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듬체조 지도자들의 실천공동체 분석: 구성원들의 사회적 관계

Abstract

Previous work has shown that coaches sought information from several sources; however, there was a strong reliance on learning from other coaches within their social networks. There has been limited research examining the nature of these social networks with other coaches (Trudel and Gilbert 2004).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tructures of coaches’ social networks of Korean rhythmic gymnasts. Research questions were: (1) What are the network structures of Korean rhythmic gymnasts’ coaches? (2) What structural parameters contribute to coaches’ network structures, and (3) Is there an association between coaches’ network and flow of information in their networks? A total of 37 coaches of youth rhythmic gymnasts (6-18 years old) participated in this study. Each of those coaches was asked to complete a Name Generator Questionnaire (i.e., list four names that you have a close relationship with) and general socio-demographic survey. Data were analyzed using social network analysis tools such as UCINET, p-net, and Quadratic Assignment Procedure. Analysis of network centrality, density, and strong components showed that (1) homophily was identified in the structure of coaches’ social networks (2) homophily (e.g., by gymnasts’ ranking, mentor coaches) contributed to the total social network of coaches, and (3) interacting only with close coaches in the network, coaches received information about coaches/coaching from the strong ties rather than weak ties (Granovetter, 1973). This study also has strong links to Wenger’s (1998) community of practice which posited that groups of people share a common characteristic in practice.

keyword
Community of PracticeNetwork StructuresSocial NetworksRhythmic GymnasticsCoaches

초록

운동 지도자들은 여러 면에서 다르다. 운동종목에 따라, 성별에 따라, 경력이 많고 적음에 따라 그리고 성적을 내는 지도자와 그렇지 못하는 지도자에 따라 좀 더 나은 지도자로 성장해 가는 과정은 다르게 나타난다. Wenger(1998)은 리더와 새내기 등 서로 다른 구성원들이 상호작용하며 구성원들이 하고 있는 일과 관련된 지식과 역량을 개발하는 실천공동체를 언급하였다. 연구의 목적은 리듬체조 지도자들이 이루고 있는 실천공동체의 구성원 네트워크를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문제는 첫째, 실천공동체를 이루고 있는 지도자들의 네트워크 구조는 어떻게 나타나는가? 둘째, 네트워크에 나타나는 지도자들의 상호작용은 어떻게 나타나는가? 셋째, 실천공동체를 이루고 있는 지도자들의 네트워크 관계와 경기력의 관계는 어떠한지 분석하였다. 리듬체조협회 등록되어 있는 지도자(N=50)명 중 37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연구자료 수집은 지도자가 직접 기입하는 개방형 질문지 Name Generator Question과 함께 지도자의 기본적인 정보를 위한 설문지들을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사회연결망 프로그램인 UCINET6, NetDraw를 사용하여 중앙성 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지도자들은 리듬체조 지도와 관련된 내용으로 상호작용을 하며, 선수들의 훈련과 경기력 향상을 위한 전문지식과 경험들을 소통하는 실천공동체의 집단으로 같은 연습장소를 사용하는 지도자들끼리, 선수들의 성적에 따라, 그리고 협회 일을 하는 지도자들끼리 친한 관계와 조언을 주고받는 관계로 나타났다. 둘째, 지도자들의 네트워크 분석결과 연결망 중앙에 위치하고 있는 지도자들은 전/현 국가대표 지도자, 협회임원, 국제심판 소지자로 나타났다. 셋째, 중앙성이 높은 지도자들과 그들이 지도하는 선수의 경기력은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었다.

주요 용어
실천공동체지도자 실천공동체사회적 관계리듬체조지도자

서 론

최근 빠르게 성장하는 조직사회에서 요구되어지는 지식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집단지성을 내세우며 공동체 활동을 강조하고 있다. 공동체는 개인이 소유하고 있는 정보와 지식의 이용을 넘어 다양한 구성원들과의 협력적 교류를 통해, 활용 가능한 질 높은 지식을 생성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Park, 2002). 이러한 협력적인 관계는 공동의 가치와 비전의 공유, 개인들의 결속으로 이루어진 공동체로 상호의존하며 새로운 지식을 생산하거나 확장할 수 있다(Joo & Cho, 2006). 때문에 조직에서는 최근 급변하는 환경 속에 새로운 지식창출과 정보를 획득하기 위하여 실천 공동체(communities of practice, Lave & Wenger, 1991)라는 활발한 네트워크가 이루어지고 있다. 실천 공동체는 학교, 직장, 스포츠 등 다양한 영역에서 나타나며 동일한 목적과 관심을 소유하며 독특한 정체성을 나타내는 그룹이다. Wenger & Snyder(1999)에 의하면 실천공동체는 그룹의 구성원들이 같은 영역에 속해 있는 다른 구성원으로부터 서로 배우는 사회적학습의 과정에 의해 자발적으로 형성된다. 이들은 실천공동체는 공식적 또는 비공식적 네트워크라고 정의하고, 구성원들은 네트워크 안에서 상호작용하며 지식이나 경험을 확장시킨다고 주장한다.

스포츠 영역에서 지도자들의 모임은 실천공동체를 나타낸다. 지도자들은 협회를 통한 공식적인 모임이나 또는 학연이나 나이 등으로 구성되는 비공식적인 모임을 구성하며 경기력 향상이나 훈련방법 개발 등의 공통관심에 근거하여 실천공동체를 형성한다. 공통된 관심을 갖고 있는 지도자들은 실천공동체를 통해 상호작용하며 훈련방법관련 아이디어나 경험 그리고 경기운영 지식 등을 교환할 뿐 아니라 현장개선을 위한 다양한 실천을 진행한다. 따라서 스포츠 지도자들의 모임은 대표적인 실천공동체로 간주 할 수 있다. Occhino et al.(2013)은 역동적인 네트워크로 스포츠 지도자들의 실천공동체를 개념화하였다.

실천공동체는 호혜적 참여(mutual engagement), 공동업무/주제(joint enterprise), 공유된 레파토리(shared repertoire)의 세 가지 특성에 기초하여 이루어진다(Jeon, 2012). 호혜적 참여는 단지 공동체 모임에 등록된 회원의 의미를 넘어선 구성원들 간의 적극적 상호작용과 관계형성이 있음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리듬체조 지도자들이 공동체로 모여 훈련관련 아이디어나 경기전술 등을 대화하고 토론하고 의견을 교환하는 상호작용 활동과 사회적 관계 형성이 있음을 의미한다. 공동업무는 공동체의 목적이나 공통의 관심을 의미한다. 리듬체조 지도자들이 다른 구성원들과의 적극적 상호작용하며 공동목표를 추구한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Trudel & Guilbert(2004)는 캐나다하키협회 구성원들의 공동업무를 페어플레이와 긍정적인 운동경험 제공으로 보고하였다. 리듬체조 지도자들은 리듬체조 보급과 경기력 향상을 공동업무로 추구하고 있다. 그리고 공유된 레파토리는 구성원들의 공동 업무에 관련된 지식, 정보, 문제해결 방법 등 구성원들만의 실천노하우를 의미한다(Lee, 2015). 예를 들어 리듬체조 지도자들의 훈련 루틴이나, 코칭 방법, 경기전략이나 경험지식 뿐만 아니라 구성원들이 시합 전후에 행하는 행동들을 포함한다. 공동체에 속한 리듬체조 지도자들만의 전문지식이나 문화이기도 하고 다른 실천공동체와 구별되는 정체성을 의미하기도 한다. 정리하면, 실천공동체는 구성원들이 공동의 목표를 위해 공동체의 문화 안에서 적극적으로 상호작용하는 구성원들의 관계네트워크에 근거한다. 이러한 관계네트워크에 의해 구성원들이 상호작용하며 새로운 지식을 창조하고 전문성 발달을 위한 협업을 실천한다(Wenger et, al., 2002).

