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클럽의 운영과 사회자본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whether they can contribute to the revitalization of urban communities.

Methods

This study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and focus group interviews to collect qualitative data.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the domain analysis and the classification analysis.

Results

The roles of sports club managers in leadership and network intermediaries were very important in the accumulation of social capital. The formation of staff members who work for the managing and activating sports clubs has created trust and satisfaction with the sport. Their activities contributed to the formation of social capital in sports clubs and played an important role in revitalizing sports clubs.

Conclusions

Sports club managers performed important roles in building trust and network with the club members and even other clubs through their leadership. These management activities are possibly contributed to the creation and accumulation as social capital. Therefore this research also showed the possibilities of extension to local community of the social capital through sports clubs.

keyword
Sports clubSports club managementSocial capitalSports club activation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스포츠클럽을 운영하는 운영진의 도시 공동체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는가에 대한 해답을 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방법

본 연구는 정성적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해 심층인터뷰와 표적집단면접을 실시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영역분석과 분류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결과

사회자본을 축적하는 과정에서 스포츠클럽 운영진의 리더십과 네트워크 중개자로서 역할이 매우 중요하였다. 스포츠클럽의 운영과 활성화라는 목적을 위해 일하는 운영진을 구성하는 것이 구성원들의 신뢰와 스포츠활동에 대한 만족을 유발하였다. 이들의 활동은 스포츠클럽의 사회자본 형성에 기여하며, 스포츠클럽 활성화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결론

스포츠클럽 운영진들은 봉사정신을 바탕으로 하는 리더십을 통해 구성원 및 타클럽과의 신뢰와 네트워크를 형성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이러한 운영진의 활동은 사회자본을 형성하는데 기여하고 그 영향이 지역공동체로 확장될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주요 용어
스포츠클럽스포츠클럽 운영진사회자본스포츠클럽 활성화

서 론

근로시간 단축, 여가 시간 확대, 건강유지 및 관심 증대 등은 우리나라 스포츠 참여 방식에 커다란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이른바 ‘보는 체육’에서 ‘하는 체육’으로의 전환을 야기한 것이다(An, 2007). 기존의 스포츠 관련 활동이 뛰어난 운동기능을 가진 엘리트 선수들의 시합을 관전하는 것에서 건강증진과 건전한 여가 선용을 위한 스포츠 활동 참여로 변화하였다. 참여스포츠 활성화의 중심에 스포츠클럽이 있다.

스포츠클럽이란 스포츠 활동을 목적으로 자발적으로 형성된 하나의 집단으로(Lee, 2000). 대인 관계 구축, 사회성 함양, 사회적 통합, 상호 신뢰와 네트워크 형성 등을 향상시킨다(Lee & Lee, 2009). 스포츠클럽의 사회적 가치는 성격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며 사회적 적응 및 리더십을 함양하고, 팀 스포츠를 통해 구성원 간의 협력, 협동, 연대 등을 형성하도록 한다(Hovde, 1967). 사교, 인내와 절제 등을 터득하여 원만한 사회생활을 할수 있게 한다(Oh, 2011).

스포츠클럽은 1990년대 이전까지 엘리트 체육과 대비되는 ‘사회체육’이라는 개념에 속해있었다. 하지만 국민들이 여가생활을 위한 체육 활동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생활체육이라는 용어가 확산되기 시작했다. 또한, 국민 건강문제와 도시 산업사회의 병리현상으로 인한 심리적, 생리적 스트레스 등의 해소방안으로 생활체육이 장려되고 있다(Sport white paper, 2014).

스포츠클럽 활동은 물리적인 측면에서 보면 단순히 스포츠 활동이 전개되는 공간으로서 그 의미가 한정되지만, 구성원간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그들만의 문화를 만드는 동시에 사회적 규범이나 상호신뢰 등 사회적 자본 요소를 구축한다. 즉 구성원 각자가 지니고 있는 다양하고 상반된 문화적 지향이 충돌하거나 대립하게 되면서, 실천적 장으로서 스포츠클럽을 구성하게 된다(Lee, Song, &Lim, 2006). 이처럼 스포츠클럽 활동은 구성원간의 상호의존성이 매우 높고 스포츠를 즐기고자 하는 공동의 목표를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상호작용과 자체규범 및 규칙 등의 사회 규범적 성격을 요구하게 된다(Carron, 1988).

스포츠클럽은 특정 스포츠 활동에 취미와 관심을 지니고 있는 스포츠애호가들에 의해 자율적으로 조직되고 운영되는 자생조직(Kang & Park, 2008)이자, 스포츠 활동이라는 공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활동장소와 시설, 지도자, 회원, 정기적 활동계획 등을 갖추고 운용되는 ‘자발적 결사체’이다. Newton(1999)은 개인의 취미나 사회적 의식을 공유하는 집단으로 위계서열이나 가입에 필요한 자격요건 등의 권위적 특성이 제한되는 집단으로 자발적 결사체를 설명하였다. 자발적 결사체에 참가한 개인들은 다른 구성원들과 상호작용하며 자유롭게 의사소통을 하는데, 이러한 행위들은 자율적인 협의를 통해 도출된 규범적 행동을 만들어내 신뢰를 형성시킨다(Yoo & Hang, 2009).

자발적 결사체로서 스포츠클럽의 운영진들은 구성원에 대한 대표성에 기반하여 클럽 내에서 지켜져야 하는 공공의 규칙을 만들고, 구성원들의 상호협력을 통한 클럽의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노력한다. 근대 자전거 클럽의 사회적 역할을 연구한 Norcliffe(2006)에 따르면, 스포츠클럽을 창설하고 운영하는 운영진들은 구성원 모집, 활동원칙 등을 만들고 이를 근거로 클럽을 운영하였다. 그의 연구를 살펴보면 스포츠클럽 운영진들은 스포츠클럽 활동에 필요한 클럽의 내규를 작성하고, 지속적인 활동을 통해 내부결속력을 강화하며, 새로운 회원을 영입하거나 다른 스포츠클럽과의 교류를 통해 조직의 규모 및 연결망을 확장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자발적 결사체로서 스포츠클럽의 구성원들은 호혜성과 상호의무 등을 학습하고, 네트워크 구축, 상호신뢰, 규범, 공평과 평등에 대한 가치 등 사회적 자본요소들을 생성하는 것이다(Kim, 2004, Putnam, 2000).

