수성 증진(3차시)’, ‘스포츠인권의 실천(4차시)’이다.

둘째, 아이스브레이킹은, ‘내가 생각하는 스포츠와 인권(저학년 1차시)’, ‘함께 생각해보는 운동선수와 대학생(저학년 2차시)’, ‘스포츠인권하면 떠오르는 것들(저학년 3차시)’, ‘이런 상황에서는 어떻게 할까요?(저학년 4차시)’, ‘스포츠와 인권의 관계(고학년 1차시)’, ‘함께 생각해보는 운동부문화의 대물림(고학년 2차시)’, ‘합숙소에서 발생하는 일들 이어말하기(고학년 3차시)’, ‘함께 생각해보는 선수은퇴 이후의 삶(고학년 4차시)’이다.

셋째, 학습 목표는 차시별로 다음과 같다. 저학년군 차시별 목표는 ‘인권 및 스포츠인권의 개념 이해(1차시)’, ‘반인권적 학교운동부 문화와 구조 이해(2차시)’, ‘스포츠인권감수성, 성인지감수성, 스포츠 인권리터러시 및 동의 개념의 이해(3차시)’, ‘자기결정, 자기돌봄의 이해 및 스포츠인권침해 대응 및 신고 실천(4차시)’이다.

한편, 고학년군 차시별 목표는 ‘스포츠와 인권의 관계 및 스포츠인권침해의 유형 이해(1차시)’, ‘반인권적 스포츠문화와 구조 이해 및 인권친화적 스포츠 가치 탐색(2차시)’, ‘스포츠인권감수성, 성인지감수성, 스포츠리터러시 증진(3차시)’, ‘스포츠인권침해 대응 및 신고 실천과 선수의 권리 및 책임(4차시)’이다.

넷째, 핵심 내용은 차시별 3개씩 구성되었다. 저학년 1차시는 ‘인권의 개념’, ‘스포츠인권의 개념’, ‘스포츠인권침해의 유형’이다. 저학년 2차시는 ‘학교운동부 문화 탐색’, ‘반인권적 스포츠 구조’, ‘학생선수 개념과 담론 변화’이다. 저학년 3차시는 ‘학생선수의 스포츠 사회화 과정’, ‘스포츠인권 감수성 및 성인지감수성’, ‘동의의 개념 이해’이다. 저학년 4차시는 ‘스포츠인권침해 대응 및 신고절차’, ‘자기결정권, 자기돌봄, 자기존중’, ‘스포츠인권 헌장’이다.

한편, 고학년 1차시는 ‘인권의 개념’, ‘스포츠와 인권의 관계’, ‘스포츠인권침해의 유형’이다. 고학년 2차시는 ‘엘리트스포츠 문화 및 구조’, ‘학생선수가 경험하는 차별과 대물림’, ‘인권친화적 스포츠의 가치’이다. 고학년 3차시는 ‘스포츠인권감수성 및 성인지감수성’, ‘스포츠인권리터러시’, ‘인권친화적 학교운동부 문화’이다. 고학년 4차시는 ‘스포츠인권 침해 대응 및 신고절차’, ‘선수의 권리와 책임’, ‘선수행동규범’이다.

다섯째, 차시별 영상 자료는 다음과 같다. 저학년 1차시는 ‘세계인권선언문 소개’, ‘스포츠헌장과 현장사이’, ‘학습권의 의미’, ‘스포츠 인권존중’, ‘대학생활의 의미’, ‘인권먼저, 즐거워야 스포츠다’ 등 6개이다. 저학년 2차시는 ‘후배 짐 들어주는 선배’, ‘대한민국 스포츠 공장에서는’, ‘내가 운동을 포기한 이유’, ‘슬기로운 인권 생활’ 등 4개이다. 저학년 3차시는 ‘우리, 언제까지 이래야 되는 거야?’, ‘그녀의 눈 이야기’, ‘불편한 시선’, ‘동의란 무엇일까?’ 등 4개이다. 저학년 4차시는 ‘스포츠 인권침해 신고 절차’, ‘스포츠 현장에서 존중이란’, ‘스포츠인권선서’ 등 3개이다.

