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1598-29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oaching information with which coaches provided players during badminton competition.
: To this end, we generated an open-ended questions and presented it to 88 high school athletes registered in the Badminton Korea Association. The survey was conducted during a tournament and immediately after the tournament to collect the data. The collected data were categorized through inductive content analysis.
: As a result of this study, a total of 480 raw data points collected through the open-ended survey were categorized into four general areas: psychological information, technical information, tactical information, and game operation information. Specifically, psychological information was divided into six subdivisions: concentration, confidence, relaxation/stabilization, mental toughness, play thought, and passion; technical information was broken into four subdivisions: strokes, footwork, swing and posture, and position preparation; tactical information had four subdivisions: coping to opponents, play changes, rotation, and manipulation of opponents; and, game operation information was divided into two subdivisions: taking the lead in a game and changing atmosphere.
: In other words, in badminton competition, the coaches strengthened psychological skills that promote psychological stability to attain the athletes’ peak performance and modified the athletes’ motion into the action necessary for achieving accurate techniques. Furthermore, they provided a variety of coaching information so that the athletes will respond appropriately to their opponents’ play, take the lead in games and induce a positive mood. The psychological, technical, tactical and game operation information offered by badminton coaches are the main factors influencing the performance of badminton players and suggest a need for the proper management and control of the coaches as well as athletes for the peak performance.
: 이를 위해 대한배드민턴협회에 등록된 고등학생 선수 88명을 대상으로 대회 기간과 대회 종료 직후 개방형설문을 진행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내용분석을 통해 귀납적으로 범주화하였다.
: 연구결과, 개방형설문을 통해 수집된 총 480개 원자료는 심리 정보, 기술 정보, 전술 정보, 경기운영 정보 등 4개 일반영역으로 범주화되었다. 구체적으로 심리 정보는 집중력, 자신감, 이완/안정, 정신력, 플레이 생각, 열정 등 6개 세부영역이 탐색되었으며, 기술 정보는 스트로크, 풋워크, 스윙과 자세, 포지션 준비 등 4개 세부영역이, 전술 정보는 상대 대처, 플레이 변화, 로테이션, 상대 조정 등 4개 세부영역이, 경기운영 정보는 경기주도와 분위기 전환 등 2개 세부영역이 탐색되었다.
배드민턴 경기의 긴박한 승부처에서 지도자는 선수의 강점을 극대화하고 상대선수의 약점을 공략하려 한다. 그리고 이러한 의도는 벤치에서의 주문으로 구체화된다. 배드민턴 경기상황에서 지도자는 선수에게 어떠한 주문을 할까? 재개된 경기에서 이전과 다른 플레이를 선보이는 선수를 보면 지도자의 주문은 과히 마법과도 같다.
경기에서 선수가 최상수행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체력, 기술, 전술, 심리 등 다양한 경기력 요소가 조화롭게 발현되어야 한다(Yun & Lee, 2006). 이를 위해 선수와 지도자는 훈련을 통해 경기력 구성요소를 강화하는데 주력한다. 하지만 훈련을 통해 경기력 구성요소에 대한 충분한 준비가 이루어지더라도 실제 경기에서는 이들 요소가 적절하게 조화되어 발현되기 쉽지 않은데, 경기라는 실제 맥락은 훈련과 같지 않으며, 경기에서는 예측 불가능한 가변 요소가 개입되기 때문이다(Goldschmied et al., 2010; Moon & Jeon, 2008; Park, 1999).
경기에서는 경기 맥락의 가변성과 역동성으로 인해 경기력 구성요소에 대한 선수 개인의 조절은 물론 외부에서 지도자의 적절한 개입이 필요하다(Kim & Park, 2013; Nicholls et al., 2010; Woon & Yoo, 2012). 특히, 지도자가 제공하는 단서와 정보는 선수의 경기력은 물론 경기결과를 좌우(Higham et al., 2005; Horn, 2002; Kim et al., 2011)하는데, 지도자가 제공하는 적절한 단서와 정보는 직면한 상황을 극복하게 하고 심리적 안정을 회복하도록 돕는다(Jeon & Yun, 2014). 또한 선수의 잘못된 수행을 수정하고 바람직한 수행을 강화함으로써 성공적 수행의 가능성을 높인다(Kim, 2010).
하지만 지도자가 제공하는 단서와 정보가 항상 긍정적으로 기능하는 것은 아니어서 지도자의 정보가 부적절하거나 적시에 제공되지 않으면 오히려 수행이 저하되기도 한다. 예컨대, 경기에서 지도자의 우유부단한 결단력이나 위기대처능력 부족, 비현실적인 기대와 과코칭은 선수의 최상수행을 방해한다(Gould et al., 2002). 또한 지도자의 부정적인 벤치코칭은 선수의 스트레스를 가중시키며(Kang, 2009; Kim et al., 2011), 불안이나 분노 등 부정 정서를 유발한다(Jeon & Yun, 2014). 따라서 경기상황에서 지도자는 선수의 수행을 극대화하고 승리의 가능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정보 제공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그동안 지도자의 코칭 효율성 증진을 목표로 스포츠심리학분야에서는 스포츠 지도자의 리더십(Chelladurai, 1990; Kim, 2012; Park, 2001), 코칭행동(Baker et al., 2003; Kang, 2009; Sung, 2000; Sung et al., 2004), 선수-지도자 관계(Choi, 2011; Jowett & Cockerill, 2003; Poczwardowski et al., 2006) 등에 관한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이들 연구는 성공적인 지도자의 특성과 행동을 규명하며 바람직한 지도자 상(想)을 정립하는데 기여하였다. 뿐만 아니라 지도자 코칭행동이 선수의 최상수행(Gould et al., 2002)과 경기력 향상(Sin et al., 2013; Wolfenden & Holt, 2005), 나아가 선수 성장에 절대적 요소(Fraser-Thomas & Côté, 2009; Renzulli, 2003; Yun & Jeon, 2013)임을 밝히며 선수에 대한 지도자의 영향력을 명료화하였다.
특히, 경기상황에서 지도자의 코칭행동을 분석한 현장 기반의 연구는 실제 코칭장면에서 나타나는 지도자의 코칭행동 이해와 개선안을 강구하는데 기여하였다. 예를 들어, 코칭행동 평가체계(CBAS)를 활용한 연구(Gu, 2001; Sung, 2000)는 지도자의 코칭행동을 직접 관찰, 분석함으로써 바람직한 코칭행동으로의 개선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또한 지도자의 피드백을 담화분석한 연구(Lee & Yun, 2014)는 지도자의 언어적 특징을 파악해 효과적인 피드백 제공을 위한 자기성찰의 자료로 활용 가능토록 하였다. 이처럼 실제 훈련이나 경기장면에서 지도자의 코칭행동과 피드백을 분석하는 연구는 지도자의 코칭행동에 대한 이해는 물론 지도자의 코칭행동 개선에 필요한 실제적 지침을 제공한다.
