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1598-2920
PURPOSE This study examines how fitness centers’ care services affect the MZ generation’s perceived value, exercise attitude, and exercise commitment and how perceived value mediates this impact. METHODS Patrons aged 20–30 who used fitness centers in the Seoul and Gyeonggi regions participated in a questionnaire survey from January to February 2024, providing a total of 233 responses. Using SPSS 21.0 and AMOS 21.0, the data underwent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RESULTS First, perceived caring service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perceived value. Second, perceived value had a substantial influence on exercise attitude. Third, perceived value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exercise commitment. Fourth, exercise attitude significantly drives exercise commitment. Fifth, perceived caring services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exercise attitude or commitment. Sixth, perceived value fully mediates the relation between perceived caring services and exercise attitude. Seventh, perceived value had a full mediating effect on the association between perceived caring services and exercise commitment. Finally, tailored services and emotional support were identified as key factors in fostering MZ individuals’ positive exercise experiences and commitment. CONCLUSIONS Fitness centers should develop strategic services reflecting their customers’ goals and values to enhance their exercise attitudes and commitment and ultimately secure long-term customer loyalty.
[목적] 본 연구는 피트니스센터에서 제공하는 케어링서비스가 MZ세대의 지각된 가치, 운동태도, 운동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지각된 가치의 매개 효과를 규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2024년 1월부터 2월까지 서울 및 경기 지역 피트니스센터를 이용하는 20~30대 MZ세대 고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최종적으로 233부의 응답을 분석에 활용하였다. 측정 도구로 설문지를 사용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21.0과 AMOS 21.0을 활용하여 빈도 분석, 신뢰도분석, 확인적 요인분석(CFA), 상관관계분석, 구조방정식모형(SEM)을 통해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지각된 케어링서비스는 지각된 가치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지각된 가치는 운동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지각된 가치는 운동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넷째, 운동태도는 운동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다섯째, 지각된 케어링서비스는 운동태도와 운동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여섯째, 지각된 가치는 지각된 케어링서비스와 운동태도 간의 관계에서 완전 매개효과를 보였다. 일곱째, 지각된 가치는 지각된 케어링서비스와 운동몰입 간의 관계에서 완전 매개효과를 보였다. [결론] 본 연구는 피트니스센터의 케어링서비스가 MZ세대의 지각된 가치, 운동태도, 운동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심층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지각된 가치는 케어링서비스와 운동태도 및 운동몰입 간의 관계에서 중요한 매개 역할을 수행하며, 맞춤형 서비스와 정서적 지원이 MZ세대의 긍정적인 운동 경험과 몰입을 유도하는 데 핵심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피트니스센터는 고객의 개인적 목표와 가치를 반영한 전략적 서비스를 통해 MZ세대의 운동태도와 운동몰입을 강화하고, 이를 바탕으로 장기적인 고객 충성도를 확보할 수 있는 실질적인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