한편, 고학년 1차시는 ‘모든 사람을 위한 존엄’, ‘스포츠인권 전반의 이해’, ‘운동 성적과 행복의 관계’ 등 3개이다. 고학년 2차시는 ‘사라져야 할 꼰대 문화’, ‘공포와 폭력의 대물림’, ‘폭력을 고백하는 용기’, ‘폭력의 증거를 묵인하는 감독’, ‘두려움 없이 운동하고 싶어요’, ‘스포츠의 가치’ 등 5개이다. 고학년 3차시는 ‘치마가 좀 길다’, ‘sports for all’, ‘예의와 배려, 존중의 경계’, ‘운동부 문화의 객관화’, ‘스포츠에서의 동의’, ‘후회하지 않을 자신’ 등 6개이다. 고학년 4차시는 ‘스포츠 인권침해 신고 절차’, ‘스포츠 분야 산업 재해’, ‘스포츠 근로계약서’, ‘진로를 고민하는 학생선수에게’ 등 4개이다.

여섯째, 함께 생각해보기의 경우, 저학년군은 ‘학습권 침해, 폭력, 성폭력, 일상적 통제 이해하기(1차시)’, ‘일상적 통제 경험 나누기(2차시)’, ‘훈련 중 자신의 동의없이 지시나 강요받은 경험 나누기(3차시)’, ‘자신만의 스포츠인권 행동강령 작성(4차시)’이다.

한편, 고학년군은 ‘스포츠와 자유권, 건강권, 안전권, 평등권, 환경권의 관계 생각하기(1차시)’, ‘반인권적 운동부 문화의 대물림 경험 나누기(2차시)’, ‘반인권적 경험에 대한 후회 나누기(3차시)’, ‘선수 경험의 긍정적·부정적 영향 나누기(4차시)’이다.

마지막으로 스포츠인권 교육프로그램의 예시는 <Figure 1>과 같다. 차시별 첫 7개 슬라이드는 ‘제목, 강사소개, 아이스브레이킹, 목차, 학습 목표 표지 및 내용, 핵심 개념 표지’로 구성했다. 또한, 차시별 마지막 5개 슬라이드는 ‘함께 생각해보기 표지 및 내용, 핵심정리 표지 및 내용, 마무리’로 구성했다. 차시별 중간 내용은 핵심 개념, 영상, 함께 생각해보기, 핵심 정리 등으로 구성했으며, 분량에 따라 총 27-35개 슬라이드이다.

4단계: 현장 수업 시연을 통한 프로그램 타당화

개발된 대학교 학생선수 스포츠인권 교육프로그램 중 저학년군 1-4차시는 현장 수업 시연을 통해 의견을 수렴했다. 수업 시연은 스포츠인권 교육프로그램 개발자와 자문위원이 짝을 이루어 한 차시당 50분씩 두 차시에 걸쳐 진행했다. 이 과정에 참여한 학생선수들은 개방형 설문과 질의응답을 통해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의견을 제시했다. 수업 시연은 추후 강의 개선 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학생선수들의 사전 동의를 구하고 영상으로 녹화했다. 참여 대상은 연구진과 자문위원이 소속된 대학의 협조를 통해 총 30명의 1-2학년 남녀 학생 선수가 참여했으며, 종목은 육상, 레슬링, 정구, 검도, 탁구, 양궁 등이었다. 개방형 설문 문항은 ‘대학교에서 직·간접적으로 경험한 일상적 통제 문화’, ‘자신이 생각하는 인권침해 원인과 문제’, ‘스포츠인권 개선을 위해 필요한 부분’, ‘인권 교육프로그램의 좋은 점과 개선점’ 등이었다.