하지만 지도자의 코칭행동에 관한 대부분의 연구는 칭찬이나 질책, 비난 등 지도자의 코칭행동이나 코칭방식을 탐색(Kang, 2002; Park, 2001)하는데 치중해 선수-지도자의 소통 과정에서 전달되는 정보의 내용을 이해하고 설명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또한 실제 경기상황보다는 평균적인 코칭행동 유형과 특성을 파악하며 경기 맥락의 가변성이나 역동성을 반영하지 못한 제한점이 있다. 이러한 제한된 연구 접근은 경기상황에서 선수-지도자 소통 내용에 관한 자료수집이 어려운 현실적 문제와 무관하지 않으며, 선수-지도자 소통의 개별성, 언어로 표현되지 않는 암묵지의 전달, 현장의 언어나 경험 해석의 한계 등이 원인으로 작용했을 수 있다.
효과적인 코칭 방안 모색의 실증적 자료를 수집하기 위해서는 실제 경기장면을 반영하면서 선수-지도자 소통 과정에서 전달되는 정보의 내용을 탐색할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경기에서 지도자가 제공하는 코칭 정보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가 진행된다면 다양한 정보에 함축된 코칭의 의도나 의미를 이해할 수 있는 근거를 확보하고, 선수-지도자 소통의 효율 증진은 물론 현장 지도자의 코칭행동 개선에 필요한 실제적 지침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선수-지도자의 소통 과정에서 지도자가 제공하는 정보는 선수의 주관적 해석에 따라 그 의미가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지도자가 아무리 좋은 의도를 가지고 유용한 피드백을 제공하더라도 선수가 이를 원하지 않거나 수용하지 않으면 정보로서의 가치가 없게 된다(Kim, 2010; Lee & Yun, 2014). 특히, 심리적으로 민감할 뿐만 아니라 가변적이고 예측 불가능한 경기 맥락의 특성을 감안하면 동일한 정보라도 직면한 상황에 따라 달리 해석될 개연성이 있다. 따라서 경기 중에 일어나는 선수-지도자의 소통이나 전달되는 정보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경기의 주체이자 정보의 수요자인 선수의 시각을 통해 탐색될 필요가 있다.
한편, 배드민턴 경기에서 선수가 최상의 수행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경기력 구성요소에 대한 선수 개인의 조절은 물론 지도자의 적절한 개입이 필요하다(Jeon & Yun, 2014). 배드민턴 경기에서는 각 게임의 중간점수(11점)와 게임 종료 후 인터벌 시간에 선수-지도자간 공식적인 의사소통이 허용된다. 따라서 배드민턴 경기상황에서 지도자는 제한된 시간과 공간에서 선수의 최상수행에 필요한 코칭 정보를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배드민턴 경기에서 지도자의 코칭행동이나 효과적인 정보 제공 방안에 관한 관심과 논의는 부족한 실정이다. 배드민턴 종목을 중심으로 한 현장 기반의 연구는 주로 기술 및 전술 분석(Gu et al., 2011; Sung & Kim, 2001)에 초점을 두고 있다. 또한 지도자의 코칭행동이 선수의 심리 및 수행에 미치는 영향(Jeon, 2014; Kim et al., 2011)을 규명하는데 국한되어 선수-지도자 소통 과정을 파악할 수 있는 연구는 제한적이다. 따라서 배드민턴 경기에서 선수의 최상수행을 이끌어내기 위해서는 선수-지도자 소통 과정에서 전달되는 코칭 정보의 내용을 파악하는 연구와 함께 효과적인 정보 제공 방안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배드민턴 경기 중 인터벌 시간을 활용하여 지도자가 선수에게 제공하는 코칭 정보를 탐색하였다. 이러한 연구는 배드민턴 경기상황에서 이루어지는 선수-지도자 의사소통의 내용을 이해하고, 배드민턴 선수의 경기력에 영향을 미치는 외적 조절 내용을 구체화함으로써 효과적인 코칭 방안을 모색하는데 유용한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더불어 이 연구가 경기를 대상으로 하는 코칭 과정 연구에서 생태적 타당성 반영의 필요성에 대한 관심의 계기가 되기를 기대해본다.
본 연구에는 2014년 대한배드민턴협회에 등록된 고등학생 배드민턴 선수 88명이 참여하였다. 참여자 선정 과정에서 배드민턴 현장 지도자 2인의 경험 정보를 수렴하였다. 고등학생 선수가 성인 선수에 비해 지도자의 개입과 조절이 중요하고 최상수행을 위해 다양한 코칭 정보가 제공될 가능성이 있다는 현장 지도자의 의견을 수렴해 고등학생 선수를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연구자의 자료수집 용이성이나 참여자와의 친밀성 또한 참여자 선정에 영향을 미쳤다. 연구참여자는 남자 36명(41%), 여자 52명(59%)이며, 평균연령은 18.05(±.85)세, 평균운동경력은 7.38년(±1.36)이다.
본 연구는 개방형설문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개방형설문은 포괄적이고 다양한 자료의 수집이 용이한 방법으로써 많은 참여자를 대상으로 심도있는 자료를 추출하는데 효과적이다(Park, 2004). 또한 개방형설문은 참여자로 하여금 자신의 경험이나 견해, 생각, 감정 등을 자유롭게 표현하도록 이끌기 때문에 배드민턴 지도자가 제공하는 코칭 정보에 대한 포괄적인 자료수집과 그에 대한 선수의 경험을 탐색하는 본 연구에 적합하다.
개방형설문 제작을 위해 먼저 연구주제에 관한 선행연구를 고찰하고, 설문지의 예비문항을 구성, 고등학교 배드민턴 선수 3명을 대상으로 문항의 이해도를 확인하였다. 질문문항은 “오늘 시합상황을 떠올려보세요. 시합 중 인터벌 시간에 선생님이 어떠한 이야기를 해주셨나요?”로 구성하고, 반응 양식을 11점 인터벌 시간과 게임(세트) 종료 후 인터벌 시간으로 구분해 제시하였다. 예비조사에서 문항 이해에 어려움이 발견되지 않아 본 설문에서 예비문항을 그대로 활용하였다. 더불어 설문지에는 연구의 목적과 설문자료를 연구 목적으로만 사용하겠다는 약속, 비밀보장 등에 관한 설명문을 포함하였으며, 성별, 연령, 운동경력 등 개인정보 작성란을 함께 구성하였다.