스포츠클럽 활성화는 우리사회가 직면한 다양한 사회문제에 대한 해결방안을 제시한다는데 그 의미가 크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의미에 기초하여 시작된 본 연구의 목적은 스포츠클럽을 자발적 결사체 관점에서 분석하고 스포츠클럽의 사회자본 요소에 대해 논의하는 것이다.

View original
Table 1.

Measuring frame for social capital of sports club management staff

Variables Trust Community spirit Network Reciprocal norms
Details -Trust in members
-Trust culture
-Intimacy
-Emotional connection
-Pride in the community
-Desireful people
-Engagement
-Regular meeting
-Exchange with other groups
-Shared rules
-Help with sports activities
-Social help
-Democratic decision making

연구방법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심층인터뷰와 표적집단면접을 실시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영역분석과 분류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의 틀

본 논문의 목적 중 하나는 스포츠클럽 운영진의 제도적 위상을 자발적 결사체 관점에서 분석하는 것이다.

1) 스포츠클럽의 사회자본 구성요소

사회자본의 개념은 Hanifan(1916)의 연구에서 처음으로 사용되었다(Fukuyama,1999). 학교 운동부에서 발생한 개인간 상호작용과 네트워크, 교류 등으로 발생되는 사회자본이 학업성취와 학교생활 등에 긍정적인 영향을 제공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사회자본을 사회적 교류와 개인간 상호작용, 선의 등이 통합된 것으로 정의하였다. 이후 다양한 분야에서 사회자본이 정의되었다(Coalter, 2007). Bourdieu(1986)는 문화자본과 인적자본에 대한 설명과 함께 사회자본을 정의하였다. 그는 개인이 가진 혈연 및 학연, 지연 등의 인적 네트워크의 총합을 사회자본이라고 정의하였다. Coleman(1988)은 사회자본을 개인의 협력을 유발하는 구조와 제도로 설명하면서, 생산적인 사회적 관계망이라고 하였다. Putnam(1993)은 개인을 넘어 사회로 귀속되는 긍정적이고 생산적인 사회자본 요소에 주목하였다. 그에 따르면 사회자본은 사회구성원들의 신뢰와 호혜적 규범, 네트워크를 통해 발생하는 것으로 공동체를 회복하고 긍정적으로 발전시키는 요인이다. 사회자본이 이처럼 다양하게 정의되지만 이를 종합하면 신뢰와 호혜성에 기반한 사회적 네트워크를 통해 구성원 상호간의 협력과 긍정적인 사회참여를 유발하는 기제로 정의할 수 있다.

사회자본의 개념 속에는 사회연결망에서의 활동관계와 교환자원, 자원교환관계의 유형, 공동체 등이 포함된다(Kang & Park, 2008). 이 가운데 사회공동체는 보통 자발적 결사체에서 시작되는데 이 안에서 구성원들은 신뢰와 호혜주의 등의 협력을 촉진시킬 수 있으며, 공동체 형성에 필요한 규범을 생성한다. 규범은 공동체에 필요한 자원 혹은 서비스의 생산을 촉진시켜 사회의 효율성을 높이는 효과를 갖는다.

사회자본의 측정에는 다양한 요소들이 검토된다. 본 연구에서는 스포츠분야에서 진행된 사회자본에 관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신뢰와 공동체의식, 네트워크, 호혜적 규범을 선정하였다. 첫째, 신뢰는 사회자본의 주요 구성요인으로 타인이 특정 행위를 하면서 나의 이해와 관심을 고려할 것이라는 기대가 존재할 수 있기 때문이다(Coleman, 1988; Onyx & Bullen. 2000; Putnam, 1995; Paldam, 2000). 둘째, 공동체의식은 구성원들이 집단에 소속되어 있다는 감정과 상호간 존중, 이를 통해 자신의 욕구가 충족될 것이라는 공유된 신념으로 설명된다는 점에서 측정이 필요하다고 판단하였다(Collins, 2004; McMillan & Chavis, 1986; Sherry, 2010). 셋째, 네트워크는 사회자본의 양이나 질과 직접적인 관계를 갖고 있다. 이는 사회자본을 발생시키는 원천으로서 구성원 사이 또는 집단 사이에서의 상호관계를 형성하게 하여 관계의 구조화를 이루게 한다(Widdop, Cutts, & Jarvie, 2014; Rosso & McGrath, 2013). Bourdieu(1986)에 따르면 사회자본의 양(volume)은 개인이 갖고 있는 네트워크의 크기로 결정된다. 이는 네트워크가 집단 내에서 발생하는 협력 혹은 상호이익을 위한 기반이 되기 때문이다. 넷째, 호혜적 규범은 구성원 간에 존재하는 호의에 대한 상호 기대이다(Burnett, 2006; Schlesinger & Nagel ,2015; Walseth, 2008). 사회자본을 창출하는 대인관계는 미래에 대한 이익 교환을 목적으로 형성되는 관계이며, 이 관계를 통해 공동의 언어와 행동양식을 공유하면서 호혜성을 제공하기 위한 규범을 만들어 낸다.