실천공동체 관련 선행 연구들은 공동체 활동을 통해 구성원들이 지식과 전문성을 높이고(Kim, 2013; Seo, 2011), 공유한 지식과 경험을 다시 실천현장에 적용하고(Ahn,& Shin, 2008), 다양한 네트워크에 근거해(Occhino et al., 2013) 구성되고 있음을 보고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Seo(2011)는 온라인에서 활동을 하는 교사들의 네트워크를 통해 실천공동체와 전문성개발을 조사하였다. 교사들은 실천공동체 활동을 통해 그들이 오랜 기간 교육실천을 통해 경험적으로 축적한 개인의 실천적 지식을 교환하거나, 교육 자료나 토론 등으로 다른 교사들과 공유하며 서로 협력적으로 전문성을 개발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이 연구는 실천공동체가 교사들이 전통적인 방법으로 전문성 향상을 하는 방식을 벗어나 공동체 활동을 통해 협력적으로 소통하며 지식과 경험을 교류하고 공유하는 새로운 대안적 모임으로 서술하였다.

체육영역에서 Lee & You(2016)는 초임체육교사들의 교육실천공동체를 조사하였다. 초임 체육교사 10명이 연구에 참여하였고, 연구결과 실천공동체에 참여하는 교사들은 대학 또는 근무지 선배들과 네트워크를 만들어 온라인 커뮤니티를 구성하며 좋은 수업을 만들기 위한 전문지식 개발과 교육적 관심을 소통하고 있었다. 그리고 교육실천 공동체 활동을 통해 초임 체육교사들이 행복한 교직 생활을 경험하고 있음을 보고하였다. 또한 Ahn & Shin(2008)은 오랜 기간 동안 지속적으로 공동체 활동을 참여해온 경력교사들을 대상으로 공동체 형성과정, 활동 목적과 실천내용 등을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공동체모임은 선후배관계로 시작하여 체육수업개선과 체육수업활성화를 공동목표로 활동을 하였다. 공동체 참여자들은 적극적 상호작용을 하며 수업 전문성 향상을 목적으로 참여했고, 구성원간의 사회적 관계 형성도 중요한 참여 이유였다고 보고하였다. 그리고 공동체는 공개수업을 통한 워크샵과 수업컨설팅 등을 실천하며 구성원간의 네트워크를 형성하였다. 유사하게 Lee(2015)도 253명의 초임 체육교사를 대상으로 교육실천공동체 참여 실태를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실천공동체에 참여하고 있는 체육교사들의 활동양상은 다양한 학습 기반 경험공유, 새로운 교육 창조 및 교육동향파악, 인적네트워크 형성을 위해 참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교사들은 실천공동체 참여를 통해 이론과 실제의 차이를 극복하고 수업운영에 관해서도 서로 도움을 주는 것으로 보고하였다. 이처럼 실천공동체를 바탕으로 체육교육현장에서는 실천공동체의 중요성에 대한 연구가 확대되고 있다.

스포츠 영역에서도 실천공동체관련연구가 진행되었다. 실천공동체는 코치들이 어떻게 학습하는가, 어떻게 전문지식을 향상 시키는가 등에 대한 과학적인 근거를 제공하기 때문이다. Occhino et al.(2013)은 실천공동체를 이론적 틀로 이용하여 축구종목 우수코치들을 연구하였다. 구체적으로 연구자들은 우수코치들이 어떻게 서로 상호작용하며 전문지식을 형성하고 발달시키는지를 조사하였다. 연구자들은 여섯 명의 우수지도자를 인터뷰하여 그들이 지도하는 축구 또는 다른 종목의 유명한 지도자를 통해 코칭 지식을 확장하고 있었다고 서술하였다. 또한 지도자들은 선수시절의 경험과 다른 축구 지도자들과의 네트워크를 통해 훈련과 경기관련 전문지식을 개발하였음을 보고하였다. Mallet et al.(2016)은 호주 클럽축구 지도자들의 비공식적인 사회 네트워크, 즉 실천공동체를 조사하여 지도자들의 지도역량을 발달시키는 그들만의 역동적 사회 네트워크(dynamic social network)를 설명하였다. 실천공동체 속에는 소규모 하위 그룹이 있으며, 지도자들은 클럽 안에서와 밖에서 독특한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있었다. 요약하면, 선행연구들은 스포츠현장에서 나타나는 실천공동체를 통해 지도자들이 전문지식을 확장하고, 그러한 목적을 위해 사회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Kim(2012)은 테니스코치들의 실천공동체 경험을 조사하였다. 코칭 교실에 참여하고 있는 네 명의 코치들은 선수들의 경기력을 높이는 전문지식과 지도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실천공동체에 참여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 연구는 사회적 관계 형성이 부분적으로 나타났지만 전문지식을 공유하지는 않는다고 주장하였다

스포츠 현장의 선행연구는 코치들이 역동적인 실천공동체에 속해 있으며 실천공동체 안에서 전문지식을 개발하고 있다고 보고하였다(Mallet et al., 2016). 그러나 코치들의 실천공동체관련 선행연구들은 몇 가지 제한점을 보이고 있다. 첫째, 선행연구들은 지도자들 간의 사회적 관계를 측정하지 못했다. 선행연구들이 코치들의 전문지식을 개발하는 실천공동체 혹은 역동적 사회 네트워크가 있음을 보고하고 있지만(Occhino et. al., 2013), 그러한 네트워크가 어떻게 형성되며, 지식을 형성하는 가까운 관계가 어떠한 관계인지, 그리고 가깝고 친밀한 사회적 관계는 실천공동체의 지식창출이나 성과와 관련이 있는지 등에 관한 내용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지 못했다.

스포츠 지도자들은 선수, 심판, 팀의 스텝, 협회임원 등 다양한 사람들과 관계를 맺고 있다. 또한 팀 내의 지도자들뿐만 아니라 팀 밖의 다른 지도자들로부터도 조언을 주고받는 복잡한 네트워크를 형성한다. 이러한 네트워크 안에서 친한 사람들끼리만 관계를 형성하고 지식과 경험 그리고 다른 자원을 주고받는지 등에 대하여 선행연구들은 사회적 관계구조를 조사하지 못하고 있다. 사회적 관계구조 측정의 부재는 실천공동체의 이론적 틀에 근거한 지도자들의 관계에 대하여 구체적인 설명을 어렵게 한다. 이 연구는 사회연결망이론과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지도자들의 사회적 관계구조를 구체적으로 설명할 것이다.