본 연구는 설문지 제작, 설문 진행, 자료분석 순으로 진행하였다. 먼저 설문지 제작을 위해 선행연구 고찰 및 예비조사를 진행하였다. 예비조사를 위한 문항 개발 과정에서 지도경력 5년 이상인 배드민턴 현장 지도자로부터 조언을 구하였다. 지도자는 배드민턴 경기에서 지도자의 벤치코칭이 경기 내 지속되지만, 각 게임 중간점수(11점)와 게임 종료 후 코트를 교체하는 인터벌 시간에 밀도있게 진행되고, 각 시점에서 경기가 어떻게 전개되는가에 따라 제공되는 코칭 정보가 다를 수 있다는 것, 따라서 11점 인터벌 상황과 게임 종료 후 인터벌 상황을 구분하면 풍부한 자료수집이 가능할 것이라는 의견을 제공하였다. 이를 수렴하여 두 상황을 구분해 반응양식을 구성하였다.
개방형설문은 실제 경기 맥락과 현실성을 반영하기 위해 대회기간 동안 진행하였다. 대회 전, 설문을 요청할 팀의 지도자에게 연락하여 연구의 목적을 설명하고 대회기간 팀의 선수를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할 것에 대한 동의를 구하였다. 설문에 동의한 팀을 대상으로 대회기간 경기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시간을 조율한 뒤 경기장과 연습장, 숙소를 방문하여 설문을 진행하였다. 일부 팀은 대회 종료 후 익일 팀의 훈련장을 방문하여 진행하였다. 설문 시 선수들에게 연구의 목적을 설명하고, 경기 중 지도자가 제공한 코칭 정보를 구체적으로 기술해줄 것을 요청하였다. 설문은 약 10분 정도 소요되었으며 설문 후 자료를 즉시 수거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일련의 내용분석 과정을 거쳐 귀납적으로 범주화하였다. 11점 인터벌 상황과 게임 종료 후 인터벌 상황의 자료를 모두 통합해 분석하였다. 귀납적 범주화 결과에 대한 내용 검증 과정에서 모호한 내용은 연구자와 스포츠심리학 박사, 박사과정생 총 6인의 협의를 통해 2/3 동의하에 분류하였다. 그리고 배드민턴 현장 지도자에게 최종 범주화 결과에 대한 재검토를 요청함으로써 내용 타당도를 확보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내용분석을 통해 자료를 분석하였다. 먼저 설문 자료를 숙독하여 응답 내용의 함의를 파악한 뒤 공통된 내용은 원자료로 통합하고, 유사한 내용끼리 묶어 세부영역으로 범주화하였다. 각 세부영역은 그 의미를 파악해 일반영역으로 범주화하였다. 원자료, 세부영역, 일반영역의 응답빈도와 비율을 산출하였다. 자료분석 결과에 대해서는 질적 연구 경험이 풍부한 스포츠심리학 교수와 배드민턴 현장 경험이 풍부한 지도자 2인에게 내용 검증을 하였다. 이를 통해 각 영역 전문가의 의견을 수렴함과 동시에 연구자 해석의 편향 오류를 최소화하였다.
한편, 연구자는 배드민턴 선수 경력과 다수의 질적연구 경험이 있다. 특히, 연구자의 배드민턴 선수 경험은 자료분석 과정에서 참여자의 응답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었다. 수집된 자료에는 배드민턴 용어나 전술에 관한 내용, 지도자가 제공하는 코칭 정보에 대한 선수의 내적 경험 등이 포함되어 있는데, 이는 배드민턴 현장 경험과 지식이 연구 과정에서 요구되는 연구자의 준비요소임을 시사한다.
배드민턴 경기에서 지도자가 선수에게 제공하는 코칭 정보를 탐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개방형설문을 통해 배드민턴 경기에서 지도자가 제공하는 코칭 정보를 탐색한 결과, 총 484개의 원자료가 수집되었으며, 이중 ‘이것저것 지적해주신다, 어떻게 하라고 지시해주신다’ 등과 같이 응답내용이 모호한 4개 자료는 분석에서 제외하였다. 총 480개의 원자료를 토대로 내용분석을 시행한 결과 <Table 1>과 같이 집중력, 스트로크, 상대 대처, 경기 주도 등 16개 세부영역과 심리 정보, 기술 정보, 전술 정보, 경기운영 정보 등 4개 일반영역이 탐색되었다. 각 영역에 대한 구체적인 결과는 다음과 같다.
Raw data(n) | Specific-domain(n, %) | General-domain(n, %) |
---|---|---|
Be more focused(31), Be focused from the beginning(15), Focus on the ball(10), Be careful to each one points(1) | Concentration (57, 27.3%) |
Psychological information (209, 43.5%) |
Be able to play more confidently(27), Encouraging me that I am doing well(19), Try whatever you want in your play(6), Play with confidence(4) | Confidence (56, 26.8%) |
|
Do not rush, be slow(19), Do not be nervous, to as you like(18), It's okay, keep composure and carefully(15), Do not impossible you should not play(1) | Relaxation/ stabilization (53, 25.3%) |
|
Do not give up, run to the end(20), This will continue to mess with(5), Try it again, that is thinking about 0:0(3), Do not be slow down tensions continue(2), Bring a strong spirit(2), You overcome these things grow(1), What are you doing now?(1) | Mental toughness (34, 16.3%) |
|
Think about the play of opponent(2), Think about how so far that you won(1), Think about your weakness continues(1), Be thinking while playing(1) | Play thought (5, 2.4%) |
|
Be entertainingly(2), Be sincere with the game(1), You should try a little harder(1) | Passion (4, 1.9%) |
|
Reduce the mistake(26), Do not make a mistake(19), Hit the ball fast(6), Be safe stroke(5), Be under-clear high(3), Under-clear is short, hit a longer(2), Make sure a decisive blow(1), Be exactly to ball control(1), Be careful service(1), Do not short the smash, hit longer(1), Many mistakes, hit safely(1), When attacking from behind, hit the empty space(1), Under-clear hit in both the low and fast(1), If it caught on quickly out of the empty space(1) | Strokes (69, 52.7%) |
Technical information (131, 27.3%) |
Move your feet faster(18), Step try a little softer(2), The step of match the timing(1), Follow the ball all the way(1), Move back quickly(1), Do not move freely, after moving to the hit opponent(1) | Foot-work (24, 18.3%) |
|
Catch on the ball in front(7), Make a quick swing(5), To relax the body(3), Be short the swing and use the wrist(3), Increase the hitting point(2), Do not use your body(1), When defense, put the force on the your finger(1) | Swing & posture (23, 17.5%) |
|
Pull up a racket(5), Put the prepared fast service(3), Lower posture, when you defense(2), Faster next prepare(2), Have a positioning faster(1), The front court to quickly prepare(1), If the ball is short, prepare only one side(1) | Position preparation (15, 11.4%) |
|