2) 스포츠클럽의 자발적 결사체적 특성

자발적 결사체란 공동의 이해관계나 목표를 추구하는 사람들이 스스로 만드는 집단이다. 자발적 결사체는 동일한 관심 혹은 목표를 추구하면서 가입과 탈퇴가 자유로우며, 보상이나 이익을 위해 가입하지 않는다. 이러한 조직은 수평적이고, 탈권위적이며, 사회적 의식을 공유하는 특성을 갖고 있다 (Newton, 1999; Putnam, 1993). 스포츠클럽 운영진의 자발적 결사체적 성격은 운영진들이 가지고 있는 자율권과 자주성, 공적 규칙에 대한 재정, 스포츠클럽 구성원에 대한 대표성 등에 기초한다. 사회에서는 공동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양한 조직을 구성하듯이, 스포츠클럽도 조직의 목적 달성을 위해 구성원간의 일정한 역할분담이 있고 지위에 따르는 행동규범과 공동의 법칙이 존재한다(Kim & Jung, 2012; Norcliffe, 2006). 또한 스포츠클럽의 구조 내에서 다양한 실천방식과 문화적·사회적 정체성과 관련된 현상들이 나타난다. 즉, 구성원들이 형성하는 다양한 현상들은 조직 내부의 구조나 역할, 조직의 규범, 구성원 간의 갈등, 구성원의 만족감 및 상실 등의 다양한 현상들이 발생된다(Kang, 2011). 따라서 스포츠클럽 역시 하나의 공동체로서 기능하며, 사회구조 안에서 특정 역할을 담당하는 자발적 결사체의 특성이 나타난다. 스포츠클럽 운영진들은 창단 핵심인과 창단 동호인들로 구성된다. 이들은 주로 자신의 연고를 중심으로 함께 운동할 구성원을 충원하였다.

연구참여자

본 연구의 참여자들은 스포츠클럽의 운영자와 운영진 두 그룹이었다. 다양한 종목의 스포츠클럽 운영진들의 현상을 반영하고자 운영자 면접은 야구와 볼링, 수영, 골프, 배드민턴, 승마, 검도 등 7개 클럽으로 선정하였으며, 운영진 면접의 경우 야구와 승마, 볼링, 배드민턴 4개 종목으로 선정하였다. 서로 다른 종목을 선정한 이유는 각기 다른 종목의 특성에 따라 나타나는 현상을 종합적으로 파악할 수 있기 때문이다(Gwon, Lee, 2015). 표적집단 면접의 대상자 수는 각 집단별로 3~5명으로 선정하였다(Burrows & Knedall, 1997). 각각의 면담조사는 비구조화 면담(unstructured in-depth interview)을 실시하고 반구조화 면담(semi-structured interview)을 실시하였다.

면담을 실시하기 전과 후에 연구의 목적에 대해 설명하고 연구 참여 동의를 얻었다. 면담은 대상자들이 운동 하는 장소 혹은 운동 장소에서 도보 5분 이내의 조용한 커피숍에서 실시하였다. 이 장소들은 응답자들에게 익숙하며 집중하기 수월한 환경을 조성하는데 도움을 주었다. 면담 시간은 약 50분에서 120분이었다. 연구자는 녹음기를 사용하여 녹취하면서 면담대상들의 표정과 면담환경에 대해 연구노트에 기록하였다. 이후 녹취파일을 컴퓨터에 저장하여 전사하였으며, 전사한 내용에 연구노트의 기록들을 보강하였다. 연구대상의 구체적인 내용은 아래 <Table 2, 3>에 제시하였다.

View original
Table 2.
Demographic characteristic (focus group interview)
Sports Gender Age Occupation Period of sports activity
Baseball A Male 33 Office work 12 yr
B Male 32 Researcher 11 yr
C Male 32 Office work 11 yr
Horse riding A Female 33 Office work 7 yr
B Female 42 Office work 8 yr
C Female 45 Business ower 10 yr
Bowling A Male 32 Office work 12 yr
B Male 32 Office work 10 yr
C Female 28 Researcher 8 yr
D Male 25 Student 4 yr
E Female 22 Student 3 months
Badminton A Male 44 Office work 4 months
B Male 48 Office work 4 yr
C Female 41 Technical post 4 yr
View original
Table 3.
Demographic characteristic (in-depth interview)
Sports Gender Age Occupation Period of sports activity
Swimming leader Female 27 Graduate 15 yr
Baseball leader Male 32 Office work 11 yr
Golf leader Male 37 Business ower 10 yr
Horse riding leader Female 31 Researcher 8 yr
Bowling leader Male 32 Trader 12 yr
Badminton leader Male 47 Office work 5 yr
Kendo leader Male 47 Office work 7 yr

연구결과

스포츠클럽의 사회자본 요소 분석 신뢰

신뢰는 사회자본의 주요 요인으로, 타인이 특정 행위를 하면서 나의 이해와 관심을 고려할 것이라는 기대로 정의된다(Onyx & Bullen. 2000; Paldam, 2000). 신뢰는 사회적 안정과 결속, 협력을 증진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며(Lin, 2001), 공동체 형성과정에서 스포츠 참여는 공동체의 신뢰를 증진시키는 역할을 한다(Perks, 2007). 스포츠클럽의 경우 스포츠라는 매개체를 통한 회원들의 지속적인 대인관계는 회원 사이에 배려하는 문화로 발전되었다. 회원 간의 신뢰문화는 스포츠클럽 운영진이나 스포츠클럽 자체에 대한 신뢰로 확장되었다.

1) 구성원 신뢰

스포츠클럽은 구성원들 사이에 대인관계를 형성하고 유지시키는 중요한 공간임을 확인하였다. 운동하는 동안 서로의 배경이나 가족관계, 직업 등을 공유하면서 형성된 신뢰관계는 지속적인 스포츠클럽 참여로 이어져 효율적인 클럽 유지 및 발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서로 오래된 친구 같은 관계를 많이 맺게 되더라고요. 서로 직업이나 이런걸 알고 만나니까 궁금한 게 있으며 바로바로 물어보거나 자기가 아는 것을 먼저 조언하고 하는 경우들이 많이 있어요.”