개방형 설문 분석 결과, 일상적 통제 문화로는 ‘졸업생 반지 주문’, ‘단체복 맞추기’, ‘운동 시 공용으로 필요한 물품 후배가 챙기기’, ‘빨래 대신하기’, ‘선배가 지시한 편의점 심부름 다녀오기’, ‘신입생 시절 외출·외박 시 선배들에게 허락받고 위치 보고’ 등으로 나타났다. 그 이유로는 ‘선·후배 상호 간 존중 부족’, ‘생각이 어려서’, ‘인권침해를 당하고 있다는 사실 자체를 인식하지 못해서’, ‘후배 때 당했던 행동을 선배가 되어 대물림하기 때문에’ 등이었다. 또한, 개선점으로는 ‘선수와 지도자의 인식 개선’, ‘선·후배 간 수평적 의사소통 문화 형성’ 등이 제시됐다.

한편, 인권 교육프로그램의 장점은 ‘지금까지 당연하다고 생각한 일상적 통제가 인권침해 요소임을 새롭게 인식하게 됨’, ‘토론을 통해 동료들의 생각을 들어서 좋았음’, ‘강의 내용들이 쉽게 이해됨’, ‘인권감수성이나 스포츠인권 리터러시 등 몰랐던 용어들에 대해 알게 됨’이었다. 이에 반해, 인권 교육프로그램의 단점은 ‘50분의 시간 안에 이해해야 할 내용이 너무 많음’ 등으로 나타났다. 이는 수업 시연 중 토론 시간이 예상보다 길어졌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또한, 질 높은 강의 전달과 원활한 토론을 위해서는 스포츠인권 교육 강사들의 프로그램에 대한 충분한 이해가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5단계: 대학교 운동부 스포츠인권 전문강사 양성과정 운영

개발된 프로그램을 바탕으로 이를 교육할 스포츠인권 전문강사 양성과정을 추진했다. 전문 강사 선발은 서류전형, 강의 영상 및 면접 심사로 진행됐다. 최종 선발된 강사 11명은 스포츠 인권교육 프로그램 개발자와 자문위원 등이 총 5일간에 걸쳐 ‘대학스포츠 인권 기본 지식’, ‘학년별 인권교육 교안’과 ‘실전 강의 시연 및 점검’으로 진행했으며 구체적 일정은 <Table 5>와 같다.

양성과정을 수료한 전문강사는 1회당 2시간씩 인당 5-6회에 걸쳐 전국의 대학교 학생선수를 대상으로 스포츠인권 교육을 진행하였다. 연구진은 스포츠인권 전문강사 양성과정 및 실제 진행된 스포츠인권 교육을 통해서 개발된 스포츠인권 교육프로그램의 효과성 및 개선점에 대한 다양한 피드백을 들을 수 있었다. 다만, 구체적인 스포츠인권 전문강사 양성과정의 경험, 대학교 현장에서 실시된 스포츠인권 교육의 효과, 전체적인 프로그램 평가와 실행에 대한 연구진의 반성 과정 등은 후속 연구 과제로 남겨둔다.

논의

본 연구의 목적은 인권친화적인 대학스포츠 문화 조성을 위해 대학교 학생선수를 대상으로 한 소규모 참여형 인권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한 논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포츠인권 교육내용과 방식의 적정화이다. 그동안 스포츠인권 교육내용은 학습권 침해, 폭력, 성폭력, 스포츠 윤리 등에 국한되어 왔다. 따라서 스포츠인권의 범주를 확장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스포츠에서의 권리 증진, 차별 해소, 혐오 배제, 동의, 평화, 성평등, 친환경과 같은 개념을 포함할 필요가 있다. 또한, 기존의 인권 교육은 대단위 강의식으로 진행되어 ‘형식적’이라는 인식이 컸다. 이에 따라, 변화하는 시대의 흐름에 맞춰 인권교육의 내용과 방식을 지속적으로 수정하고, 대학교 학생선수의 특성을 반영한 맞춤형 교수 학습이 필요하다.

