잉글랜드, 호주, 한국의 스포츠 및 신체활동 참여 조사방법론의 비교분석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Methodology of Sport and Physical Activity Participation Surveys in England, Australia, and South Korea
Park, Jaewoo1; Kang, Bongsoo2*
Korean Journal of Sport Science, Vol.35, No.3, pp.477-498, September 2024
https://doi.org/10.24985/kjss.2024.35.3.477
Abstract
This article analyzes and compares the methodologies used in physical activity participation surveys from England, Australia, and South Korea. Specifically, it examines the “2021–22 Active Lives Adult Survey” from England, the “2021–22 AusPlay (15+)” from Australia, and the “2022 National Sports Participation Survey” from South Korea, highlighting both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their approaches. The analysis led to two key insights. First, there is a need to expand the scope of respondents in South Korea’s National Sports Participation Survey. Currently, the survey targets only 0.02% of the population aged ≥10 years, whereas the surveys in England and Australia gather data from a wider age range and more diverse regions. Therefore, South Korea should adopt online, postal, and mobile survey methods to widen the respondent pool and enhance the representativeness and reliability of the data collected. Second, South Korea needs to update its physical activity participation standards. The current benchmarks fall below international recommendations. Establishing new criteria that specify activity duration, intensity, and type is essential for effectively improving public health polic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emphasize the importance of accurately assessing and enhancing physical activity participation in South Korea. These findings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effective sports policy standards in line with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s global action plan.
초록
본 연구는 잉글랜드, 호주, 한국의 신체(체육)활동 참여실태조사방법을 비교·분석하여 국내 조사 방법의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잉글랜드의 ‘2021-22 Active Lives Adult Survey’, 호주의 ‘2021- 22 AusPlay(15+)’, 그리고 한국의 ‘2022년 국민생활체육조사’를 대상으로 조사방법론을 상세히 비교·분석하여, 세 국가의 조사방법론에서 나타나는 유사점과 차이점을 파악하였다. 이를 통해 두 가지 주요 시사점을 도출했습니다. 첫째, 한국의 국민생활체육조사는 조사 대상자의 규모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 현재 한국의 조사는 만 10세 이상 인구의 0.02%를 대 상으로 조사를 실시하는 반면, 잉글랜드와 호주는 보다 다양한 연령대와 지역에서 데이터를 수집하고 있다. 따라서, 온라인, 우편, 모바일 조사 방법 등을 도입하여 조사 대상자의 범위를 넓히고, 대표성과 신뢰성을 높일 필요가 있다. 둘째, 한국은 신체(체육)활동 참여 기준을 재정립할 필요가 있다. 현재 한국의 기준은 국제 기준에 비해 낮으므로, 활동시간, 강도 및 유형을 보다 구체적으로 규정하는 새로운 기준을 마련하여 국민의 건강 증진을 위한 정책을 효과적으로 수립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 결과는 한국이 신체(체육)활동 참여실태를 정확히 파악함으로써, 국민의 건강을 효과적으로 증진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잉글랜드와 호주의 사례는 한국의 데이터 확보 및 건강 정책 개선을 위한 중요한 참고 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이는 세계보건기구(WHO)의 글로벌 행동 계획에 부합하는 효과적인 체육정책 기준 수립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주1회 30분의 단순한 양적인 증가도 중요하지만, 세계 보건기구 등이 설정한 최소한의 기준에 부합하는 신체(체육)활동의 질적인 고려가 필요한 시점이다.
서론
문화체육관광부는 국가의 국민체육진흥정책을 수립하는 데 필요한 기초통계자료를 확보하기 위해 국민생활체육조사를 실시하고 있다. 2022년에는 전국 17개 시·도에서 만 10세 이상 국민 9,000명을 대상으로 조사가 진행되었다. 조사결과, 2022년의 생활체육 참여율은 61.2%로 나타났는데, 이는 코로나19의 영향으로 2020년 의 66.6%에서 감소한 후 소폭 회복된 것으로 분석되었다(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2022a). 해당 통계자료는 문화 체육관광부가 체육정책을 마련하는 기초자료로 사용되고 있다. 특히, 코로나19로 인한 일상적인 신체(체육)활동의 감소와 10대 청소년들의 신체(체육)활동 참여 증진을 위한 전략이 중요한 논의 대상이 되고 있다(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2022b). Song(2023)의 연구에 따르면 국민생활체육조사조사는 국민의 생활 체육 활동에 대한 현황과 특성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체육활동 참여 환경 조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강조되고 있다.
국제적으로도 비슷한 조사들이 진행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유럽과 북미의 여러 국가들은 스포츠 복지를 강화하기 위해 신체(체육)활동 참여실태조사를 중요하게 여기고 있다. 예를 들어, 잉글랜드의 Sport England는 ‘Active Lives Survey’를 통해 성인과 어린이·청소년들의 스포츠 및 신체(체육)활동 참여율과 제반환경을 다각적으로 조사하고 있고, 호주의 호주스포츠위원회(Australian Sports Commission, ASC)는 ‘AusPlay Survey’를 통해 호주 국민의 스포츠 및 신체(체육)활동 참여 수준을 조사하고 있다. 이들 국가의 정부기관은 스포츠 및 신체활동 조사 결과를 기반으로 체육활동 참여의 제약을 최소화하고, 국민 생활체육 참여를 촉진하기 위한 정책적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Clearinghouse for Sport, 2023; Sport England, 2023a).
하지만 이러한 국내외 조사들은 자가 보고의 편향, 부정확한 회상, 제한된 샘플 범위, 무응답 등의 문제점들이 다양한 연구에서 지적됐으며, 이러한 문제점들로 인해 조사 결과에 대한 신뢰성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예를 들어, Ipsos MORI(2020)와 Harvey et al.(2018)은 이러한 문제점들이 조사 결과의 정확성을 저해하고 정책 수립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경고했다. 국내 조사에서도 이와 유사한 한계점들이 지적되었다. Lee(2021)와 Statistics Korea(2017) 의 보고에 따르면, 샘플링의 편향 및 부족, 응답자의 오류, 부정확한 자기 보고, 시간적 한계, 그리고 경제적 제약 등의 문제가 있으며, 이러한 문제점들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보다 철저한 기획과 적절한 방법론의 적용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국내·외에서 이루어진 신체(체육)활동 참여 실태조사의 방법론을 비교·분석하고, 이를 통해 보다 개선된 방법을 모색하는 것이 중요한 연구 과제로 부상하였다. 최근에는 국제적 차원에서 스포츠 및 신체(체육)활동 참여 조사의 중요성이 강조 되며, 이를 기반으로 한 정부 정책의 지원 및 평가가 시민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필수적이라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다(Eime et al., 2020; Sport England, 2022a). 이런 맥락에서, 스포츠 참여 연구를 위한 표준화된 정의의 확립, 설문지 설계, 조사 전략의 개발, 비교 가능한 지표의 생성과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이 중요해 졌다. 특히, 2017년 유럽 연합에서는 스포츠 및 신체(체육)활동 참여 추세와 이를 결정하는 주요 요인들을 분석한 연구가 진행되었다는 점은 주목할 만하다(Mussino, 2022). 반면, 국내에서는 Oh & Seo(2005)의 연구 ‘국민생활체육참여실태조사의 조사 방법 개선방안’과 Oh et al.(2006)의 연구 ‘국민생활체육활동참여조사 및 국민체력조사의 통합조사 방안’ 이후 신체(체육)활동 참여조사의 조사방법론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지 않았다. 국내 신체(체육)활동 참여실태조사의 조사방법론과 해외 조사방법론의 비교·분석 연구는 여전히 부족한 상태이다. 조사방법론이란 모집단의 구성, 조사기관 및 기간, 조사 방법, 조사구성 항목 및 체계, 결과 보고 구성 등을 포함하는 포괄적인 개념으로, 조사 과정 전반에 걸친 의사 결정과 관련된 모든 정보를 포함한다. 이는 조사 설계와 실행, 데이터 수집 및 분석, 결과 보고까지의 모든 단계를 아우르며, 체계적이고 일관된 접근을 통해 신뢰성 있고 정확한 조사 결과를 산출하는 데 필수적인 요소이다(Yun et al., 2016).
본 연구는 대한민국의 국민생활체육조사의 조사방법론과 스포츠 선진국인 잉글랜드와 호주의 신체(체육)활동 참여 실태 조사방법론을 비교·분석하여, 이를 토대로 국내 조사방법론의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가 제시하는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잉글랜드, 호주, 한국 신체(체육)활동 참여 조사 방법의 역사적 배경
신체(체육)활동 참여는 개인의 건강, 사회적 결속, 그리고 국가의 사회적 자본을 증진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Kim, 2016). 이러한 인식 아래, 잉글랜드, 호주, 그리고 한국은 각각의 사회·문화적 맥락에서 신체(체육)활동 참여 조사를 수행해 왔다. 이 세 국가의 신체(체육)활동 참여 조사 방법의 역사적 배경을 탐구하는 것은 다양한 조사 방법론이 어떻게 발전해 왔으며, 이러한 방법론이 각 국가의 스포츠 정책과 참여 증진 전략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준다. 본 절은 잉글랜드, 호주, 한국에서 신체(체육)활동 참여 조사 방법이 어떻게 발전해 왔는지, 그리고 이러한 조사들이 각 국가의 신체(체육)활동 참여 증진 정책에 어떤 기여를 했는지 살펴본다. 이를 통해, 우리는 신체(체육)활동 참여 조사 방법의 발전적 맥락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잉글랜드
잉글랜드의 신체(체육)활동 참여 수치는 역사적으로 일반가구 조사를 통해 파악되어 왔다. 1971년부터 인구조사국(Office of Population, Censuses and Surverys, OPCS)은 매년 약 20,000 명의 잉글랜드 성인(16세 이상)을 대상으로 일반가구조사(General Household Survey, GHS)를 실시하였다. 처음에는 주택과 교육에 대한 문항들이 주를 이루었지만, 1973년부터 건강과 국민 여가 활동에 관한 문항들이 추가되었다. 하지만 1980년대 초까지 이러한 건강 및 여가 활동에 관한 조사는 다른 주제들에 비해 중요도가 낮게 평가되었으며, 조사 역시 불규칙적으로 진행되었다(Office of Population Censuses and Surveys, 1989).