둘째, 지도자들의 사회적 관계에 배태된 네트워크 상호작용 구조와 지도자들의 연결 관계를 나타내지 못하고 있다. 실천공동체에 참여하는 지도자들은 상호작용하며 훈련방법이나 경기지도와 관련된 전문지식에 대한 조언과 정보를 구하는 관계이기도 하며 다른 지도자나 협회 행정가들과 사회적 관계를 형성할 수 있는 모임이다(Occhino et al., 2013). 이러한 관계로 형성된 모임은 전체적인 공동체 모임 안에서 학연 또는 지연과 관련된 하위그룹들이 존재하게 된다. 그리고 그러한 모임은 친밀한 관계 또는 알고 지내는 관계의 사람들과 모이는 소집단 공동체들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실천공동체의 지도자들이 어떻게 상호작용하고 있는지 즉, 하위 그룹이 실재 존재하는지, 하위 그룹 속에서 누가 누구와 긴밀한 관계(Strong ties)인지 아니면 단지 아는 관계(Weak ties)인지에 대한 네트워크 멤버들의 상호작용 구조를 나타내지 못하고 있다.

스포츠지도자들의 사회적 관계에 초점을 둔 연구는 스포츠 지도자들의 전문지식 개발과 확장을 위한 실천공동체 활동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가능하게 한다. 지도자들의 전문성 향상과 선수들이 운동수행을 잘하기 위해서는 운동관련 정보와 자원이 필요한데, 공동체 속에서 지도자들이 주고받는 자원과 정보는 어떤 관계에 의해 누구에게 전달 될 것인지를 알게 한다(Jowett & Timson-Katcis, 2005). 또한 지도자들의 긴밀한 사회적관계가 선수들의 경기력과 관련이 있는지 혹은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결과는 보고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의 목적은 선행연구들의 제한점을 극복하고 리듬체조의 지도자들이 이루고 있는 실천공동체의 구성원 네트워크를 조사하는 것이다.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첫째, 실천공동체를 이루고 있는 지도자들의 네트워크 구조는 어떻게 나타나는가? 둘째, 네트워크에 나타나는 지도자들의 상호작용은 어떻게 나타나는가? 셋째, 실천공동체를 이루고 있는 지도자들의 네트워크 관계와 경기력의 관계는 어떠한가? 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연구방법

연구대상

리듬체조 지도자들의 사회적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서 대한체조협회에 등록되어 있는 선수를 지도하는 리듬체조 지도자 총 50명 중 37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구체적인 지도자 특성은 <Table 1>과 같다.

View original
Table 1.
Participants
Coach's Characteristics N
career school representative 37
national representative junior 22
national representative senior 24
Coaching
experience
1~5yrs 19
5~10yrs 10
10yrs 8
National team
(gymnast)
0 26
1 6
3 1
more than 5 4
Judge level 0 10
3 level 18
2 level 5
1 level 4

연구 참여자는 모두 학교대표 선수경력을 갖고 있었으며 그 중 24명은 국가 대표 선수로도 활동하였다. 대부분의 지도자는 지난 10년간 국가대표 선수를 육성하지 못하였으나 4명의 지도자는 5명 이상의 국가대표선수를 만들었다. 또한 많은 지도자들은 심판 자격증을 소지하고 경기장에서 심판역할을 하고 있었다.

조사도구

리듬체조 지도자의 사회관계망을 조사하기 위해서 Name Generator Question(NGQ)을 사용하였다. NGQ는 지도자가 직접 기입하는 방식의 개방형 질문지이다. 또한 NGQ와 함께 질문지는 지도자의 기본적인 정보인 선수경력, 학력, 심판여부, 지도경력(대표선수, 상비군), 협회관련 관계 등을 물어보는 질문들을 포함하였다. 질문지는 총 10개 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문항의 예는 “리듬체조 지도자 중 자신이 친하다고 생각하는 이름을 적어주십시오“, ”리듬체조 관련하여 조언이나 상담이 필요할 때 연락하는 지도자를 적어주십시오“ 등이며 선택한 지도자와 어느 정도 연락을 자주하는지 물어보는 문항이 포함되어 있다. 설문지 예시는 <Fig. 1>과 같다(부록첨부).

View original
Fig. 1.
Name Generator Question(NGQ)
KISS_2016_v27n4_878_f001.jpg

지도자들의 네트워크와 경기력과의 관계를 조사하기 위해 2014년도 전국 KBS배 리듬체조 대회에 참가한 선수들의 경기결과를 사용하였다. 지도자들의 경기지도 능력을 나타내는 지표는 선수들의 수행결과로 나타나기 때문이다. KBS배 대회는 1년에 한 번 개최하며 전국의 선수들이 참가하는 가장 큰 규모의 대회이다. 대회 결과는 대한체조협회에서 직접 데이터를 받아 사용하였다.

연구절차

본 연구는 대한체조협회에 등록되어 있는 리듬체조 지도자들을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4년 8월부터 11월까지 이루어졌으며 각 지도자에게 연구에 대한 설명을 충분히 한 후 설문지를 배부-회수하였다. 지도자가 훈련하고 있는 전 지역 중 서울, 경기 지역은 직접 방문하여 설문지를 배부-회수 하였고 부산, 경남 그 외 지역은 우편물을 발송-회수 하였다. 질문지 회수율은 지도자 37명 (회수율72%)이었다.

자료 분석

연구에서 사용된 사회연결망 분석은 비교적 새로운 분석방법으로 분석대상이 되는 행위자의 관계를 함수로 정의하면서 이를 그래프 이론, 선형대수, 통계확률, 시뮬레이션 등을 이용하여 연결망의구조를 분석하는 방법이다(Wasserman & Faust, 1994). 본 연구에서 연구하고자 하는 관계 즉, 지도자들이 타 지도자들 또는 외부인맥과의 관계를 파악할 수 있으며 그래프의 형태로 시각화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서로 집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관계, 고립되어 있는 관계 등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자료 분석은 사회연결망프로그램인 UCINET6(Ver. 6.505), NetDraw(2.138)를 사용하였다. 구체적인 자료 분석 방법은 사회연결망 분석에서 중요한 개념인 중앙성으로 연결정도 근접성, 사이 중앙성, 아이겐벡터를 분석하였으며, 구성원의 결속 정도를 나타내는 관계를 강한 연결, 약한 연결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지도자 사회연결망

이 연구는 첫 번째 연구문제인 리듬체조 지도자들의 실천공동체가 어떤 네트워크 모습을 보이고 있는가를 조사하기 위해 지도자들의 네트워크 구조를 파악하였다. 선행연구들은 실천공동체가 친밀한 관계(Lee & You, 2016; Lee, 2008)로 구성되며 전문지식을 공유(Occhino et al., 2013)한다는 점에 근거하여 지도자들의 친한 관계와 조언관계의 네트워크구조를 조사하였다. 지도자들의 친한 관계 연결망은 2개의 강한 구성 집단으로 나누어져 있었고, 지도자들은 평균 2.8단계 만에 서로 연결되는 관계 속에 있었다. 즉 지도자들은 대략적으로 2-3단계만 거치면 다른 지도자들과 연결된 관계로 대부분의 지도자들의 관계가 이어져 있었다. 또한 지도자들의 조언관계 연결망도 4-5단계만 거치면 다른 지도자들과 연결된 관계로 나타났다.