둘째, 스포츠인권 교육 전문강사 양성 및 질 관리이다. 아무리 좋은 인권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되어도 이를 실행할 강사의 전문성이 부족하면 효과를 얻기 어렵다. 최근, 스포츠인권 교육 대상의 범위가 확장되고, 교육 횟수도 증가하고 있다. 현장의 수요 충족을 위해 국가인권위원회, 스포츠윤리센터, 대한체육회 등에서 스포츠 인권교육 강사 양성과정을 운영해오고 있다. 하지만, 강사의 전문성을 지속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노력이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체계적인 스포츠인권 교육 전문강사 양성과정 마련과 더불어 보수과정을 통한 질 관리가 요구된다.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대학교 학생선수를 대상으로 스포츠인권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1단계에서는 스포츠인권 선행 연구 및 정책보고서 분석, 기존 스포츠인권 교안 내용분석, 스포츠인권 관련자(전 학생선수, 스포츠인권 교육 강사, 스포츠인권 전문가) 면담을 진행했다.

2단계에서는 스포츠인권 교육프로그램의 개발 방향을 설정했다. 개발원리 및 기준은 최신 경향 반영, 합리성, 타당성, 실천가능성, 계열성, 통합성 등이다. 또한, 스포츠인권 교육프로그램 개발의 기본요소로 성격, 목표, 내용, 교수·학습 방법, 평가를 설정했다.

3단계에서는 스포츠인권 교육프로그램을 학년군별 4차시로 총 8차시에 걸쳐 개발했다. 각 차시는 주제, 아이스브레이킹, 학습 목표, 핵심 개념 및 내용, 스포츠인권 관련 영상, 함께 생각해보기, 핵심 정리 순으로 구성했다.

4단계에서는 스포츠인권 교육프로그램의 현장 수업 시연을 통해 타당화 과정을 거쳤다. 현장 교육은 연구진과 자문위원이 소속된 대학의 협조를 얻어 해당 대학 학생선수 30명을 대상으로 저학년군 프로그램을 시연했다. 학생선수들로부터 얻은 개방형 설문과 질의응답을 통해 프로그램의 장단점과 개선점을 파악할 수 있었다.

5단계에서는 개발된 프로그램을 바탕으로 스포츠인권 전문강사 양성과정을 진행했다. 양성과정은 최종 선발된 강사를 대상으로 스포츠인권 교육프로그램 개발진이 5일간 대학스포츠의 인권 기본지식, 학년별 대학운동부 인권교육 교안과 전문 강사 실전 강의 시연 및 점검으로 진행했다.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12명을 대상으로 개별 면담을 진행했다. 후속 연구에서는 개별 면담과 더불어 포커스그룹 면담을 추가할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 연구참여자 개인이 느끼는 문제점과 더불어 집단 토론의 과정에서 기존 인권교육의 문제점과 개선점을 보다 심층적으로 분석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둘째, 본 연구는 기존의 선행연구와 스포츠인권 실태조사에 기반해 연구를 진행했다. 후속 연구에서는 대학교 학생선수의 스포츠인권 실태 및 인식, 대학운동부 지도자의 지도실태 및 인식, 스포츠인권 강사의 교육실태 및 인식 등을 양적으로 조사하여 정량화한 수치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셋째, 기존 스포츠인권 교육의 문제점은 학습 주제가 대상을 고려하지 않고. (성)폭력 등 한정된 범주로 다루어져 왔다는 점이다. 이에 따라 학생선수는 반복된 내용으로 인해 인권교육을 형식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초·중·고, 대학, 실업, 장애인 선수 등 대상별 특성을 고려한 인권 교육프로그램이 구성될 필요가 있다. 또한, 선수의 생애주기에 맞춰서 계열성과 연계성을 고려해 체계적으로 구성될 필요가 있다.