1987년에 이르러, 신체(체육)활동 참여에 관련된 질문이 다시 포함되었고, 몇 가지 방법론적 변화가 적용되었다. 조사 주기는 3년에서 1년으로 단축되었으며, 신체(체육)활동 참여의 주요 추세, 4주 동안의 참여 횟수, 참여 강도, 참여 패턴 등이 중요한 조사항목으로 추가되었다(Veal, 1991). 당시 조사의 주요 관심사는 참여 패턴이었으며, 질문은 인기 스포츠 유형, 참여자의 특성(연령별, 성별, 직업별), 참여 빈도, 스포츠별 참여율 등으로 구성되었다(Office of Population Censuses and Surveys, 1989). 위에서 언급한 질문들로 수행된 조사를 통해, Table 1에 제시된 바와 같이, 1990년대 전반에 걸쳐 신체(체육)활동 참여율이 점차 감소하였음이 확인되었다.
Table 1
(Unit %) | ||||||
---|---|---|---|---|---|---|
Year | 1987 | 1990 | 1993 | 1996 | 1999 | 2002 |
At least once(excluding walking) | 44.7 | 47.8 | 47.3 | 45.6 | 44.4 | 43.2 |
(Office for National Statistics, 2003, p. 27)
2005년부터 Sport England는 잉글랜드 인구의 신체(체육)활동 참여 현황을 보다 깊이 있게 파악하기 위해 Ipsos MORI에 활동적 인구조사(Active People Survey, APS)를 의뢰하였다. Ipsos MORI는 정부의 의뢰를 받아 스포츠, 문화, 건강, 과학, 교육 등 다양한 분야에 대한 국민실태조사를 수행하는 잉글랜드의 주요 조사기관이다 (Department for Culture, Media & Sport, 2023). 활동적 인구조사(APS)는 신체(체육)활동 및 여가 참여 수준과 국가 건강 개선에 대한 기여도를 측정하였으며, 활동유형, 빈도, 강도 및 지속 기간을 포함한 다양한 측정 요소를 조사하였다. 더불어, 클럽 가입, 대회 참여, 수업 및 지도, 자발적 활동 등의 다른 요소도 포함되어, 광범위한 인 구통계학적 정보를 제공하였다(Sport England, 2007).
예를 들어, 처음 실시된 활동적 인구조사(APS)는 2005년 10월 13일부터 2006년 10월 16일까지 약 1년간 진행되었고, 잉글랜드의 354개 지방 당국 중 351개에서 16세 이상의 성인을 대상으로 최소 1,000회의 무작위 전화 면접방식(Random Digit Dialing)을 통해 총 363,724건의 면접이 이루어졌다. 조사는 계절에 따른 차이와 변동을 최소화하기 위해 12개월간 균일하게 분산되어 진행되었다(Sport England, 2007). 이후 조사는 2007/2008년 191,325명, 2008/2009년 193,947명, 그리고 2009/2010년은 188,354명을 대상으로 면접을 꾸준히 진행되어, 각각 약 200,000명을 대상으로 수행되었다(Sport England, 2011).
활동적 인구조사(APS) 이전에 실시된 조사에서는 신체(체육)활동 참여율이 ‘at least one activity’라는 기준으로 1990년 64.5%에서, 2002년 58.5%로 감소했었으며, 보다 제한적인 기준(걷기 제외)을 적용할 때도 1990년 47.8%에서 2002년 43.2%로 감소하였다. 하지만 2006년, 활동적 인구조사(APS)의 도입으로 이러한 추세가 변화되어, 일반 참여율이 68%, 걷기를 제외한 참여율이 48%로 상승하였다(Kokolakakis et al., 2012).
이 변화는 조사방식이 일반가구조사(GHS)에서 활동적 인구조사(APS)로 전환되면서 발생하였으며, 새로운 설문지는 응답자들이 신체(체육)활동 참여에 대한 세부 정보를 더욱 명확하게 회상할 수 있게 도움으로써 신체(체육)활동 참여율의 급격한 상승에 크게 기여하였다(Kokolakakis et al., 2012). 이처럼 활동적 인구조사(APS)의 도입은 잉글랜드 내 신체(체육)활동 참여율 측정을 더욱 정밀하게 발전시켰으며, Sport England는 2005년 이후 현재까지 매년 전국 및 지역 사회에서 신체(체육)활동 참여 현황을 지속적으로 측정하고 있다.
호주
전 세계적으로 그리고 호주 내에서도 신체(체육)활동의 부족은 비전염성 질병의 주요 원인으로 지적되었으며,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왔다(Bellew et al., 2008, 2020;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8). 호주는 국민의 신체(체육)활동 수준을 관찰하는 것을 건강 우선순위에 대한 예방 시스템의 중요한 구성 요소로 간주했으며, 1980년대부터 호주 성인 인구의 유병 추정치를 조사하는 과정에서 국민 신체(체육)활동에 대한 조사도 병행하였다(Bauman, 1987). 호주에서 최초로 신체(체육)활동을 측정한 인구조사는 1980년, 1983년, 1989년에 이루어진 심장 기반 위험 인자 유병률(Heart Foundation Risk Factor Prevalence)조사와, 그 뒤를 이어 1989년부터 호주 통계국(the Australian Bureau of Statistics, ABS)에서 가정 인터뷰을 통해 수행한 국가건강조사 (National Health Surveys)였다. 이 조사는 주로 계획된 유산소 운동의 참여에 초점을 맞추었다(Bauman et al., 2021).
1996년 호주 보건 복지 연구소(Australian Institute of Health and Welfare, AIHW)가 자가진단 표준 신체(체육)활동에 대한 보다 정확한 조사를 위해 Active Australia Survey 개발에 착수했다. 이 조사는 국민 신체(체육)활동에 대해 분석하였고, 인구조사에서 적용할 수 있는 자세한 지침들을 제공하였다(Australian Institute of Health and Welfare, 2003; Brown et al., 2004).
호주에서 신체(체육)활동 조사는 1996년 호주 보건 복지 연구소(AIHW)에 의해 시작되어, 스포츠 및 여가 생활을 통한 참여율을 추정하는 데 사용되었다. 또한, 이러한 조사는 호주스포츠위원회(Australian Sports Commission, ASC), 현 국가 스포츠 조직 (National Sporting Organisation, NSO)으로 알려진 기관의 투자를 촉진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하였다.
1996년 이후로 여러 기관이 신체(체육)활동 참여실태조사를 진행하였다. 2001년부터 2010년까지는 호주 스포츠 및 레크리에이션 위원회(ommittee of Australian Sport and Recreation Officials, CASRO)가 운영한 운동, 레크리에이션 및 스포츠 설문조사(Exercise, Recreation and Sport Survey, ERASS)를 연 4회(2월, 5월, 8월, 11월) 15세 이상 성인을 대상으로 전화 면접방식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2011년부터 2014년까지는 호주 통계국(ABS)이 ‘ABS in Sport and Physical Recreation survey’를 담당 하였으며, 이 조사는 대면 면접과 전화 면접방식을 결합하여 실시되었다(Australian Sports Commission, 2023).
2015년 이후부터는 본격적으로 정부 스포츠 기관인 호주스포츠 위원회(ASC)가 주도하여 AusPlay Survey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조사는 이전과 달리 0-14세 아동을 포함하여 보다 광범위한 대상을 상대로 진행되었다. AusPlay Survey를 통해 얻은 데이터는 국민의 평균적인 신체(체육)활동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참여 촉진을 위한 정책개발 및 정부의 스포츠와 여가 생활에 대한 지속적인 투자에 기여하였다.
한국
1980년대 중반부터, 문화체육관광부는 ‘국민생활체육참여조사’를 통해 정기적으로 국민의 신체(체육)활동 참여를 조사해 왔다. 이 조사는 국민의 신체(체육)활동에 대한 요구를 파악하고, 참여 장벽을 식별함으로써 국민이 보다 적극적으로 신체(체육)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주요 목적은 체육정책을 수립하는 데 필요한 기초 데이터를 제공하는 것이었으며, 이 데이터는 국민이 신체(체육)활동에 쉽게 접근하고 지속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기여하였다. 이렇게 수집된 정보는 국가 체육정책을 개발하는 데 필수적인 기초자료로 활용되었다(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1997).
국민생활체육참여조사는 통계법 제33조에 근거하여 국가승인 통계(제113003호)로 지정되었으며, 1986년에 처음 실시된 이후 1991년 10월 29일에 일반통계로 공식 승인받았다. 초기에는 조사가 3년마다 실시되었으며, 1994년부터는 조사결과를 책자 형태로 발행하여 정기적으로 발간하기 시작했다. 2006년에 들어서 조사 주기는 3년에서 격년으로 변경되었고, 2015년에는 다시 조사 주기를 격년에서 연 1회로 변경하여 보다 정기적인 조사가 가능하게 되었다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2018). 국민생활체육 조사의 주요 연혁은 <Table 2>에서 확인할 수 있다.
Table 2
Year | National Survey Data |
---|---|
1986 | Initiation of the first survey on sports participation in grassroots sports |
1991 | Approval granted by the general statistics Act NO. 11303 |
2006 | Change in survey cycle from 3 years to 2 years |
2012 | Revision of sample design and partial modification of survey forms |
2015 | Change in survey cycle from 2 years to 1 year |
1986년에 시작된 국민생활체육조사는 전국적으로 약 2,000명 내 외의 표본으로 진행되었으나, 1992년 이후 대략 6,000명 수준의 표본을 유지하였다(Oh et al., 2006). 2016년 8월을 기준, 문화체육관광부는 통계청의 가구조사에 따라 전국의 82,447개 집계구 중 900개를 선정하고, 각 집계구에서 평균적으로 10명씩을 대상으로 하여 총 9,012명을 조사했다고 밝혔다(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2018). 이와 같은 방식으로 현재 진행되는 조사 역시 대략 9,000명의 표본 규모를 유지하고 있다.
국민생활체육참여조사에서는 주로 건강 및 체력 상태, 신체(체육) 활동 및 참여 여건, 신체(체육)활동 참여 현황 등이 중점적으로 다루어진다. 또한, 사회적 환경 변화에 따라 수정이 필요한 기존 문항들에 대해서는 매년 보완 작업을 통해 정책문항들이 새롭게 추가되거나 개선되었다(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2023).