Opponent knows your stroke, change to a different stroke(22), The coach informs the strong points and coping strategies of the opponent(20), The coach informs the weak points and playing patterns of the opponent(8), Opponent is good at a drop shot, so be prepared ahead(2), The opponent is good at a back play, so do a lot of net plays(1), Opponent is good at attacks better than defensive, so do not hit high(1), Opponent is good at feint skills in the front, so do not move first(1), Smash comes in straight and half smash comes in diagonal(1), The opponents will be move aggressive, so be prepared(1), The opponents unlikely makes mistake and runs well, so run to the end without mistakes(1) | Coping to opponents (58, 50.4) |
Tactical information (115, 23.9%) |
Running a lot but mainly play strokes(9), When defense, do not just high and hitting cut or drive(5), Do not continue on under-clear, try also hairpin(4), Do not step back after hitting a drive(3), Catch the shuttle quickly to make a chance(3), Focus on attacks(3), When you loose your confidence, hit a long(1), Shift quickly from defense to attack(1), When attacking, you should make changes of straight and diagonal shots(1), Make smash cuts and maintain focus on forward(1), Make the best use of driven-clear and half smash(1), Not only make short shor but also make it long(1), The coach informs me about shuttle state and direction of the wind(1) | Play changes (34, 29.6%) |
|
Have lots of conversations with your partners(4), When behind the smash, quickly catch the ball in front(4), You both play confidently in double game in front of court(2), Move for your partner(2) | Rotation (12, 10.4%) |
|
Make move the opponent front, back, and both side(5), Do not hit the shuttle at where your opponent expect it to go, but hit it at an empty space(4), You have a good fitness, let your opponents get exhausted(1), Let your opponents make mistakes first(1) | Manipulation of opponents (11, 9.6%) |
|
Manage your score(6), Start over(4), Do not be careless and push from the begging(3), Let’s finish with the second set(2), Try as the first set(1) | Taking the lead in a game (16, 64%) |
Game operation information (25, 5.2%) |
Go for it!(4), Let’s win this set(3), Change the shuttle and moods(2) | Changing atmospheres (9, 36%) |
배드민턴 경기에서 지도자가 제공하는 코칭 정보 중 심리 정보는 209개(43.5%)의 원자료를 토대로 전체 자료 중 가장 많은 자료가 탐색되었으며, 집중력, 자신감, 이완/안정, 정신력, 플레이 생각, 열정 등 6개 세부영역으로 범주화되었다. 심리 정보에서는 더 집중해라(31), 더 자신감 있게 플레이해(27), 포기하지 말고 끝까지 따라 뛰어(20) 등의 원자료가 가장 높은 빈도를 나타냈으며, 잘하고 있다고 격려해주신다(19), 급하게 하지 말고 천천히 해(19), 긴장하지 말고 편하게 하던 대로 해(18) 등의 자료가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집중력에 관한 자료가 57개(27.3%)로 가장 높은 빈도로 탐색되었다. 집중력은 경기자체에 대한 집중과 상대 타구 시 적절한 시각적 단서를 찾아 주의를 집중시키는 것을 강조하는 내용으로써 배드민턴 경기에서 지도자는 ‘더 집중해라(31)’, ‘초반부터 집중해라(15)’, ‘공에 집중해(10)’라는 정보를 제공해 경기 내 선수가 집중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단서를 찾아 집중을 지속할 수 있도록 개입한다.
자신감은 56개(26.8%)의 빈도를 나타내며 집중력과 유사한 정도로 탐색되었다. 지도자가 제공하는 자신감에 관한 정보는 선수로 하여금 실수를 두려워하지 않고 자신의 판단을 믿고 실천하는 과감한 플레이를 요구하는 내용으로 지도자는 ‘하고 싶은 것 다하고 나와(6)’, ‘기죽지 말고 자신있게 해(4)’, ‘잘하고 있어(19)’라는 칭찬과 믿음을 표현함으로써 선수의 자신감을 증가시킨다.
이완/안정에 관한 자료는 53개(25.3%)의 빈도로 탐색되었다. 이완/안정에 관한 지도자의 정보는 긴장하거나 조급해하는 선수가 안정될 수 있도록 조절하는 내용이며, 지도자는 ‘급하게 하지 말고 천천히 해(19)’, ‘긴장하지 말고 편하게 하던 대로 해(18)’라고 격려함으로써 선수가 경기력에 영향을 미치는 부정정서를 조절해 편안하고 이완된 상태로 회복할 수 있도록 돕는다.
정신력은 34개(16.3%)의 원자료가 수집되었다. 정신력에 관한 지도자의 정보는 선수가 어려운 상황을 극복해내기를 기대하는 동시에 제 기량을 발휘하지 못하는 선수에게 경각심을 심어주기 위한 질책의 내용이다. 지도자는 ‘포기하지 말고 끝까지 따라 뛰어(20)’, ‘이런 식으로 뛰면 혼난다(5)’라는 의사표현을 통해 선수의 끈기와 승부욕을 이끌어낸다.
플레이 생각은 5개(2.4%)로 비교적 적은 자료가 탐색되었다. 플레이 생각에 관한 지도자의 정보는 선수 스스로가 자기 및 상대의 플레이를 회상해 플레이 패턴이나 장ㆍ단점을 발견하기를 기대하는 내용이다. 이처럼 지도자는 무조건적으로 정보를 제공하기 보다는 ‘상대가 어떻게 하는지 생각해(2)’, ‘지금까지 네가 어떻게 해서 이겼는지 생각해’ 라고 이야기하며 생각하는 플레이를 가능하게 한다.
열정은 심리 정보에서 4개(1.9%)로 가장 적은 빈도를 나타냈다. 열정은 선수를 동기화시키려는 의도로써 많은 자료가 탐색되지는 않았지만 지도자가 제공하는 ‘즐겁게 해’, ‘경기를 진심으로 해’, ‘조금 더 열심히 해봐’ 등의 정보에는 조금 더 의욕적인 선수의 모습을 바라는 마음과 포기하지 않고 끝까지 적극적으로 경기에 임하기를 기대하는 마음이 내포되어 있다.
즉, 배드민턴 경기상황에서 지도자는 선수의 최상수행에 도움이 되는 자신감, 집중력, 정신력, 이완 등의 심리기술을 강조한다. 이러한 결과는 배드민턴 경기에서 선수의 심리기술 발현과 조절에 지도자의 적절한 개입이 필요함을 보여준다.
기술 정보는 131개(27.3%)의 원자료를 토대로 심리 영역 다음으로 많은 자료가 탐색되었고, 스트로크, 풋워크, 스윙과 자세, 포지션 준비 등 4개 세부영역으로 범주화되었다. 기술 정보에서는 실수를 줄여라(26), 실수 하지마라(19), 발을 빨리 빨리 움직여(18) 등의 원자료가 가장 높은 빈도를 나타냈으며, 앞에 볼 조금만 위에서 잡아(7), 공을 빠르게 쳐라(6), 라켓을 들고 있어(5) 등의 자료가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스트로크에 관한 자료가 69개(52.7%)로 가장 높은 빈도를 나타냈다. 스트로크에 관한 지도자의 정보는 실수 예방과 주도적이고 안정적인 플레이를 위한 컨트롤에 관한 내용이다. 지도자는 ‘서브 넣을 때 신중히 넣어’, ‘짧게 치려고 하면 미스가 많으니까 길게 보고 쳐’라고 이야기하며 실수를 감소시키려 한다. 또한 ‘공을 빠르게 쳐(6)’, ‘안전하게 스트로크 해(5)’, ‘볼 뒤로 올릴 때 낮고 빠르게 양쪽으로 돌려’ 등의 정보로써 경기를 주도할 수 있도록 스트로크의 변화를 강조한다.