넷째, 본 연구는 스포츠인권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통한 대학교 학생선수의 스포츠인권 향상이 주목적이었다. 그러나 학생선수만큼 현장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사람은 지도자이다. 현장의 지도자들은 일부 스포츠 인권교육의 내용에서 자신을 잠재적 가해자로 표현하는 것에 강한 거부감을 가지기도 한다. 따라서 선수의 인권만큼이나 지도자의 인권 보호 및 권리 증진을 위한 교육프로그램이 개발될 필요가 있다. 후속 연구에서는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묵묵하고 성실하게 지도하고 있는 다수의 지도자에 대한 인정과 노력을 전제한 지도자 대상 스포츠인권 교육프로그램 개발이 요구된다.

CONFLICT OF INTEREST

본 연구는 저자들이 참여한 2021년 한국대학스포츠협의회(KUSF)의 대학운동부 학생선수 인권교육 교안개발 연구에서 얻은 자료를 활용하여 논문으로 재구성한 것임.

AUTHOR CONTRIBUTION

Conceptualizatoin: DK Hong; Data curation: JM Cheon; Formal analysis: EJ Ham; Funding acquisition: DK Hong; Methodology: JM Cheon; Projectadministration: DK Hong; Visualization: EJ Ham; Writing-original draft: DK Hong; Writing-review&editing: DK Hong

REFERENCES

1 

Ahn, M., & Hong, D. 2019, Sports human rights policy report: A case study through human rights violation in sports portrayed by media, Ahn Min Seok Assemblyman policy report

2 

Hong, D. (2020) Establishing new sports paradigm and future task through the Sports Reform Committee policy documents analysis in South Korea The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59(2), 285-302 .

3 

Hong, D. (2021) An analysis of human rights policy in sports in South Korea Journal of Sports Entertainment and Law, 24(1), 23-52 .

4 

Hong, D., & Yu, T. (2007) Student-athletes in terms of human rights: An educational discourse Korean Journal of Sport Pedagogy, 14(4), 131-154 .

5 

Hong, H. (2016) Easy-to-understand curriculum Seoul: Hakjisa

6 

Hong, J., Choi, J., & Yim, Y. (2021) An exploration on establishment of school sprots operation regulations: Focus on the case of basketball in the United States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Physical Education, 26(1), 145-163 .

7 

Jang, Y., & Kim, H. (2021) Trauma experiences of college athletes in peer relationship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60(5), 169-189 .

8 

Jeon, S., & Kim, M. (2021) Trends in sports sexual violence research on sexual crimes in Korea The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60(1), 473-487 .

9 

Kim, D. H., & Yu, T. H. (2021) Current situation and future tasks of human rights education in South Korean sport Journal of Human Rights & Law-related Education, 14(1), 109-140 .

10 

Kim, E., & Chang, I. (2020) Human rights sensitivity of university varsity teams Journal of the Korea Entertainment Industry Association, 14(8), 427-436 .

11 

Kim, H. 2020, Human rights policy analysis and improvement measures in sports: A focus on relief and protection from (sexual) violence,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the Philosophy of Sport, Dance, & Martial Arts, 28, 3, 67, 83

12 

Kim, H., & Park, S. (2020) Human rights policy analysis and improvement direction in sports: Focusing on the protection of rights for learning The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59(5), 13-30 .

13 

Kwon, J., & Nam, S. (2021) Exploring the awareness of culture to train juniors in physical education department using big data analysis Journal of Sport and Leisure Studies, 85, 267-279 .

14 

Kwon, S. (2021) Development of a college life adaptation program for freshman student-athletes Korean Journal of Sport Science, 32(2), 271-287 .

15 

Lee, H., & Yu, T. (2021) Exploring terminology of student-athletes for transition: Implications for physical education Korean Journal of Sport Pedagogy, 28(2), 129-148 .

16 

Lim, S., Lee, B., & Park, C. (2021) Research in favor of a human rights-frienly culture in college sports with focus on the negative human rights experiences of student athletes The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60(2), 21-32 .