지도자연결망 시각화

지도자들의 연결망이 어떤 구조를 보이는가에 대한 선행연구가 없기 때문에 이 연구는 먼저 지도자들의 친한 관계와 조언관계 연결망을 시각화하였다<Fig. 2> <Fig. 3>. 그림에서 보이듯이 몇몇의 지도자들이 촘촘하게 중앙에 위치한 집단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View original
Fig. 2.
Structure of coaches Friendship network
KISS_2016_v27n4_878_f002.jpg
View original
Fig. 3.
Structure of coaches Advice network
KISS_2016_v27n4_878_f003.jpg

친한 관계 연결망에서 가장 중심에 위치하고 있는 지도자는 T9, T17, T14, T13, T2로 나타났으며, 리듬체조 지도자들 중 조언관계로 가장 많은 지목을 받은 지도자는 T9, T17, T14, T13, T2였다. 시각화 그림에 보이듯이 친한 관계와 조언관계 지도자의 연결망은 거의 비슷한 양상을 띠고 있었다. 따라서 연결망 모습에서 보이는 두 개의 네트워크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Quadratic Assignment Procedure(QAP) 분석을 실행하였다. 즉 친한 관계 네트워크와 조언관계 네트워크가 서로 관계가 있는 구조인지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두 개의 네트워크는 상관관계 값이 0.111(p<.001)로 친한 관계와 조언관계는 서로 관련이 있었다. 즉, 리듬체조 지도자들은 친한 관계의 지도자를 통해 훈련이나 선수관련 조언을 구하거나 정보를 교환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연결망구조에서 중앙에 위치한 지도자들인 T9, T14, T10은 모두 이전에 개인, 단체 국가대표 지도자 경험이 있는 지도자였으며 T10은 현재 개인 국가대표 지도자다. 또한 협회에 오래된 임원소속으로 개인/단체 국가대표선발, 경기일정, 후보선수선발 등 중요한 회의에 영향력 있는 인물이다. 또한 T9와 T14는 국제 리듬체조대회 해설위원으로 다양한 매체에 출연하기도 하였다. 그 밖의 T13은 16년, T17은 11년이라는 오랜 선수경력을 갖고 있으며, 국가대표로 활동 했었다. 현재 T17은 O중학교 전임코치로 상비군 2명, 단체 국가대표 2명을 배출했다. 한편 변방에 위치한 지도자들은 상대적으로 타 지도자들과의 연결 정도가 낮으며 지도자의 위치 또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도자의 중앙성

리듬체조 지도자들의 친한 관계와 조언관계 네트워크에서 중요한 인물은 누구인가를 알아보기 위해 네트워크 중앙성을 분석하였다. 중앙성은 연결망 안에서 나타나는 영향력으로 해석할 수 있다(Everett & Bogatti, 2005). 즉 중앙성이 높다는 것은 네트워크 안에서 영향력이 강함을 의미하며, 따라서 중앙성이 높은 지도자들은 실천공동체에서 중심적인 위치에 있는 영향력 있는 지도자들을 의미한다.

연결 중앙성, 근접 중앙성과 아이겐벡터가 높은 지도자들은 T9, T17, T14, T2 등이었다. 이들은 실천공동체의 중심에 위치하며 다른 지도자들과 친밀한 유대관계를 맺고 운동 또는 훈련과 관련하여 조언을 주고받는 친한 관계를 의미한다. 사이 중앙성은 T13이 가장 높았다. T13은 여러 지도자들과 연결되는 마당발인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Table 2>.

View original
Table 2.
Degree centrality of coaches
ID In Degree Closeness Centrality Betweenness Centrality Eigenvector
Friendship Advice
T9 21 25 61.111 209 0.411
T17 12 8 48.673 191 0.248
T14 10 14 49.107 68 0.280
T13 9 9 47.826 316 0.175
T2 8 3 43.307 96 0.161

T9는 지도자뿐 아니라 13년 동안의 협회임원 위원소속으로 기술위원, 다수의 국가대표 선수배출로 파워 있고 인정받는 지도자이다. 또한 2012년 올림픽, 2014년 아시안게임 리듬체조에서 SBS해설위원으로도 활동하였고, 국제심판자격증을 소지하고 있다. 리듬체조의 국제무대에 한국 선수들이 합류할 수 있도록 선수들의 가량을 높이 올린 장본인이다.

T14는 선수시절의 경력은 짧았지만 대학졸업과 동시에 지도자의 길에 들어서며 급속도로 성장하며 상비군, 대표지도자 등 28년의 지도경력으로 협회 경기부 부위원장이다. 단체대표선수 지도자로도 활약했으며 청소년 대표 전국대회 종목별 우승을 차지한 선수들의 지도자이다. 그리고 그녀는 국제심판자격증을 소지하고 세계적인 리듬체조 심판들과 교류를 하고 있으며 한국 선수들이 출전하는 세계대회에 심판으로 참석을 하고 있다.

사이 중앙성이 제일 높은 T13은 선수시절 개인대표, 단체국가대표를 통해 높은 위치에 있는 여러 지도자와의 접촉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때문에 다양한 지도자들과 확장된 네트워크를 가지고 있다.

지도자들의 상호작용

본 연구의 두 번째 연구문제인 지도자들의 상호작용은 네트워크에서 어떻게 나타나는가를 조사하기 위해 지도자들의 결속관계를 분석하였다. 결속관계는 동일한 네트워크에 속해 있더라도 보다 동질적인 이해관계를 갖고 활발한 상호작용을 하는 동료집단 또는 소그룹 등으로 구성된 부분집단을 나타낸다(Son, 2002). 실천공동체 관련 선행연구는 축구코치들이 지식과 경험이 풍부한 영향력 있는 지도자를 중심으로 상호작용하며 전문지식을 학습하고 있음을 보고하고 있다(Occhino et al., 2013). 이러한 점에 근거하여 네트워크의 결속관계를 조사하였다.

강한 결속관계는 상대적으로 강하고 직접적이며 빈번한 연결 관계의 집단을 의미한다. 그룹 내의 구성원 간에는 많은 접촉을 가지면서 동시에 친분관계를 유지함으로써 상호호혜적인 관계를 통해 정보를 공유하고 결속을 강화한다. 따라서 결속관계 분석은 네트워크 안에서 존재하는 결속관계 구성원의 공통적 특성을 살펴보고 왜 결속관계 구성원인지를 설명할 수 있는 이유를 제공한다(Burt, 1982).