연구방법
연구대상: 연구 사례 선정
본 연구는 국가 간 신체(체육)활동 실태조사방법론을 비교·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사전 배경지식과 선행연구 분석을 근거로 한국을 포함해 스포츠 선진국으로 평가되는 잉글랜드와 호주를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이들 국가의 신체(체육)활동 관련 조사방법론에 대한 연구는 연구자가 사전 지식을 기초로 연구목적에 부합하도록 의도적인 선택(Purposive Sampling) 기준을 가지고 선택하였다.
이들 국가는 매년 국가 차원에서 체계적이고 신뢰성 있는 신체(체육)활동 조사를 실시하고 있는데, 정교한 조사 방법과 도구를 사용하여 신체(체육)활동 참여 실태와 현황을 정밀하게 파악하고 있다. 이를 통해 두 국가에서는 생활체육 증진을 위한 효과적인 정책 개발과 평가가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이 두 국가의 스포츠참여율은 타 국가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스포츠참여 증진에 대한 정부의 정책적 뒷받침이 높은 수준에서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에서 잉글랜드와 호주의 신체(체육)활동 조사방법론에 대한 연구는 학술적으로 큰 의의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개괄적으로 잉글랜드와 호주의 신체(체육)활동 참여실태조사를 살펴보면, 두 국가는 연령대별로 세분화하여 참여실태를 조사하고 그 결과를 공개하고 있다. 잉글랜드의 경우, ‘Active Lives Children and Young People’과 ‘Active Lives Adult Survey’라는 두 가지 주요 보고서를 통해 어린이와 청소년, 그리고 성인 대상의 신체(체육)활동 참여실태를 각각 발표하고 있다. 호주에서는 ‘AusPlay’ 보 고서를 통해 ‘0-14세’, ‘15세 이상’, ‘55세 이상’의 세 연령대별로 신 체(체육)활동 참여실태를 조사하고 있다. 본 연구의 초점은 성인 대상 실태조사이므로, 잉글랜드의 Active Lives Adult Survey와 호주의 AusPlay 보고서 내의 15세 이상 성인 부분을 중점적으로 다루고자 한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 비교·분석할 실태조사 자료는 다음 <Table 3>과 같이 정리된다.
Table 3
Country | National Survey Data |
---|---|
England | 2021~2022 Active Live Survey (Adult) |
Australia | 2021~2022 AUSPLAY (15+) |
South Korea | 2022 National Survey in Sports Participation on Grassroots Sports |
연구내용
본 연구는 잉글랜드, 호주, 한국의 신체(체육)활동 참여실태조사 자료를 비교·분석함으로써, 각 국가의 조사 방법과 결과에서 얻을 수 있는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의 비교· 분석은 둘 이상의 다른 자료를 바탕으로 체계적으로 비교하고 분석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연구는 국가 간의 제도, 문화, 정책 등을 비교·분석하는 것이며(Popple & Leighninger, 2018), 본 연 구에서는 세 국가의 신체(체육)활동 참여실태조사 방법과 내용을 중점적으로 다룬다.
먼저, 세 국가의 신체(체육)활동 참여실태조사 방법을 구체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다섯 가지 항목으로 나누어 조사하였다: 1) 각 국가의 조사 참여자(표본) 구성, 즉 조사에 참여한 성인의 수; 2) 실태조사를 실시한 기관과 조사 기준기간, 즉 자료수집 기간과 분석 및 보고서 공개 기간; 3) 조사방법론, 즉 조사 과정의 설계와 데이터 수집 방법 (예: 대면 면접, 온라인 설문지, 전화 응답 등); 4) 조사 구성항목 및 체계, 즉 조사 설문지의 내용; 5) 결과보고 구성, 즉 참여율 변화 추이, 참여/미참여 이유, 참여 종목, 지역별 차이 등이다. 이 조사 항목들은 Table 4에 자세히 기술되어 있다.
Table 4
Survey Items and Structure | Content |
---|---|
1. Sample Composition | |
2. Survey Agency and Duration | |
3. Survey Methodology | |
4. Components and Structure of the Survey Items | |
5. Structure of Reporting Results |
다음 단계로, 잉글랜드, 호주, 그리고 한국에서 실시된 신체(체육)활동 참여 실태조사의 방법론, 조사 항목, 및 구성 체계를 면밀히 분석하여, 이들 국가 간의 유사성과 차이점을 명확히 도출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이 분석을 통해 얻은 결과를 토대로, 각 국가의 실태 조사방법론에 대한 깊이 있는 비교·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이를 통해 유사점과 차이점을 파악하였다.
마지막으로, 국가별 연구결과와 국가 간 신체(체육)활동 참여실태 조사방법론의 유사점 및 차이점을 바탕으로, 국내 신체(체육)활동 참여실태조사 방법을 개선하는 데 필요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본 절에서는 <Table 4>에서 열거된 신체(체육)활동 참여실태조사의 조사 항목 및 구성 체계를 바탕으로 국가별로 보다 구체적이고 깊이 있게 살펴보았다.
잉글랜드
잉글랜드의 신체(체육)활동 참여실태조사 조사 항목 및 구성 체계를 분석하기 위해, 가장 최신자료인 2021/22년 Active Live Adult Survey를 살펴보았다.
2. 조사기관 및 기간
Active Lives Survey는 Sport England가 잉글랜드의 실태조사 기관인 Ipsos MORI에 의뢰하여 신체(체육)활동, 레크리에이션 활동 및 신체(체육)활동 관련 자원봉사 활동 등에 대한 참여 수준 데이터를 수집한 조사이다. 2021/22 Active Lives Adult Survey의 경우, 2021년 11월 중순부터 2022년 11월 중순까지 조사 참여자들에게 설문지가 제공되었으며, 이들로부터 받은 설문지는 2023년 1월 31일까지 수집되었다. 수집된 설문지는 2023년 4월18일까지 분석되 었고, 이에 따른 최종 결과는 2023년 4월 20일에 Sport England를 통해 대중에게 공개되었다(Sport England, 2023e).
3. 조사방법
2021/22 Active Lives Adult Survey 데이터는 2021년 11월 중순부터 2022년 11월 중순까지, 온라인 설문지(Computer Assisted Web Interview, CAWI) 방식(71.2%)과 종이 자가 완성 설문지 방식(28.8%)을 사용하여 수집되었다. 설문지는 16세 이상의 일반인이 작성할 수 있으며, 온라인과 종이 버전을 통해 총 177,551명의 유효한 응답을 받았다(Ipsos MORI, 2023). Active Lives Survey는 조사참가자들이 온라인으로 설문조사를 완료하도록 장려하는 ‘pushto- web’ 방식을 사용하였고, 조사참가자들에게는 이에 대한 설명이 포함된 우편물을 Royal Mail(한국의 우체국 우편)을 통해 4회에 걸쳐 발송하였다. 이 조사는 장치에 구애받지 않고 모바일, 테블릿pc, 그리고 데스크톱 장치에서도 완료할 수 있었다. 처음 두 통의 우편물은 온라인 설문조사에 접근하는 방법과 필요한 암호가 포함된 편지로, <Figure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은 내용과 형식으로 전달되었다. 세 번째 우편물에는 응답률을 높이기 위해 종이 설문지가 첨부 되었고, 네 번째 우편물은 온라인 설문조사에 다시 참여하도록 유도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단, 종이 설문지는 첨부되지 않음). 조사 대상자는 무작위 확률 표본 추출을 통해 우편번호 주소 파일에서 선정되었으며, 각 주소당 최대 두 명의 성인이 참여할 수 있었다. 표본추출은 각 지역 당국에서 사전에 결정된 수만큼 완료된 설문지가 반환될 수 있도록 설계되었으며, 대부분 지역 당국(309개 중 282개)에서 완료된 설문지의 목표 수는 500건이었다. 조사참가자들에게는 감사의 표시로 백화점, 패션 매장, 레스토랑 등에서 사용할 수 있는 5파운드(한화 약 7,500원) 상당의 상품권이 제공되었다(Sport England, 2023d).
2021/22 Active Lives Adult Survey 보고서에 기록된 데이터는 첫 조사 연도(2015-16), 이전 연도(2020-2021), 그리고 현재 조사 연도(2021-22)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이 데이터를 통해 시간 경과에 따른 참여 및 활동 수준의 변화를 보여주고 있으며, 조사 연도 간의 데이터 비교를 위해 보고서 표에 유의성 검정이 적용되었다. 이 검정은 관찰된 변화가 단순히 우연이 아니라 모집단에서의 ‘True(진정한)’ 변화일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한 것이었다. 표준 오차는 SPSS의 복합 표본 모듈(Complex Sample Module)을 사용하여 계산되었고, t-검정을 통해 통계적 유의성을 평가하였다.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관찰될 경우 실제 변화가 있음을 강조하였고, 오차 범위 내의 작은 차이만 나타나면 ‘변화 없음’으로 해석되었다.
4. 조사구성 항목 및 체계
조사 설문지는 표본 수준에서 정기적인 참여를 정확하게 추적할 수 있도록, <Table 5>에 나열된 기본 사항들을 기반으로 구성되었다.