17 

Marshall, C., & Rossman, G. (2011) Designing qualitative research(5th ed.)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s

18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of the Republic of Korea (2008).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athletes’ actual conditions of human rights survey

19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of the Republic of Korea (2009). Drop-out student-athletes’ actual conditions of human rights survey

20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of the Republic of Korea (2010). College student-athletes’ actual conditions of human rights survey

21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of the Republic of Korea (2019). University student-athletes’ actual conditions of human rights survey

22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of the Republic of Korea (2020a). An advisory report for the improvement of human rights protection system in sports

23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of the Republic of Korea (2020b). Sports human rights policy symposium: Human rights in sports, paradigm shift is the answer

24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of the Republic of Korea (2021.4.6.). It is urgent to improve hierarchical university sports team culture

25 

Seo, H., & Cha, J. (2021) A study on the importance analysis of evaluation factors of sports sexual violence consciousness for student athletes using AHP The Korean Journal of Sport, 19(1), 657-668 .

26 

Yim, Y., & Hong, D. (2021) An exploration for the prevention of human rights violation in elite sports The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Physical Education, 26(3), 57-76 .

27 

Yu, J. (2016)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3rd ed.) Seoul: Deahan Media

28 

Yu, J. (2021) Discussion and suggestions on school violence and its response in the sports field Journal of Sports Entertainment and Law, 24(2), 49-73 .

Figure and Tables

View original
Fig. 1.

Sample slides for the human rights in sports lessons for the college student-athletes