지도자들의 강한 결속관계는 다음과 같다<Table 3>. 강한 결속집단은 집단A1(T19, T2, T15)과 집단A2(T17, T14, T37)로 두 그룹으로 나타났다. 집단 A1은 같은 체육관에서 훈련을 하며 동계 하계 전지훈련을 함께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집단A2는 지도자들이 협회임원 소속으로서 강한 결속관계를 나타내고 있었다.

View original
Table 3.
Strong cliques
Strong cliques ID 1 ID 2 ID 3 relationship
A1 T19 T2 T15 Sharing training facility
A2 T17 T14 T37 Membership in governing board

구체적으로 집단 A1의 T19, T2, T15는 S중학교 체육관에서 같이 훈련과 지도를 하고 있었다. 그리고 작품구성과 훈련을 위해 지도자들이 1년에 2번 정도 해외로 전지훈련을 함께 오가며 상호작용하고 있다. 훈련을 가면 적어도 2달 정도는 같이 합숙하며 훈련을 하게 됨으로 집단A1이 강한 결속관계로 이루어진 것으로 생각된다.

T2는 중학교 전임코치로 지도하는 선수들은 14년 KBS 대회에서 준우승을 차지하였으며 T15는 리듬체조 전공으로 러시아에서 대학교 졸업 후 한국에 돌아와 리듬체조 강국인 러시아의 훈련방법 및 시스템 한국 선수들에게 지도하고 있었다. 또한 지도경력도 비슷하고 선수들이 비슷한 나이대로 지도법을 서로 공유하며 자주 소통을 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특히 T15는 러시아어를 능통하게 하여 러시아에서 전해오는 새로운 정보를 전달하고 T2는 전임코치경력을 바탕으로 선수들을 이끌어가고 T19는 화려한 선수시절의 경험이 접목되어 서로에게 긍정적인 결속관계를 만든 것으로 보인다.

집단A2는 T17, T14, T37로 구성원들이 응집되어 있었다. 이들은 모두 협회 위원들이었다. T17은 O중학교 전임코치이며 상비군 대표 선수들을 다수 지도하였다. T14 또한 대학교 지도자로서 초, 중, 고등학생의 선수를 같이 지도하고 있으며 세계선수권이나 메이저 대회에서 MBC방송국 리듬체조 해설을 맡았다. T37은 현재 청소년대표코치이며 초, 중, 고등학생들을 지도하고 있었다. 그리고 국가대표 선수의 지도자로 청소년 대표, 14년 회장배, KBS배 개인종합 2위를 기록한 선수의 지도자며, 최근 아시안게임 조직위원회로 인천을 대표하는 리듬체조 지도자이기도 하다. 집단 A2가 강한 결속관계인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는 T17, T14, T37은 모두 협회 위원으로 국내 경기개최, 선수선발, 훈련 등 협회업무관련 회의모임을 통한 상호작용이 빈번하게 있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지도자들의 중앙성과 경기력의 상관관계

본 연구의 세 번째 연구문제인 지도자의 중앙성과 선수의 경기력 관계를 조사하기 위하며 지도자의 중앙성(연결 정도 중앙성, 사이 중앙성, 근접 중앙성, 아이겐벡터 중앙성) 값과 지도자가 가르치는 선수의 경기력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네트워크분석에서 중앙성의 의미는 누가 네트워크의 중심에 위치하는가이다. 중앙에 위치한다는 것은 많은 사람과 관계를 갖고 있음을 의미하며 정보의 흐름과 문제해결에 유리함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구성원들을 많이 알고 있는 마당발이나, 구성원들을 연결시키는 브리지 역할을 하는 경우, 그리고 구성원들 중에서 눈에 띠는 가시성 높거나 영향력이 많은 사람들이 중심에 위치한다(Son, 2002).

네트워크 구조에서 나타나는 지도자들의 위치와 그들이 지도하는 선수들의 운동수행이 관련이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근접 중앙성은 네트워크 속에서 다른 구성원들과 근접해 있는 정도로, 근접 중앙성이 높은 구성원은 네트워크 내에 흘러 다니는 정보를 신속히 잡을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상관관계 분석결과 지도자의 중앙성 값과 선수의 경기력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4>. 구체적으로 선수의 점수 즉, 경기력과 지도자의 연결 중앙성, 근접 중앙성, 사이 중앙성, 그리고 아이겐벡터 중앙성과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었다. 지도자들이 다른 지도자들과 연결 관계가 많을수록, 다른 지도자들과 가까운 거리에 위치할수록, 그리고 중요한 위치에 있는 지도자들과 가까울수록 선수들의 경기성적은 높았다. 특히 상위 20위권안의 선수들의 경기력은 지도자들의 중앙성 값과 밀접한 관계가 있었다. 그리고 높은 경기력을 가진 선수들의 지도자들은 실천공동체의 리더로서 영향력 있는 인물로 나타났다.

View original
Table 4.
Degree centrality of coaches and Performance
Perfor mance Degree Centrality Betwee nness Closeness Eigen vector
Performance
Degree Centrality .552**
Betweenness .233 .762**
Closeness Centrality .501** .810** .645**
Eigenvector .407* .813** .557** .859**

** p<.01

* p<.05

논 의

이 연구의 목적은 리듬체조 지도자들이 이루고 있는 실천공동체 네트워크를 조사하는 것이다. 실천공동체는 조직 내의 현장지식과 실천적인 지식을 함께 공유하고 실행할 수 있는 모임이다(Choi et al., 2007). 연구목적에 따른 연구문제는 첫째, 실천공동체를 이루고 있는 지도자들의 네트워크 구조는 어떻게 나타나는가? 둘째, 네트워크에 나타나는 지도자들의 위치와 상호작용관계는 어떻게 나타나는가? 셋째, 지도자들의 네트워크 속에 배태되어 있는 지도자들의 위치와 선수들의 경기력과의 관계는 어떠한가? 이었다.

연구결과 첫째, 지도자들의 실천공동체는 리듬체조지도와 관련하여 상호작용하며 선수들의 훈련과 경기력 향상을 위한 공동업무로 선수들의 리듬체조 수행에 필요한 전문지식과 경험 그리고 기술을 습득하는 집단이었다. 공동체 집단 안에서 나타난 지도자들의 친한 관계나 조언 관계는 비슷한 네트워크이었다. Sharp(1997)에 의하면 실천공동체는 장기간 같이 함께 일 해오며 공통의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업무에 관한 지식이나 경험을 공유하고자 하는 형태의 모임이라고 정의하였다. 이러한 서술처럼 대부분의 지도자들은 선수출신으로 같은 학교를 나오거나 같은 코치 밑에서 훈련하며 선수시절을 지내왔던 것으로 나타났다. 때문에 이들이 지도자가 되어서도 리듬체조 훈련 연습장이나 시합장에서 마주치며 리듬체조와 관련된 이야기를 끊임없이 주고받으며 친한 관계가 형성되고, 친한 관계가 발전되어 공통된 관심사와 조언을 주고받는 관계를 갖는 그룹이 되며, 실천공동체의 집단으로 형성 되었다.