Table 5
Basic Components | Detailed Contents |
---|---|
Demographic Survey | Age, disability, gender, ethnicity, socioeconomic status, occupation, education status, sexual orientation, other demographics |
Geography | Country, region, local community sports partnerships, local authorities |
Sports/Physical Activity | Providing precise estimates of regular participation in various specific sports activities and additional detailed information on major sports sectors |
<Table 5>에 나타난 신체(체육)활동 관련 설문지의 내용을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이는 <Table 6>과 같이 구체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Table 6
Composition of Survey Items | Detailed Contents |
---|---|
Act1 | In the last 12 months, have you done any of these activities? 1. A walk lasting at least 10 minutes, 2. gardening, 3. a cycle ride, 4. sport, fitness or recreation activity, 5. dance, 6. spent time doing a creative, artistic, theatrical or musical activity or a craft, 7. attended an event, performance or festival involving creative, artistic, dance, theatrical or music activity, 8. attended a live sports event, 9. used a public library service, 10. attended a museum or gallery, 11. none of these In particular, if select 6-10 in ACT1, directly goes to additional cultural-related questions. |
Culture | Frequency of cultural activities in the past 12 months |
Culture Month | Involvement in specific cultural activities in the past 4 weeks |
Walking, Cycling, Dance | Questions about the frequency, duration, and intensity of walking, cycling, and dancing activities chosen by respondents over the past 12 months. |
Questions regarding respondents who engaged in various sports and fitness activities over the past 12 months. | |
Sport and Fitness | Questions regarding membership status in sports clubs, frequency of participation over 12 months, 3 months, or 4 weeks, indoor/outdoor activities, the number of days engaged in activities within 4 weeks, duration of activities, intensity of activities, locations of activities, and other related inquiries. |
Habit | Questions about the respondent's daily routine or lifestyle. Agreement questions regarding whether the activity is a part of the daily routine, performed without much thought, and if the activity represents oneself. |
Ready | Questions asking for agreement regarding the ability or opportunity to engage in physical activity or sports. |
Motivation | Questions regarding the level of enjoyment in sports and exercise, the importance of engaging in them regularly, and whether activities are performed to showcase them to others. |
Volunteering | Questions about engagement in volunteer activities over the past year, and within the past year or 4 weeks, any volunteer work related to sports and fitness activities. |
<Table 6>에서 제시된 조사 항목을 살펴보면, Act1이라는 질문 항목은 신체(체육)활동 참여뿐만 아니라 문화생활 참여 여부에 대한 질문도 포함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질문에 대한 답변에 따라 다음 질문 항목이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Act1에서 신체(체육)활동(1-5)을 선택하면 Walking, Cycling, Dance, 그리고 Sport and Fitness와 관련된 추가적인 질문이 제공되며, 참여빈도, 활동 강도, 활동시간 등에 대한 세부 정보를 수집할 수 있게 된다. 반면, Act1에서 문화관련 활동(6-10)을 선택할 경우, Culture 과 Culture Month로 이어지는 보다 자세한 질문이 제공된다. 이어서, 생활습관(Habit), 신체(체육)활동 준비 여부(Ready), 신체(체육)활동에 대한 동기 및 태도(Motivation), 신체(체육)활동에서의 봉사활동 참여 여부(Volunteering)에 관한 질문이 이어진다(Sport England, 2022).
이외에도 인구통계학적 정보, 지리적 정보, 그리고 과일 및 채소 섭취량, 임신 여부, 일상생활에서의 장애 상황, 일상생활의 만족도, 공동체에 대한 신뢰감 등 다양한 기타 문항들이 조사 설문지에 추가되어 있다.
5. 결과보고 구성
본 절에서는 잉글랜드 신체(체육)활동 참여실태조사 결과보고서 중 성인에 관련된 조사 항목의 구성 내용을 자세히 살펴보았다. 이 보고서는 총 여덟 개의 항목, 즉 활동수준, 근력, 활동유형, 자원봉사 (12개월 안 최소 두 번), 정신건강, 개인 및 지역 사회 개발, 외로움, 그리고 태도로 구성되어 있다. 이 중에서 본 절에서는 신체(체육)활동 참여의 핵심 요소인 활동수준, 활동유형, 태도에 중점을 두고 분석하였다.
성인의 신체(체육)활동 참여에 대한 활동수준을 파악하기 위해 수집된 데이터는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분류하여 분석되었다. 이는 성별(남/여), 사회경제적 집단(상류층/중산층/하류층), 연령별(16-34/35-54/55-74/75+), 민족성, 장애의 유/무가 포함된다(Sport England, 2023b). 성인의 신체(체육)활동 수준을 더욱 구체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활동수준의 기준점을 세 가지 범주로 상세화 되었다. 첫 번째 범주인 ‘Active’는 주당 평균 150분 이상 신체(체육)활동에 참여한 성인을 의미한다. 두 번째 범주인 ‘Fairly active’ 는 주당 30분에서 149분 사이의 신체(체육)활동을 수행한 성인을 지칭한다. 마지막으로, ‘Inactive’는 주당 30분 미만의 신체(체육)활동을 수행한 성인을 가리킨다. 이 세 가지 범주에 대한 구체적인 예시는 <Figure 2>에서 확인할 수 있다.
활동유형에 관한 분석에서는 신체(체육)활동 중 참여자 수가 가장 많은 7개의 활동 그룹을 집중적으로 조사하였다. 이 7개의 활동 그룹은 ‘여가를 위한 걷기(Walking for leisure)’, ‘활동적 여행(Active travel)’, 그리고 ‘피트니스 활동(Fitness activities)’, ‘여가 및 스포츠를 위한 자전거 타기(Cycling for leisure and sport)’, ‘러닝 (Running)’, ‘수영(Swimming)’, 그리고 ‘팀 스포츠(Team sports)’ 를 포함한다. 각 활동 그룹별로 지난 28일 동안 최소 두 번 이상 참여한 16세 이상의 인원을 조사함으로써 성인의 신체(체육)활동 유형을 파악하였다. 이 데이터는 <Figure 3>과 <Figure 4>에 그래프 형태로 나타내어 참여자 수가 가장 많은 상위 세 활동 그룹과 그다음으로 참여자 수가 많은 네 개의 활동 그룹을 보여준다. 이러한 결과 분석을 통해, 잉글랜드 성인들 사이에서 걷기가 가장 인기 있는 신체(체육)활동 유형으로 나타난 것을 확인할 수 있다(Sport England, 2023b).
Active Lives Adult Survey에서는 신체(체육)활동에 대한 참여자의 태도를 조사하기 위해 개인의 능력, 기회, 그리고 동기를 평가하였다. 여기서 ‘능력(ability)’은 참여자가 가진 신체적 능력과 자신감을 의미하며, ‘기회(opportunity)’는 활동을 할 수 있는 장소, 필요한 장비, 가족의 지지와 같은 외부적 요인을 나타낸다. ‘동기(motivation)’ 는 신체(체육)활동을 하는데 있어 개인의 즐거움과 만족감을 가리킨다. 이러한 세 가지 요소를 바탕으로 성인들의 신체(체육)활동에 대한 태도를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Figure 5>에 제시되었다.
<Figure 5>에 제시된 결과에 따르면, 참여자들의 능력, 기회, 동기와 같은 태도는 2018년부터 2022년까지의 큰 변화가 없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Sport England, 2023b).
잉글랜드의 신체(체육)활동 참여실태조사 보고서를 통해 밝혀진 바에 따르면, 성인들의 활동 수준은 Active, Fairly Active, Inactive 로 구분되어 제시되었다. 또한, 활동유형은 주요 활동 그룹의 참여자 수를 기반으로 분석되었고, 참여자들의 태도는 능력, 기회, 동기라는 세 가지 요소로 세분화하여 조사되었다.
호주
호주는 인구의 신체(체육)활동을 추적을 위해 대규모 전국 조사인 AusPlay Survey를 수행하고 있다. 이 조사는 호주 정부가 2018년부터 추진 중인 ‘Sport 2030’ 전략의 핵심 부분이며, 2018-19 연방 예산을 통해 340만 호주달러(한화 약 30억 원)의 지원을 받고 있다. AusPlay Survey는 신체(체육)활동 참여환경을 보다 잘 이해하고 국민들의 참여를 촉진하기 위한 전략을 개발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증거 기반의 스포츠 시장 통찰력을 제공하고자 한다. ‘2021/22 AusPlay:National Sport and Physical Activity Participation Report’는 호주의 신체(체육)활동 참여실태를 조사한 결과보고서로, 2022년 10월에 국민에게 공개되었다.
1. 모집단 구성
AusPlay Survey는 호주 전역의 국민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2021/22 AusPlay Survey의 목표 표본 크기는 20,000명(15세 이상)으로 설정되었으며, 균등하게 분포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실제로 달성된 표본 크기는 20,025명(15세 이상)으로, 이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Table 7에 나열되어 있다.
Table 7
State | Adult sample |
---|---|
New South Wales | 7,105 |
Victoria | 4,965 |
Queensland | 3,436 |
South Australia | 1,326 |
Western Australia | 1,910 |
Tasmania | 472 |
Northern Territory | 171 |
Australian Capital Territory | 640 |
Total | 20,025 |
<Table 7>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AusPlay Survey에서는 New South Wales 지역에서 가장 많은 7,105명의 표본을 수집하였다. 이어서 Victoria 지역에서는 4,965명, Queensland에서는 3,436명의 표본이 모집되었다. 반면, Northern Territory에서는 가장 적은 표본 수인 171명을 모집한 것으로 나타났다.
2. 조사기관 및 기간
AusPlay Survey는 호주스포츠위원회(ASC) 주관하는 대규모 전국 신체(체육)활동 참여 추적 조사이다. 이 조사는 2014년 6월 호주 통계청(ABS)이 신체(체육)활동 및 레크리에이션 관련 데이터 수집에 대한 재정지원을 중단한 후, 호주스포츠위원회(ASC)가 데이터 수집 업무를 이어받아 진행하고 있다. 2015년 호주스포츠위원회(ASC)는 공개 입찰을 통해 글로벌 광고, 기술 및 데이터 회사인 Big Village를 AusPlay Survey의 데이터 수집 파트너로 선정했다. Big Village는 조사 데이터를 수집하여 호주스포츠위원회(ASC)에 제공하고 있다. AusPlay Survey의 데이터 수집 기간은 2021년 7월 1일부터 2022년 6월 30일까지였으며(Australian Sports Commission, 2022a), 이 기간동안 수집된 설문지 데이터 분석 결과는 2022년 10월에 일반에 공개되었다.
3. 조사 방법
AusPlay Survey는 Big Village의 멜버른(Melbourne) CATI (Computer Assisted Telephone Interview) 시설에서 무작위 전화 면접방식(Random Digit Dialing, RDD)을 사용하여 실시되었다. 이 방식은 100% 모바일로 직접 전화를 걸어 면접을 진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조사는 15세 이상의 호주 국민을 대상으로 무작위로 선정하여 수행되었으며, 특히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한 봉쇄 기간 및 이후에는 면접관이 자신의 집에서 원격으로 면접을 진행되었다. 선정된 면접관들은 AusPlay Servey에 대한 상세한 브리핑을 받고 면접을 실시하였다(Australian Sports Commission, 2022a). 모든 면접은 ISO 20252(시장조사 및 사회조사 서비스에 대한 국제 표준), Australian Data and Insights Association(호주 데이터 및 통찰 협회), The Research Society(연구 협회)의 멤버십 요구사항을 준수하며 진행되었다. 이 요구사항에는 설문지 가이드 설계, 데이터 관리 및 처리, 윤리적 요구사항, 그리고 일반 데이터 보호 규정 등이 포함된다(Australian Sports Commission, 2022a;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2019).
면접에 대한 참가자의 응답률은 Table 8에 자세히 나타나 있다.