풋워크는 24개(18.3%)의 빈도를 나타내며 스트로크 다음으로 많은 자료가 탐색되었다. 풋워크에 관한 지도자의 정보는 움직임의 스피드를 증가시키고, 상대 타구에 스텝의 타이밍을 맞추는 등 풋워크의 효율성을 요구하는 내용이다. 배드민턴 지도자는 ‘발을 빨리 움직여(18)’, ‘박자감 맞춰’, ‘마음대로 움직이지 말고 상대가 치는 것 보고 움직여’라고 이야기하며 스트로크에 용이한 풋워크를 만들도록 지시한다.
스윙과 자세는 23개(17.5%)로 풋워크와 유사한 정도의 자료가 탐색되었다. 스윙과 자세에 관한 지도자의 정보는 타점을 높여 공격적인 자세를 취하고 스윙을 짧게 하여 다음 동작이 빨라지기를 기대하는 내용이다. 이처럼 지도자는 ‘앞에 볼 조금만 위에서 잡아(7)’, ‘타점을 높게 잡고 쳐(2)’ 등과 같이 공격적인 자세를 유도하는 동시에 ‘스윙 빨리해(6)’, ‘손목으로 짧게 스윙해서 쳐(3)’, ‘몸에 힘을 빼(3)’라는 정보를 제공해 부드럽고 자연스러운 동작을 이끌어낸다.
포지션 준비는 15개(11.4%)의 자료가 탐색되었다. 포지션 준비에 관한 지도자의 정보는 상대 타구 전 미리 준비해 반응시간을 최소화하고 다음 볼을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포지션 자세와 위치 선정을 강조하는 내용이다. 즉, 지도자는 ‘라켓 들고 있어(5)’, ‘수비할 때 자세를 낮춰(2)’, ‘볼이 짧으면 한쪽으로만 준비해’라고 요구함으로써 선수로 하여금 수비력을 강화하고 공격으로 전환할 수 있는 포지션 위치와 자세를 찾아가도록 주문한다.
즉, 배드민턴 경기에서 지도자는 클리어, 스매시 등 배드민턴 기술 자체에 대한 정보보다는 주로 컨트롤이나 타구 위치 등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며 정확한 동작과 안정된 기술 구사를 강조한다. 이는 스트로크와 풋워크, 스윙 및 자세, 포지션 준비 등이 선수의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기술 요인임을 보여준다.
전술 정보는 115개(23.9%)의 원자료를 토대로 기술 영역과 유사한 정도의 자료가 탐색되었으며, 상대 대처, 플레이 변화, 로테이션, 상대 조정 등 4개 세부영역으로 범주화되었다. 전술 정보에서는 상대가 네 스트로크를 파악하고 있으니 다른 스트로크로 바꿔(22), 상대 장점이 무엇이고 어떻게 공략하라고 말해주신다(20) 등의 원자료가 가장 높은 빈도를 나타냈다. 이외 많이 뛰면서 스트로크 위주로 플레이해(9), 상대 플레이나 문제점을 말씀해주신다(8), 수비할 때 올리지만 말고 놓거나 드라이브 치고 들어가(5) 등의 자료가 중복 제시되었다.
구체적으로 상대 대처는 58개(50.4%)로 전술 정보 중에서 가장 높은 빈도를 나타냈다. 상대 대처에 관한 지도자의 정보는 상대 플레이의 장ㆍ단점이나 습관적 플레이에 대한 대응 방안을 제공하는 내용으로써 경기상황에서 지도자는 ‘상대가 뒤 플레이가 좋으니까 네트 플레이를 많이 해’, ‘상대가 수비보다 공격이 좋으니까 올리지 말고 놓고 해’ 등 상대 플레이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전술적 정보를 제공한다.
플레이 변화는 34개(29.6%)의 자료가 탐색되었다. 플레이 변화에 관한 지도자의 정보는 현 상황을 극복하거나 변화시켜 득점의 가능성을 높이려는 내용이다. 이처럼 지도자는 ‘수비할 때 올리지만 말고 놓거나 드라이브 치고 들어가(5)’, ‘위에서 잡은 공 계속 올리지 말고 앞에 놔(4)’, ‘공격 플레이 위주로 해라(3)’ 등의 이야기를 하며 상대를 리드하고 공격의 기회를 얻을 수 있는 플레이로 변화시키려 한다.
로테이션은 12개(10.4%)의 빈도를 나타내며 비교적 적은 자료가 탐색되었다. 로테이션에 관한 지도자의 정보는 복식 경기에서 파트너간의 상호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중재해주는 내용이다. 배드민턴 지도자는 ‘파트너와 많이 대화하면서 해(4)’, ‘뒤에서 스매시 때리면 앞사람 공 빠지는 것 잡아(4)’, ‘앞뒤 사람 같이 움직여줘(2)’ 등과 같이 활발한 로테이션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파트너의 빈 공간을 메꾸어 상대에게 약점이 노출되지 않도록 지시한다.
상대 조정은 11개(9.6%)로 로테이션과 유사한 정도의 자료가 탐색되었다. 상대 조정에 관한 지도자의 정보는 선수가 상대 플레이에 대한 수동적 대처가 아니라 능동적 리드를 요구하는 내용으로써 지도자는 ‘상대를 앞뒤, 양옆으로 돌려(5)’, ‘상대가 준비하는 곳에 치지 말고 빈곳으로 쳐(4)’, ‘네가 체력이 좋으니 상대를 지치게 해’라고 이야기하며 선수로 하여금 승리를 위해서 상대를 리드해야함을 환기시킨다.
즉, 배드민턴 경기에서 지도자는 상대 강점이나 습관적 플레이에 대응할 수 있는 전술 또는 기존 플레이와 다른 방식의 플레이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경기를 유리하게 만들도록 한다. 긴박한 경기상황에서 지도자가 제공하는 효과적인 전술 정보는 선수의 수행은 물론 경기의 승패를 좌우한다.
경기운영 정보는 25개(5.2%) 원자료를 토대로 전체 자료 중 가장 적은 자료가 탐색되었으며, 경기주도와 분위기 전환 등 2개 세부영역으로 범주화되었다. 경기운영 정보에서는 점수관리 잘해(6), 처음부터 해(4), 파이팅하면서 해(4) 등의 원자료가 가장 높은 빈도를 나타냈다. 이러한 정보에는 선수가 경기의 흐름을 주도하여 반전되지 않도록 관리함은 물론 파이팅을 통해 상대를 제압하거나 선수 스스로 동기화하도록 하는 지도자의 의도가 담겨있다.