-골프클럽 운영자-

“이 팀은 오면서 다들 각 포지션에서 다른 사람들보단 잘 하는 사람들이 모인 상태라, 그러니까 주력인 포지션에 서면 다른 사람들이 그 사람을 깔 수가 없어.”

-야구클럽 운영자-

“그런데 지금 이 사람들은 그 동안 야구를 오래 해 왔기 때문에 ‘아 쟤는 저 포지션을 잘 한다.’고 납득을 하고 하는 팀이고”

-야구클럽 운영진 C-

이들의 신뢰관계는 스포츠클럽이라는 특성으로 인해 구성원들의 운동실력에 대한 신뢰로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스포츠클럽 구성원들은 함께 운동한 기간이 쌓이면서 서로에 대한 운동실력을 신뢰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구기 종목 같은 단체 운동에서 구성원의 실력에 대한 신뢰는 개별 구성원을 넘어 전체에 대한 긍정적 평가로 이어졌다.

2) 신뢰문화

스포츠클럽의 신뢰문화는 운영진들의 솔선수범과 의사결정 방식을 통해 발전되었다. 회원들은 신입회원일 때 운영진 혹은 기존 회원들로부터 적극적인 도움을 경험하였고, 이는 이후 선발되는 회원들의 적응을 돕는 호의적인 행동으로 이어졌다.

“요즘은 신입들이 진짜 열심히 나와요. 그 이유가 기존에 있는 사람들이 잘 챙겨줘서 그래요.”

-배드민턴 클럽 운영진 B-

“집행부들이 많이 희생하고, 봉사하고, 초대 회장님께서도 마인드가 초보자들 신경 안 써주면 클럽이 무너진다 하시니까. 집행부들의 노력이 많죠.”

--배드민턴 클럽 운영진 C-

“저희는 그런 문제들을 경험했고 익숙한 사람들끼리 모여서 그런건지. 여기 학교당국에도 회의기구가 있는데 거기서 경험해본 사람들이 모여서 만든 팀이라 이 팀을 잘 유지 하려면 회의를 통해 합의가 되어야 한다는 걸 잘 알고 있는 사람들이죠. 그래서 이 팀이 잘 되고 있는거죠”

--야구클럽 운영진 B-

운영진들의 성숙한 의사결정방식은 회원들에게 운영진들의 운영방식을 신뢰하게 하였다. 스포츠클럽의 운영진들은 다양한 시행착오와 다른 클럽에서의 경험들을 통해 구성원간 신뢰 형성과 구성원과 운영진 사이의 신뢰 문화를 만들어 내었다.

공동체의식

공동체의식이란 구성원들이 소속되어 있다는 감정과 서로에게 중요하다는 감정, 그리고 결속에 의해 자신의 욕구가 충족될 것이라는 공유된 신념이다 (McMillan & Chavis, 1986). 스포츠클럽 구성원들이 느끼는 공동체 의식에는 구성원들 간의 친밀감과 조직의 일부라는 정서적 연계, 스포츠활동을 통해 얻게 되는 다양한 만족감, 공동체에 대한 자부심 등이 있었다.

1) 친밀감

스포츠활동을 목적으로 하는 자발적 단체라는 특성으로 인해 스포츠클럽은 수평적 대인관계를 형성하며, 비교적 느슨한 형태의 결속을 보였다. 운동이라는 공통의 관심사와 지속적인 대화는 구성원간 친목을 강화하는데 긍정적 역할을 제공하였다.

“여기 오면 다 잘 알고 친하고 하니까 과방 들어온 기분으로 그냥 농담하면서 편한 분위기에서 야구 하고 가니까 그게 참 다른 팀에선 느끼기 어려운 것들이 있죠.”

-야구클럽 운영진 A-

“그냥 제가 살아갈 때 인간관계에서 여러 가지 인간관계를 배울 수 있고 어~ 또 그런 사람들과 같은 정말 뭔가 취미를 넘어선 뭔가에 마음을 통하고 얘기 할 수 있는 부분들이 더 많은 운동이기 때문에 그런 좀 일반적인 온라인 동호회랑은 조금 차별이 있는 동호회에요 저희 같은 경우는”

-승마클럽 운영진 A-

2) 정서적 연계

집단 내에서 구성원들은 그 집단의 일원으로 받아들여진다고 느끼기를 기대한다(McMillan & Chavis, 1986). 이러한 정서적 연계는 구성원간 친밀감을 바탕으로 자신이 조직의 일원이라고 생각하게 되는 것이다. 스포츠클럽의 구성원들은 정기적인 만남과 공동의 활동을 통해 다른 구성원들과 공유하는 부분을 장점으로 받아들이고 있는 것이다.

“운동을 같이 함으로 인해 가지고 매경기 희노애락을 왔다갔다 하는 경기도 하고 그런 부분이 좋고요.”

--배드민턴클럽 운영자-

“순수하게 일단 만날 수 있다는 거 다른 이 사람이랑 나랑 뭐 사업적인 거, 금전적인 거 전혀 다 필요없이 그냥 배재하고 정말 순수하게 같은 관심사로만 이렇게 사람을 만날 수 있다는 게 동호회의 가장 큰 그런 장점이라고 생각을 합니다.”

-승마클럽 운영진 A-

3) 욕구충족

스포츠클럽 참여자들은 스포츠 활동을 통해 운동에 대한 욕구를 충족시켰다. 정기적인 운동에서 느끼는 활동 자체에 대한 만족감과 대회나 다른 팀과의 경기를 통해 성취하게 될 기대감 등이 내면에 자리 잡고 있었다.