긴밀한 관계의 시작은 학연이나 동일한 경력관련 모임인 유유상종(Kim, 2011)으로 시작된다. 유유상종은 같은 속성을 지닌 사람들이 모이게 되는 것을 의미한다. Lee(2015)는 교사들은 선후배 또는 지인 그리고 유사한 배경을 가진 사람들끼리 공동체를 형성하였다고 보고하였다. 이러한 유유상종의 현상은 지도자들의 중앙성 분석 중 강한 결속관계에서 나타났다. 지도자들의 결속관계는 강한 연결(strong tie)을 의미한다. 강한 연결은 지속적인 관계로 깊은 지지나 도움 또는 나눔을 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반면 관심사가 같거나 학교, 지역 공통요인에 따라 관계가 치우쳐 다른 관계와의 단절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 점이 있다.

강한 연결 관계의 지도자들은 그들끼리 연락을 주고 받으며 실천공동체 속에서도 더욱 깊은 관계를 갖고 있음을 뜻한다. 구체적으로 관계밀도가 높을수록 지도자들의 실천공동체는 구성원 각자가 필요로 하는 중요한 경험과 자원을 더욱 적극적으로 교환하며, 지식공유가 활발히 이루어질 수 있다(Ryoo et al., 2009). 연구결과 지도자들의 실천공동체에서 나타난 강한 결속관계는 같은 체육관, 전지훈련, 협회임원 소속 등 같은 속성을 지닌 지도자들로 나타났다. 일반적인 실천공동체 사회적 관계는 주변인과의 친밀감, 신뢰감 등으로 지식공유가 증가한다고 보고하였다(Hyun, 2010). 같은 개념으로 지도자들의 사회적 관계는 같은 체육관에서 운동을 같이하고 전지훈련을 함께 가거나 협회 일을 같이 한다는 것은 물리적으로 근접한 의미에서 나아가 좀 더 긴밀하고 빈번한 상호작용을 통해 강한 연결의 친한 관계나 조언관계로 형성되었다고 생각할 수 있다.

둘째, 지도자들의 실천공동체 속에서 나타나는 네트워크 분석결과 네트워크 연결망 중앙에 위치하고 있는 지도자들은 전/현 국가대표 지도자, 협회임원, 국제심판을 소지한 지도자였다. 요약하면 구성원들은 힘과 정보와 재원이 있는 지도자들을 중심으로 집중된 관계를 보이고 있었다.

중앙성이 높다는 것은 구성원들과의 관계가 많으며 지식공유나 학습전이에 실질적인 도움을 주는 핵심적인 위치에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Hyun, 2010). 스포츠 지도자들이 네트워크에서 중앙에 위치한다는 것은 정보와 자원의 흐름에 유리함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리듬체조 종목은 크게 2년에 한 번, 때론 수시로 룰이 조금씩 바뀌게 되는데 이때 FIG 1급 심판 또는 영향력 있는 코치와의 관계를 가지고 있다면 선수들에게 필요한 예술성, 표현력, 기술적 판정기준관련 정보들을 빠르게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때문에 중심인물과의 상호작용이 있다면 선수들을 가르칠 때 고득점을 위한 수행정보나 심사관련 정보를 상대적으로 쉽고 신속하게 획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러한 관계는 리듬체조에 관한 새로운 훈련법이나 심판강습, 국내외 시합일정 등 조언과 정보를 빠르고 쉽게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중앙성이 높은 지도자는 지도하는 선수들에게 수행에 유리한 환경을 만들어 줄 수 있다. 예를 들어 협회구성원 중 영향력 있는 임원들과의 가까운 관계는 선수들에게 필요한 데이터를 쉽고 빠르게 획득할 수 있다. 즉, 리듬체조 국내외 경기일정, 행정적인 문서처리, 대표선수선발 과정에서 지도자와 선수들에게 직면하게 되는 상황들을 보다 편하고 유리하게 바라볼 수 있다는 점이다. 따라서 중앙성이 높은 실천공동체의 리더나 브로커 역할을 하는 구성원과 관계를 맺는 것이 정보의 획득과 자원의 흐름에 유리하기 때문에 선수들의 수행에 도움이 된다고 판단할 수 있다.

셋째, 지도자들의 실천공동체 네트워크와 경기력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앙에 위치한 지도자들의 선수들은 모두 2014년 전국(회장배 KBS, 소년체전, 전국체전)리듬체조 대회에서 상위 랭킹에 위치하였다. 다시 말해 지도자들이 다른 지도자들과 연결 관계가 많을수록, 다른 지도자들과 가까운 거리에 위치할수록, 그리고 중요한 위치에 있는 지도자들과 가까울수록 선수들의 경기성적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다음과 같은 해석이 가능하다. 즉, 중앙성이 높은 지도자들은 경기수행관련 다양한 정보를 쉽고 빠르게 받을 수 있는 유리한 위치에 있다. 따라서 그러한 정보를 바탕으로 새로운 기술이나 난이도 개발 등 명확한 목표와 방향을 정해 훈련을 진행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음악이나 소품 등 경기관련 다른 재원들을 실제경기에 유리한 것으로 준비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그렇기 때문에 선수들은 좋은 성적을 내고, 좋은 성적은 지도자의 입지를 강화시켜 네트워크의 중앙에 위치할 수 있으며 좋은 선수들을 리크루트하고 훈련시킬 수 있다. 따라서 지도자들의 중앙성은 선수의 경기력과 관련이 있다. 이러한 점에 대하여 선행연구는 사회적 관계형성과 개개인이 보유하고 있는 인적 자본을 향상함으로써 직무수행능력을 향상시킨다고 보고한다(You & Lee, 2004; Friedin & Slater, 1994).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리듬체조 지도자들의 실천공동체를 네트워크 분석방법으로 조사하였다. 실천공동체 관련 선행연구들은 공동체 활동을 통해 구성원들이 전문지식을 개발하며, 그러한 전문 지식과 경험을 바탕으로 실천현장을 개선하고 있음을 보고하였다. 이 연구는 선행 연구와 다르게 실천공동체를 구성하는 구성원들의 네트워크 구조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리듬체조 지도자들의 실천공동체는 친한 관계와 조언관계가 유사한 네트워크이었다. 둘째, 네트워크의 중앙에 위치한 지도자들은 협회 입원, 국제심판 소지자 등 이였다. 셋째, 그들의 선수들은 국가대표, 전국대회에 1,2위를 차지하는 우수한 선수들이었다. 반면 상대적으로 네트워크의 변방에 위치한 지도자들은 아직 배우는 단계인 새내기 지도자들이었고 선수들도 상대적으로 낮은 경기력을 보이고 있었다.

이 연구는 스포츠 현장에 몇 가지 시사점을 제공한다. 첫째, 지도자 경력이 짧은 새내기 지도자들은 경력 개발을 위해 중앙성이 높은 지도자들과의 관계형성이 중요하다. 그들의 주변에 경기관련 정보와 전문지식이 흐르기 때문이다.