경기 주도는 16개(64%)의 빈도로 비교적 많은 자료가 탐색되었다. 경기 주도에 관한 지도자의 정보는 플레이 자체를 주도하는데 국한되지 않고 경기 초반부터 경기의 흐름을 주도함은 물론 흐름이 반전되지 않도록 관리해야 함을 주지시키는 내용이다. 지도자는 ‘점수 관리 잘해(6)’, ‘방심하지 말고 처음부터 몰아붙여(3)’, ‘2세트로 끝내자(2)’ 등의 정보를 통해 경기를 주도하고 스코어 차이를 만들어 비교적 쉽게 경기를 풀어나갈 것을 강조한다.
분위기 전환은 9개(36%)의 자료가 탐색되었다. 분위기 전환에 관한 지도자의 정보는 직면한 상황을 극복할 수 있도록 선수 스스로 긍정적인 심리상태를 이끌어내는 동시에 환경의 변화를 시도하라고 주문하는 내용이다. ‘파이팅하면서 해(4)’라는 지도자의 벤치코칭에는 의욕적이고 밝은 분위기로 전환하기를 기대하는 마음이 내포되어 있다. 또한 ‘이번 세트는 잡자(3)’, ‘셔틀콕 바꾸고 분위기 바꿔가면서 해(2)’라는 이야기는 어려운 상황이지만 분위기 변화를 시도함으로써 상황을 극복할 수 있다는 희망적 의미를 담고 있다.
즉, 배드민턴 경기 중 지도자는 직면한 상황에서 경기 흐름에 대한 인식을 토대로 승리의 가능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분위기로 조절할 것을 요구한다. 이러한 경기운영 정보는 일반적으로 제시되는 경기력 요소는 아니지만 상대성 종목인 배드민턴 경기에서 경기 주도와 분위기 전환이 선수의 수행과 경기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경기력 요소임을 보여준다.
이상 결과를 요약하면 배드민턴 경기상황에서 지도자는 선수의 최상수행을 기대하며 기술적 오류에 대한 수정과 함께 바람직한 동작에 관한 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주의집중과 자신감, 정신력 등 심리기술을 강조해 안정적인 심리상태를 유도하고, 상대 대응과 상황에 적합한 플레이로의 변화, 경기흐름을 주도하는 경기운영을 요구함으로써 승리의 가능성을 높이려고 한다. 이처럼 배드민턴 경기에서 지도자는 다양한 코칭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선수의 최상수행을 지원한다.
본 연구에서는 배드민턴 경기에서 인터벌 시간을 활용해 지도자가 제공하는 코칭정보를 탐색하였다. 그 결과 배드민턴 경기상황에서 지도자는 선수의 최상수행을 위해 심리 정보, 기술 정보, 전술 정보, 경기운영 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탐색된 심리, 기술, 전술, 경기운영에 관한 코칭 정보를 토대로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배드민턴 경기에서 지도자는 선수의 심리적 안정을 도모하기 위해 집중력, 자신감, 이완/안정, 정신력, 플레이 생각, 열정 등 심리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지도자는 선수로 하여금 집중력의 유지와 자신있는 플레이를 강조하였는데, 배드민턴 경기에서 적절한 단서를 찾아 주의를 집중하는 능력은 상대의 타구방향을 예측하게 해 수행의 효율성을 증가시키며(Gu et al., 2009), 지도자의 칭찬과 격려, 믿음의 표현은 선수의 불안을 감소, 자신감을 증가시켜 성공적인 수행을 부추긴다(Jeon & Yun, 2014).
더불어 배드민턴 경기 중 지도자는 이완되고 안정된 심리상태를 유지하도록 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높은 수준의 불안이나 압박감이 주의통제력을 저하시켜 수행 실패로 연결(Wood, 2010)됨을 감안하면 지도자는 실수 예방을 위해 선수의 이완/안정화를 도모하려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어렵고 힘든 상황을 극복할 수 있도록 강한 정신력을 요구하기도 하였는데, 지도자의 격려뿐만 아니라 질책과 압박이 선수의 정신력을 발화(Nam & Yun, 2013)시키고, 때로는 질책이 긍정적으로 기능(Lee & Yun, 2014)한다는 점을 고려하면 경기에서 지도자는 선수의 정신력을 유발시키기 위해 질책과 비난을 자극제로 활용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배드민턴 지도자는 경기 중 선수가 자기주도적이며 열정적으로 경기에 참여하도록 지원하기도 한다. 이러한 정보는 직면한 상황에 대한 대처 방안을 스스로 모색하는 기회로 작용하는데, 생각하는 플레이(Yun, 2004), 분석지능(Yun, 2011), 상대분석(Joo, 2010) 등은 성공적 수행에 필요한 경기력 요소이자 스포츠영재의 내적 속성이다. 따라서 이러한 코칭 정보는 선수의 자기주도성 발달에 기여할 것이다. 또한 열정적인 태도는 향후 선수-지도자간의 관계를 촉진하고(Choi & Cho, 2014), 동기적 행동을 통해 성취와 만족감을 증진시킬 수 있다(Burns et al., 2012).
배드민턴 경기에서 지도자가 제공하는 집중력, 자신감, 이완/안정, 정신력, 플레이 생각, 열정 등의 심리 정보는 배드민턴 선수의 경기력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심리 요인임은 물론 실제 경기 맥락에서 내외적 조절과 관리가 필요함을 방증한다. 특히, 집중력과 자신감, 이완 및 안정은 배드민턴 지도자가 선수에게 공통적으로 강조하는 코칭 정보로써 경기상황에서 지도자의 적절한 조절과 관리가 필요하다.
둘째, 배드민턴 경기에서 지도자는 선수의 정확하고 안정된 기술 수행을 지원하기 위해 스트로크, 풋워크, 스윙과 자세, 포지션 준비 등 기술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배드민턴 지도자는 경기가 진행되는 동안 기술 동작의 수정을 요구하는 벤치코칭(Jeon & Yun, 2014)을 통해 선수가 정확한 기술을 구사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하지만 정확한 동작이 성공적 수행에 필수조건이나 경기상황에서 동작의 오류 수정은 오히려 수행의 자동화를 방해(Kim, 2010)할 수 있기 때문에 경기 중 동작 교정에 관한 정보는 적정 수준에서 제공될 필요가 있다.