“더 잘 하고 싶고, 더 좋은 경기 하고 싶은데 그게 사람 마음대로 안 되잖아요. 바로 옆 사람들 때문에 그게 안돼요. 상대방을 설득 할 수가 없잖아요 ‘야구 좀 더 해보자, 같이 하자.’ 이렇게요. 그런데 이 팀은 그 욕구를 충족 할 수가 있어요. 다들 같은 종류의 생각을 하던 사람들이 모여 있기 때문에”

-야구클럽 운영진 B-

“야구 측면에서 각자 실력이 있는 사람들이 모이니까 원래 있던 팀에서 대회나 리그에 참여하면서 그 수준이 높아요. 그래서 좀 더 높은 수준의 야구경기, 야구다운 야구를 할 수 있다는 만족도가 크고요.”

-야구클럽 운영자-

4) 공동체에 대한 자부심

스포츠클럽의 참여자들은 다른 클럽과의 비교를 통해 자신들의 공동체에 대한 자부심을 느꼈다. 그러한 자부심은 참여하고 있는 클럽의 애착과 가치부여로 나타났다.

“사회생활도 많이 늘어나요. 팀장을 하면 3,40명에서 50명 정도를 인솔해야 되니까. 그런 경험이 대학생활에선 없더라고요.”

-볼링클럽 운영자-

“팀에 대한 애착이 높고 가치도 많이 부여하고 있죠. 그래서 서로 양보할 수 있는 것들이 있는 거죠. 팀을 유지하고 싶어 하고. 이런 경험을 할 수 있는 팀이 많지 않다는 것을 다들 알고 있으니까요.”

-야구클럽 운영자-

스포츠클럽 구성원들은 다른 구성원들과의 지속적인 상호작용을 통한 친밀감을 형성하였다. 또한 스포츠활동을 하면서 자신의 운동기술이 향상되면서 자신의 욕구가 충족되는 것을 경험하였다. 이러한 친밀감과 정서적 연계, 욕구 충족 등은 자신이 속한 공동체에 대한 자부심으로 연결되었다.

네트워크

네트워크의 크기는 사회자본의 양이나 질과 직접적인 관계를 갖고 있다. 사회자본의 양은 개인이 갖고 있는 네트워크의 크기에 따라 결정된다(Bourdieu, 1986). 집단 내에서 발생하는 협력 혹은 상호이익을 위한 기반이 네트워크에 기인하기 때문이다. 스포츠클럽 참여자들은 정기·비정기 모임과 구성원들의 수평적 구조, 타클럽과의 교류 등을 통해 네트워크를 유지 및 확장하였다.

1) 클럽참여

스포츠클럽의 운영진들은 구성원 전체가 함께 참여할 수 있는 정기행사나 이에 준하는 모임을 상당히 적극적으로 지원하는 경향이 있었다. 또한 구성원들이 활발하게 다른 참여자들과 소통할 수 있는 기회를 온라인과 오프라인에서 제공하기도 하였다.

“운영 홈페이지는 게임원이라고 사회인 야구는 대부분 그걸 통해서 운영하고요, 단체 카카오톡 대화방이 있어요 거기서 주로 연락하고요.”

-야구클럽 운영진 A-

“각 스텝들이 카톡방 장들인데 거기서 각자 모임이 있어요. 무슨 모임 있다고 하면 카페에 배너를 만들어서 원하는 사람들이 바로 들어가게 되는 그런걸 만들어 줘요. 예를 들면 언제 스크린 모임이 있다 이런걸 배너로 만들어 줘서 쉽게 이용하도록”

-골프클럽 운영자-

2) 클럽구조

스포츠클럽은 비교적 구성원간 수평적 관계를 유지하고 있지만, 효과적인 의사결정과 신속한 전달을 위한 체계를 가지고 있는 양면성이 발견되었다. 운영회의를 두고 문제제기와 토의는 대표자들을 선정하여 위임하고, 결정된 내용에 대해 top-down 방식으로 전달하였다. 이러한 체제는 각 개별 참가자들의 문제를 확인 및 해결하고 당사자 혹은 일반에게 빠르게 전파됨으로서 스포츠클럽 구성원들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었다.

“여러 팀에서 그러니까 각 팀에서 대표자들이 말하자면 국회의원이죠. 각 팀 대표로 해서 3-4명이 모여서 회의하는 위원회가 있어요. 그러면 각 위원이 원래 소속된 팀의 선배나 후배들한테 무슨 안건이나 이슈가 있으면 그거에 대해서 물어보고 의견을 듣고, 우리 애들은 이렇게 생각하더라 하고 위에서 다시 만나서 결정을 내리고 아래로 다시 뿌리고 이런 식으로 하도록 되어 있어요.”

-야구클럽 운영진 B-

“한 달에 한 번씩 월례회를 통해서 회원들의 민원을 받고 개선점이나 문제점에 대해 들어요.”

-배드민턴 운영자-

3) 정기적인 모임

스포츠라는 공통의 관심사를 가지고 정기적인 모임을 갖는 점은 집단의 네트워크를 강화하는데 기여하였다. 비교적 큰 규모의 스포츠클럽들은 지역별 모임을 통해 구성원 간 연결망(tie)을 높였으며, 친한 구성원 간의 소규모 모임 등을 통해 네트워크를 형성하였다.

“볼링 모임이 지구대별로 6개 모임이 있어요. 그 다음에 관심사에 따라 모임이 달라요. 볼링 모임이지만 그 안에 볼링 모임이 또 있고요. 저 같은 경우엔 보드 타는거 좋아해서 보드 모임이 따로 있어요.”

-볼링클럽 운영진 A-

“20여 명 가량, 각 지역이랑 각 나이별로도 나뉘고요 지역은 강 동서남북, 인천, 일산, 수원, 분당 쪽 이렇게 나뉘어져 있어요. 그리고 띠별로도 나뉘어져 있어요.”