지도자들의 주 임무는 선수들을 지도하고 관리하며 선수들이 경기현장에서 최고의 경기력을 보여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선수를 발굴하고 육성하고, 효율적인 방법으로 티칭하며 다양한 지도방법을 통해 지도해야 한다. 이러한 역할을 잘 수행하기 위해 새내기 지도자들은 시행착오나 경험을 통해 지도방법을 내면화 하는 것보다 중앙성이 높은 지도자들은 멘토로 삼아 지식과 기술 경험 등 경기력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부분을 조언 받는 것이 그들의 능력 향상에 효과적일 것이다.

둘째, 새내기 지도자와 중앙성이 높은 지도자들과의 관계형성을 위해서는 둘 사이의 네트워크가 만들어질 수 있도록 기회의 장을 마련해야 한다. 중앙성이 높은 지도자들은 굳이 자신의 노하우를 공유하며 새내기 지도자들과 관계형성을 할 필요가 없을 수 있다. 따라서 협회에서 새내기 지도자들이 중앙성이 높은 지도자들과 네트워크가 만들어 질 수 있도록 적극적인 중재가 필요하다.

현재 지도자들은 훈련장소나 지리적인 위치 등으로 시합장이 아니면 서로 마주칠 기회가 없다. 두 지도자 집단이 만나고 알게 되고 친해지게 되고 그리고 의견이나 자원을 교환할 수 있는 관계형성이 될 수 있도록 협회가 다양한 중재 노력을 제공해야한다. 예를 들어, 현재 진행되고 있는 지도자강습회, 심판강습회를 포함하여 추가로 리듬체조 선수 지도를 위한 티칭에 관하여 서로 정보교환을 할 수 있는 모임이 필요하다. 특히 수도권지역에 집중되어 있는 지도자들 외에 지방에서 훈련을 하는 지도자들은 새로운 루틴이나 수시로 바뀌게 되는 경기관련내용에 대한 정보 습득이 다소 느리다. 때문에 공식/비공식적인모임을 통해 정기적인 지도자 참여로 네트워크 관계형성이 이루어져야할 것이다.

이러한 관계형성은 선행연구들이 보고하는 실천공동체 구성원들의 전문지식의 효과적인 학습과 전문성향상에 기여할 것이고, 전문성 향상은 선수들의 경기력향상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References

1 

Ahn, Y. O., et al., & Shin, K. C. (2008) An ethno-graphical study on the forming and activities of the elementary teachers-initiated research organization for the physical education The Korean Journal of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14(2), 233-249 .

2 

Toward a structural theory of action (Burt, R. S.) (1982) New York: Academic Press Burt, R. S. (1982). Toward a structural theory of action. New York: Academic Press.

3 

Choi, J. M., Park, J. S., et al., & Kim, K. H. (2007) The effects of the exchange of information between trading partners through IOSs on a firmʼs performance Korean Academic Society of Business Administration, 8, 1-31 .

4 

Models and methods in social network analysis (Everett, M. G., et al., & Borgatti, S. P., Carrington, P., Scott, J., & Wasserman, S., (Eds.), Eds.) (2005)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Everett, M. G., & Borgatti, S. P. (2005). Extending centrality. Carrington, P., Scott, J., Wasserman, S. (Eds). Models and methods in social network analysis.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Extending centrality, In

5 

Friedin, N., et al., & Slater, M. R. (1994) School leadership and performance: A social network approach Sociology of Education, 67, 139-157 .

6 

Granovetter, M. (1973) The strength of weak ties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78, 1360-80 .

7 

Huyn, Y. S. (2010) An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among social networks, knowledge sharing and learning transfer in community of practices The Korean Journal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Quarterly, 5(3), 39-59 .

8 

Jeon, J. Y. (2012) A study on the meanings and implications for moral education of communities of practice The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Elementary Education, 23(1), 75-93 .

9 

Joo., H. J., et al., & Cho, E. A. (2006) Study of characteristics and promoting elements of knowledge creating activities in teachers' learning community Journal of Research in Curriculum & Instruction, 10(1), 37-54 .

10 

Jowett, S., et al., & Timson-Katchis, M. (2005) Social network in sport: Parental influence on the coach-athlete relationship Sport Psychologist, 19, 267-287 .

11 

Kim, J. H. (2012) Self-coaching study of coaches' through communities of practice Journal of Coaching Development, 14(2), 3-10 .

12 

Kim, J. Y. (2013) A case study on learning community of elementary school instructors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Korean Journal of Sport Pedagogy, 20(4), 67-91 .

13 

Social network analysis (Kim, Y. H.) (2011) Seoul: Pakyoungsa Kim, Y. H.(2011). Social network analysis. Seoul: Pakyoungsa.

14 

Situated learning: Legitimate peripheral participation (Lave, J., et al., & Wenger, E.) (1991)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Lave, J., & Wenger, E. (1991). Situated learning: Legitimate peripheral participation,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15 

Lee, E. C. (2015) Analysis of high achievementʼ interaction for an learning in an online environment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31(2), 159-190 .

16 

Lee, E. J. (2015) Research on the participation situation of beginning physical education teacherʼs educational communities of practice Korean Journal of Sport Pedagogy, 22(3), 23-50 .

17 

Lee, E. J., et al., & You, J. A. (2016) Understanding the growth process of beginning physical education teachers through educational communities of practice The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55(1), 285-298 .

18 

An interpretive study on building community of practice and developing teachersʼ expertise for teaching physical education at an elementary school(2008) Seoul University Lee, S. B. (2008). An interpretive study on building community of practice and developing teachersʼ expertise for teaching physical education at an elementary school. Ph. D. Dissertation, Seoul University., LeeS. B., Ph. D. Dissertation

19 

Mallett, C. J., Rossi, T., Rynne, S. B., et al., & Tinning, R. (2016) In pursuit of becoming a senior coach: The learning culture for australian football league coaches Physical Education and Sports Pedagogy, 21, 24-39 .

20 

Occhino, J., Mallett, C., et al., & Rynne, S. (2013) Dynamic social networks in high performance football coaching Physical Education and Sport Pedagogy, 18, 90-102 .

21 

Park, H. Y. (2002) A study about effective composition of community of practice Korea Society for Learning and Performance, 4(1), 53-71 .

22 

Ryoo, S. Y., Koo, C. M., et al., & Suh, W. J. (2009) Communities of practice and knowledge exchange in organizations: The role of organizational support, trust, and IS Korea Journal of Business Administration, 22(1), 99-128 .

23 

Seo, K. H. (2011) Collaborative professional development of online teacher community The Journal of Korea Teacher Education, 28(1), 133-161 .

24 

Community of practice: a review of literature (Sharp, J.) (1997, Retrieved June 2, 2016) Sharp, J. (1997). Community of practice: a review of literature.: Retrieved June 2, 2016, http://www.tfriend.com/cop.htm., http://www.tfriend.com/cop.htm

25 

Social network analysis (Son, D. W.) (2002) Seoul: kyungmoonsa Son, D. W. (2002). Social network analysis. Seoul: kyungmoonsa.

26 

Trudel, P., et al., & Gilbert, W. (2004) Role of the coach: How model youth team sport coaches frame their roles The Sport Psychologist, 18(1), 21-43 .