배드민턴 경기에서 지도자는 효율적인 풋워크를 강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넓은 코트를 빠르게 반복 움직여야 하는 배드민턴 종목의 특성상 효율적인 풋워크는 성공적 수행에 필수적일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경기 중 배드민턴 선수의 생각을 조사한 연구(Lee & Gu, 2003)에 따르면 선수는 주로 스트로크 조절과 타구코스 예측, 전술적 전략 등을 생각한다. 이는 경기상황에서 지도자의 요구와 선수의 반응에 다소 차이가 있을 가능성을 제시한다.
더불어 지도자는 주도적인 경기운영과 다음 동작의 효율성을 위해 포지션 준비의 중요성을 주입시킨다. 상대의 다음 스트로크를 예측하여 미리 효과적인 준비태세를 갖추는 것은 상대 스트로크에 반복 대응하는 배드민턴 종목 특성이 반영된 코칭 정보임을 알 수 있다. 이들 결과는 배드민턴 경기에서 효율적인 포지션 준비와 풋워크, 안정적이고 공격적인 스윙 및 스트로크가 완벽하게 조화될 때 선수의 최상수행 가능성이 높아짐을 의미한다. 따라서 배드민턴 경기상황에서 지도자는 선수가 정확하고 안정된 기술을 구사할 수 있도록 동작의 오류를 발견하고 수정 방안을 제시해야 한다.
셋째, 배드민턴 경기에서 지도자는 상대를 제압하고 주도적으로 경기를 운영할 수 있도록 선수에게 상대 대처, 플레이 변화, 로테이션, 상대 조정 등 전술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지도자는 상대의 습관적 플레이나 장단점, 그에 대한 대처 방안을 제공하였는데, 상대 대처에 관한 지도자의 피드백은 그 유용성과 적절성에 따라 선수의 수행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Jeon & Yun, 2014) 지도자의 전술 정보가 항상 효과적이라고 해석할 수는 없지만 적시에 제공되는 효과적인 전술 정보는 성공적 수행의 가능성을 증가시킨다.
또한 배드민턴 지도자가 제공하는 플레이 변화에 관한 정보는 주로 코트의 전위를 점령하는 네트 플레이나 수비에서 공격으로 전환하는 플레이를 강조하는 내용이다. 배드민턴 선수의 전술적 패턴을 분석한 연구(Sung & Kim, 2001)에서는 네트 플레이를 통해 공격의 주도권을 획득하는 전술적 패턴을 우수한 배드민턴 선수의 특징으로 보고하고 있다. 더불어 복식경기에서 지도자는 원활한 로테이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배드민턴 복식경기에서 파트너간의 호흡과 의사소통(Jeon & Yun, 2014)이 유의미한 경기력 요소로 제시되고 있다.
배드민턴 경기에서 지도자가 선수에게 강조하는 상대 대처, 플레이 변화, 로테이션, 상대 조정 등의 정보는 배드민턴 경기력을 결정하는 전술 요인임을 의미한다. 따라서 배드민턴 경기에서 선수와 지도자는 상대 플레이의 패턴을 빠르게 파악해 대응할 수 있는 전술, 위기상황에서 변화를 시도해 상황을 전환시킬 수 있는 전술, 복식 파트너와 공격적인 플레이를 지속할 수 있는 로테이션 전술, 자신이 원하는 플레이로 상대를 리드하는 전술을 모색해야 한다. 그리고 선수와 지도자의 전술적 상호작용이 부합(Choi, 2011)될 때 최상수행이 가능해진다.
마지막으로 배드민턴 경기에서 지도자는 경기 주도와 분위기 전환 등 경기운영 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 운영 정보는 일반적으로 제시되는 경기력 요소는 아니지만 배드민턴 지도자는 승리의 가능성을 높일 수 있는 주도적인 경기 흐름과 분위기를 강조하였다. 이러한 현상을 스포츠심리학 영역에서는 심리적 모멘텀(Taylor & Demick, 1994)으로 설명하고 있는데, 일반적으로 스포츠 현장에서 선수와 지도자는 승리를 위해 다양한 심리적 모멘텀 전략을 사용한다(Jones & Harwood, 2008).
심리적 모멘텀은 상대에 비해 우위에 있다는 느낌으로 더해지거나 획득된 심리적 힘으로써 스포츠 현장에서는 심리적 모멘텀을 경기의 승패 결정 요인으로 인식하고 있다(Stanimirovic & Hanrahan, 2004). 연속 득점(Gernigon et al., 2010)이나 이전 세트 승리(Vallerand et al., 1988)와 같은 사건은 긍정적 모멘텀 지각을 일으켜 수행을 향상시키고 실제 승리의 가능성을 증가시킨다.
스포츠 현장의 선수와 지도자는 경기 중 모멘텀에 대한 지각을 기반으로 이를 지속하거나 반전시키기 위한 전략을 사용한다. 예를 들어, 스포츠 경기에서는 타임아웃(Goldschmied et al., 2010), 선수교체(Moesch & Apitzsch, 2012) 등이 경기 흐름과 분위기를 전환시키려는 전략으로 사용되고 있다. 실제 배드민턴 경기상황에서 선수는 의도적으로 셔틀콕을 바꾸고, 바닥에 땀을 흘려 시간을 지체시키는 등의 전략을 사용해 부정적인 분위기를 전환시킨다(Jeon & Yun, 2014). 이처럼 역동적인 배드민턴 경기상황에서 경기운영에 관한 정보는 승리의 확률을 높이는 유의미한 경기력 요소가 될 수 있다. 특히, 긍정적 분위기 조성과 경기 흐름의 전환은 선수의 수행을 향상(Goldschmied et al., 2010)시킬 수 있으므로 배드민턴 지도자는 긍정적 분위기 조성과 부정적 분위기 극복을 위한 적절한 개입 방법을 강구해야 한다.
한편, 배드민턴 지도자의 코칭 정보에서 체력에 관한 내용이 탐색되지 않았다. 배드민턴 경기에서 체력이 기술, 전술, 심리 요인에 비해 중요도가 높이 평가(Yun et al., 2006)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체력에 관한 응답은 기술 수행에 관한 내용뿐이었다. 비록 탐색된 코칭 정보에는 포함되지 않았지만, 배드민턴 경기에서 체력요소가 중요하지 않은 것은 아니다. 체력이 다른 경기력 구성요소의 발현에 기반(Yun & Lee)이 되고, 경기 맥락의 가변성과 외부 조절의 영향에 덜 민감하기 때문에 경기상황에서 지도자는 체력에 관한 코칭 정보를 제공하지 않은 것으로 해석된다.
본 연구는 배드민턴 경기에서 지도자가 선수에게 제공하는 코칭 정보를 탐색할 목적으로 진행하였다. 고등학교 배드민턴 선수를 대상으로 한 개방형설문 결과, 총480개 원자료가 수집되었으며, 이는 심리, 기술, 전술, 경기운영 정보 등 4개 일반영역으로 범주화되었다.