-골프클럽 운영자-

4) 타클럽과의 교류

스포츠클럽이 타 종목과의 교류는 네트워크의 확장에 효과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이 연구를 통해서 발견한 사실 한 가지는 스포츠클럽과 타클럽간의 교류는 주로 시합이나 합동 운동을 통해 형성되며, 클럽 내부에서 활발하게 활동하는 참여자들이 타클럽과의 네트워크 형성에서도 적극적인 행동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른 도장들이랑 합동연무(공동연습)나 한 번씩 방문해서 같이 연습하고 해요. 지역대회에서도 자주 만나고, 주로 활동 많이 하는 사람들은 정해져 있거든요. 자주 나오는 사람들이 합동연무나 시합(대회)에서 얼굴 보고 하죠. 그러면서 친해지고 그러면 한번씩 서로 도장 가서 만나서 운동하고 술도 한잔씩 하고, 그러면 자기 도장에 누가 잘 한다 저 사람은 뭘 잘 한다 이런거 말해주기도 하고요.”

-검도클럽 운영자-

“야유회는 2년에 한 번 가고, 야유회를 못 갈 때는 가깝게 지내는 다른 클럽들 3곳 정도 가깝게 지내는데 거기랑 친선경기 하고요.”

-배드민턴 운영진 B-

스포츠클럽 참여자들은 정기적인 운동과 함께 개별적인 모임을 통해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었다. 비교적 큰 규모의 스포츠클럽은 각 지역별 혹은 연령별, 성별로 친목활동을 할 수 있는 소모임들을 보유하는 경향이 발견되었다. 규모가 작은 클럽들은 친목모임이나 다른 스포츠클럽과의 경기를 통해 집단간 네트워크로 확대되는 것이다.

호혜적 규범

호혜성은 사회자본의 생산적 요소 중 하나이다(Choi et al., 2008). 호혜성에 관한 이론들을 살펴보면 집단의 구성원 사이의 직접적인 이익 교환(Mauss, 1990)과 미래의 불특정한 시기에 교환되는 일반적 호혜성(Newton, 1997)으로 나타난다. 호혜적 관계란 이익을 제공하고 제공받는 일련의 과정을 통해 형성되는 것으로 스포츠클럽의 경우도 구성원 사이의 이익의 순환성이 나타나고 있었다. 스포츠클럽 내에서 발생하는 호혜적 교류는 운동에 도움이 되는 정보만이 아니라 일상생활에서도 필요로 하는 것을 해결하는 역할을 한다. Putnam(1995)의 주장처럼 스포츠클럽의 네트워크는 정보획득이나 취업, 공동체 동원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는데 효과적으로 나타났다. 스포츠클럽 구성원들은 스포츠클럽 내에서 특정 정보에 대한 획득 비용을 최소화하고 있었다(Coleman, 1988). 규범은 공동의 언어와 행동양식을 공유하는 구성원들에게 동일한 인식을 갖도록 기여한다 (Kang & Park, 2008). 스포츠클럽의 경우 자체적으로 규범 혹은 규칙들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기존회원이나 운영진들의 솔선수범에 의해 전파되고 준수되었다. 이들은 회원간 상호배려와 정보제공, 운동 외 사회생활에 관한 도움, 규범 확립 및 준수, 체계적인 의사결정과정 등으로 나타났다.

1) 회원간 상호배려

스포츠클럽은 제한된 공간에서 구성원들이 평등하게 운동할 수 있도록 운영되어야 한다. 스포츠 참여를 목적으로 조직되었기에 운동참여 기회의 배분이 중요하다. 하지만 이러한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서는 운동 선·후배 간의 배려가 필요하다.

“저희는 ‘새싹반’이라고 하거든요. 저도 새싹반때 초대 회장님이 신경 많이 써주시고, 잘 못 칠 때도 데리고 코트 들어가서 이렇게 치는 거다 저렇게 치는 거다 하면서 직접 지도해 주시고 해서 지금까지 실력이 성장해 왔거든요. 지금은 제가 그 (전)회장님 보다 급수가 높아졌어요. 그렇게 혜택을 받았기 때문에 저 또한 제가 받은 것을 다른 초보자들에게 나눠줘야겠단 생각이 많이 들더라고요. 여기 지금 계신 분들이 그 분한테 그렇게 도움 받지 않은 분들이 없어요. 그래서 다들 초보자들에게 더 관심을 갖고 그러는 것 같아요. 본인들이 도움을 받았기 때문에”

-배드민턴클럽 운영진 C-

“각기 다른 사람들이 모여서 운동 외적으로 인간관계가 형성되면서 다른 사람 배려하고 이런게 생기죠. 코트도 지정해서 들어가는게 아니라 서로서로 배려하면서 들어가거든요. 양보해 가면서”

--배드민턴클럽 운영자-

운영진과 선배회원들은 신입회원들을 위해 운동하는 시간과 장소를 일정부분 양보하였다. 이들은 신입회원으로서 겪는 적응의 문제들을 이미 경험하였으며, 기존 회원들의 배려를 통해 구성원들의 지속적인 참여를 유도하고 있었던 것이다.

2) 정보제공

자발적인 모임의 특성을 가진 스포츠클럽은 신뢰를 바탕으로 한 수평적 대인관계를 형성하고 있었다. 이는 희소성이 있는 가치 혹은 부가적 가치기 있는 정보들을 스포츠클럽 구성원 간의 네트워크를 통해 획득하도록 도와 거래비용을 줄이는 역할을 하였다.