Table 8
Total Call | 206,864 |
Total Call Made(completed interviews) | 20,025 |
Total Call not Made | 208,839 |
Response Rate | Prox. 10% |
최종적으로 수집된 자료는 항목별로 단순 빈도와 백분율을 계산하기 위해 기술 통계 분석을 통해 결과를 도출하였다. 하지만 AusPlay Survey의 각 지역별 응답자 표본이 해당 지역의 전체 인구를 완벽하게 대표하지 않을 수 있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응답자 데이터에 가중치를 부여하는 방식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가중치는 지역(13), 성별(2), 연령(6)의 3가지 요소로 구성된 156개의 “셀”을 기반으로 한 거주 인구 추정에 근거하여 부여되었다. 표본 내에서 대표성이 부족한 응답은 높은 가중치를, 과다한 대표성을 보이는 응답은 낮은 가중치를 받았다. 결과적으로, 가중치의 합계는 15세 이상의 호주 인구와 동일하게 조정되어, 특정한 특징을 가진 인구 집단의 추정치(예: 특정 스포츠를 즐기는 사람들)가 전체 인구 또는 관련 하위 인구에 대한 직접적인 추정치로 해석될 수 있도록 하였다.
추정된 통계치의 불확실성은 표준 오차, 상대 표준 오차, 오차 범위 또는 상대 오차 범위 등의 지표를 통해 제시되었다. 이러한 지표는 샘플 크기에 따라 변동될 수 있음을 명시하였다.
4. 조사구성 항목 및 체계
호주에서 진행된 신체(체육)활동 참여실태조사의 설문지는 구체적으로 설계되었으며, 참가자들의 신체(체육)활동을 정밀하게 파악하기 위해 세 가지 주요 부문으로 나누어 구성되었다. 첫 번째 부문은 성인 신체(체육)활동 참여자, 두 번째 부문은 성인 신체(체육)활동 비참여자, 세 번째 부문은 성인 신체(체육)활동 비관여자를 대상으로 설문으로 구성되었으며, 이 중 성인 신체(체육)활동 참여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내용은 <Table 9>에 자세히 나타나 있다.
Table 9
Composition of Survey Items | Detailed Contents |
---|---|
Activity | Physical activities participated in over the last 12 months. List the activities in order of the most time dedicated to each. |
Frequency | Frequency of the activity. Frequency of participation in the activity over the last 12 months, including weekly and monthly frequencies. |
Duration | Time spent on the most recent activity. Record the duration of the activity in days, hours, and minutes. |
Org | Participation in the activity at an organization or location. For example, choices can include a sports club, gym, personal trainer, etc. |
Pay | Whether there is a participation fee for the activity. |
Paid | If a participation fee was paid, the amount paid over the last 12 months. |
Tech | Use of electronic technology or devices over the last 12 months. For example, apps, wearable devices, online platforms, etc. |
Motive | Reasons for participating in the activity. Choose three reasons for engaging in the activity. |
Drop | Plans for future non-participation in the activity. Current non-participation in the activity. |
Future | Interest in trying or participating in new physical activities in the future, record up to three future activities of interest, and the organization or location for future participation. For example, choices can include a sports club, gym, personal trainer, etc. |
Prefer | Most preferred activity participated in. |
Adapted from the content of the questionaire by Australian Sports Commission, 2022c, pp. 4-10.
Adult Participant Module은 지난 12개월 동안의 참가자들이 경험한 다양한 활동의 종류, 빈도, 지속 시간, 참여 장소 및 조직, 참여비 지불 여부, 기술 사용 여부, 참여 동기 등을 포함한 여러 항목을 다루고 있다. 또한, 현재와 미래에 대한 참여 의사 및 선호하는 활동과 조직에 관한 질문도 포함되어 있다. 이 정보는 참가자들의 활동 패턴, 선호도, 그리고 미래의 스포츠나 신체(체육)활동 참여 계획에 대한 중요한 통찰을 제공할 수 있다.
<Table 10>에서는 성인 신체(체육)활동 비참여자에 대한 설문내용을 나타내며, Adult Non-Participant Module은 지난 1년 동안의 신체(체육)활동 참여 여부, 참여 중단 이유, 그리고 현재 활동 비참여 원인을 조사한다. 또한, 참여 의향이 있는 비참여자들의 미래 신체(체육)활동 참여 계획, 원하는 활동 종류, 그리고 참여하고 싶은 조직이나 장소에 대한 선호도도 파악할 수 있다.
Table 10
Composition of Survey Items | Detailed Contents |
---|---|
Past | Participation in physical activities in the past year. |
Barrier past | Reasons for discontinuing a previous activity. Provide options for reasons for discontinuation and record up to three. |
Barrier now | Reasons for current non-participation in physical activities. Choose three reasons for not participating. |
Future | Consideration for future physical activities. Choose activities you would like to try or participate in the future. |
Future act | Choose up to three activities you would like to try or participate in the future. |
Future org | Availability of an organization or location for future participation in the activity. For example, choices can include a sports club, gym, personal trainer, etc. |
Prefer | Most preferred activity participated in. |
Adapted the content of the questionaire by Australian Sports Commission, 2022c, pp. pp.11-14.
<Table 11>에서는 성인 신체(체육)활동 비관여자에 대한 설문내용을 나타내고 있다.
Table 11
Composition of Survey Items | Detailed Contents |
---|---|
Involved | Involvement in other roles (such as officiating, volunteering, coaching, etc.) without participating in physical activities in the past 12 months. |
Role 1-3 | Involvement in which activities and in what roles. Choose up to three roles for involvement. |
Paid 1-3 | Payment for roles in the past 12 months. If paid, select “Yes”. |
Goods 1-3 | Receipt of goods or benefits for roles in the past 12 months. If received goods or benefits, select “Yes”. |
Volunteer 1-3 | Consideration as a volunteer even if paid. If considered a volunteer, select “Yes”. |
Adapted the content of the questionaire by Australian Sports Commission, 2022c, pp. 15-16.
Adult Non-Playing Involvement Module은 지난 12개월 동안 참여자들이 직접적인 신체(체육)활동이나 경기에 참여하지 않고, 어떤 역할을 통해 관련 활동에 참여했는지를 조사한다. 이 모듈은 참여자들이 신체(체육)활동에 직접 참여하지 않으면서도 어떤 역할로 활동에 관여하였는지, 그리고 최대 3가지 활동에서 어떤 역할을 수행했는지를 파악한다. 또한, 참여한 역할에 대한 급여, 상품 혹은 혜택의 유무, 그리고 자원봉사자로서의 활동 여부도 확인할 수 있다.
이어서, 인구통계학적 조사, 즉 연령, 장애, 성별, 민족성, 사회경 제적 지위, 직업 상태, 교육 수준, 성적 등과 관련된 질문들이 포함되어 있다. 호주 성인의 신체(체육)활동 참여실태조사 설문지는 이와 같이 세 가지 주요부분으로 구성되여 진행되었다.
5. 결과보고 구성
AusPlay 결과보고서의 분석을 통해, 이 조사가 연령을 중심으로 한 신체(체육)활동 참여자의 특성을 파악하는 데 집중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연구는 15세 이상의 호주 성인을 대상으로 하며, 참여자들은 연령, 성별, 특정 인구학적 특성을 기준으로 세밀하게 분류되었다. 이러한 분류에는 전체 성인, 성별(남성, 여성), 젊은 성인(15-19세), 18세 이상의 장애인, 이민자, 원주민, 대도시 및 지방 거주 성인 등이 포함된다(Australian Sports Commission, 2022c). 각 하위 그룹별로 신체(체육)활동 참여율, 동기, 비참여 이유, 참여 빈도, 그리고 참여하는 활동의 유형 등 다양한 측면이 조사되었다.
본 절에서는 AusPlay 결과보고서 내에서 15세 이상의 성인의 신체(체육)활동 참여율, 참여빈도, 그리고 참여유형에 대한 분석결과을 중점적으로 살펴보았다.
첫째로, 호주 성인의 신체(체육)활동 참여율을 파악하기 위해, 수집된 데이터는 성인 전체, 성인 남성, 성인 여성, 젊은 성인, 장애인, 이민자, 원주민, 대도시 및 지방 도시 거주자 등 다양한 그룹으로 세분화되어 분석되었다. 각 세부그룹에서 15세 이상 성인 중 최소 주 1회 이상 신체(체육)활동에 참여한 인원을 조사하여 참여율을 측정하였다. 특히, 성인의 주 1회 이상 신체(체육)활동 참여 중 중간 강도의 활동 예로는 빠르게 걷기, 골프, 수영 등이 있으며, 이들 활동은 주에 2.5시간에서 5시간 동안 수행되어야 한다. 또한, 격한 활동 예로는 에어로빅, 사이클링, 축구 등이 있으며, 이들은 주에 1.25시간에서 2.5시간 동안 이루어져야 한다. 이와 같은 신체활동 참여율은 <Figure 6>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Figure 6>의 결과를 살펴보면, 호주 성인 중에서 성인 여성의 신체(체육)활동 참여율이 성인 남성에 비해 높게 나타나고 있다.
또한, 호주 성인의 신체(체육)활동 참여빈도를 파악하기 위해, 수집된 데이터는 성인 전체, 성인 남성, 성인 여성, 젊은 성인, 장애인, 이민자, 원주민, 대도시 및 지방도시 거주자로 세분화하여 분석되었다. 호주 성인들의 신체(체육)활동 참여빈도는 다섯 가지 범주로 나뉘어 분석되었다: ‘1년에 한 번 이상 신체(체육)활동 참여’, ‘1주일에 한 번 이상 신체(체육)활동 참여’, ‘1주일에 3번 이상 신체(체육)활동 참여’, ‘1주일에 5번 이상 신체(체육)활동 참여’, 그리고 ‘1주일에 7번 이상 신체(체육)활동 참여’. 이러한 분석 결과는 <Figure 7>에 나타나 있다.