27 

Social network analysis: Methods and application (Wasserman, S., et al., & Faust, K.) (1994) New York and Cambridge, ENG: Cambridge University Press Wasserman, S., & Faust, K. (1994). Social network analysis: Methods and application. New York and Cambridge, EN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8 

Community of practice-learning, meaning, and identity (Wenger, E.) (1998) Cambridge University Press Wenger, E. (1998). Community of practice-learning, meaning, and identit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9 

Wenger, E., et al., & Snyder, W. (1999) Communities of practice: The organizational frontier Harvard Business Review, 78, 139-145 .

30 

Wenger, E., McDermott, R., et al., & Snyder, W. M. (2002) Cultivating communities of practice Boston, MA: Harvard business school press .

31 

You, Y. M., et al., & Lee, S. (2004) A study on development of performance measurement criteria for community of practices Korea Association for Educational Information and Media, 10(1), 5-34 .

Appendices

<Appendix> Coaches‘ Social Networks Questionnaire

View original
1. Please tell me your high school or university education
 
① High school ② University
View original
2. What is your current age? Please check in the corresponding box
 
➀ 20-29(     ) ➁ 30-39(     ) ➂ 40-49(     ) ➃ Over 50 (     )
View original
3. What is your athletic career? What are your athletic experiences at varsity, National Youth Team, Natioanl Team-Reserve, & National Team level?
 
Do you have any athletic career? ➊Yes(    ) ➋No(    ) ➀ Varsity ➊Yes(    ) ➋No(    ) ____________________months
➁ National Youth Team ➊Yes(    ) ➋No(    ) ____________________months
_________________yrs ➂ Natioanl Team-Reserve ➊Yes(    ) ➋No(    ) ____________________months
➃ National Team ➊Yes(    ) ➋No(    ) ____________________months
View original
4. How long is your coaching career? How many gymnasts competing at varsity, National Youth Team, Natioanl Team-Reserve, & National Team level do you have?
 
Coaching Career ________________yrs ➀ Varsity ➊Yes(    ) ➋No(    ) _____________________명
➁ National Youth Team ➊Yes(    ) ➋No(    ) _____________________명
➂ Natioanl Team-Reserve ➊Yes(    ) ➋No(    ) _____________________명
➃ National Team ➊Yes(    ) ➋No(    ) _____________________명
View original
5. If you have a career in broadcasting commentary, executive committee member, or a judge, how long is it?
 
Broadcasting commentator ➊Yes(    ) ➋No(    ) _____________________months
Executive Committee member ➊Yes(    ) ➋No(    ) _____________________months
Judge ➀ Judge(FIG) ➊Yes(    ) ➋No(    ) _____________________months
➁ Judge(Domestic Level 1) ➊Yes(    ) ➋No(    ) _____________________months
➂ Judge(Domestic Level 2) ➊Yes(    ) ➋No(    ) _____________________months
➃ Judge(Domestic Level 3) ➊Yes(    ) ➋No(    ) _____________________months
➄ Judge(Domestic Level 4) ➊Yes(    ) ➋No(    ) _____________________months
View original
※ The following is your relationship with other coaches.
View original
1. Please list the names of the five rhythm gymnast coaches who you think are closest to you (domestic coach)
Name1 Name 2 Name 3 Name 4 Name 5
       
○ How often do you contact the coaches you chose in question # 1? Please check on the number
Name1 Name 2 Name 3 Name 4 Name 5
➀ Almost every day
➁ 3~4 times per week
➂ Once a week
➃ 2~3 time per month
➄ Once a month
➅ Once over 1months
  ➀ Almost every day
➁ 3~4 times per week
➂ Once a week
➃ 2~3 time per month
➄ Once a month
➅ Once over 1months
  ➀ Almost every day
➁ 3~4 times per week
➂ Once a week
➃ 2~3 time per month
➄ Once a month
➅ Once over 1months
  ➀ Almost every day
➁ 3~4 times per week
➂ Once a week
➃ 2~3 time per month
➄ Once a month
➅ Once over 1months
  ➀ Almost every day
➁ 3~4 times per week
➂ Once a week
➃ 2~3 time per month
➄ Once a month
➅ Once over 1months
View original
2. Please list five coaches you are contacting when you need advice or counseling on rhythmic gymnastics
Name1 Name 2 Name 3 Name 4 Name 5
       
○ How often do you contact the coaches you chose in question # 2? Please check on the number
Name1 Name 2 Name 3 Name 4 Name 5
➀ Almost every day
➁3~4 times per week
➂ Once a week
➃2~3 time per month
➄ Once a month
➅ Once over 1months
  ➀ Almost every day
➁ 3~4 times per week
➂ Once a week
➃ 2~3 time per month
➄ Once a month
➅ Once over 1months
  ➀ Almost every day
➁ 3~4 times per week
➂ Once a week
➃ 2~3 time per month
➄ Once a month
➅ Once over 1months
  ➀ Almost every day
➁ 3~4 times per week
➂ Once a week
➃ 2~3 time per month
➄ Once a month
➅ Once over 1months
  ➀ Almost every day
➁ 3~4 times per week
➂ Once a week
➃2~3 time per month
➄ Once a month
➅ Once over 1months
View original
3. Please list any foreign coaches you are contacting regularly in rhythmic gymnastics instruction
Name1 Name 2 Name 3 Name 4 Name 5
       
○ How often do you contact the coaches you chose in question # 3? Please check on the number
Name1 Name 2 Name 3 Name 4 Name 5
➀ Almost every day
➁3~4 times per week
➂ Once a week
➃2~3 time per month
➄ Once a month
➅ Once over 1months
  ➀ Almost every day
➁ 3~4 times per week
➂ Once a week
➃ 2~3 time per month
➄ Once a month
➅ Once over 1months
  ➀ Almost every day
➁ 3~4 times per week
➂ Once a week
➃ 2~3 time per month
➄ Once a month
➅ Once over 1months
  ➀ Almost every day
➁ 3~4 times per week
➂ Once a week
➃ 2~3 time per month
➄ Once a month
➅ Once over 1months
  ➀ Almost every day
➁ 3~4 times per week
➂ Once a week
➃2~3 time per month
➄ Once a month
➅ Once over 1months
○ What do you usually talk about when you interact with the above foreign coaches?
  Please choose what you mainly talk with Name 1.   Please choose what you mainly talk with Name 2.   Please choose what you mainly talk with Name 3.   Please choose what you mainly talk with Name 4.   Please choose what you mainly talk with Name 5.
1. Competition
Schedule / Results
2. Uniforms
3. Choreography
4. The difficulty
(technical difficulty)
5. Apparatus
6. Teaching (Basic)
7. Expression
8.FIG Information
9.Paper related
10.Judge
(Judgment related)
11. Other
(Please specify)
  1

2
3
4

5
6
7
8
9
10

11
(                         )
  1

2
3
4

5
6
7
8
9
10

11
(                         )
  1

2
3
4

5
6
7
8
9
10

11
(                         )
  1

2
3
4

5
6
7
8
9
10

11
(                         )
  1

2
3
4

5
6
7
8
9
10

11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