kjss-2022-33-4-701f1.tif
View original
Table 1.
Sports human right-related research articles list
Author (Year) Title
Lim et al. (2021) Research in favor of a human rights-friendly culture in college sports with focus on the negative human rights experiences of student athletes
Jun (2021) A self-narrative exploration of the ‘training camp’ experience of the elite sports club
Lee & Yu (2021) Exploring terminology of student-athlete for transition: Implications for physical education
Hong et al. (2021) An exploration on establishment of school sports operation regulations: Focus on the case of basketball in the United States
Yim & Hong (2021) An exploration for the prevention of human rights in elite sports
Hong (2021) An analysis of human rights policy in sports in South Korea
Jeon & Kim (2021) Trends in sports sexual violence research on sexual crimes in Korea
Seo & Cha (2021) A study on the importance analysis of evaluation factors of sports sexual violence consciousness for student athletes using AHP
Jang & Kim (2021) Trauma experiences of college athletes in peer relationship
Kwon & Nam (2021) Exploring the awareness of culture of train juniors in physical education department using big data analysis
Kwon (2021) Development of college life adaptation program for freshman student-athletes
Kim (2020) Human rights policy analysis and improvement measures in sports: A focus on relief and protection from (sexual) violence
Kim & Chang (2020) Human rights sensitivity of university varsity teams
View original
Table 2.
Characteristics of research participants
Name Sex Current Job Related-Experience Years
A F P.E Teacher Track & Field Student-Athletes 12
B F P.E Teacher Track & Field Student-Athletes 12
C M P.E Teacher Soccer Student-Athletes 13
D F Graduate Student Basketball Student-Athletes 11
E M Graduate Student Shooting Student-Athletes 12
F M Graduate Student Soccer Student-Athletes 13
G F Human Rights in Sports Instructor Human Rights Commission of Korea 8
H F Human Rights in Sports Instructor Korean Sports & Olympic Committee 10
I M Human Rights in Sports Instructor Korean Sports & Olympic Committee 7
J M Professor Human Rights in Sports Research 11
K M Professor Human Rights in Sports Research 7
L M Lawyer Korea University Sports Federation 5
View original
Table 3.
A characteristic of the human rights in sports lessons for the junior college student-athletes(Grade 1-2)
Lesson Junior 1 Junior 2 Junior 3 Junior 4
Title Understanding the human rights in sports (Basic) Exploring the anti-human rights sports culture (Basic) Enhancing the human rights in sports sensitivity (Basic) Implementing the human rights in sports (Basic)
Ice breaking What I think about ‘sports’ and ‘human rights’ Thinking together about ‘athletes’ and ‘college students’ The things that come to mind when think about ‘human rights in sports’ What do you do when you explore human rights violations?
Lesson objectives 1. Understand the basic concept of human rights 1. Explore the anti-human rights culture of college sports team 1. Understand the ‘human rights in sports sensitivity’ and ‘gender sensitivity’ 1. Practice the reporting procedure of human rights violation in sports in one’s life
2. Understand the basic concept of human rights in sports 2. Understand the anti-human rights in sports structure 2. Learn the human rights in sports literacy and the concept of agreement 2. Practice the self- determination and self- caring in one’s life
Core contents 1. A concept of the human rights 1. Exploring the college sports team culture 1. A socialization process of student-athletes 1. The reporting procedure of human rights violation in sports
2. A concept of the human rights in sports 2. Anti-human rights sports structure 2. A concept of the ‘human rights in sports sensitivity’ and ‘gender sensitivity’ 2. A concept of the self- determination, self-caring, and self-respect
3. Categories of the human rights violation in sports 3. Changing discourse pattern of the student-athletes 3. A concept of the agreement 3. An oath for the human rights in sports
Videos 1. The world declaration of human rights (source: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of the republic of Korea, running time: 06′ 12″) 1. A senior who carry the luggage of a junior (source: Sports Mug, SBS, 2021.4.23., running time: 06′ 26″) 1. How long do we have to do this? (source: Nike TV commercial, 2021.05.29., running time: 01′ 43″) 1. The reporting procedure of human rights violation in sports (source: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of the republic of Korea, running time: 04′ 45″)
2. Between sports charter and sports field (source: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of the republic of Korea, running time: 03′ 08″) 2. What happens in the Korean elite sports system (source: The Interview, YTN, 2020.07.18., running time: 04′ 56″) 2. A story about her eyes (source: SK Telecom TV commercial, 2016.09.30., running time: 03′ 29″) 2. What is respect in sporting field (source: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of the republic of Korea, running time: 06′ 26″)
3. The meaning of the rights to be educated (source: Tonight Kim Je-Dong, KBS, 2019.01.30., running time: 07′ 35″) 3. The reason why I gave up for elite sports (source: The Talk about, Studio V, 2019.10.2., running time: 06′ 39″) 3. An uncomfortable gaze (source: I live alone, MBC, 2020.05.23., running time: 01′ 48″) 3. An oath for the human rights in sports (source: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of the republic of Korea, running time: 01′ 13″)
4. Respect of human rights in sports (source: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of the republic of Korea, running time: 03′ 07″) 4. A wise life regarding human rights (source: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of the republic of Korea, running time: 04′ 15″) 4. What is consent? (source: Dasan kids, 2021.07.29., running time: 02′ 08″)