<Figure 7>의 분석 결과에 따르면, 호주 성인 전체를 대상으로 한 참여 빈도 중에서 ‘1년에 한 번 이상 참여’하는 비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호주 성인들의 신체(체육)활동 참여유형을 분석하기 위해 전체 성인 인구와 성별에 따른 조사가 실시되었다. 성인 남성과 성인 여성의 경우 연령별(15-34세/35-54세/55세 이상)로 분석 되었으며, 젊은 성인, 장애인, 이민자, 원주민, 대도시 및 지방도시 거주자들도 성별로 신체(체육)활동에 대한 선호도를 조사하였다. 각 신체(체육)활동 유형의 선호도는 ‘참여자의 추정 수’를 기준으로 순위가 정렬되었으며, 이와 관련된 결과는 <Figure 8>에 시각적으로 제시되었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호주 성인 남성은 주로 육상 활동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었고, 성인 여성은 수영을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호주의 신체(체육)활동 참여실태조사 보고서 분석을 통해 15세 이상 성인의 신체(체육)활동 참여율, 참여 빈도 그리고 참여유형을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었다.
한국
한국에서는 1991년부터 국민들의 신체(체육)활동에 대한 수요를 정확히 파악하고, 신체(체육)활동 참여제약 조건을 최소화하며, 국민들의 참여 촉진 및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국민생활체육조사를 매년 실 시하고 있다. 이 조사는 국가에서 승인한 통계로, 신체(체육)활동 참 여 형태, 현재 참여하는 종목, 선호하는 종목, 원하는 시설 등을 포함한 다양한 항목을 조사하여 정책 수립의 기초자료로 활용된다. 한국의 국민생활체육조사는 대규모 표본을 사용하는 주요 조사 중 하나로, 이 연구에서는 2022년 국민생활체육조사 결과를 심도있게 분석하였고, 해당 결과는 2023년 1월에 공개되었다.
1. 표본 구성
2022년 국민생활체육조사의 표본은 조사 시점에 국내에 상주하고 있는 만 10세 이상의 가구원 중 총 9,000명으로 구성되었다. 이 표본 선정에서는 기숙사, 특수사회시설 등의 집단시설에 거주하는 가구 원, 군 복무 중인 인원, 장기간 다른 지역이나 해외에 거주하는 가구 원은 제외되었다. 보다 구체적으로 학교, 공장, 병원 등의 기숙사 거주하는 인원, 양로원, 고아원, 특수병원 등 특수사회시설에 거주하는 인원, 군 복무자(현역병, 상근예비역, 전투경찰대원, 경비교도대 등), 교도소, 소년원, 치료감호소 등의 수감된 인원, 장기 해외 출장이나 체류자, 그리고 외국인 등의 대상은 이 조사에서 제외되었다.
2. 조사기관 및 기간
2022년 국민생활체육조사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주관하여 진행되었으며, 국민체육진흥공단 산하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과 리서치컨 설팅 전문기관인 ㈜비바컴퍼니가 협력하여 국민들의 신체(체육)활동 참여 수준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이 조사의 기간은 <Table 12>에서 확인 할 수 있다.
Table 12
Stage | Schedule | Task | Stage | Schedule | Task | ||
---|---|---|---|---|---|---|---|
1. Preparation for the survey | Survey design | 2022. July- August | 2. Data collection | Fieldwork | 2022. September- November | ||
Sampling | 2022. July- August | 3. Data processing and validation | Verification | 2022. October- November | |||
Data processing | 2022. November | ||||||
2. Data collection | Recruitment/ Training of surveyors | 2022 September | 4. Analysis and dissemination of results | Derivation of survey results | 2022. December | ||
Development of survey instruments | 2022 September | Publication of results | 2023. January |
3. 조사방법
국민생활체육조사는 1:1대면 면접방식으로 진행되었다. 면접원들은 구조화된 설문지를 가지고 조사 대상 가구를 직접 방문하여 적격한 조사 대상자 한 명을 선정한 뒤, 그들의 응답을 기반으로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초기 단계에서는 설문지가 공동 연구자들과 전문가의 자문회의를 거쳐 보완 및 수정되었다. 이후 실사 진행을 위해, 면접원들은 조사의 목적과 내용, 그리고 현장검증 방안에 대해 단계별로 교육을 받았다. 가구 유형별 특성을 고려한 조사 방법에 대한 시나리오 교육도 포함되었으며, 이 과정에서는 가능한 상황들을 시나리오 형식으로 학습하고 실제 상황극을 통해 대처 능력을 향상시켰다. 지속적인 오류에 대한 재교육을 통해 면접 과정의 오류를 최소화 하였으며, 이를 통해 면접원들은 실제 가구 방문 면접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었다. 가구 접촉 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상황에 대한 설명은 <Figure 9>에 제시되었다.
국민생활체육조사의 면접 조사 과정은 <Figure 9>에 나와 있는 여러 단계를 거치며 진행되었다. 이 과정에서 조사참가자들은 적격자와 비적격자로 구분되었으며, 이러한 구분은 미국여론조사협회(APPOR)의 Standard Definitions(2016)에 명시된 기준을 따른 것이다. 적격자와 비적격자로 분류된 참가자들에 대한 세부적인 내용은 <Table 13>과 같다.
Table 13
Categorization | Detailed Contents | ||
---|---|---|---|
Appropriate | ①Interview completed for qualified candidates | I | When successfully contacted appropriate person for investigation |
②Rejection/ Termination of Qualified Candidate | R | When contact with the appropriate person resulted in rejection or termination, leading to failure or discontinuation | |
③Unable to conduct interview with appropriate person | O | When contact was made with the appropriate person but due to situational factors, an interview was not possible | |
④Unable to contact appropriate person | NC | When multiple attempts were made to interview the appropriate person by visiting, but the person was not available for the interview. | |
Inappropriate | ⑤Appropriate person unconfirmed | UO | When contact was made with a household member but unable to confirm whether there are appropriate person within the house. |
⑥Inappropriate house | Ne | If contact was made with the household member but there were no appropriate person identified within the house | |
⑦Absence of household members | UH | If visited three or more times but unable to make contact with household members, thus unable to contact anyone. | |
⑧Household members’ rejection | HR | Immediate and strong rejection upon contact with household members, preventing any assessment of the house situation |
국민생활체육조사의 자료수집 과정은 여러 단계로 이루어진 것이 확인되었다. 이 과정을 통해 수집된 설문 자료는 항목별 단순 빈도 수와 백분율을 계산하는 기술 통계 분석을 활용하여 분석되었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도출된 결과는 일반 대중에게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도록 보도자료 및 출판물 형태로 제작되어 일반에게 공개되었다.
4. 조사구성 항목 및 체계
국민생활체육조사는 전체 국민을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며, 국민의 건강과 체력상태, 신체(체육)활동 및 참여 여건, 신체(체육)활동 참여 현황 및 관련된 여러 여건 등을 포괄적으로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 조사는 국민생활체육 정책을 수립하는 데 필요한 기초자료로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조사 내용은 크게 네 가지 주요 영역으로 구분되었으며, 각 영역에 대한 세부내용은 <Table 14>와 같다.
Table 14
Categorization | Detailed Contents | |
---|---|---|
Health and physical condition | Perception and maintenance methods regarding health and fitness | Level of implementation of methods for maintaining health and fitness |
Disruptions due to physical and mental health in the past month | ||
Physical activity and conditions | presence or absence of major local sports facilities, and types of facilities | Preferred sports facilities for future use |
Purchasing status of sports equipment in the past year | Experience with courses or lessons related to recreational sports | |
Utilization status of scientific fitness management services | Sources of obtaining information related to recreational sports | |
Involvement in sports clubs and activities | ||
Participation status in physical activities | Participation status in sports activities in the past year, regular participation in sports activities, and the current status of preferred sports activities | Reasons for participating in sports activities, factors influencing participation in sports activities, presence of accompanying participants in sports activities |
Adherence to safety precautions during sports activities, injury status during exercise in the past year | Changes in the frequency of hospital treatments after regular participation in sports activities | |
Monthly average expenditure on sports activities | Effects of physical activities, changes in exercise levels | |
Preconditions for promoting participation in sports activities (regular participants in sports activities) | In leisure time, preferred sports activities for future participation (regular participants in sports activities) | |
Irregular participation status in sports activities | Prerequisites for promoting participation in sports activities (non-regular participants in sports activities) | |
In leisure time, preferred sports activities for future participation (non-regular participants in sports activities) | ||
Policyrelated questions | Regular participation status in physical activities (*Criteria: Accumulated 30 minutes or more per day, regardless of frequency) | Changes in regular participation in physical activities after COVID-19 (*Changes in frequency, types of activities, and locations of exercise) |
Participation status in virtual sports activities | Social effects of physical activity |
<Table 14>는 국민생활체육조사에서 다루어진 세부적인 조사 내용을 상세히 나열하고 있다. 건강과 체력 부분에서는 개인의 건강 인식, 유지 방법 및 최근의 건강 문제에 대해 조사되었으며, 신체(체육) 활동 및 여건에 관한 부분에서는 생활권의 체육시설 유/무, 운동용품 구매, 강좌 이용 상황, 정보 획득 경로 등이 포함되었다. 또한, 신체(체육)활동 참여 현황 부분에는 최근 신체(체육)활동의 참여 현황 수준, 안전 준수, 경비, 효과 및 참여 형태(규칙적, 비규칙적)에 관한 내용을 포함하였다. 정책 관련 항목에는 규칙적인 신체(체육)활동 참여 현황, 코로나19로 인한 참여 변화, 비대면 신체(체육)활동 및 신체(체육)활동의 사회적 효과 등이 조사되었다.
뒤이어 인구통계학 조사의 항목인 학력, 가구 구성 및 일반사항, 소득, 직업 등의 질문이 한국국민생활체육조사 설문지의 항목으로 포함되어 있다.
5. 결과보고 구성
2022년 국민생활체육조사의 결과보고서는 다섯 가지 주요 항목으로 세분화하여 분석되었다. 이는 체력 및 건강 상태, 신체(체육)활동 및 여건, 신체(체육)활동 참여 현황(전체), 규칙적 참여 집단과 비규칙적 참여 집단의 신체(체육)활동 참여 현황을 포함한다. 이러한 부문별 분석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이 절에서는 신체(체육)활동 참여 현황을 주요 관심사로 다루었다.