“제가 일하는 회사 운영할 때 법적인 문제들이 있었어요. 또 계약 관련된 일들이 있어요. 법적인 문제들에 대해선 (이 팀에 있는) 변호사 형한테 직접 물어봐요. 수임료를 따로 주는 건 아니지만 법적인 자문을 얻을 수 있어요. 그러니까 직접적인 연결 고리가 있어요. 저희 회사는 야구 용품 업체인데 그 형은 야구를 직접 하는 변호사라서 뭔가를 물어볼 수가 있고, 그 사람 입장에선 자문 자체가 서비스인데”

-야구클럽 운영진 B-

“공사업체에서 안전장비 제공하는 분이랑, 식사업체 운영하시는 분이 모여서 동탄쪽 공사현장에 구내식당을 차리는 정보를 주고 해서 돈을 많이 버는 경우도 있었죠.”

-골프클럽 운영자-

“저는 사실 저희 회사에서 하는 행사에 있어 제일 우선으로 정보를 제공하는 곳이 이 팀이죠. 특히 야구라는게 공통의 관심 주제이기 때문에 야구랑 관련된 가장 좋은 정보를 접했을 때 제일 먼저 생각나는게 이 사람들이니까요.”

-야구클럽 운영자-

스포츠클럽에서 정보의 제공은 구성원 사이에서 일어나기도 하며, 구성원과 클럽 전체 사이에서 발생하기도 하였다. 스포츠클럽에서 유통되는 정보는 운동용품 혹은 운동과 관련된 지식에서부터 상호 경제적 이익추구, 법률이나 의료 자문 같은 전문지식까지 범위와 규모가 다양하였다.

3) 사회생활에 도움

사회적 도움 역시 스포츠클럽을 통해 형성된 대인관계를 통해 다양한 종류의 도움이 순환적으로 나타났다.

“저도 얼마 전에 치과의사 동생한테 무료로 치료 받았어요. 다 골프 동호회에서요. 물품 같은 경우도 단체구매 할 때 물류회사 하는 친구들한테 (좋은 조건으로) 받고 하죠.”

-골프클럽 운영자-

“공대도 많고 인문대랑 법대도 많아서 사시패스한 친구한테 법률적으로 B가 팔 부러졌을 때 어떻게 해야되냐고 물어보기도 하고 그랬어요. 합의를 하는게 좋냐 아니면 보험처리 하는게 좋냐 이런거요. 그 때 보험처리 하라고 해서 그냥 보험 처리 했거든요.”

-볼링클럽 운영진 A-

“운동 끝나고 회원들끼리 먹을거나 생활용품 이런거 이야기 많이 하죠. 이번에 친정에서 장아찌 담갔는데 맛있더라, 친척이 과수원 한다, 농사짓는다 하면서 좋은거 싸게 살 수 있게 소개해주고 그래요.”

-수영클럽 운영자-

스포츠클럽 내에서 발생하는 호혜적 규범에 근거한 교류는 운동에 도움이 되는 정보만이 아니라 일상생활에서도 필요로 하는 것을 해결하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Putnam(1995) 의 주장처럼 스포츠클럽의 네트워크는 정보획득이나 취업, 공동체 동원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는 데에도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스포츠클럽 구성원들은 스포츠클럽 내에서 특정 정보에 대한 획득 비용을 최소화하고 있었다(Coleman, 1988).

4) 규칙 확립 및 준수

스포츠클럽은 참가자들이 모두 공유할 수 있는 규범들을 신입회원들에게 안내하는 과정이 있었다. 이는 명문화된 경우도 있었지만, 기존회원들과 함께 운동하면서 자연스럽게 익히게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입 방이 있어요. 신입들에게 매너(에티켓)을 알려주는 곳이에요. 골프가 매너스포츠라. 그리고 신입들만 모여서 라운딩 할 때가 있어요. 그럴 때는 고수가 한 명 끼고, 신입이 세 명 해서, 고수는 계속 봐주고, 아니며 고수 둘, 신입 둘 이렇게 갈 때도 있고요.”

-골프클럽 운영자-

“카페에 회칙이라던지 여러 가지 그런 것들은 기본적인 틀은 가지고 있어요. 또 뭐 서로 승마하면서 서로 간에 회원들 간에 에티켓이라던지 이런 기본적인, 일반 동호회들이 가지고 있는 그런 뭐 카페회칙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아요.”

-승마클럽 운영진 B-

5) 의사결정 과정

의사결정이나 갈등상황을 해결하는 과정에서 스포츠클럽 역시 일반 조직처럼 체계적인 소통 과정을 가지기 위해 노력하고 있었다. 이들은 주요 행사나 연간 일정을 제도화된 회의를 통해 결정하였다. 스포츠클럽 내 갈등조정 장치를 통해 접점을 형성하고 받아들이는 방식으로 분쟁을 해결하였다.

“행사기획도 6개 지구대 팀장들이 모여서 상부조직이 있어요, 거기서 회의를 통해서 날짜를 정하고 하죠.”

-골프클럽 운영진-

“감정적으로 싸우기 보다는 회의를 통해서 해결을 했어요. 뭔가 문제 상황에서 회의를 통해 해결하는 것이 지켜져 왔기 때문에. 그렇게 해서 한명의 의견을 100% 충족시키진 않지만 서로서로 수긍할 수 있는 접점이 만들어 지는 단체라고 생각해요.”