5. The meaning of college life (source: You Quiz, TVN, 2021.08.21., running time: 0′ 58″)
6. Human rights first (source: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of the republic of Korea., running time: 0′ 58″)
Thinking together Discuss about the concept of education rights violation, violence, sexual violence controlled by others in everyday life Discuss about experiences which controlled by others in everyday life Discuss about experiences which is forced to do something by others without my agreement Write an action plan for the human rights in sports on your own
View original
Table 4.
A characteristic of the human rights in sports lessons for the senior college student-athletes(Grade 3-4)
Lesson Senior 1 Senior 2 Senior 3 Senior 4
Title Understanding the human rights in sports (Advanced) Exploring the anti-human rights sports culture (Advanced) Enhancing the human rights in sports sensitivity (Advanced) Implementing the positive value of human rights in sports (Advanced)
Ice breaking Talk about relationship between sports and human rights Thinking together about anti- human rights culture inherited from college sports team What happens in the training camp? A life beyond athlete’s retirement
Lesson objectives 1.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sports and human rights 1. Understand the culture and structure of the anti-human rights in sports 1. Enhance the human rights in sport sensitivity and gender sensitivity 1. Practice reporting procedure of human rights violation in sports in one’s life
2. Understand the categories of the human rights violations in sports 2. Explore the positive value of the human rights in sports 2. Enhance the sports literacy 2. Practice the positive value of human rights through athlete’s rights and responsibility
Core contents 1. A concept of the human rights 1. The culture and structure of the elite sports system 1. A concept of the ‘human rights in sports sensitivity’ and ‘gender sensitivity’ 1. The reporting procedure of human rights violation in sports
2. The relationship between sports and human rights 2. The repeat of discrimination in which student-athletes experience in the elite sports system 2. The human rights in sports literacy 2. The rights and responsibility of athletes
3. The categories of the human rights violation in sports 3. The positive value of the human rights in sports 3. The positive college sports team culture based on human rights 3. An action plan for athletes
Videos 1. A dignity of people for all (source: Knowledge channel-e, EBS, 2016.11.8., running time: 03′ 15″) 1. A hierarchical obedience culture to disappear (source: Sports interview, KBS, 2020.03.30., running time: 01′ 34″) 1. You wear a long skirt (source: Project VOICEs for truth and dignity, running time: 03′ 10″) 1. The reporting procedure of human rights violation in sports (source: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of the republic of Korea, running time: 04′ 45″)
2. A basic understanding of the human rights in sports (source: Korean pro-sports association, 2020.09.21., running time: 06′ 44″) 2. A transmit of fear and violence in elite sports system (source: Dogok baseball academy, 2021.03.08., running time: 04′ 07″) 2. Sports for all (source: gender equality contest winning work, Korean institute for gender equiality promotion and education, 2019-11-18, running time: 05′ 00″) 2. A industrial disaster in sports (source: Newsroom, JTBC news, 2021.04.21. running time: 02′ 28″)
3.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chievement in sporting competition and happiness (source: Korean sport ethics center, running time: 01′ 02″) 3. A courage to confess violence (source: Run On, JTBC drama, 2020.12.23., running time: 02′ 28″) 3. A border between manner and respect (source: The boss’s ear is the donkey’s ear, KBS, 2021.08.23., running time: 04′ 43″) 3. A labor contract for athletes (source: News 8, MBN, 2019.06.05., running time: 02′ 19″)
4. A coach who ignore violence in elite sports system (source: Run On, JTBC drama, 2020.12.23., running time: 01′ 53″) 4. An objectification of school sports team culture (source: Run on, JTBC drama, 2020.12.23., running time: 03′ 33″) 4. A tip for student-athletes who consider a career path (source: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of the republic of Korea, running time: 07′ 02″)
5. I wish I play sports without a fear of corporal punishment (source: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of the republic of Korea, running time: 02′ 27″) 5. The concept of consent in sports (source: Athlete 365 campaign, IOC, running time: 02′ 24″)
6. A positive value of sports (source: Lee Young Pyo Intervew,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2019.04.25., running time: 01′ 45″) 6. A confidence to live without regret (source: Racquet boy club, SBS drama, 2021.6.15., running time: 03′ 23″)
Thinking together Discuss about the relationship among sports and rights for free, health, safety, equality, and environment Discuss about the repeat of the anti-human rights in sports culture Discuss about regrets for the anti-human rights in sports experience Discuss positive and negative influences of athlete experiences
View original
Table 5.
Human rights in sports instructor education program for college student-athletes
Time Day 1 Day 2 Day 3 Day 4 Day 5
10:00-10:30 Opening Intro for junior lessons Intro for senior lessons Micro-teaching 1 Micro-teaching evaluation
10:30-12:00 College student-athletes information Junior lesson 1 Senior lesson 1
12:00-13:00 Lunch time
13:00-14:30 Sharing experience for the human rights in sports Junior lesson 2 Senior lesson 2 Micro-teaching 2 Completion ceremony
14:30-16:00 Effective communication skills Junior lesson 3 Senior lesson 3
16:00-17:30 Junior lesson 4 Senior lesson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