첫째, 규칙적 신체(체육)활동 참여 여부 및 빈도에 대한 데이터는 아홉 개의 항목으로 세분화되어 분석되었다. 이들 항목은 참여 빈도를 나타내며, ‘전혀 하지 않음’, ‘월 3회 이하’, ‘주 1회’, ‘주 2 회’, ‘주 3회’, ‘주 4회’, ‘주 5회’, ‘주 6회’, ‘매일’로 구성되어 있다. 주 1회에 해당하는 신체(체육)활동 참여는 나이와 관계없이 최소한 30분의 활동시간을 의미하고 있다. 이 데이터는 전체 국민을 비롯해 도시 규모별(대/중소/읍면 이하), 성별(남/여), 연령별 (10/20/30/40/50/60/70대 이상), 학력별(초/중/고/대학(4년제 미만)/대학교(4년제 이상)/대학원 이상)로 구분하여 자세하게 조사되었다. 각 항목별 결과값은 백분율로 계산되어 표시되었으며, 해당 차트 <Fig. 10>에서 이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Fig. 10>은 국민의 신체(체육)활동 참여 여부 및 빈도를 나타낸 것으로, 주 1회 이상의 신체(체육)활동에 참여하는 국민은 61.2%로 나타났다. 하지만 개별 항목을 살펴보면 신체(체육)활동을 전혀하지 않는 국민이 가장 많은 것으로 드러났다.
둘째, 규칙적으로 신체(체육)활동을 하는 집단이 선호하는 신체 (체육)활동 유형을 파악하기 위해, 수집된 데이터는 신체(체육)활동 유형 10가지로 분류하여 분석되었다. 이에 포함된 항목은 ‘걷기 (조깅, 속보)’, ‘보디빌딩(헬스)’, ‘등산’, ‘수영’, ‘축구/풋살’, ‘골프 (그라운드 및 파크 포함)’, ‘요가/필라테스/테보’, ‘체조(맨손체조, 생활체조)’, ‘배드민턴’, 그리고 ‘자전거(사이클, 산악자전거 포함)’ 였다. 이러한 유형의 활동에 대한 선호도는 국민 전체, 도시 규모별 (대/중소/읍면 이하), 성별(남/여), 연령별(10/20/30/40/50/60/70대 이상), 성/연령별(남자 10/20/30/40/50/60/70대 이상, 여자 10/20/30/40/50/60/70대 이상), 그리고 소득별(100만 원 미만/100-200만 원 미만/200-300만 원 미만/300-400만 원 미만/400-500만 원 미만/500-600만 원 미만/600-700만 원 미만/700-800만 원 미만/800-900만 원 미만/900 만 원 이상)로 세분화되어 분석되었다. 각 항목별 분석 결과는 백분율로 환산되어 제시되었고, 이에 대한 예시는 Table 15에서 보여주고 있다.
Table 15
Categorization | Walking (jogging, brisk walking) | Body Building (Healthcare) | Hiking | Swimming | Football | Golf (including Ground, Park Golf) | Yoga, Pilates, Tabata | Gymnastics (calisthenics, recreational gymnastics) | Badminton | Biking, cycling, mountain biking |
---|---|---|---|---|---|---|---|---|---|---|
2020 | 41.9 | 13.3 | 17.6 | 6.2 | 7.0 | 5.5 | 6.7 | 6.1 | 3.4 | 6.6 |
2021 | 41.4 | 13.4 | 13.5 | 4.0 | 5.8 | 6.8 | 7.2 | 4.9 | 4.3 | 6.2 |
2022 | 36.8 | 12.8 | 10.5 | 8.5 | 8.3 | 7.8 | 6.5 | 5.6 | 5.5 | 5.5 |
<Table 15>를 통해 확인된 바와 같이, 규칙적으로 신체(체육)활동에 참여하는 집단이 가장 선호하는 활동유형은 걷기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규칙적으로 신체(체육)활동에 참여하는 집단이 선호하는 시설 유형을 파악하기 위해 수집된 데이터는 ‘공공 체육시설’, ‘민간 체육시설’, ‘기타 체육시설’, ‘학교 체육시설’, ‘자가 시설’, ‘직장체육시설’, ‘기타’ 등 일곱 가지 항목으로 분류되어 조사되었다. 이 데이터는 국민 전체, 도시 규모별(대/중소/읍면이하), 성별(남/여), 연령별(10/20/30/40/50/60/70대 이상), 성/연령별(남자 10/20/30/40/50/60/70대 이상, 여자 10/20/30/40/50/60/70 대 이상), 그리고 소득별(100만 원 미만/100-200만 원 미만/200- 300만 원 미만/300-400만 원 미만/400-500만 원 미만/500-600 만 원 미만/600-700만 원 미만/700-800만 원 미만/800-900만 원 미만/900 만 원 이상)으로 세분화되어 분석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각 시설 유형의 선호도는 백분율로 환산되어 제시되었다. 예를 들어, 국민 전체의 경우 공공시설(52%), 민간체육시설(48.4%), 기타체육시설(17.7%), 학교체육시설(10%), 자가시설(6.2%), 직장체육시설(1.5%), 기타(2.5%) 순으로 조사되었다. 특히, 모든 인구통계학적 항목에서 규칙적으로 신체(체육)활동에 참여하는 집단이 주로 이용하는 신체(체육)활동 시설은 공공 체육시설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국의 신체(체육)활동 참여실태조사 보고서를 분석함으로써, 국민의 신체(체육)활동 참여 여부와 빈도, 규칙적으로 신체(체육)활동에 참여하는 집단의 활동유형과 이용하는 시설에 대한 중요한 정보를 얻을 수 있었다. 각 주제에 대한 결과는 다양한 분류 항목에 따라 세부적으로 분석되었으며, 이러한 결과값은 백분율로 제시되어 명확한 이해를 돕고 있다. 이러한 자료는 국민의 신체(체육)활동 참여 실태를 정확하게 파악하는 데 기여하며, 체육 정책 수립 및 체육시설 관리 전략에 중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논의
지금까지 잉글랜드, 호주, 한국에서 진행한 국민 신체(체육)활동 참여실태조사의 조사 항목 및 구성 체계를 면밀히 살펴보았다. 아래의 <Table 16>에서는 이들 국가의 신체(체육)활동 참여 실태조사 방법론에 대한 종합적인 비교·분석 결과를 정리하여 제시하고 있다. 여기에는 표본구성, 조사기관 및 기간, 조사 방법, 조사구성 항목 및 체계, 그리고 결과보고서 구성에 관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조사결과를 기반으로, 본 절은 각국의 국민 신체(체육)활동 참여실태 조사 방법론에 초점을 맞추어 논의 관점에서 유사점과 차이점을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국내 생활(체육)활동 참여실태조사방법론의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Table 16
먼저 잉글랜드, 호주, 한국의 국민 신체(체육)활동 참여실태조사의 방법론의 유사점을 살펴보면, 첫째로 이들 세 국가는 모두 매년 신체(체육)활동 참여 현황을 체계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실태조사를 진행하고 있다. 둘째, 각 조사는 신체(체육)활동의 참여 여부, 빈도, 동기, 신체(체육)활동 참여유형 및 종목, 신체(체육)활동 참여 장소, 신체(체육)활동을 통한 효과 등의 공통된 핵심 항목을 포함하고 있다. 셋째, 이들 조사는 성별, 연령, 지역 등과 같은 다양한 인구통계학적 요인을 고려하여 조사 대상을 세분화하고, 이를 통해 각 조사 그룹의 특징과 차이점에 대한 세심한 분석이 이루어진다.
반면에 잉글랜드, 호주, 한국에서 진행되는 신체(체육)활동 참여 실태조사 방법론에서 몇 가지 주요 차이점을 확인할 수 있다. 첫 번째 차이점은 표본 구성에 있다. 잉글랜드는 만 16세 이상 성인 약 3,821만 명 중 177,511명을 조사했으며, 이는 만 16세 이상 성인 인구의 약 0.46%에 해당한다. 호주의 경우, 만 15세 이상 성인 약 2,163만 명 중 20,025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는데, 이는 만 15세 이상 성인의 약 0.09%를 대상으로 한 것이다. 하지만 한국은 만 10세 이상 인구 약 4,798만 명 중 9,000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진행했으며, 이는 만 10세 이상 인구의 0.02%를 대상으로 한 것이다. 이러한 차이는 각 국가의 조사 대상자 수의 비율이 서로 다름을 의미하며, 한국의 조사 대상자 수(표본)가 잉글랜드와 호주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각 국가의 조사 대상 연령대 역시 상이하다는 점에서 차이를 보인다. 한국은 만 10세 이상을 대상으로 조사하는 반면, 잉글랜드는 만 16세 이상 성인, 호주는 만 15세 이상 성인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고 있다. 이러한 표본 구성의 차이는 각 국가 조사결과의 대표성과 통계적 신뢰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한국의 경우 상대적으로 작은 표본 크기로 인해 데이터의 일반화 및 결과의 신뢰성에 제한이 있을 수 있다. 반면에 잉글랜드와 호주는 상대적으로 더 큰 표본 크기를 활용함으로써, 보다 포괄적인 인구 특성을 파악하는 데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더 많은 데이터 양은 연령, 성별, 지역 등 다양한 요인에 따른 차이나 패턴을 뚜렷하게 드러내는 데 도움이 되며, 이는 결과에 대한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따라서 표본 크기의 차이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Cook & Campbell, 1979; Park et al., 2010).
둘째, 조사기간과 방법에서 나타난 차이점을 보면, 잉글랜드와 호주는 1년간의 기간 동안 데이터를 수집한 반면, 한국은 상대적으로 짧은 2개월 동안의 기간에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이러한 조사 기간의 차이는 결과의 포괄성과 정확성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셋째, 이 세 국가의 조사 방법은 설문지 사용으로 공통점이 있지만, 그 세부적인 조사 방법에서 차이를 보였다. 잉글랜드는 온라인과 우편 방식을 사용하였으며, 호주는 모바일 전화 방식을 이용한 반면, 한국은 1:1 대면 면접방식을 채택하였다. 예를 들어, 잉글랜드는 2021년 11월부터 2022년 11월까지 온라인과 우편으로 설문조사를 병행하여 282개의 지역 당국에서 각각 500건의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호주는 2021년 7월부터 2022년 6월까지 1년 동안 100% 모바일 전화 방식을 통해 206,864번의 전화를 시도하여 목표치인 총 20,025명의 데이터를 취합하였다. 이에 반해 한국은 2022년 9월 중순부터 11월 중순까지 약 2개월 기간 동안 1:1 대면 면접방식으로 총 9,000명의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이러한 조사기간과 방법의 차이는 표본의 크기와 더불어 데이터의 정확성과 신뢰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특히 한국의 경우, 비교적 2개월이라는 짧은 조사 기간과 대면 면접방식으로 인해 표본 크기가 제한되고 있다. 대면 면접방식의 경우, 면접원이 조사 대상자를 직접 만나 면접을 진행함으로써 잉글랜드와 호주의 설문조사 방식에 비해 보다 심층적인 조사내용을 들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과거 신체(체육)활동에 대한 기억이 명확하지 않을 수 있다는 단점은 존재한다. 따라서 표본 크기가 작은 것은 응답률 및 응답의 일관성이 낮을 가능성이 있고, 이는 연구 결과의 일반화에 한계를 가져올 수 있다. 이러한 이유에서 충분한 조사 기간과 방법적 차이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Lee et al., 2021).