구체적으로 심리 정보는 209개의 원자료와 집중력, 자신감, 이완안정, 정신력, 플레이 생각, 열정 등 6개 세부영역이 탐색되었다. 기술 정보는 131개의 원자료와 스트로크, 풋워크, 스윙과 자세, 포지션 준비 등 4개 세부영역이 탐색되었다. 전술 정보는 115개 원자료와 상대 대처, 플레이 변화, 로테이션, 상대 조정 등 4개 세부영역이, 경기운영 정보는 25개 원자료와 경기주도, 분위기 전환 등 2개 세부영역이 탐색되었다. 이러한 심리, 기술, 전술, 경기운영 정보는 배드민턴 선수의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소이며, 지도자의 적절한 조절 개입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배드민턴 경기에서 지도자는 인터벌 시간 동안 다양한 코칭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선수의 최상수행을 도모한다. 특히, 선수가 경기 동안 심리적 안정감을 유지할 수 있도록 자신감, 집중력과 같은 심리기술을 강조하고, 정확하고 과감한 스트로크를 위해 기술 수정과 변화를 요구한다. 또한 상대 플레이에 적절히 대응하고 위기상황을 극복할 수 있는 전술, 경기를 주도하고 긍정적 분위기로 전환할 수 있는 경기운영 정보를 제공한다. 따라서 배드민턴 경기 동안 지도자가 제공하는 코칭 정보는 선수의 수행과 경기결과를 결정하는 외적조절 요인으로 작동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후속 연구와 지도자의 코칭정보 제공 방안에 관해 제언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후속연구에서는 배드민턴 경기에서 지도자가 제공하는 코칭 정보와 선수 수행의 관계 또는 경기 중 다양한 시점에서 제공되는 코칭 정보의 차이 등을 탐색할 필요가 있다. 경기상황에서 지도자는 선수의 경기력을 극대화하려는 목적으로 다양한 코칭 정보를 제공하지만, 지도자가 제공하는 정보가 선수의 수행에 항상 긍정적 효과를 야기하는 것은 아니며, 특정 시점에서 수행을 향상 또는 저하시키는 정보가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지도자의 코칭 정보가 실제 선수의 수행에 미치는 영향이나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코칭 정보의 차이를 살펴본다면 코칭 정보의 기능 및 효과를 구체화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경기상황에서 지도자가 제공하는 코칭 정보를 깊이 이해하기 위해서는 연구방법을 다각화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하고 포괄적인 자료수집을 위해 개방형설문을 활용하였다. 하지만 개방형설문 과정에서 경기 중 지도자가 제공한 코칭 정보의 내용을 평균적으로 요약하는 제한점이 발견되었다. 실제, ‘상대의 장단점을 알려 주신다’와 같은 참여자의 응답은 지도자가 제공한 정보의 내용을 심층적으로 분석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이는 경기의 민감성에 의한 결과로 경기상황에 대한 회상이 어렵거나 지도자의 정보가 정확히 전달되지 못한 이유일 수 있다. 따라서 경기의 민감성과 역동성을 반영하고 자료의 오류를 최소화하기 위해 선수-지도자 소통을 녹화 또는 녹음하는 방법을 시도해볼 수 있다.
셋째, 지도자가 제공하는 코칭 정보와 선수가 인식하고 반응하는 코칭 정보의 일치 여부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선수가 경기의 주체이며 선수의 주관적 해석에 따라 코칭 정보의 내용과 의미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선수를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또한 실제 경기 장면에서 지도자의 코칭 정보 수집이 예민한 문제이고 포괄적인 자료수집을 위한 샘플 확보가 어려운 현실적 문제도 간과할 수 없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선수-지도자 부합 정도에 따라 수행의 성패가 결정됨을 고려하면 선수-지도자의 효과적인 소통을 위해서는 지도자의 의도와 선수 반응간의 일치 여부를 확인해야 한다.
넷째, 경기상황에서 지도자가 제공하는 코칭 정보의 효과를 최대화하기 위해서는 경기와 훈련 상황을 연계시켜야 한다. 본 연구에서 배드민턴 지도자는 경기 중 심리 정보를 가장 많이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배드민턴 경기에서 심리 조절의 중요성을 방증하는 동시에 훈련 과정에서 경기력 향상을 위한 심리훈련이 전제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하지만 실제 배드민턴 현장에서는 심리훈련의 관심과 시도가 부족한 실정이다. 훈련이 경기의 준비라는 점, 그리고 코칭 정보의 효과성 차원에서 보면 경기와 훈련 상황이 연계되어 심리적 측면의 고려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선수와 지도자 사이에서 교류되고 전달되는 코칭 정보의 내용을 천착할 필요가 있다. 스포츠심리학 현장적용에서 회자되는 실제 적용의 문제는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실제적 내용은 간과하고 표면적 현상만을 다루었던 한계와 연결된다. 본 연구 과정에서 연구자는 배드민턴 경기에서 지도자가 제공하는 심리, 기술, 전술, 경기운영에 관한 코칭 정보를 내용적으로 비교, 논의할 수 있는 선행연구를 찾는데 어려움을 겪었다. 지도자 코칭행동에 관한 대부분의 연구는 주로 칭찬, 질책, 비난 등과 같은 코칭 방식이나 유형에 주목하여 내용이나 정보로써 코칭행동을 다루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제한된 접근은 현장의 언어를 해석하고 함축된 의미를 통찰하는데 현장의 지식과 경험이 요구되기 때문일 것이다. 따라서 현장 선수 및 지도자의 경험에 의한 직관이나 노하우, 묵시적 지식(Yun, 2005) 등을 가시화하고 학문적으로 재정립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된다면 현장과 학계의 상호작용 증진은 물론 현장적용의 실효성을 증가시킬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가 배드민턴 경기에서 지도자가 선수에게 제공하는 코칭 정보의 내용과 의미를 심층적으로 이해하는데 기여하고, 배드민턴 지도자가 효과적인 코칭 방안을 모색할 때 유용한 토대 자료가 되기를 기대해본다.
(2001) Seoul. Korea: Myongji University Gu, H., Y. (2001). A Systematic observation analysis of coaching behavior on Judo instructor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Myongji University. Seoul. Korea. , GuH., A Systematic observation analysis of coaching behavior on Judo instructor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2010) Seoul. Korea: Myongji University Joo, H. H. (2010). Conceptual structure search of psychological factors in Badminton Performance Decision.Master's Thesis. Myongji University. Seoul. Korea. , JooH. H., Conceptual structure search of psychological factors in Badminton Performance Decision, Master's Thesis
Handbook of gifted education ( , , et al., , (3rd Eds)) (2003) NY: Allyn and Bacon Renzulli, J. S. (2003). Conceptions of giftedness and its relationship to the development of social capital.In N. Colangelo and G. Davis(Eds.), Handbook of gifted education (3rd Eds)(pp. 45-59). NY: Allyn and Bacon. , Conceptions of giftedness and its relationship to the development of social capital, In, pp. 45-59