-야구클럽 운영자-

스포츠클럽 참여자들은 교환의 각 당사자들에게 자신이 받은 ‘혜택’을 돌려주려고 하는 ‘의무’를 갖고 있다. 이는 개인 간의 교환이 아니라 개인과 참여자 일반들과 순환적으로 발생하였다. 즉 자신이 필요한 것을 받은 경우, 자신이 제공할 수 있는 것으로 돌려주는 과정이 도움을 제공한 당사자에게 고정된 것이 아니라 스포츠클럽 구성원 전체와 공유하는 것이다. 이는 다른 종목의 운동 교습이나 학교생활에서의 도움, 전문지식의 컨설팅 등으로 다양하게 제공되었다.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를 통해 스포츠클럽의 운영진이 명목상 역할에 머무르지 않고 자발적 결사체로서 구성원들의 스포츠활동 참여라는 공동의 목적을 효율적으로 달성하려고 노력하고 있음을 엿볼 수 있었다. 야구, 승마, 볼링, 배드민턴 등 4개 종목의 면담자들이 소수에 불과하고 연령 구조, 남녀간 구성비 등이 체계적이지 못하다는 한계가 있다. 이들 종목의 종사자들의 전체적인 의견을 제대로 반영했다고 보기에는 다소 미흡한 점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스포츠클럽에서 나타난 사회자본 요소는 신뢰, 공동체의식, 네트워크 그리고 호혜적 규범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신뢰는 구성원들의 대인관계를 유지시켜주는 ‘구성원 신뢰’와 스포츠클럽의 유지와 발전에 영향을 미치는 ‘신뢰문화’로 나타났다. 공동체의식의 경우 스포츠라는 공통의 주제를 중심으로 형성되는 친밀감과 집단의 일원으로 느끼게 하는 ‘정서적 연계’, 스포츠 활동을 통한 ‘욕구충족’, 타 클럽과의 비교를 통해 형성되는 ‘공동체에 대한 자부심’ 등으로 나타났다. 네트워크는 구성원들의 대인관계를 유지시켜주는 ‘클럽참여’와 스포츠클럽의 효과적인 운영을 가능하게 하는 ‘클럽구조’, 네트워크의 연결망을 다양하게 하는 ‘정기적 모임’, 네트워크의 확장에 기여하는 ‘타클럽과의 교류’ 등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호혜적 규범은 구성원들의 스포츠참여 기회를 효과적으로 달성하는데 도움을 주는 ‘회원간 상호배려’와 구성원간 네트워크를 통한 정보교류와 습득, 스포츠클럽 내부 관계가 외부 도움으로 확장되는 ‘사회생활에 도움’, 스포츠클럽 참가자들이 모두 공유하는 ‘규칙 확립 및 준수’, 효과적으로 갈등을 조정하는 ‘의사결정 과정’ 등이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스포츠클럽의 사회자본 증진을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스포츠클럽의 리그제 확대이다. 리그제는 다양한 장점에도 불구하고 한정적인 종목에서 시행되고 있다. 리그제의 종목 확대는 지역내 스포츠클럽의 정기적인 교류를 유발하여 타클럽과의 연계를 강화시키며, 구성원들에게 경쟁을 유발시켜 스포츠클럽 참여율을 향상시킬 것이다. 두 번째로 신규회원 유치를 위한 적극적인 흡수전략이 필요하다. 스포츠 초보자들 즉 신규회원들은 스포츠클럽의 성장을 위해 중요한 요소이다. 하지만 이들은 낮은 수준의 운동능력과 네트워크로 인해 중도포기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스포츠클럽의 운영진들은 정기적인 강습회와 친목활동 등을 장려해 신규회원들의 초기 적응을 도와야 할 것이다.

스포츠클럽 운영진은 구성원들의 원활한 스포츠활동을 목적으로 한다. 이들은 스포츠클럽 내에서 제도적 권한을 가지고 있으며, 경제적·물리적 자원을 활용하고, 이들을 운영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공동체 활성화에 기여하는 자치조직이다. 하지만 대부분의 스포츠 클럽들이 소규모이며 열악한 환경에서 운영되고 있는 실정이다. 앞에서 언급된 이러한 환경적 조건들은 소규모 자치조직인 스포츠클럽 자체적으로 해결하기는 어렵다. 스포츠 클럽이 지역사회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사회적 자본 요소를 내포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지역주민, 지방정부 등은 스포츠 클럽의 역할에 대한 인식의 전환이 요구된다.

References

1 

An, M. S. (2007). Realities and problems of the Korea sports culture. Social Research, 95-125. .

2 
3 

Bourdieu, P. (2011). “The forms of capital (1986). Cultural Theory: An anthology, 81-93. .

4 

Carron, A. V. (1988). Group dynamics in sport: Theoretical and practical issues. Spodym Publishers. .

5 

, Choi, H. S., Kim, H. Y., Kang, H. A., Park, C. W., Bae, Y., Bae. Y. J., Yoon, M. J., & Cho, H. S. (2008). , Study on social capital accumulation through IT., Basic research 08-04. Korea Information Society Development Institute., .

6 

Coleman, J. S. (1988). Social capital in the creation of human capital.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95-120. .

7 
8 
9 
10 

Hovde, A. J. (1967). The faculty. etc: a review of general semantics, 48-48. .

11 

Hwang, I. C. (2018). Effects of population aging on economic growth. Korea Insurance Research Institute, 452, 33-37. .

12 
13 
14 
15 
16 
17 

Lin, N. (2001). Social capital: A theory of social structure and ac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

18 
19 
20 
21 

Lim, B. J. (1993). Sport for all activation and improve productivity. National Sports Promotion Seminar, 33-48. .

22 

Mauss, M. (1990). The gift: the form and reason for exchange in archaic societies, trans. WD Halls. New York and London: WW Norton. .

23 
24 
25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2018). Status of sports industry in 2017.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

26 
27 

Newton, K. (1999). Social capital and democracy in modern europe. In social capital and european democracy (J. van Deth, M. Maraffi, K. Newton, and P. Whiteley, eds), p3-24. London: Routledge. .

28 
29 

Oh, B. G. (2011). Relationship among physical self-concept, health promotion behavior, and quality of life of participant in physical disability sport.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hosun University. .

30 
31 
32 
33 
34 
35 
36 

Putnam, R. D. (2000). Bowling Alone: The collapse and revival of american community. NY: Simon & Schuster. .

37 
38 

Sport white book (2014).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

39 
40 

, Thoma, J. E., & Chalip, L. (1996). The international development of sport. , Sport governance in the global community., .

41 
Submission Date
2020-02-03
Revised Date
2020-04-01
Accepted Date
2020-05-20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