넷째, 잉글랜드와 호주의 신체(체육)활동 참여실태조사는 신체(체육)활동뿐만 아니라 다양한 문화활동과 생활습관을 포함한 조사를 진행하는 반면, 한국은 주로 신체(체육)활동에 집중하여 조사한다. 예를 들어, 잉글랜드에서는 잉글랜드 예술위원회(Arts Council England)가 Active Lives Survey에 자금을 지원하여 문화 활동과 관련된 질문을 추가함으로써, 다양한 지역 및 인구 집단 간의 예술 및 문화 참여와 참석 패턴을 탐구하고 성인들의 신체(체육)활동 및 문화적 여가 및 레크리에이션 활동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자 하는 목적을 가진다(Arts Council England, 2017). 이와 같은 조사의 다양성은 문화 및 레크리에이션 활동에 대한 깊이 있는 탐구를 가능하게 하며, 이를 통해 더 포괄적인 이해와 넓은 시야를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다섯째, 결과보고서의 구성 및 결과 해석 방식(백분율, 그래프 등)에서 각 국가 간 차이점이 두드러진다. 특히, 신체(체육)활동 수준의 기준점 설정에 있어서도 국가별로 상이한 접근 방식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잉글랜드는 신체(체육)활동의 수준을 Active(주당 평균 150분 참여), Fairly active(주당 평균 30-149분 참여), Inactive(주당 평균 30분 미만) 등 세 가지 등급으로 구분하여 측정한다(Sport England, 2023b). 반면, 호주는 참여자가 최소 주 1회 이상 신체(체육)활동에 참여하는 것을 기준으로 삼고, 참여한 활동의 주당 총시간을 측정한다. 구체적으로, 참여자가 주 1회 이상 중강도의 활동(예: 빠른 걷기, 골프 수영 등)을 주당 총 2.5시간에서 5시간 참여하거나, 고강도 활동(예: 에어로빅, 사이클링, 축구 등)을 주당 총 1.25시간에서 2.5시간 참여하는 그룹으로 나누어 신체(체육) 활동 수준의 기준을 정하고 있다(Australian Sports Commission, 2022c). 한편, 한국의 경우, 나이와 관계없이 주 1회 최소 30분 이상 활동하는 것을 기준으로 삼고 있다(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2022a). 이처럼 설정된 활동 수준의 기준점 차이는 각 국가의 문화적, 건강적 특성 및 활동 선호도 등을 반영한 결과이지만, 잉글랜드와 호주에서 권장하는 신체(체육)활동 기준에 비해 우리나라의 신체(체육)활동 참여율을 결정하는 기준점은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이다.
즉, ‘주 1회 30분 이상’은 국민의 신체(체육)활동 참여율을 측정하는 핵심 기준점이 되어 왔으며, 신체(체육)활동 참여 증진을 위한 정책 수립에 주요한 지표로 기능해 왔다. 실제로 문화체육관광부는 이 기준에 근거하여 국민들의 신체(체육)활동 참여율을 매년 발표하고 있다. 2013년 45.5%로 조사된 국민 신체(체육)활동 참여율은 꾸준히 증가하여 2023년에는 62.4%까지 증가하였다(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2023). 2023년 12월 정부서울청사에서 한덕수 국무총리 주재로 열린 ‘제1차 스포츠 진흥 기본계획(2024-2028)’ 에서 정부는 2028년까지 국민 신체(체육)활동 참여율을 70%까지 올리는 것을 목표로 한다고 발표하였다(Kim, 2023). 하지만 단순히 주 1회 30분 기준으로 국민 신체(체육)활동 참여율을 조사하여 양적인 증가만을 지향하는 정책 목표는 제고될 필요가 있다.
세계보건기구(WHO), 미국보건복지부(HHS), 그리고 미국스포츠의과대학(ACSM) 등의 국제기관들은 건강 증진을 위한 명확하고 구체적인 신체활동 권장 지침(기준)을 제시하고 있다. 특히, 세계보건기구(WHO)는 건강 증진 효과를 위한 최소한의 신체활 동량으로 중강도 신체(체육)활동(moderate-intensity aerobic physical activity)을 주 최소 150분에서 300분, 고강도 신체(체육)활동(Vigorous-intensity aerobic physical activity)을 주 최소 75분에서 150분 권장하고 있다(Okely et al., 2021;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2018; World Health Organization, 2024; Yang, 2019). 이 권장 지침은 활동의 강도와 시간뿐만 아니라 중강도, 고강도의 활동유형에 따라 세분화 하여 측정되며, 이는 현재 스포츠 선진국을 비롯한 많은 국가에서 국제적인 신체(체육)활동 수준의 기준으로 인정받고 있다.
이를 고려할 때, 한국 정부가 국민 신체(체육)활동 참여율의 단순 양적인 증가만을 추구하는 정책지향점에 대해 재고할 필요가 있다. 세계보건기구 등 국제기구들이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 권장하는 최소한의 신체(체육)활동량 기준을 고려할 때, 국내 신체(체육)활동 참여 기준을 보다 높이는 것을 고민해 볼 시점이다.
결론 및 제언
이 연구는 잉글랜드, 호주, 한국의 신체(체육)활동 참여실태조사 방법론을 비교·분석하여 국내 조사 방법의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 대상으로는 잉글랜드의 ‘2021-22 Active Lives Adult Survey’, 호주 ‘2021-22 AusPlay(15+)’, 그리고 한국 ‘2022년 국민생활체육조사’를 선정하여, 이들 조사방법론을 상세히 비교·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세 국가의 신체(체육)활동 참여실태조사 조사방법론에서 나타나는 유사점과 차이점을 파악하였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의 신체(체육)활동 참여실태조사를 개선하기 위한 두 가지 주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한국의 국민생활체육조사는 조사 대상자의 규모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 현재 한국은 만 10세 이상 인구의 0.02%를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는 반면, 잉글랜드는 만 16세 이상 성인의 0.46%, 호주는 만 15세 이상 성인의 0.09%를 대상으로 데이터를 수집한다. 이는 한국의 조사가 상대적으로 제한적인 표본 크기를 사용하고 있음을 의미하며, 이로 인해 표본 데이터에 대한 대표성과 조사 결과에 대한 신뢰성에 문제가 제기될 수 있다. 따라서, 온라인, 우편, 모바일 조사 방법 등을 도입하여 조사 대상자의 범위를 넓히고, 다양한 연령대 및 지역에서의 조사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
둘째, 한국은 신체(체육)활동 참여를 위한 활동 수준의 기준을 국제 기준에 맞추어 재정립할 필요가 있다. 현재 한국의 기준은 주 1회 최소 30분 이상의 활동을 요구하고 있으나, 이는 세계보건기구(WHO)와 같은 국제기관들이 권장하는 중강도 활동(주 최소 150- 300분) 및 고강도 활동(주 최소 75-150분)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다. 잉글랜드와 호주는 보다 세분화된 활동 수준을 기준으로 설정하고 있다. 한국도 이러한 예시를 참고하여 활동시간, 강도 및 유형을 명확하게 규정하는 새로운 기준 설정에 대한 고도화가 필요하다.
본 연구가 잉글랜드와 호주의 신체(체육)활동 참여실태조사 방법론을 분석하여 한국의 조사 방법을 개선하기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였으나,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향후 연구에서는 잉글랜드, 호주, 한국 외의 다른 스포츠 선진국들, 예를 들어 일본, 중국, 미국 등의 조사방법론을 살펴보고 이들을 비교·분석하는 것이 유용할 것으로 보인다. 이는 세계적으로 다양한 신체(체육)활동 참여 실태조사 방법론을 비교하고 한국의 특성에 맞는 최적의 조사방법론을 모색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둘째, 후속 연구에서는 특정 대상 집단, 특히 노인층과 장애인 등에 초점을 맞춘 세부적인 조사가 필요하다고 보여진다. 이러한 대상 집단의 신체(체육)활동 참여실태를 보다 정확히 파악하고 이해하기 위해서는 맞춤형 조사방법론을 개발하고 적용하는 연구가 필수적이다. 이를 통해 노인층이나 장애인 등 특정 대상 집단의 신체(체육)활동 참여 현황을 더욱 정밀하게 조사하고 분석할 수 있으며, 그 결과는 해당 대상에 적합한 정책 수립과 프로그램 개발에 실질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는 데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AUTHOR CONTRIBUTION
Conceptualization: J Park, Data curation: B Kang, Formal analysis: B Kang, Methodology: J Park, Project administration: J Park, Visualization: B Kang, Writing-original draft: B Kang, Writing-review & editing: J Park
References
2023, AUSPLAYTM: Background, Retrieved from , https://www.clearinghouseforsport.gov.au/research/ausplay/background,
(2019) ISO 20252:2019(en), Market, opinion and social research, including insights and data analytics — Vocabulary and service requirements https://www.iso.org/obp/ui/en/#iso:std:iso:20252:ed-3:v1:en.
2023.12.20, National sports participation rate to reach 70%, sports market to exceed 105 trillion by 2028, Newspim, Retrieved from , https://www.newspim.com/news/view/20231219000551,
2023.4.20,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announced the results of the ‘2022 national survey on physical activity,’ revealing a participation rate in recreational sports of 61.2%, News Windows, Retrieved from , https://www.newsw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314016,
2023a, Active lives, Author, Retrieved from , https://www.sportengland.org/research-and-data/data/active-lives?section=overview,
2023e, Official statistics: Release schedules and pre-release lists, Retrieved from , https://www.sportengland.org/research-and-data/data/active-lives/active-lives-data-tables/official-statistics-release-schedules,
2018, WHO Global action plan on physical activity 2018-2030: More active people for a healthier world, Retrieved from , https://www.who.int/publications/i/item/9789241514187,
2024, Physical activity, Retrieved from , https://www.who.int/news-room/fact-sheets/detail/physical-activ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